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 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 윈은 출생일 논란이 있는 미얀마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62년 쿠데타로 집권하여 1988년 사임할 때까지 미얀마를 통치했다. 그는 1910년 또는 1911년에 태어났으며, 양곤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다 중퇴하고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독립 후에는 군 부사령관, 국군 참모총장을 역임하며 내전을 겪었고, 1958년에는 과도 총리를 지냈다. 1962년 쿠데타 이후 버마식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국유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경제적 고립과 실패를 초래했다. 1988년 8888 항쟁으로 인해 사임했으며, 200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카계 미얀마인 - 산 유
    산 유는 버마 독립군 출신 중국계 미얀마인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네 윈 쿠데타 이후 연방 혁명 평의회 의원, 미얀마 대통령을 역임하고 랑군 폭탄 테러 사건과 8888 항쟁을 겪은 뒤 정계에서 은퇴했다.
  • 하카계 미얀마인 - 킨 눈
    킨 눈은 미얀마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군 정보국장 시절 반체제 인사 탄압을 주도하고 총리 재임 시 민주화 로드맵을 발표했으나, 실각 후 체포 및 투옥, 이후 사면되어 자서전 출간 및 사업가로 활동했다.
  • 미얀마의 일제 부역자 - 바 모
    바 모는 몬족과 버마족 혼혈 출신으로 영국 식민지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버마의 정치적 인물이었으며, 랑군 대학교 교수를 거쳐 변호사로 활동하며 자치 정부 운동을 이끌었고, 초대 총리를 역임했으나 일본의 지원을 받아 국가 원수가 되었고, 네 윈 정권 하에서 투옥되어 사망했다.
  • 미얀마의 일제 부역자 - 아웅 산
    아웅산은 미얀마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영국령 인도 시대 학생 운동을 통해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과 협력 및 항일 운동을 거쳐 반파시스트 인민자유동맹을 이끌며 독립 협상을 진행했으나 암살당했고, 미얀마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한 국민 영웅이며 그의 딸 아웅산 수치 또한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 미얀마의 정치인 - 아웅 산
    아웅산은 미얀마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영국령 인도 시대 학생 운동을 통해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과 협력 및 항일 운동을 거쳐 반파시스트 인민자유동맹을 이끌며 독립 협상을 진행했으나 암살당했고, 미얀마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한 국민 영웅이며 그의 딸 아웅산 수치 또한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 미얀마의 정치인 -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군부 최고사령관인 민 아웅 흘라잉은 2021년 쿠데타를 주도하여 미얀마 과도정부 총리에 취임했으며 로힝야족 학살 문제로 국제적인 제재를 받고 있다.
네 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각하
칭호아가 마하 트레이 시투
이름네 윈
본명슈 마웅
출생1911년 5월 24일
출생지영국령 인도 하부 버마 페구 구 파웅달레 (현재의 미얀마)
사망2002년 12월 5일 (81세)
사망지양곤, 미얀마
안장지화장 후 양곤 강에 유골 뿌림
국적버마인
정당버마 사회주의 계획당 (BSPP)
배우자5명 (야다나 낫 메이 포함)
자녀6명 (Sandar Win 포함)
모교양곤 대학교
직업장군
정치인
네 윈 서명
네 윈 서명
군사 경력
소속미얀마 육군
복무 기간1931년 – 1974년
계급[[파일:16. Myanmar Army GEN.svg|15px]] 장군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정치 경력
소속 정당(타킨당 → )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 → )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 의장재임 시작: 1962년 7월 4일
재임 종료: 1988년 7월 23일
미얀마 대통령재임 시작: 1974년 3월 2일
재임 종료: 1981년 11월 9일
연방 혁명 평의회 의장재임 시작: 1962년 3월 2일
재임 종료: 1974년 3월 2일
미얀마 총리재임 시작: 1958년 10월 29일
재임 종료: 1960년 4월 4일
국방부 장관재임 시작: 1949년 4월 4일
재임 종료: 1950년 9월 9일
재임 시작: 1958년 9월 29일
재임 종료: 1960년 3월 15일
재임 시작: 1962년 3월 3일
재임 종료: 1972년 4월 20일
수훈
훈장[[파일:Order of the Rajamitrabhorn (Thailand) ribbon.svg|60px|link=라차미트라폰 훈장]]
[[파일:Order of the White Elephant - Special Class (Thailand) ribbon.svg|60px|link=백상 훈장]]
[[파일:KHM Ordre Royal du Cambodge - Grand Croix BAR.svg|60px]]
[[파일:MY Darjah Utama Seri Mahkota Negara (Crown of the Realm) - DMN.svg|60px]]
[[파일:Order of The Queen of Sheba (Ethiopia) ribbon.gif|60px]]
[[파일:Order of the Yugoslavian Great Star Rib.png|60px]]
[[파일:BRA - Order of the Southern Cross - Grand Cross BAR.svg|60px|link=남십자성 국가 훈장]]

