미다그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다그 왕국은 서양식 명칭이며, 대만에서는 다두 왕국으로 알려져 있다. 9세기 경 파이완족이 이주하며 건국되었으며, 10세기부터 다양한 부족들의 이주로 족장 중심의 연합 왕국 체제를 이루었다. 17세기 스페인과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로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미다그를 평원 지역의 자치구 중 하나로 언급했다. 이후 동녕 왕국 시대를 거치며 한족의 이주가 증가하고 원주민에 대한 압력이 커지면서 18세기 초 부족 간의 지도력이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두구 - 청주이선
조선 시대 문신 이선은 영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정조의 신임을 받으며 좌부승지, 대사간 등을 역임했고,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개혁 정치를 지지했으며, 청주 이씨 가문 출신이다. - 타이중시의 역사 - 921 대지진
1999년 9월 21일 대만에서 발생한 921 대지진은 모멘트 규모 7.7, 리히터 규모 7.3의 강진으로 난터우현 지지 근처를 진앙으로 하여 대만 전역에 심각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했으며 처룽푸 단층의 지표 파열로 지형 변화를 초래하여 국제적인 지원을 받았다. - 타이중시의 역사 - 다이추주
다이추주는 일제강점기와 중화민국 시대를 거치며 대만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미친 지역으로, 타이중시를 중심으로 대만 중부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나 무사 사건과 2.28 사건으로 역사적 상처를 입었으며,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현재는 타이중시와 장화시를 아우르는 중요한 지역이다. - 대만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대만의 역사 - 민국기원
민국기원은 쑨원이 중화민국 임시대총통에 취임하면서 제정되어 중화민국 건국년도인 1912년을 원년으로 하는 기년법으로, 현재 중화민국 정부 실효 지배 지역에서 서력과 함께 사용되지만 타이완 내에서는 비판도 존재한다.
미다그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미다그 왕국 |
일반 명칭 | 미다그 |
다른 이름 | 다두 왕국 |
위치 | 타이완 |
상태 | 이전 부족 연맹 |
존속 기간 | 불명 – 17세기 |
소멸 시기 | 1732년 |
역사 | |
건국 시기 | 불명 |
주요 사건 | 네덜란드에 의해 진압됨 |
멸망 사건 | 대갑서사 항청 사건으로 멸망 |
멸망 시기 | 1732년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
역대 군주 | 깡가우샤 아스라미 (?–1648) 깡가우샤 마루 (1648–?) |
원수 칭호 | 백주의 왕 |
언어 | |
공용어 | 파포라어 바부자어 파제흐어 호안야어 타오카스어 카하부어 |
수도 | |
수도 | 다두 구, 다두사 (현재 타이완 타이중 시의 다두 구) |
통계 | |
통화 | 불명 |
이전 국가 및 후계 국가 | |
이전 | 타이완의 선사 시대 |
계승 | 네덜란드령 포르모사 청나라 통치 시대의 타이완 |
현재 국가 | 중화민국 (타이완) |
2. 명칭
미다그 왕국은 서양식 이름이다. 대만에서는 다두 왕국(大肚王國|Dàdù Wángguó중국어)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두는 역사적인 수도 미다그의 현대적 이름이다.
9세기 말레이계 파이완족이 이주하면서 미다그 왕국이 건국되었다. 10~12세기에는 말레이시아와 오세아니아로부터 여러 부족이 이주해 오면서 각축장이 되었고, 족장이 왕의 간접통치를 받는 연합왕국 체제가 되었다.[2]
17세기 지도자 카마차트 아슬라미는 호클로로 ''콰타 옹'' (Khoa-ta Ông|중국어), 때로는 네덜란드어로 ''미다그의 황제''로 알려졌다.[1] ("middag"은 네덜란드어로 오후를 뜻하며, 이는 "정오의 황제"를 의미한다.) 가장 흔한 원주민 이름은 ''렐리안'' ("태양왕")이었다.
3. 역사
13세기 원나라가 펑후 제도에 행정 기관을 설치했지만 다루가치만 파견했을 뿐 직접 통치하지는 않았다. 14세기 명나라가 펑후 제도를 차지했지만, 역시 대만을 통치하지는 못했다.[2]
1648년 간쯔샤마루 왕이 즉위했다. 17세기 스페인이 대만 북부 지역을, 네덜란드의 동인도 회사가 남부 지역을 점령하면서 미다그 왕국은 소멸되었다.[2]
이후 미다그 왕국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접촉하고, 스페인 식민지를 정복한 네덜란드의 지배를 받게 된다. 미다그의 통치자 카마챗 아슬라미에는 네덜란드 지배 하에서 통치권을 상징하는 지팡이를 받았으나, 이후 그의 땅은 중국인 농부들에게 임대되었다. 카마챗 아슬라미에 사후 그의 조카가 뒤를 이었지만, ''Quata Ong''이라는 칭호는 사용되지 않았다.[1]
1662년 정성공이 동녕 왕국을 세우면서 네덜란드의 임대권을 인수했다. 동녕 왕국은 해상 무역 금지로 인해 땅을 집중적으로 착취했고, 이는 원주민 반란을 야기하여 미다그 왕국을 약화시켰다.[1]
청나라가 동녕 왕국을 정복하면서 한족 인구가 증가하였고, 원주민들은 더 큰 압력을 받게 되었다. 18세기 초, 청나라 관리 황서경의 기록에 따르면 다두 지역에 부족 간 지도력이 존재했지만, 옹정제 통치 기간 동안 과도한 노동에 반대하는 봉기가 일어났고, 이는 청나라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 사건 이후 부족 간 지도력은 사라졌고, 미다그의 후손들은 한족에 동화되거나 푸리로 이주했다.
