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즈노 다다쿠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즈노 다다쿠니는 1794년에 태어나 1851년에 사망한 인물로, 가라쓰 번의 번주를 거쳐 막부의 중신으로 활동했다. 그는 1841년 덴포 개혁을 추진했으나 실패하여 실각했고, 유배 생활 중 사망했다. 덴포 개혁을 통해 일본의 해안 방비를 강화하고, 경제 개혁을 시도했으나, 뇌물 수수와 측근의 배신으로 인해 정치적 입지를 잃었다. 그는 소설, 만화,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작품에 등장하며, 덴포 개혁과 관련된 인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즈노 겐모쓰가 - 미즈노 다다유키
    미즈노 다다유키는 에도 시대 하타모토에서 양자 입양 후 다이묘가 되었고, 아카호 낭인 사건 처리와 교호의 개혁에서 로주로서 활약했으나 백성들의 원성을 샀으며, 그의 생애는 여러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 미즈노 겐모쓰가 - 나이토 마사쓰나
    나이토 마사쓰나는 미즈노 타다미츠의 아들이자 나이토 마사쿠니의 양자이며 오오카 타다마사의 딸을 정실로 맞이하여 마사요시, 노리히로, 마사아츠, 노부타미를 포함한 여러 자녀를 두었다.
  • 가라쓰번주 - 데라자와 히로타카
    데라자와 히로타카는 임진왜란에 참여하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아마쿠사 제도를 영지로 받았으며 가라쓰 번의 다이묘가 되었으나, 사후 아마쿠사에서 난이 발발하여 가문이 단절되었다.
  • 가라쓰번주 - 오가사와라 나가마사
    오가사와라 나가마사는 에도 시대 다이묘로서 다나구라 번과 가라쓰 번의 번주를 지냈으며, 형들의 요절로 가독을 잇고 재정 악화 속에서 가라쓰 번으로 이봉되어 재정 재건에 노력하고 가라쓰 도자기 발전에 기여했으나 28세에 사망했다.
  • 하마마쓰번주 - 오타 스케무네
    오타 스케무네는 에도 시대 초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다이묘가 된 인물로, 쇼군 측근인 육인중으로 활동하고 막부의 중요 사업에 참여하였다.
  • 하마마쓰번주 - 이노우에 마사하루 (1805년)
    이노우에 마사하루는 에도 시대 후기 다이묘로, 여러 번을 거쳐 하마마쓰 번주를 역임하며 막부의 요직을 지냈고, 하마마쓰 번 복귀 후에는 산업 발전과 인재 양성에 기여했다.
미즈노 다다쿠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현대 초상화
현대 초상화
출생일1794년 7월 19일
사망일1851년 3월 12일
사망 장소야마가타
국적일본
직업다이묘, 로주
이름
일본어미즈노 다다쿠니 (水野 忠邦)
다른 이름오토고로 (유아명), 다다쿠니
쇼켄 (松軒), 기쿠엔 (菊園)
계명에이레츠인 주료 코유 다이코지 (英烈院忠亮孝友大居士)
관직
관위종5위하 식부소후, 이즈미노카미, 좌근위장감, 종4위하 시종, 에치젠노카미
막부쇼자반, 지샤부교, 오사카 조다이, 교토 쇼시다이, 니시마루 로주, 로주, 갓테가카리 로주, 간노마즈메, 갓테가카리 로주
가문
씨족미즈노 씨 (다다모토 계)
가족 관계
아버지미즈노 다다미쓰
어머니슌 (恂)
배우자사카이 다다스스무의 딸, 쓰구 (嗣)
자녀미즈노 다다키요, 사카키바라 마사나루의 정실, 이토 스케토모의 정실, 야에
경력
섬긴 가문도쿠가와 이에나리도쿠가와 이에요시
봉록히젠가라쓰 번 번주 → 도토미하마마쓰 번 번주
기타
묘소이바라키현유키시의 구 만쇼지 터
관련 인물덴포 개혁 주도

2. 생애

1794년 6월 23일 가라쓰 번의 3대 번주 미즈노 다다아키라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맏형이 요절하여 1805년 가라쓰 번의 세자가 되었고, 1807년 제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와 세자 도쿠가와 이에요시에게 처음 선을 보였다.

1812년 아버지 다다아키라가 은거하여 가독을 상속받았다. 다다쿠니는 막부에서 승진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들여 엽관 운동(뇌물)을 한 결과, 1816년 소샤반이 되었다. 나가사키 경비 문제로 소샤반 이상 승진이 어렵자, 1817년 실봉 25만 3,000석의 가라쓰에서 15만 3,000석의 하마마쓰번으로 전봉을 자원하여 실현시켰다.

같은 해 지샤부교를 겸임하였고, 1825년 오사카 성대가 되었으며, 종4위하로 승진했다. 1826년 교토 쇼시다이가 되어 에치젠노카미로 승서했고, 1828년 로주가 되었다. 1834년 혼마루 루주에 임명되었고, 1837년 어용괘를 겸하고, 1839년 노중 수좌가 되었다.

