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셸 네는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프랑스의 군인으로, 나폴레옹 휘하에서 원수까지 올랐다. 사를루이에서 태어나 기병으로 군 생활을 시작,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엘힝겐 공작, 모스크바 공작 등의 작위를 받았다. 나폴레옹의 몰락 후 루이 18세에게 충성을 맹세했으나, 나폴레옹의 귀환에 합류하여 워털루 전투에서 기병을 지휘했다. 워털루 전투 패배 후 체포되어 반역죄로 기소, 총살형을 선고받았다. 그의 용맹함은 칭송받았지만, 지휘 능력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그의 삶은 소설,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를루이 출신 - 오스카르 라퐁텐
오스카르 라퐁텐은 독일의 정치인으로, 자를란트주 주총리, 독일 사회민주당 당수, 연방 재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SPD 내 좌파로 활동하며 좌파당 결성을 주도했다. - 자를루이 출신 - 하이코 마스
독일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인 하이코 마스는 자를란트 주 의회 의원을 거쳐 앙겔라 메르켈 내각에서 법무·소비자 보호 장관과 외무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법률 회사 파트너 및 자를란트 철강 산업 연합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프랑스의 반역죄 사형수 - 마리 앙투아네트
마리 앙투아네트는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프랑스 왕 루이 16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며, 사치스러운 생활과 정치적 관여로 프랑스 혁명 시기 비난을 받아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나, 최근에는 재평가되고 있다. - 프랑스의 반역죄 사형수 - 루이 16세
프랑스 부르봉 왕가의 마지막 국왕인 루이 16세는 막대한 국가 부채와 사회적 불만 속에서 우유부단한 결정으로 프랑스 혁명에 휘말려 폐위 후 처형되었으며, 그의 통치와 최후는 상반된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화 매체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프랑스의 역사 - 미터법
미터법은 프랑스에서 창안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십진법 기반의 측정 단위계로, 지구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미터를 길이의 기본 단위로 채택하여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국제단위계로 표준화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프랑스의 역사 - 공화력 3년 헌법
공화력 3년 헌법은 프랑스 혁명기에 제정되어 총재정부의 구성과 운영을 규정하고 양원제 입법부와 집단 행정부를 구성했으나, 제한 선거 도입과 총재 정부의 문제로 나폴레옹 쿠데타로 폐지되었다.
미셸 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프랑스 제국 원수 |
이름 | 미셸 네 |
존칭 접미사 | 모스크바 공작 |
![]() | |
출생일 | 1769년 1월 10일 |
출생지 | 프랑스 왕국 사를루이 (현재 독일 자를란트 자를루이스) |
사망일 | 1815년 12월 7일 |
사망 원인 | 총살형 |
사망 장소 | 프랑스 파리 |
안장 장소 | 페르 라셰즈 묘지 |
별명 | 용자 중의 용자 붉은 얼굴 |
충성 | 프랑스 왕국 프랑스 왕국 (1791년) 프랑스 제1공화국 프랑스 제1제국 프랑스 왕정복고 |
소속군 | 프랑스 육군 |
복무 기간 | 1787년–1815년 |
지휘 부대 | 라인 군 제6군단 (대육군) 제3군단 (대육군) |
![]() | |
군사 경력 | |
참전 전투 | 프랑스 혁명 전쟁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나폴레옹 전쟁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반도 전쟁 프랑스의 러시아 침공 제6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로슬라우 전투 백일천하 워털루 전투 |
훈장 | |
수상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철 왕관 훈장 |
2. 초기 생애와 프랑스 혁명 전쟁
미셸 네는 1769년 당시 프랑스령이었던 사를루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7년 전쟁에 참전했던 통 제조업자의 아들이었다. 지역 변호사 밑에서 일하다가 1788년에 경비병 연대에 들어갔다.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하자 1792년 발미 전투와 제마프 전투, 1800년 호엔린덴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며 군 경력을 쌓았다.[34]
2. 1. 교육 및 초기 경력
네는 프랑스와 독일 국경에 위치한 프랑스 로렌 지방의 사를루이에서 태어났다. 7년 전쟁 참전 용사이자 숙련된 협동조합원이었던 피에르 네의 둘째 아들이었다.[1][2]네는 사를루이에 있는 오귀스탱 수도원의 콜레주에서 교육을 받았다.[1][2] 졸업 후 지역 공증인 사무실의 서기로 일하다가, 1787년 기병대에 입대하여 군 생활을 시작했다.