2. 출생일 논란

네 윈의 출생일은 여러 자료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1961년 양곤의 People's Literature House에서 출판한 영문판 ''Who's Who in Burma''는 네 윈의 생일을 1911년 5월 14일로 기록하고 있다.[14] 닥터 마웅 마웅이 영어로 출판한 그의 저서 ''Burma and General Ne Win''의 버마어판에서도 이 날짜를 지지한다.[14] 그러나 버마어로 쓰인 책 ''The Thirty Comrades''에서 저자 쿄 녜인은 네 윈의 출생일을 1910년 7월 10일로 제시했다.[15] 많은 학술 저서와 전기 참고 자료에서 1911년 5월 24일이 네 윈의 출생일로 널리 인용되지만, 자료 간의 불일치는 인정할 필요가 있다.[15]

쿄 녜인이 제시한 1910년이 더 타당한 날짜로 간주될 수 있다. 쿄 녜인은 역사 기록에 접근할 수 있었고 1990년대 중후반에 책을 쓸 때 서른 명의 동지 중 많은 생존자들과 인터뷰를 했다.[16] 네 윈은 서른 명의 동지 중 한 명이었다. 1998년경에 출판된 그의 책에서 쿄 녜인은 인터뷰한 서른 명의 동지 생존자들의 이름을 나열했지만, 그중 네 윈은 언급되지 않았다. 네 윈이 2002년 12월 5일에 사망했을 때, 유료 부고 게재가 허용된 버마어 신문들은 '우 네 윈'의 나이를 '93세'로 기록했다.[16] 버마 관습에 따르면, 사람의 나이는 다음 생일에 도달했을 때의 나이이다.[17] 네 윈이 2002년 7월에 92세가 되었고, 2002년 12월에 사망했으므로 그는 93세로 간주되었다.[18] 대부분의 서방 뉴스 매체는 1911년 5월 출생일을 근거로 네 윈이 91세라고 보도했지만, 그의 가족이 올린 부고에는 그가 93세라고 기록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동아시아 나이 계산법에서 유래했을 것이다.[19]

3. 초기 생애와 독립 투쟁

네 윈은 1910년 양곤에서 북쪽으로 약 321.87km 떨어진 파웅데 근처의 작은 마을에서 객가계 화교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슈 마웅(Shu Maung)이다.[20] 그는 1929년부터 양곤 대학교에서 2년간 생물학을 전공하며 의사를 꿈꿨으나, 1931년 시험에 불합격하여 중퇴하였다.[21] 이후, 슈 마웅은 민족주의 단체인 도바마 아시아요네(우리 버마인 협회)에 가입하여 '타킨 슈 마웅'으로 불리며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이 단체에는 아웅 산, 우 누 등 훗날 미얀마 독립의 주역들이 함께했다.

1941년, 네 윈은 도바마 아시아요네의 바 세인-툰 오크(사회주의자) 파의 일원으로서 아웅 산이 이끄는 '30인의 동지' 중 한 명으로 선발되어 일본 특수 요원 스즈키 게이지 대령에게 군사 훈련을 받았다.[22] 이들은 버마 독립군(BIA)을 결성하였고, 군사 훈련 중 슈 마웅은 '전투명'이자 보 네 윈(빛나는 태양 사령관)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942년 초, 네 윈은 일본 제국 육군과 BIA와 함께 영국군을 몰아내고 버마에 진입하였으며, 영국군 후방에서 저항을 조직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3월 27일, 버마 국민군(BNA, BIA의 후계)은 일본에 대항하여 봉기하였다. 이때 BNA 사령관 중 한 명이었던 네 윈은 영국과 협력 관계를 맺고, 스리랑카캔디 회의에 참석했다. 이후 붉은 깃발 공산당과 버마 공산당이 각각 1946년 10월과 1948년 3월 28일에 정부에 맞서 지하 투쟁을 시작하자, 피인마나 지역에서 제4 버마 라이플의 사령관으로서 반공주의 작전을 지휘했다.