로주로서 미즈노 다다쿠니는 덴포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전반적인 실패와 1844년 에도 성 화재로 여론이 악화되어 1845년 실각하고 야마가타번으로 유배되었다. 1851년 3월 12일 유배지에서 사망했다.[1]

2. 1. 출생과 가문

1794년 6월 23일 가라쓰번의 3대 번주 미즈노 다다아키라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맏형 요시마루가 요절했기 때문에 1805년 가라쓰 번의 세자가 되었고, 1807년 제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와 세자 도쿠가와 이에요시에게 처음 선을 보였다.[1]

2. 2. 번주 시절

1812년 아버지 미즈노 다다아키라가 은거하자 가독을 상속받아 가라쓰 번의 번주가 되었다. 미즈노 다다쿠니는 막부 내에서 더 높은 지위로 승진하고자 많은 비용을 들여 뇌물 로비 활동을 벌였고, 그 결과 1816년소샤반(奏者番, 의례 담당)이 되었다.[1]

다다쿠니는 소샤반 이상으로 승진하기를 원했지만, 가라쓰 번이 나가사키 경비를 맡고 있어 승진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1817년 실봉이 더 적은 하마마쓰 번으로의 전봉을 자원하여 이를 실현시켰다. 가라쓰 번은 실봉 25만 3,000석이었으나 하마마쓰 번은 15만 3,000석에 불과했다. 이러한 전봉은 가신들의 반발을 샀고, 가로(家老) 니혼마쓰 요시카도(二本松義廉)는 다다쿠니에게 간언하다가 죽음을 당했다. 또한 가라쓰 번의 일부 막부령(幕府領) 몰수 지역 주민들은 전봉 공작에 뇌물이 사용된 것이 아닌가 의심했고, 이후에도 원망을 샀다.

2. 3. 막부 관료 시절

1817년 지샤부교(寺社奉行, 신사와 사찰 관리)를 겸임했다.[1] 1825년 오사카 성대(오사카 성주)가 되었고,[1] 종4위하로 승진했다. 1826년 교토 쇼시다이(교토 치안 담당)가 되어 시종 에치젠노카미로 승서했다. 1828년 니시노마루 로주(쇼군 세자 보좌)가 되어 쇼군 세자 도쿠가와 이에요시의 보좌역을 맡았다. 1834년 아버지 미즈노 다다아키라가 사망하여 혼마루 로주에 임명되었고, 1837년 캇테가카리(勝手掛, 재정 담당)를 겸임했으며, 1839년 로주 수좌(老中首座, 최고위 관직)가 되었다.

2. 4. 덴포 개혁

미즈노 다다쿠니는 1837년 4월에 도쿠가와 이에요시가 제12대 쇼군에 취임한 이후, 1841년 윤 1월에 오고쇼 이에나리가 사망하면서 그의 측근들을 파면하고, 도야마 가게모토, 야베 사다요시, 오카모토 마사나리, 토리이 요조, 시부카와 다카나오, 고토 산에몬 등을 등용하여 덴포 개혁을 추진했다.[3] 덴포 개혁은 "교호, 간세이의 정치로 복귀하도록 노력하라"는 각서를 전달하고 "법령 우하"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법령을 제정했다.

개혁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농촌 부흥을 위해 인반령을 발령하여 농민들의 귀향을 장려했다.
  • 이완된 오고쇼 시대의 풍조를 바로잡기 위해 사치 금지 및 풍속 숙정을 명령했다.
  • 물가 앙등의 원인이 주식 조합에 있다고 보고 주식 조합 해산을 명하는 저물가 정책을 실시했다. 그러나 저질 화폐를 남발하여 막부 재정의 결손을 보충하려는 정책을 병행하여 물가 인하에는 실패했다.
  • 1843년 9월에는 상지령을 단행하려 했으나, 다이묘와 하타모토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측근인 도리이 요조가 상지령 반대파인 로주 도이 도시쓰라에게 기밀 문서를 넘기는 등의 배신 행위로 인해, 결국 윤9월 13일에 로주에서 파면되어 실각했다.

2. 5. 실각과 재기

덴포 개혁의 실패로 인해 미즈노 다다쿠니는 인기를 잃었다. 1844년 5월 에도 성이 불타면서 여론은 더욱 악화되었다.[1] 실각 후에는 폭도화된 에도 시민들에게 자택에 돌을 맞는 등 습격을 받았다.[4]

고카 원년 5월, 에도 성 혼마루가 화재로 소실되었다. 로주 수좌였던 도이 도시쓰라는 재건 비용으로 제후들에게 헌금을 충분히 모으지 못해 쇼군 이에요시의 불만을 샀고, 6월 21일 이에요시는 외국 문제 등을 이유로 다다쿠니를 로주 수좌에 다시 임명했다. 그러나 예전의 모습은 없었고, 중요한 임무를 부여받는 것도 아니었기 때문에 어용방에서 멍하니 있는 날이 많아, 메쓰케인 구스미 유스구는 "나무 인형과 같다"라고 기록했다. 같은 해 7월부터 두통, 설사, 요통, 발열 등의 병을 이유로 자주 결근했고, 12월부터는 간질을 이유로 장기 결근하여 고카 2년 2월 로주를 사임할 때까지 근무를 쉬었다.[4] 한편, 덴포 개혁 시대에 자신을 배신했던 도이나 토리이 등에게 보복을 하기도 했다. 도이는 스스로 로주를 사임했고, 토리이는 모든 직책에서 파면되었다.