2. 2. 프랑스 혁명 전쟁 참전
1788년 경비병 연대에 들어간 네는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하자 1792년 발미 전투와 제마프 전투를 시작으로 1800년 제1공화국에서 치른 마지막 전투인 호엔린덴 전투까지 참전했다.[34]프랑스 혁명 이후, 네는 프랑스 혁명군(French Revolutionary Army)의 북부군(Army of the North)에서 복무했다. 1792년 9월 발미 전투에 참전했고, 10월에는 공화국 하에서 장교로 임관되었다. 1793년 네르빈덴 전투에 참여했고, 같은 해 마인츠 포위전에서 부상을 입었다. 1794년 6월에는 샘브르-에-뫼즈 군(Army of Sambre-et-Meuse)으로 전속되었다.[35]
1796년 8월 준장으로 승진하여 독일 전선에서 기병대를 지휘했다. 1797년 4월 17일 노이비트 전투에서 프랑스 대포를 탈취하려는 오스트리아 랜서들을 향해 기병 돌격을 이끌었다. 랜서들은 물러났지만, 네의 기병대는 중기병의 반격을 받았다. 혼전 중 네는 말에서 떨어져 디어르도르프(Dierdorf) 시 근처에서 포로로 잡혔다가, 5월 8일 오스트리아 장군과 교환되었다.[35] 만하임 함락 후, 1799년 3월 28일 사단장(général de division)으로 승진했고, 9월 25일부터 10월 23일까지 라인 군(Army of the Rhine)을 잠시 지휘했다. 1799년 후반, 스위스와 도나우 군대에서 기병대를 지휘했다. 빈터투어 전투에서 허벅지와 손목에 부상을 입었다. 회복 후 1800년 12월 장 빅토르 마리 모로 휘하에서 호엔린덴 전투에 참전했다.[36]
3. 나폴레옹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당시 발미 전투, 제마프 전투, 호엔린덴 전투 등에 참전하며 군 경력을 시작한 네는, 1801년 튈르리 궁에서 나폴레옹을 만나 그의 부하가 되었다.[4] 1804년에는 나폴레옹 암살 음모에 연루된 장 빅토르 마리 모로 대신 그 자리에 올랐다.[4]
1804년 5월 19일, 나폴레옹으로부터 원수 지팡이를 받고 제국 원수가 된 네는[4] 엘힝겐 전투, 아우스터리츠 전투,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 아일라우 전투, 프리틀란트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승리하며 나폴레옹의 핵심적인 군사 지도자로 활약했다. 1808년에는 엘힝엔 공작 작위를 받았다.[4]
1812년 러시아 원정 중 보로디노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워 모스크바 공작 작위를 받았으나,[4] 이후 덴네비츠 전투에서 패하고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큰 부상을 입었다.[36]
3. 1. 주요 전투 및 전역
1805년 엘힝겐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고 이 승리로 엘힝겐 공작 작위를 받았다.[4] 1806년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는 프로이센군을 격파했다.[36] 1807년 아일라우 전투와 프리틀란트 전투에서는 러시아군을 무찔렀다.[36] 1808년부터 1810년까지 반도 전쟁에 참전하여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활약했다.[36]1812년 러시아 원정 때에는 보로디노 전투에서 용맹을 떨쳐 '모스크바 대공' 작위를 받았다.[4] 모스크바 퇴각 시 후위 부대를 지휘하며 병사들을 구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4]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에서는 큰 부상을 당했다.[36] 1814년 프랑스 전역에서 나폴레옹의 몰락을 막기 위해 분투했으나 실패했다.[4]
3. 2. 나폴레옹과의 관계
1801년 5월 튈르리 궁에서 나폴레옹을 만나 그의 부하가 되었다.[4] 1804년 초, 장 빅토르 마리 모로 장군이 나폴레옹 암살설에 연루되자, 나폴레옹은 모로를 추방하고 네를 그 자리에 앉혔다.[4]1804년 5월 19일, 네는 원수 지팡이를 받았는데, 이는 나폴레옹 시대 프랑스 원수에 해당하는 제국 원수의 지위를 상징하는 것이었다.[4] 1805년 엘힝겐 전투에서 승리하고,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를 무찔렀다.[4] 1806년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는 프로이센군을, 1807년 아일라우 전투와 프리틀란트 전투에서는 러시아군을 무찔렀다.[4] 1808년 6월 6일, 네는 엘칭엔 공작이 되었다.[4]