4. 독립 이후의 내전

1948년 미얀마 독립 이후, 군대와 소수 민족 집단 사이에서 봉기가 일어났다. 군대 내 경쟁에서 승리한 네 윈은 군 부사령관이 되었다. 1949년 1월 31일, 카렌족 출신 스미스 던 장군을 대신하여 국군 참모총장(Tatmadaw)으로 임명되어 군대를 장악했다.[79] 그는 사회주의당의 정치적 노선에 따라 군대를 재건하고 재구조화했다.

샨 주나 카친 주에서는 중국 국민당 잔당이 중국에서 침입하여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상황이었다. 당시 버마 국군은 구 버마 국민군과 카렌족 장교단 등 다양한 정치 세력의 집합소였다. 이 때문에 미얀마군에서는 소수 민족 출신이나 좌익 계열 장병들의 탈주와 이탈이 잇따랐다. 네 윈은 구 버마 국민군 출신자를 우선 기용하고, 카렌족이나 카친족 등 소수 민족 장병들을 해임하여 버마족 중심으로 국군을 재편하는 데 성공했다.[79]

5. 1958년 과도 정부

그는 1958년 10월 28일 우 누에 의해 과도 총리로 임명되었다. 이는 AFPFL이 두 개의 파벌로 분열되고 우 누는 미얀마 정부에 대한 의회의 불신임 투표에서 간신히 살아남았을 때였다. 네 윈은 "네 윈 과도 정부"로 알려진 기간 동안 질서를 회복했다.[24] 1960년 2월에 선거가 치러졌고, 네 윈은 1960년 4월 4일 승리한 우 누에게 권력을 넘겨주었다.[25]

6. 1962년 군사 쿠데타

1962년 3월 2일, 네 윈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연방 혁명 위원회 의장 겸 총리가 되었다. 이 쿠데타는 세계 언론에 의해 "무혈"로 묘사되었다. 새 정권은 "의회 민주주의는 버마에 적합하지 않다"고 선언하며 헌법을 중단하고 입법부를 해산했다.[26]

1962년 7월 양곤 대학교에서 폭동이 발생하자, 군대가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투입되었다. 군대는 시위대에게 발포하고 학생회 건물을 파괴했다.[27]

얼마 지나지 않아 현지 시간으로 오후 8시경, 네 윈은 5분간 라디오 연설을 통해 국민에게 "만약 이러한 혼란이 우리에게 도전하기 위해 일어난 것이라면, 나는 칼에는 칼로, 창에는 창으로 맞서 싸울 것임을 선언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28] 1962년 7월 13일, 연설 후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아 네 윈은 "건강 검진을 위해" 오스트리아, 스위스, 영국으로 떠났다.[29] 모든 대학교는 1964년 9월까지 2년 이상 폐쇄되었다.

1988년, 26년 후, 네 윈은 학생회 건물 폭파에 대한 관여를 부인하며, 당시 네 윈과 사이가 틀어져 해임된 그의 부관인 아웅 지 준장이 명령을 내렸으며, 자신은 "혁명 지도자"로서 '칼에는 칼로, 창에는 창으로' 연설을 함으로써 책임을 져야 했다고 주장했다.[30]

7. 버마식 사회주의 (1962-1988)

네 윈은 집권 후 여러 개혁을 추진했다. 그는 민족주의, 마르크스주의, 불교의 요소를 결합한 체제를 도입하고, 이를 버마식 사회주의라고 칭했다.[31] 1964년에는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BSPP)을 창당하여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선언했다.[32]

버마에는 국립 병원과 기관 시스템이 설립되어 의료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되었다. 사립 병원은 국유화되었다. 1965년부터는 문맹 퇴치 운동이 시작되었다.[33] 1962년에서 1965년 사이에는 지주와 고리대금업에 반대하는 법률이 채택되어 농민의 토지와 재산에 대한 권리, 토지 임대 권리를 보호하고 토지 임대를 폐지했다.[34]