그러나 로주 아베 마사히로를 비롯하여 도이 등은 다다쿠니의 재임에 강력히 반대했고, 다다쿠니에 대해서도 덴포 개혁 시대의 토리이나 고토 산에몬 등의 억울한 사건에 관여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고카 2년 9월, 영지 중 2만 석을 몰수당하고 5만 석이 되었으며, 장남 다다키요에게 가독을 잇는 것을 허가받은 후 강제 은거 및 근신 처분을 받았다. 곧 데와 국 야마가타 번으로 강제 이봉되었다. 10월 말, 토리이와 시부카와는 보류, 고토는 참수되었다. 또한, 이 전봉 때 미즈노 씨는 영민들에게 진 빚을 갚지 않은 채 야마가타로 가려고 했기 때문에 영민들이 분노하여 대규모 잇키를 일으켰다. 잇키는 신 영주 이노우에 마사하루가 조정을 통해 진정시켰다.

2. 6. 죽음

1851년 3월 12일, 야마가타번에서 유배 생활 중 사망했다. 유배에서 풀려났다는 소식이 전달되기 5일 전이었다.[1] 그의 뒤를 이은 아들 미즈노 타다키요는 도쿠가와 막부 말기의 중요한 인물이었다.

3. 가족 관계

항목내용
아버지미즈노 다다아키라
어머니슌 - 나카가와 씨, 측실
정실시 - 사카이 다다유키의 딸
측실시노즈카 씨
장남미즈노 다다키요 (생모: 시노즈카 씨)
장녀쿠라 - 사카키바라 마사요시 정실
차녀호 - 이토 스케스케 정실
3녀야에, 온교쿠인 - 미즈노 다다모토 정실


4. 평가

미즈노 다다쿠니는 덴포 개혁을 주도하여 막부의 권위 회복과 사회 개혁을 위해 노력한 정치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교호, 간세이 시대의 정치로 복귀하고자 했으며, 사치 금지령 등을 통해 경제를 안정시키려 했다.[1] 그러나 지나치게 급진적인 정책 추진과 독단적인 태도는 백성들과 다이묘들의 반발을 샀다. 특히 상지령의 실패는 덴포 개혁의 실패를 상징하는 사건으로 여겨진다.

미즈노 다다쿠니는 한국의 흥선대원군과 비견되기도 한다. 쇄국 정책, 왕정복고를 추진했지만 결국 개혁에 실패하고 권좌에서 쫓겨났다는 점이 비슷하다.

5. 등장 작품

미즈노 다다쿠니는 네무리 쿄시로를 소재로 한 영화, TV 시리즈 및 TV 스페셜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인물로, 때로는 중요한 역할로 묘사된다. 이 작품들에서 그는 로주의 수석 원로로 그려진다.[1]

5. 1. 소설


  • 마쓰모토 세이초의 소설 아지랑이 그림, 덴포 도록[1]
  • 호다카 켄이치의 소설 안세이 유신 아베 마사히로의 생애, 아내와 딸들의 막말 - 오오쿠의 최고 권력자 아네코지의 실상[1]

5. 2. 만화


  • 미나모토 타로의 만화 『풍운아들』에 등장한다.
  • 요시나가 후미의 만화 『오오쿠』에 등장한다. (남녀 역전 설정)
  • 소니시 켄지의 만화 『네코네코 일본사』에 등장한다. 원작 만화 제4권 및 E 텔레비전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판의 니노미야 손토쿠 편과 원작 제7권의 주역 편에서 등장한다.

5. 3. 영화


  • 아지랑이 그림 (1959년, 연기: 하라 세이시로)
  • 11인의 사무라이 (1967년, 연기: 사토 케이)
  • 구루코미 여자와 구루다시 남자 (2015년, 연기: 나카무라 이쿠지)

5. 4. 텔레비전 드라마


  • 오오쿠 시즌2 (2023년, 배우: 나가노 사토미) ※남녀 역전 설정[1]

참조

[1] 서적 Economic Change in the 19th Century https://books.google[...] Kōzō Yamamura, ed. 1997
[2]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2009
[3] 웹사이트 源頼光公館土蜘蛛作妖怪図 http://ukiyoe.univie[...] 2021-09-14
[4] 서적 大江戸世相夜話 中央公論新社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