1812년 러시아 원정 때 보로디노 전투에 참전하여 모스크바 공작 작위를 받았다.[4] 러시아 원정 당시 네는 그랑 아르메(Grande Armée)의 제3군단(III Corps) 사령관을 맡았다. 스몰렌스크 전투에서 목에 부상을 입었지만 회복하여 보로디노 전투에서 중앙 지역에서 싸웠다. 모스크바에서 퇴각하는 동안 네는 후위대를 지휘했으며, 크라스노이 전투에서 주력군과 분리되었으나 큰 손실을 입으면서도 드니퍼 강 위의 짙은 안개 속에서 탈출하여 오르샤에서 주력군과 합류, 나폴레옹을 기쁘게 했다.[4] 이 공로로 네는 황제로부터 "가장 용감한 자"라는 별명을 얻었다.[4]


4. 백일천하와 몰락
나폴레옹이 엘바 섬을 탈출하여 프랑스로 돌아오자, 네는 처음에는 루이 18세에게 충성을 맹세하며 나폴레옹을 체포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나폴레옹이 보낸 "나는 당신을 보로디노 전투 이후처럼 맞이할 것입니다."라는 내용의 편지를 받고 마음을 바꾸었다.[17] 1815년 3월 14일 롱르솔니에르(쥐라)에서 휘하 병력을 이끌고 나폴레옹에게 귀순했다.[18]
이후 네는 나폴레옹 군대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백일천하 동안 콰트르브라 전투에 참여했다. 이 전투에서 웰링턴이 이끄는 영국군과 맞섰으나, 델롱의 지원군이 도착하지 않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한 후, 네는 망명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체포되었다.[36] 루이 18세 정부에 의해 반역죄로 기소되어 재판을 받았다. 귀족원에서는 161표 중 139표의 찬성으로 유죄가 선고되었고, 1815년 12월에 뤽상부르 정원에서 총살형으로 처형되었다.
4. 1. 나폴레옹에게 재합류
나폴레옹이 프랑스로 귀환하자, 네는 프랑스의 평화를 유지하고 루이 18세에게 충성심을 보이기 위해 나폴레옹의 파리 진군을 저지할 병력을 조직했다. 또한 나폴레옹을 철창에 가두어 생포하겠다고 맹세했다. 그러나 네는 나폴레옹의 설득에 넘어가 결국 그에게 다시 합류했다. 네는 1815년 3월 14일, 롱르솔니에르(쥐라)에서 6,000명의 소규모 군대를 이끌고 나폴레옹에 합류했다.[18] 이는 부르봉 왕가와 유럽 열강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네의 '반역'이 수도에서 알려진 지 이틀 만에 왕은 파리를 버렸다.4. 2. 워털루 전투

워털루 전투에서 1815년 6월 18일, 네는 다시 군대의 좌익을 지휘했다.[19] 오후 3시 30분경, 네는 영국-연합군 진영에 대한 대규모 기병 돌격을 명령했다. 네의 기병은 적의 대포를 압도했지만, 보병이 기병에 대비한 사각형 진형을 갖추고 있는 것을 발견했고, 보병이나 포병의 지원 없이 이를 돌파하지 못했다.[19] 이 행동으로 네는 비판을 받았고, 일부는 이것이 워털루에서 나폴레옹의 패배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19] 기병 돌격에 대한 책임과 그 이유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네이의 기병은 또한 프랑스군의 통제 하에 있을 때 적의 대포에 못을 박지 못했다. 기병 공격 중에 대포의 승무원들은 보호를 위해 사각형으로 후퇴한 다음 기병이 철수하자 다시 대포를 운용했다. 네이의 기병은 대포에 못을 박는 데 필요한 장비를 가지고 있었고, 대포에 못을 박았다면 전투의 나머지 기간 동안 대포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들었을 것이다. 다수의 대포 손실은 군대를 약화시켰을 것이고, 영국-연합군이 전투에서 철수하게 만들었을 수도 있다. 네이는 격렬한 좌절감 속에 영국 대포 옆에서 칼을 휘두르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전투 중 그는 다섯 마리의 말이 죽었고,[20] 하루가 끝날 무렵, 네이는 마지막 보병 돌격 중 하나를 이끌면서 자신의 부하들에게 "프랑스 원수가 어떻게 죽음을 맞이하는지 보시오!"라고 외쳤다.[20] 네이는 죽음을 찾고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많은 목격자들이 보고했듯이 죽음은 그를 원하지 않았다.
워털루 전투에서 네는 전위에서 사실상 총지휘를 맡아 라에상트에 대한 델롱의 제1군단 공격을 명령했다. 이때 포병 지원을 명령하지 않았기 때문에 프랑스군의 돌격은 모두 분쇄되었다. 15시 30분, 기병을 이용한 총돌격을 감행했으나, 아군 포병의 지원이 없었기 때문에 영국군 보병의 사각진을 효과적으로 무너뜨릴 수 없었지만,[35] 영국군 보병 진지를 잠시 동안 유린했다.[37] 더욱이 영국군 좌익에 프로이센군이 도착함에 따라 웰링턴은 영국군 근위 기병 연대를 증원으로 보냈기 때문에, 네는 공격을 계속하지 못하고 결국 후퇴하여 승리의 기회를 놓쳤다. 이후 뷔르쉘이 이끄는 프로이센군이 잇달아 도착함에 따라 프랑스군은 전열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결국 패주했고, 워털루 전투는 종결되었다.