1964년 5월 31일 버마를 방문한 저우언라이와 천이와 함께 있는 네 윈


1974년 3월 2일, 네 윈은 혁명 위원회를 해산하고 버마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을 선포했다. 그는 미얀마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곧이어 준장 세인 윈을 미얀마 총리로 임명했다.[35] 1981년 11월 9일, 네 윈은 미얀마 대통령직에서 사임하고 산 유 장군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그러나 네 윈은 당의 지도자로 남아 1988년 사임할 때까지 정치적 권위를 유지했다.

1966년 6월 중국 국가주석 류사오치와 함께 있는 네 윈


1962년 군사 쿠데타를 통해 미얀마에 군사 정권을 수립한 네 윈은 미얀마 고유의 사회주의 정책(미얀마식 사회주의)을 채택했다. 의장을 거쳐 1974년부터 대통령이 되었다. 7년 후 사임했지만, 미얀마 사회주의 계획당 (BSPP) 의장을 맡으며 국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 기간 동안 미얀마는 외교에서 엄정한 비동맹 중립 정책을 유지하여 미얀마 공산당과 각지의 소수 민족 민병 조직과의 내전에서 여러 국가의 개입을 막았다. 1965년 이후 미얀마 공산당을 둘러싸고 긴장 관계였던 중화인민공화국과는 1971년 3월에 화해하고 경제 원조를 받았다.[80] 베트남 전쟁 등 주변 국가들의 혼란에도 휘말리지 않았다.

1970년대에는 쿠데타 계획이 발각되고 정권 간부의 추방으로 국내가 동요했다. 각료와 기업의 수장에 군인을 우선적으로 앉혀 대처했다. 1978년에는 경제가 침체되었지만 국내는 안정을 되찾았고, 네 윈은 2개월간 해외에서 장기 요양을 했다.[81]

1983년에는 랑군 폭탄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 네 윈은 미얀마 국내에서 테러를 감행한 북한과의 국교를 단절하고, 국가 승인을 취소하는 강경한 조치를 취했다.[82] 1985년에는 아웅산 묘소를 재건했다.[83][84]

1988년, 국민들의 불만이 폭발하여 민주화 운동이 발생했다. 네 윈은 책임을 지고 당 의장에서 사임했지만, 당시 연설에서 '''"군은 국민에게 총구를 겨눌 것이다"'''라고 민주화 세력을 견제했다. 사임 후에도 영향력을 유지했으며, 만년에는 그동안의 외교에서의 중립 자세에도 불구하고 미국을 비판했다.

7. 1. 경제 정책 실패

네 윈 정부는 미얀마 경제를 국유화하고 자급자족 정책을 추구했는데, 이는 버마를 세계로부터 경제적[고립주의|고립]]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만연한 암시장과 심각한 밀수는 국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공급했지만, 중앙 정부는 점차 파산으로 향했다.[36] 자급자족 정책은 외국인 추방, 외국인의 방문을 3일(1972년 이후에는 일주일)로 제한하는 조치로 이어졌다. 경제의 버마화는 많은 중국인 (인도인과 함께)의 추방을 야기했고,[37] 네 윈 정부는 외국인의 토지 소유와 특정 직업 종사를 금지했다.[37] 심지어 외국 원조 단체도 금지되었으며, 허용된 유일한 인도적 지원은 정부 간의 지원뿐이었다. 가혹한 정치적 탄압으로 인해 교육받은 노동력의 많은 사람들이 미얀마를 떠났다.[38]

네 윈은 통화에 대해서도 과감한 조치를 취했다. 1985년, 그는 25, 35, 75 짯 지폐가 더 이상 법정 통화가 아니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그 지폐가 암시장 거래자에 의해 사재기되고 다양한 반란 자금 조달에 사용되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제한적인 보상이 제공되었지만, 이 조치로 인해 사람들의 저축은 하룻밤 사이에 사라졌다. 이 조치는 적어도 하나의 반란, 즉 카얀족의 반란을 촉발시켰다.[39]