3. 1. 초기 역사 (9세기 ~ 17세기)
3. 2. 네덜란드와 스페인의 식민 지배 (17세기)
1624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포르모사 정부를 세운 후 미다그 왕국은 처음으로 서방 세계와 접촉했다. 1640년대에 이 섬에 거주했던 회사의 스코틀랜드 출신 요원 데이비드 라이트(David Wright)는 미다그를 평원 지역의 11개 "자치구 또는 지방" 중 하나로 열거했다.[2]
1642년 네덜란드는 대만 북부의 스페인 식민지를 정복한 후, 새로운 영토와 타요안(현대 타이난)을 기점으로 한 기지 사이의 서부 평원을 통제하려 했다. 짧지만 파괴적인 작전 끝에 1645년 피터 분은 이 지역의 부족들을 제압할 수 있었다. 미다그의 통치자였던 카마챗 아슬라미에는 네덜란드 지배 하에서 그의 지역 통치를 상징하는 지팡이를 받았다. 1646년에서 1650년 사이에 회사는 그의 땅을 6개 구역으로 나누어 중국인 농부들에게 임대했다.[1][3] 이 기간 동안 카마챗 아슬라미에는 사망했고 그의 조카 카마챗 말로가 뒤를 이었지만, 그의 후임자는 ''Quata Ong''이라는 칭호로 불린 적이 없었다.[1]
1662년, 명나라 왕조의 충신 정성공(Koxinga)과 그의 추종자들은 네덜란드 전초 기지를 포위하여 결국 동녕 왕국을 세웠다. 항복 조건에 따라 정성공은 모든 네덜란드 임대권을 인수했다.[1]
3. 3. 동녕 왕국과 청나라 시대 (17세기 ~ 18세기)
미다그 왕국은 1624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Dutch East India Company)가 포르모사 정부를 세운 후 처음으로 서방 세계와 접촉했다.[2] 1640년대에 이 섬에 거주했던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스코틀랜드 출신 요원 데이비드 라이트(David Wright)는 미다그를 평원 지역의 11개 "자치구 또는 지방" 중 하나로 열거했다.[2]
1642년 네덜란드는 대만 북부의 스페인 식민지를 정복한 후, 새로운 영토와 타요안(현재의 타이난시)을 기점으로 한 기지 사이의 서부 평원을 통제하려 했다. 짧지만 파괴적인 작전 끝에 1645년 이 지역의 부족들을 제압할 수 있었다. 미다그의 통치자였던 카마챗 아슬라미에는 네덜란드 지배 하에서 그의 지역 통치를 상징하는 지팡이를 받았다. 1646년에서 1650년 사이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그의 땅을 6개 구역으로 나누어 중국인 농부들에게 임대했다.[1][3]
이 기간 동안 카마챗 아슬라미에는 사망했고 그의 조카 카마챗 말로가 뒤를 이었지만, 그의 후임자는 ''Quata Ong''이라는 칭호로 불린 적이 없었다.[1]
1662년, 명나라 왕조의 충신 정성공(Koxinga)과 그의 추종자들은 네덜란드 전초 기지를 포위하여 결국 동녕 왕국을 세웠다. 항복 조건에 따라 정성공은 모든 네덜란드 임대권을 인수했다. 끊임없는 전쟁 상태에 놓여 적대적인 네덜란드-청나라 동맹에 의해 해상 무역이 금지된 동녕 왕국은 광대한 군대를 먹여 살리기 위해 이 땅을 집중적으로 착취했다. 이로 인해 원주민들의 여러 잔혹하게 진압된 반란이 발생했고 미다그는 점차 약해졌다.[1]
청나라가 동녕 왕국을 성공적으로 정복한 후, 대만과 중국 본토 간의 교통이 재개되었고, 공식적인 칙령으로 억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족 인구의 이주가 다시 증가했다. 원주민들은 섬에서 더 많은 농지를 "개척"하려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한족 인구로부터 훨씬 더 큰 압력에 직면했다.
18세기 초 대만에 파견된 청나라 관리인 황서경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다두 지역에는 부족 간의 지도력이 존재했다. 그러나 그 세기 후반 옹정제 통치 기간 동안, 전통적인 미다그 영토의 인구는 청나라 당국이 부과한 과도한 노동에 반대하여 봉기했고, 1732년, 즉 첫 번째 봉기 1년 후 청나라 군대와 협력적인 원주민 공동체에 의해 잔혹하게 진압되었다. 이 혼란이 끝난 후, 부족 간의 지도력은 섬의 중서부 평원에서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이 사건 이후, 미다그의 후손들은 혼인을 통해 다수의 한족 인구로 동화되거나 현재의 푸리로 이주했는데, 이곳은 대만 중부에 있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이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aiwan
[2]
서적
Formosa under the Dutch: described from contemporary records, with explanatory notes and a bibliography of the island
Kegan Paul
[3]
서적
The Colonial 'Civilizing Process' in Dutch Formosa, 1624–1662
BRILL
[4]
문서
zh:大肚王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