4. 3. 체포와 처형
나폴레옹이 몰락한 후, 네는 프랑스를 탈출하려 했으나 1815년 8월 3일에 체포되었다.[36] 그는 반역죄로 기소되었고, 군사 재판은 관할권이 없다는 결정을 내렸지만, 프랑스 귀족원에서 재판을 받게 되었다.[18] 네는 자신이 프랑스인임을 강조하며 변호사의 노력을 방해했고,[22] 결국 귀족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23]1815년 12월 7일, 파리의 뤽상부르 정원 근처에서 네는 총살형에 처해졌다. 그는 눈가리개를 거부하고 직접 총살 명령을 내리는 것을 허락받았으며,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며 용감하게 죽음을 맞이했다. 그는 "병사 여러분, 제가 발포 명령을 내리면, 제 심장을 향해 정확히 쏘십시오. 명령을 기다리십시오. 여러분에게 하는 제 마지막 명령이 될 것입니다. 저는 제 유죄 판결에 항의합니다. 저는 프랑스를 위해 백 번의 전투를 치렀고, 프랑스에 맞서 싸운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병사 여러분, 발포하십시오!"라고 외쳤다고 전해진다.[23]
네는 파리의 페르 라셰즈 묘지에 묻혔다.

5. 유산과 평가
미셸 네는 프랑스 역사상 가장 용감한 군인 중 한 명으로 기억된다. 그의 용맹함과 헌신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나폴레옹은 유배 후 네를 엄하게 비판하기도 하고, 최대한 칭찬하기도 하는 등 복합적인 평가를 내렸다. 전반적으로 네는 뛰어난 군인이었지만, 완벽한 지휘관은 아니었다는 평가를 받는다.[36]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의 용기와 비극적인 죽음은 수많은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문학
- 스탕달의 소설 『파르마 수도원』 서두 부분에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가 잠시 등장하며, 워털루 전투에서 파브리치오 델 돈고가 우연히 그의 근위대에 합류하는 장면을 묘사한다.
- 레프 톨스토이의 서사 소설 『전쟁과 평화』에서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는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전쟁과 평화 등장인물 목록 참조)
-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는 아서 코난 도일 경의 브리게이디어 제라드 이야기의 여러 편, 특히 『워털루의 브리게이디어 제라드』(1903)에서 언급되거나 등장한다.
- 워털루 전투에서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의 애국심, 지능, 용기는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미제라블』에서 광범위하게 다뤄지고 칭송받았다.
-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는 밀로시 크르냐르스키의 소설 『런던의 소설』에 등장하는데, 소설의 주인공인 러시아 귀족 레프닌 백작이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를 나폴레옹과 대조적으로 칭찬한다.[26]
; 영화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는 다음 배우들이 연기했다.
배우 | 영화 | 연도 |
---|---|---|
칼 드 보그트 | 『워털루』 | 1929년 |
알렉산드르 스테파노프 | 『쿠투조프』 | 1944년 |
댄 오헐리히 | 『워털루』 | 1970년 |
존 버튼 | 『가장 용감한 자』 | 1938년 |
존 홀링워스 | 『나폴레옹』 | 2023년[27] |
; 텔레비전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는 다음 배우들이 연기했다.