1987년, 점성술사가 수비학적으로 9라는 숫자가 길하다는 권고에 따라, 네 윈은 여러 고액권 짯 지폐를 회수하고 45 짯과 90 짯의 새로운 액면가를 발행하도록 명령했다. 45와 90 모두 9로 나누어 떨어지며, 그 숫자들의 합은 9이다. 이 조치로 인해 수백만 명의 미얀마 국민이 전 재산을 잃었고, 통화 폐지로 인해 전체 짯 준비금의 약 75%가 완전히 쓸모없게 되었다.[40] 이는 미얀마 경제를 더욱 더 심각하게 마비시켰다.[41]

7. 2. 반정부 시위

1960년대부터 학생과 노동자들의 산발적인 시위가 계속되었다. 1965년, 1969년 12월, 1970년 12월에 학생들이 시위를 주도했다.[45] 시위는 주로 양곤, 만달레이, 머울메인 등지의 대학교에서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대학교와 단과대학이 폐쇄되기도 했다. 1974년 6월, 전국 100개 이상의 공장에서 노동자들이 파업에 참여했고, 정부는 1974년 6월 6일 양곤의 타마잉 섬유 공장과 신말라이크 부두에서 약 100명의 노동자와 학생들에게 총격을 가해 진압했다.[46] 당시 네 윈은 호주를 공식 방문 중이었기 때문에, 이 총격 사건에 대한 책임은 불분명하다. 1974년 12월 5일, 학생들은 전 유엔 사무총장 우 탄트의 장례식을 시위로 바꾸었다. 이들은 꺄익까산 경마장에 전시된 우 탄트의 관을 탈취하여 옛 학생회관 건물 부지에 임시 묘소를 설치하고, 자국민을 국장으로 예우하지 않는 정부에 항의했다.[47] 군대는 12월 11일 캠퍼스를 습격하여 학생들을 살해하고 관을 회수하여 우 탄트를 쉐다곤 파고다 기슭, 타킨 코도 흐마잉의 무덤 옆에 매장했다.[48][49]

8. 8888 항쟁과 사임 (1988)

1988년 미얀마 전역에서 학생 주도의 시위가 확산되면서 전국적인 봉기, 즉 8888 항쟁으로 번졌다. 수십만 명의 승려, 어린이, 대학생, 주부, 의사, 그리고 일반 시민들이 정부에 항의했다.[60][61]

(BSPP)에 대항하는 8888 항쟁이 절정에 달했을 때, 네 윈은 1988년 7월 23일 당 의장직에서 사임했다. 그는 당 대회에서 "소요"가 계속되면 "군대가 동원될 것이며, 군대가 발포하면 허공에 대고 쏘는 전통은 없을 것이다. 곧바로 쏠 것이다."라고 경고했다.[66]

이후 타트마다 군대는 1988년 8월 8일부터 12일까지, 그리고 1988년 9월 18일에 걸쳐 버마 전역의 여러 장소에서 수백 명, 어쩌면 3,000명 이상의 시위대를 사살하고 불구로 만들었다.[67][68]

1988년 9월 18일, 소장 소 마웅이 이끄는 군부는 쿠데타를 일으켜 봉기를 잔혹하게 진압했다. 네 윈은 겉으로는 은퇴한 것처럼 보였지만, 배후에서 쿠데타를 조종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69]

9. 사망과 장례

네 윈은 2002년 12월 5일 양곤의 호숫가 자택에서 가택 연금 상태로 사망했다.[71] 그의 사망 소식은 미얀마 언론이나 군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 네 윈의 사망에 대한 유일한 보도는 정부 통제 하의 일부 미얀마어 신문에 실린 유료 부고였다. 네 윈은 국장으로 장례를 치르지 못했으며, 그의 옛 지인이나 하급 동료들은 급하게 마련된 장례식 참석이 강력하게 제지되어 겨우 30명만이 장례식에 참석했다.[72][73]

네 윈의 딸 산다 윈은 장례식과 화장에 참석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가택 연금에서 풀려났다. 그녀는 나중에 아버지의 유해를 흘라잉 강에 뿌렸다.[74]

10. 가족 관계

(킨 메이 탄의 첫 번째 결혼에서 얻은 딸: 레 레 윈, 쌍둥이 티다 윈, 타우다 윈)대학교수 니 니 민트없음 (이혼)카 나웅 왕자의 증손녀 준 로즈 벨라미(야다나 낫-메이)없음대학교수 니 니 민트없음 (재혼)

[76]

11. 평가 및 비판

네 윈은 여섯 번 결혼했으며, 같은 여성과 두 번 결혼한 적이 있다. 그는 개인 숭배와는 거리가 멀었으며, 1년에 두 번만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또한 언론을 철저히 기피하여 기자 회견이나 인터뷰에 응한 적이 없다.[85]

네 윈 시대에 미얀마는 일본과 우호 관계를 지속하며 막대한 정부 개발 원조를 받았다. 네 윈은 일본에 대해 "원조하고 싶으면 하세요"와 같은 태도를 취해 청렴한 정치인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1981년 독립 기념일에는 남기관 관계자 7명에게 아웅 산 훈장을 수여하기도 했다.

과거 미국 중앙 정보국(CIA)이 샨 주에 침입한 중국 국민당군을 지원했기 때문에 미국에 대해 불신감을 품었다고 한다. 그러나 쿠데타 이후 쇄국 체제 하에서도 미국으로부터 제한적이나마 경제적·군사적 지원을 받았다.

1974년에는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와 회담하여 오랫동안 중단되었던 미얀마의 유골 수집 사업 재개를 승인했다.[85]

경마를 좋아하여 1962년 쿠데타 전에는 측근을 데리고 국내 경마장에 다녔으며, 쿠데타 후 국내 경마장이 폐쇄되었지만 영국 등 해외 경마장에서 목격된 적이 있었다.

12. 기타

플레이보이로 6번 결혼했으며, 같은 여성과 두 번 맺어졌다.[85] 개인 숭배와는 거리가 멀었고, 뒤에서 미얀마를 통치했으며, 국민 앞에 모습을 드러내는 것은 1년에 두 번뿐이었다.[85] 철저한 언론 기피로 기자 회견이나 인터뷰에 응한 적이 없다.[85]

네 윈 시대에 미얀마는 일본과 우호 관계를 지속하며, 막대한 정부 개발 원조를 받았다.[85] 네 윈은 공식·비공식적으로 일본을 방문하여 원조를 받을 때 아첨하지 않고 "원조하고 싶으면 하세요"와 같은 태도를 취해 군인 출신으로 청렴한 정치인으로 여겨졌다.[85] 1981년 독립 기념일에는 남기관 관계자 7명(스즈키 케이지의 미망인, 스기이 미츠루, 카와시마 타케노부, 이즈미야 타츠로, 타카하시 하치로, 아카이(구 성 스즈키) 하치로, 미즈타니 이나오)에게 아웅 산 훈장을 수여했다.[85] 그 때문에 오랫동안 '''"깨끗하고, 가난하고, 아름답게"'''라고 여겨졌다.[85]

과거 샨 주에 침입한 중국 국민당군을 미국 중앙 정보국이 공공연히 지원했기 때문에 미국에 대해 불신감을 품었다고 한다.[85] 그러나 현실적인 대응을 취하여 쿠데타 이후의 사실상 쇄국 체제 하에서도 미국으로부터 제한적이나마 경제적·군사적 지원을 받아들였다.[85] 1974년에는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와 회담하여 오랫동안 중단되었던 미얀마의 유골 수집 사업 재개를 승인했다.[85]

경마를 좋아하여 1962년 쿠데타 전에는 측근을 데리고 국내 경마장에 다녔다고 한다. 쿠데타 후 국내 경마장은 폐쇄되었지만, 영국 등 해외 경마장에서 목격된 적이 있었다.[85]