배우 | 작품 | 연도 |
---|---|---|
존 베이커 | 『전쟁과 평화』 | 1972년 |
알랭 두테이 | 『나폴레옹』 | |
콜린 빈 | 『아빠의 군대』 에피소드 "군인의 작별" | |
조르디 마르티네즈 | 『시간의 부처』 에피소드 "시간의 부처" |
; 캐롤라이나 민속 문화
19세기, 20세기, 21세기에 걸쳐 노스캐롤라이나주 로완 군의 한 교사가 망명 중인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 원수라는 소문이 캐롤라이나에서 퍼졌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의 기록은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의 처형 다음 해에 "피터 스튜어트 네이"의 도착을 보여준다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의 아버지 이름은 피터였고, 어머니의 처녀 적 성은 스튜어트였다). 피터 네이는 1846년 11월 15일 사망할 때까지 로완 군에서 교사로 일했다. 전설에 따르면, 피터 네이는 1821년 나폴레옹의 죽음 소식을 듣고 자신의 목을 그어 거의 죽을 뻔했다. 그의 임종의 말은 "나는 프랑스의 네이다"였다고 전해지며,[28] 술에 취했을 때는 자신이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 원수라고 주장했지만, 술이 깨면 부인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전설과 모순되는 증거가 있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의 처형이 잘 기록되고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 원수는 독일어에 능통했지만,[29] 영어를 구사했다는 기록은 없다. 한 연구원은 피터 스튜어트 네이가 스코틀랜드 스털링셔에서 1788년에 태어난 피터 맥니라는 증거가 있다고 주장한다.[30]
피터 스튜어트 네이의 시신은 1887년과 1936년 두 번 발굴되었지만, 두 번 모두 결정적인 증거가 나오지 않았다. 2022년에 새로운 조사가 이루어졌고, 세 번째 발굴에서 사용 가능한 유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피터 스튜어트 네이가 소유했던 플루트에서 DNA가 추출되었다. 연구원들에 따르면, 이것은 피터 스튜어트 네이가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가 아니라는 것을 결정적으로 증명하지만, 그가 자신이 미셸 네(프랑스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라고 믿었을 가능성은 있다고 한다.[31][32]
5. 1. 군사적 업적
네는 1788년에 경비병 연대에 들어가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여러 전투에 참전하며 군 경력을 시작했다. 1792년 발미 전투와 제마프 전투를 시작으로, 1800년 제1공화국의 마지막 전투인 호엔린덴 전투까지 다양한 전투에서 활약했다.1801년 5월 튈르리 궁에서 나폴레옹을 만나 그의 부하가 되었고, 1804년 초 장 빅토르 마리 모로 장군이 나폴레옹 암살 혐의로 추방되자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1805년 10월 엘힝겔 전투에서 승리하고,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를 격파했다. 1806년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는 프로이센군을, 1807년 아일라우 전투와 프리틀란트 전투에서는 러시아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1812년 러시아 원정 중 보로디노 전투에서 보여준 활약으로 모스크바 공작 작위를 받았다.
1804년 5월 19일, 네는 나폴레옹 시대의 프랑스 원수를 상징하는 제국 원수 지팡이를 받았다.[4] 1805년 전역에서 대프랑스군의 제6군단을 지휘했으며, 엘힝엔 전투에서의 공로로 칭찬을 받았다.[4] 1805년 11월, 티롤을 침략하여 요한 대공으로부터 인스브루크를 점령했다. 1806년 전역에서는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싸운 후 에르푸르트를 점령했고, 마그데부르크를 성공적으로 포위했다. 1807년 전역에서는 증원군과 함께 도착하여 나폴레옹이 아이라우 전투에서 패배하는 것을 막았다. 이후 귈트슈타트 전투에서 싸웠고 프리드란트 전투에서 우익을 지휘했다. 1808년 6월 6일, 엘칭엔 공작이 되었다.[4]
1808년, 제6군단을 이끌고 스페인으로 파병되어 여러 소규모 전투에 참가했다. 1809년에는 푸에르토 데 바뇨스 전투에서 영국-포르투갈 연합군과 충돌했다. 1810년, 앙드레 마세나 원수와 함께 포르투갈 침공에 참여하여 시우다드 로드리고와 알메이다를 함락시켰고, 코아 강 전투와 부사쿠 전투에서 전투를 치렀다. 프랑스군은 웰링턴의 초토화 작전 함정인 토레스 베드라스 방어선으로 후퇴하는 연합군을 추격했다. 몇 달 동안 기아로 6만 1천 명 중 2만 1천 명을 잃은 후, 마세나와 네는 식량과 보급품 부족으로 후퇴했다.[5] 네는 웰링턴의 군대와 폼발 전투, 레디냐 전투, 카잘 노보 전투, 포스 데 아로우세 전투 등에서 후위 전투를 벌여 추격하는 연합군을 지연시키고 1811년 주요 프랑스군의 후퇴를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결국 불복종으로 지휘관직에서 해임되었다.[4]