참조

[1] 웹사이트 Letter from Premier Zhou Enlai to His Excellency Ne Win https://digitalarchi[...]
[2] 뉴스 Myanmar regime leader awards himself two highest honorary titles https://www.irrawadd[...] The Irrawaddy
[3] 웹사이트 U Ne Win https://www.britanni[...] 2018-04-10
[4] 뉴스 Ne Win (Shu Maung), Burmese military strongman, born May 24 1911; died December 5 2002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5] 뉴스 Ne Win, Ex-Burmese Military Strongman, Dies at 81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2-12-06
[6] 웹사이트 U Ne Win (born May 24, 1911, Paungdale, Burma [Myanmar]—died December 5, 2002, Yangon, Myanmar) was a Burmese general who was the leader of Burma (now Myanmar) from 1962 to 1988. https://www.britanni[...] 2024-03-28
[7] 웹사이트 U Ne Win Myanmar general and dictator https://www.britanni[...] 2020-11-17
[8] 논문 Burma: The Era of Ne Win https://www.jstor.or[...] 1970-06
[9] 논문 Review of General Ne Win: A Political Biography https://www.newmanda[...] 2015-11-23
[10] 웹사이트 Myanmar has been ruled by a military junta for many of the years since it gained independence from British colonial rule in 1948. The Union of Burma began as a parliamentary democracy, like most of its newly independent neighbors on the Indian subcontinent. But representative democracy only lasted until 1962, when General Ne Win led a military coup and held power for the next twenty-six years https://www.cfr.org/[...] 2022-01-31
[11] 웹사이트 U Ne Win https://www.biograph[...] 2018-04-10
[12] 웹사이트 Ne Win: Understanding the 'old man' https://www.frontier[...] 2016-01-14
[13] 웹사이트 Ne Win Military Rule – Neutralism and Seclusion https://www.globalse[...] 2019-07-16
[14] 문서 Ne Win was known as described as the leader of Myanmar and there are two assumptions of his birth. 2015
[15] 웹사이트 U Ne Win (born May 24, 1911, Paungdale, Burma [Myanmar]—died December 5, 2002, Yangon, Myanmar) Burmese general who was the leader of Burma (now Myanmar) from 1962 to 1988. https://www.britanni[...] 2024-03-28
[16] 문서 The age of the Myanmar's dictator may be 93 years. 2015
[17] 서적 Burma and General Ne Win https://books.google[...] Asia Publishing House 2020-11-18
[18] 논문 Ne Win's Burma: At the End of the First Decade https://www.jstor.or[...] 2020-11-07
[19] 웹사이트 Ne Win https://www.oxfordre[...] 2020-11-07
[20] 뉴스 General Ne Win https://www.theguard[...] 2002-12-06
[21] 서적 Power Mad! Metafora
[22] 뉴스 Obituary: General Ne Wi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2-12-06
[23] 논문 The Problem of the Burmese Muslims https://www.jstor.or[...] 2020-11-17
[2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https://archive.org/[...]
[25] 웹사이트 U Nu prime minister of Myanmar https://www.britanni[...] 2020-11-27
[26] 서적 A history of Myanmar since ancient times: Traditions and transformations https://press.uchica[...] Reaktion Books 2021-01-23
[27] 서적 Resisting Dictatorship: Repression and Protest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문서 The Burmese phrase is "dah go dah gyin, hlan go hlan gyin". Two different English translations of the speech can be read on the front page of the Rangoon Nation and the Rangoon Guardian of 9 July 1962. Part of The Nation's headline of 9 July 1962 read 'General Ne Win States Give Us Time to Work: Obstructionists are Warned: Will Fight Sword with Sword').
[29] 문서 News items of Ne Win's trip to these countries for 'medical check up' can be found in The Guardian and The Nation of 14 July 1962
[30] 서적 The state in Myanmar http://archive.org/d[...]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9
[31]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Burma http://www.channel4.[...] 2018-12-23
[32] 논문 Burma's China Crisis: The Choices Ahead https://online.ucpre[...] 2020-11-17
[33] 논문 The 1967 anti-Chinese riots in Burma and Sino–Burmese relations https://www.cambridg[...] 2020-11-17
[34] 서적 Mental culture in Burmese crisis politics: Aung San Suu Kyi and the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ILCAA
[35] 웹사이트 Burma's way to Economics and Politics http://asiafoundatio[...] 1997
[36] 웹사이트 Power & Money: Economics and Conflict in Burma http://www.culturals[...] 2010-04-09
[37] 서적 The Ripple Effect: China's Complex Presence in Southeast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24
[38] 웹사이트 Myanmar – Since independence https://www.britanni[...]
[39] 웹사이트 Burma: Prospects for Reform of Ne Win's 'No Win' Economic Policies" [censored word(s)#93; https://www.cia.gov/[...] CIA 1988-07-01
[40] 뉴스 Drowning http://www.newyorker[...] 2008-08-25
[41] 웹사이트 The Military and Democracy in Asia and the Pacific https://press.anu.ed[...] ANU Press
[42] 웹사이트 Bruin Alliance of Skeptics and Secularists » How Astrology Ruined Myanmar's Economy https://web.archive.[...]
[43] 웹사이트 Inside Burma :: DGMoen.net :: Promoting Social Justice, Human Rights, and Peace https://web.archive.[...]
[44] 뉴스 Obituary: General Ne Win https://www.theguard[...] 2002-12-06
[45] 서적 Political Legitimacy in Southeast Asia: The Quest for Moral Author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46] 웹사이트 The Burma road to ruin http://www.theguardi[...] 2007-09-28
[47] 서적 Revolution as Development: The Karen Self-determination Struggle Against Ethnocracy (1949–2004) BrownWalker Press
[48] 웹사이트 Myanmar Data – Ne Win (Burmese: ေနဝင္‌း IPA: [nè wín]; 24 May or 14 May 1911 or 10 July 1910 – 5 December 2002; born Xiu Mao) https://web.archive.[...]
[49] 서적 Coercion and Governance: The Declining Political Role of the Military in Asia Stanfo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Chinese Education in South-East Asia
[51] 서적 Chinese Education in South-East Asia
[52] 서적 Burma – Insurgency and the Politics of Ethnicity Zed Books
[53] 서적 Burma: The State of Myanmar https://archive.org/[...] Georgetown University Press
[54]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US
[55] 서적 Business networks in Asia: promises, doubts, and perspectives Greenwood Publishing Group
[56] 뉴스 Anti-Chinese riots rock Rangoon https://www.thehindu[...] 2017-06-28
[57] 뉴스 A Burmese Power Shift; Though Government Schedules Election, Decision Rests With People in the Streets (Published 1988) https://www.nytimes.[...] 1988-09-12
[58] 서적
[59] 간행물 Burma Watcher
[60] 서적
[61] 웹사이트 Burmese Days http://www.foreignaf[...] 1989
[62] 웹사이트 Was Burma's 1988 uprising worth it? http://news.bbc.co.u[...] 2008-08-07
[63] 서적
[64] 뉴스 1988-09-24
[65] 뉴스 Associated Press 1988-09-26
[66] 뉴스 1988-07-24
[67] 뉴스 Burmese Leader Ne Win Resigns in Surprise Move https://www.washingt[...] 1988-07-24
[68] 학술지 Burma: The Era of Ne Win https://www.jstor.or[...] 1970
[69] 서적 Aung San Suu Kyi: Fearless Voice of Burma https://archive.org/[...] Twenty-First Century Books
[70] 학술지 U NE VIN 1997-11
[71] 뉴스 Former Myanmar President U Ne Win Dies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China 2002-12-05
[72] 웹사이트 U Ne Win Myanmar general and dictator https://www.britanni[...]
[73] 뉴스 Ne Win, dictator who ruined Burma, is dead https://www.smh.com.[...] 2002-12-06
[74] 서적 (Harvad citation)
[75] 뉴스 Prisoners freed, but 60 remain behind bars http://www.mmtimes.c[...] 2013-11-18
[76] 뉴스 Obituary: Ne Win http://news.bbc.co.u[...] BBC News 2002-12-05
[77] 웹사이트 おまじない政治学:深層ミャンマー/1 政権中枢「黒魔術怖い」 https://archive.md/c[...] 毎日新聞 2015-09-10
[78]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Dictators: From Napoleon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Peter Lang
[79] 서적 The Secret Army: Chiang Kai-shek and the Drug Warlords of the Golden Triangle John Wiley & Sons 2011-08-04
[80] 웹사이트 Ne Win Military Rule – Neutralism and Seclusion https://www.globalse[...]
[81] 뉴스 軍部を柱に政権固め ビルマのネ・ウィン体制 朝日新聞 1978-10-20
[82] 뉴스 로이터 2006-04-10
[83] 웹사이트 President to Skip Martyrs’ Day Ceremony in Rangoon http://www.irrawaddy[...] 2016-07-11
[84] 웹사이트 Erasing the General http://www.irrawaddy[...] 2016-06-16
[85] 뉴스 遺骨収集団をゲリラ銃撃 団員ら10人が負傷 朝日新聞 1976-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