1812년 러시아 원정에서 제3군단을 지휘했고, 스몰렌스크 전투에서 목에 총상을 입었지만 보로디노 전투에서 맹활약했다. 모스크바로부터의 후퇴전에서 11월 3일부터 다부를 대신하여 후위 사령관을 맡았다. 베레지나 강 전투에서도 후위를 맡아 아군의 강 건너기를 지원했다. 이러한 역경 속에서의 용기와 지휘력은 나폴레옹에게 "프랑스 군에는 용자가 많지만, 미셸 네이야말로 진정한 용자 중의 용자다!"라는 칭찬을 받았다.[35] 1813년 3월 25일, 모스크바 대공 칭호를 받았다.[35]
이후 독일 전역에서 뤼첸 전투에 참가하여 드레스덴으로 진군하는 나폴레옹 본대에서 베를린 방면으로 파병되었다. 바우첸 전투에서는 강행군으로 슈프레 강을 건너 적 후방을 공격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데네비츠 전투에서 패배하고, 라이프치히 전투에 참가했다.[36] 1814년 낭시에서 후퇴했고, 아르시-쉬르-오브 전투에서 패배했다. 파리 함락 후, 나폴레옹은 파리 탈환 작전을 제시했지만, 네를 포함한 원수들은 파리가 불타버릴 위험이 있다며 반대했고, 나폴레옹 2세를 위해 퇴위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그의 군사적 업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연도 | 전투/사건 | 역할 및 결과 |
---|---|---|
1792년 | 발미 전투, 제마프 전투 | 참전 |
1800년 | 호엔린덴 전투 | 프랑스 제1공화국 소속으로 참전 |
1805년 | 엘힝겔 전투 | 승리 |
1805년 | 아우스터리츠 전투 | 오스트리아 격파 |
1806년 |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 | 프로이센군 격파 |
1807년 | 아일라우 전투, 프리틀란트 전투 | 러시아군 격파 |
1812년 | 러시아 원정, 보로디노 전투 | 모스크바 공작 작위 획득, 후위 부대 지휘 |
1813년 | 데네비츠 전투 | 장바티스트 베르나도트의 스웨덴군에게 패배 |
1813년 | 라이프치히 전투 | 부상 |
5. 2. 비판
네는 뛰어난 군인이었지만, 때때로 충동적이고 성급한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워털루 전투에서 보병과 포병의 지원 없이 감행한 대규모 기병 돌격은 그의 대표적인 실책으로 꼽힌다.[19] 이로 인해 프랑스군은 큰 타격을 입었고, 결국 전투에서 패배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9]워털루 전투에서 네는 오후 3시 30분경 영국-연합군 진영에 대규모 기병 돌격을 명령했다. 네의 기병대는 적의 대포를 제압했지만, 보병이 사각형 진형을 갖추고 있어 이를 뚫지 못했다. 또한 네의 기병대는 프랑스군이 점령했을 때 적의 대포를 무력화시키지 못했는데, 이는 전투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대포를 무력화하는데 필요한 장비가 없었던 것도 아니었기에, 이 실수는 더욱 뼈아팠다.
나폴레옹은 유배 후 네를 엄하게 비판하기도 하고, 최대한 칭찬하기도 하는 등 복합적인 평가를 내렸다. 전반적으로 네는 뛰어난 군인이었지만, 완벽한 지휘관은 아니었다는 평가를 받는다.[36]
5. 3. 대중문화 속 네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의 용기와 비극적인 죽음은 수많은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문학
- 스탕달의 소설 『파르마 수도원』 서두 부분에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가 잠시 등장하며, 워털루 전투에서 파브리치오 델 돈고가 우연히 그의 근위대에 합류하는 장면을 묘사한다.
- 레프 톨스토이의 서사 소설 『전쟁과 평화』에서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는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전쟁과 평화 등장인물 목록 참조)
-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는 아서 코난 도일 경의 브리게이디어 제라드 이야기의 여러 편, 특히 『워털루의 브리게이디어 제라드』(1903)에서 언급되거나 등장한다.
- 워털루 전투에서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의 애국심, 지능, 용기는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미제라블』에서 광범위하게 다뤄지고 칭송받았다.
-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는 밀로시 크르냐르스키의 소설 『런던의 소설』에 등장하는데, 소설의 주인공인 러시아 귀족 레프닌 백작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를 나폴레옹과 대조적으로 칭찬한다.[26]
; 영화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는 다음 배우들이 연기했다.
배우 | 영화 | 연도 |
---|---|---|
칼 드 보그트 | 『워털루』 | 1929년 |
알렉산드르 스테파노프 | 『쿠투조프』 | 1944년 |
댄 오헐리히 | 『워털루』 | 1970년 |
존 버튼 | 『가장 용감한 자』 | 1938년 |
존 홀링워스 | 『나폴레옹』 | 2023년[27] |
; 텔레비전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는 다음 배우들이 연기했다.
배우 | 작품 | 연도 |
---|---|---|
존 베이커 | 『전쟁과 평화』 | 1972년 |
알랭 두테이 | 『나폴레옹』 | |
콜린 빈 | 『아빠의 군대』 에피소드 "군인의 작별" | |
조르디 마르티네즈 | 『시간의 부처』 에피소드 "시간의 부처" |
; 캐롤라이나 민속 문화
19세기, 20세기, 21세기에 걸쳐 노스캐롤라이나주 로완 군의 한 교사가 망명 중인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 원수라는 소문이 캐롤라이나에서 퍼졌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의 기록은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의 처형 다음 해에 "피터 스튜어트 네이"의 도착을 보여준다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의 아버지 이름은 피터였고, 어머니의 처녀 적 성은 스튜어트였다). 피터 네이는 1846년 11월 15일 사망할 때까지 로완 군에서 교사로 일했다. 전설에 따르면, 피터 네이는 1821년 나폴레옹의 죽음 소식을 듣고 자신의 목을 그어 거의 죽을 뻔했다. 그의 임종의 말은 "나는 프랑스의 네이다"였다고 전해지며,[28] 술에 취했을 때는 자신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 원수라고 주장했지만, 술이 깨면 부인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전설과 모순되는 증거가 있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의 처형이 잘 기록되고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 원수는 독일어에 능통했지만,[29] 영어를 구사했다는 기록은 없다. 한 연구원은 피터 스튜어트 네이가 스코틀랜드 스털링셔에서 1788년에 태어난 피터 맥니라는 증거가 있다고 주장한다.[30]
피터 스튜어트 네이의 시신은 1887년과 1936년 두 번 발굴되었지만, 두 번 모두 결정적인 증거가 나오지 않았다. 2022년에 새로운 조사가 이루어졌고, 세 번째 발굴에서 사용 가능한 유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피터 스튜어트 네이가 소유했던 플루트에서 DNA가 추출되었다. 연구원들에 따르면, 이것은 피터 스튜어트 네이가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가 아니라는 것을 결정적으로 증명하지만, 그가 자신이 Michel Ney|미셸 네프랑스어라고 믿었을 가능성은 있다고 한다.[31][32]
6. 가족 관계
Aglaé Auguié프랑스어는 1802년 8월 5일 티베르발-그리뇽에서 피에르 세자르 오귀에(Pierre César Auguié)와 아델라이드 앙리에트 제네(Adélaïde Henriette Genet)의 딸로 태어났으며, 앙리에트 캄팡(Henriette Campan)과 시민 제네(Citizen Genêt)의 여동생이다. 네는 아글레 오귀에와 결혼하여 네 명의 아들을 두었다.[24]
이름 | 출생일 | 사망일 | 비고 |
---|---|---|---|
조제프 나폴레옹 (Joseph Napoléon) | 1803년 5월 8일 | 1857년 7월 25일 | 2대 모스크바 공작. 1828년 1월 26일 알비느 라피트(Albine Laffitte, 자크 라피트의 딸)와 결혼, 두 자녀를 두었으나 남계 혈통 단절. 사생아 아들이 있었으나 미혼. |
미셸 루이 펠릭스 (Michel Louis Félix) | 1804년 8월 24일 | 1854년 7월 14일 | 2대 엘칭겐 공작. 크림 전쟁 중 갈리폴리에서 사망. 1833년 1월 19일 마리-조제핀(Marie-Joséphine, 조제프 수암의 딸)과 결혼. |
외젠 미셸 (Eugène Michel) | 1806년 7월 12일 | 1845년 10월 25일 | 미혼으로 사망. |
에드가 나폴레옹 앙리 (Edgar Napoléon Henry) | 1812년 4월 12일 | 1882년 10월 4일 | 3대 모스크바 공작. 1869년 1월 16일 클로틸드 드 라 로셸람베르(Clotilde de La Rochelambert)와 결혼, 자녀 없음. 모스크바 공작 작위는 미셸 루이 펠릭스의 후손에게 계승. |
'대군의 사교계 여성'(Courtisane de la Grande Armée)으로 알려진 이다 생텔름(Ida Saint-Elme)이 미셸 네의 애인이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25]
7. 기타
미셸 네는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유창하게 구사했다.[35] 플루트와 클라리넷 연주, 체스 실력이 뛰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성실하고 사교적인 성격으로 의협심이 강해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받았다. 지휘관으로서는 인내심이 강하고, 특히 방어 후퇴전에서 후위를 맡아 많은 전설적인 무공을 세웠다. 러시아 원정에서 후퇴할 때에는 직접 총을 들고 러시아 병사와 싸우기도 했다. 나폴레옹은 유배 후 네이를 비판하기도 하고 칭찬하기도 했다.
네이는 뤽상부르크 정원 근처의 그르넬 평원에서 총살당했는데,[36] 이때 눈가리개를 권하자 "당신은 제가 20년 이상 전부터 총탄을 직시해 왔다는 것을 모르는가?"라고 말했다고 한다. 총살당한 장소에는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38] 그의 마지막 말은 다음과 같았다.
> "병사 여러분, 이것이 마지막 명령입니다. 제가 명령을 내리면 바로 심장을 조준하여 쏘십시오.[36] 저는 이 부당한 판결에 항의합니다. 저는 프랑스를 위해 백 번 싸웠지만, 한 번도 조국에 반역한 적이 없습니다."[35]
그의 이름은 개선문의 13열째(서쪽 기둥) 위에서 5번째에 새겨져 있다. 파리 18구를 지나는 마레쇼 대로의 한 구간은 "블레바르 네(네 거리)"로 명명되었다.
참조
[1]
서적
Amours et tragédie de Michel Ney, maréchal de France
https://books.google[...]
Fasquelle éditeurs
[2]
harvnb
[3]
서적
Phipps (2011), p. 164.
[4]
harvnb
[5]
서적
The lines of Torres Vedras : the cornerstone of Wellington's strategy in the Peninsular War, 1809–1812
Frontline Books
2015
[6]
서적
Die Deutschen in Russland, 1812. Leben und Leiden auf der Moskauer Heerfahrt
https://archive.org/[...]
Morawe & Scheffelt, Berlin
[7]
웹사이트
Leadership by Inspiration: An Episode of Marshal Ney during the Russian Retreat
http://www.napoleoni[...]
West Chester University of Pennsylvania
[8]
서적
[9]
사진
Photos of the Losvinka and Dniepr
https://sun9-40.user[...]
[10]
웹사이트
The real places of the crossing of Marshal Ney's 3rd Corps on November 6/18 and how it took place
https://dzen.ru/a/YX[...]
[11]
서적
The bravest of the brave, Michel Ney, marshal of France, duke of Elchingen, prince of the Moskowa 1769–1815
https://archive.org/[...]
[12]
웹사이트
Second battle of Krasnyi, 15–18 November 1812
http://www.historyof[...]
2014-06-26
[13]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14]
웹사이트
Michel Ney’s Retreat
https://warfarehisto[...]
[15]
웹사이트
Marshal Ney
http://adjudant.ru/f[...]
[16]
웹사이트
Napoleon's Invasion of Russia, 1812. Chapter X
http://www.museum.ru[...]
[17]
harvnb
[18]
뉴스
Le Journal de Paris, 22 novembre 1815; Journal des débats politiques et littéraires, 22 novembre 1815
1815-11-22
[19]
harvnb
[20]
harvnb
"venez voir comment meurt un maréchal de France!"
[21]
서적
Le Maréchal Ney: 1815
Librairie Plon
[22]
harvnb
"Je suis Français et je resterai Français!"
[23]
harvnb
[24]
harvnb
[25]
웹사이트
Four Men and a Woman: Remarkable Dutch Experiences during the Russian Campaign of Napoleon in 1812
https://www.napoleon[...]
Royal Netherlands Army and Arms Museum
[26]
학술지
Multilingualism in Translation: The Complexity of Translating Miloš Crnjanski's 'Roman o Londonu' (A Novel about London) into the English Language
https://www.academia[...]
2016-01-01
[27]
영화
Napoleon
https://www.imdb.com[...]
Apple Studios, Apple, Dune Films
2023-11-22
[28]
웹사이트
Peter Stuart Ney Confesses to be Napoleon's Closest Aide
https://www.ncdcr.go[...]
North Carolina Department of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2016-11-15
[29]
웹사이트
Napoleonic Wars: Marshal Michel Ney
https://www.thoughtc[...]
Dotdash Merideth
2017-03-17
[30]
백과사전
Ney, Peter Stewart
https://www.ncpedia.[...]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1
[31]
웹사이트
The Plot Thickens: Did DNA Settle a Centuries-Old Conspiracy?
https://www.davidson[...]
2023-09-18
[32]
웹사이트
French researchers conclude that Napoleon's famed Marshal Ney is not the Peter Stuart Ney buried in Rowan Co. church cemetery
https://www.wbtv.com[...]
WBTV
2023-09-09
[33]
서적
The New Semaphoric Signal Book
Light and Stearns
1836
[34]
웹사이트
Michel Ney (1769-1815)
http://napoleon-monu[...]
napoleon-monuments.eu
[35]
웹사이트
Napoleonic Wars: Marshal Michel Ney
http://militaryhisto[...]
militaryhistory.about.com
[36]
웹사이트
Michel Ney, Duc d'Elchingen, Prince de Moskowa, Marshal (1804)
http://www.napoleon-[...]
napoleon-series.org
2013-07-14
[37]
텍스트
[38]
웹사이트
フランス旅行記/リュクサンブール宮殿
https://archive.l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