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크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크바는 셈어 어근에서 유래된 단어로, 히브리어 성경에서 "물의 수집"을 의미하며, 의례적 정결을 위한 시설을 지칭한다. 기원전 1세기 초부터 이스라엘과 유대인 디아스포라에서 발견되었으며, 빗물이나 샘물 등 자연적으로 모인 물을 사용하여 정결 의식을 치르는 데 사용된다. 미크바는 전통적으로 율법에 따라 여성의 월경 후 정결, 개종, 식기류 정화 등에 사용되며, 관습적으로 결혼, 할례, 명절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현대에는 정통 유대교 외에 보수, 개혁, 재건주의 유대교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며, 개종자, 트랜스젠더의 사용에 대한 논란과 함께, 미크베의 사용과 관련된 규정과 해석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과 유대교 - 간음
간음은 시대, 문화, 종교에 따라 의미와 법적 판단이 다양하며, 성서에서 금기시되었지만 현대에는 합의된 성관계에 대한 형사처벌은 드물고 성매매는 처벌 대상이 되기도 하며, 건강한 관계 형성과 성적 자기결정권, 피해자 보호를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사회적 현상이다. - 성과 유대교 - 다말 (다윗의 딸)
다말은 다윗 왕의 딸로 이복 오빠 암논에게 강간당한 후 친오빠 압살롬의 복수를 받았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성경 해석과 문학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 물과 종교 - 우두 (의식)
우두는 이슬람에서 예배 전에 물로 손, 입, 코, 얼굴, 팔, 머리, 귀, 발 등을 정해진 순서대로 씻어 몸을 정결하게 하는 의식으로, 수니파와 시아파 간에 절차와 요건의 차이가 있으며 물을 쓸 수 없을 때는 타야뭄으로 대체할 수 있다. - 물과 종교 - 가나의 혼인잔치
가나의 혼인잔치는 요한 복음 2장에 기록된 예수의 첫 번째 기적으로, 갈릴리 가나의 결혼식에서 예수가 물을 포도주로 바꾼 사건이며, 요한 복음서의 일곱 표적 중 첫 번째로 예수의 신성을 드러내는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기독교 전통에서 결혼과 축하를 긍정하는 근거로 여겨진다.
미크바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미크바 |
로마자 표기 | mikvah |
의미 | 모임, 집합 |
언어 | 히브리어 |
종교적 의미 | |
주요 용도 | 유대교의 정결례를 위한 목욕탕 |
사용 목적 | 유대교 율법에 따른 정결 의식 여성의 출산 후 정결례 개종자의 개종 의식 일부 남성의 정결례 |
필수 조건 | 자연수 (빗물, 샘물 등) 사용 정해진 용량 충족 살아있는 물 사용 (흐르는 물) |
구조 | |
일반적 형태 | 욕조 형태의 시설 |
재료 | 돌, 콘크리트 등 불침투성 재료 |
규모 | 개인용 또는 공동체용 |
역사적 위치 | 시나고그, 주거 지역 근처 |
현대적 위치 | 시나고그, 유대교 커뮤니티 센터 |
추가 정보 | |
중요도 | 유대교 율법상 필수적인 시설 |
관리 주체 | 지역 유대교 공동체 |
관련 용어 | 정결례, 유대교 율법 |
참고 사항 | 여성의 생리 기간 후 정결례에 필수적 개종 의식에서 중요한 부분 일부 남성도 특별한 경우 사용 |
![]() | |
![]() |
2. 어원
셈어 어근 ק-ו-ה (q-w-h, "모으다")에서 유래되었다.[6] 히브리어 성경에서 이 단어는 "수집"의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창세기 1:10, 출애굽기 7:19, 레위기 11:36에서 볼 수 있는 מקוה המים|미크베 하마임he ("물의 수집")이라는 구절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7] 벤 시라가 "웅덩이"를 뜻하는 단어로 מקוה|미크베he를 사용한 가장 초기의 저자이며 (집회서 43:20, 48:17), 미슈나는 "의식 목욕"이라는 의미로 이 단어를 사용한 가장 오래된 문헌이다.
기원전 1세기 초 이전에는 의례적 정결을 위한 특정 시설이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서면 자료나 고고학적 증거가 없다.[8][9][10] 미크베는 기원전 1세기 초에 등장하였으며, 그 이후로 고대 미크베는 이스라엘 전역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유대인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발견된다. 제2성전 시대의 미크베 수백 개가 이스라엘 땅 전역에서 발견되었는데,[11] 예루살렘,[12] 헤브론,[13] 마사다,[14] 하나톤[15] 등의 지역이 포함된다.
전통적인 미크베 건축 규칙은 고전 랍비 문헌에 명시되어 있다. 미크베는 땅 속에 만들거나 건물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건설해야 하며, 욕조와 같이 휴대용 용기는 미크베로 사용할 수 없다.[21]
3. 역사
기원전 1세기 이전에 전용 미크베가 없었다는 것은 성경 이야기[16]와 엘레판틴 파피루스[17]에서 나타나듯이 이전 시대에도 많은 유대인들이 정결 의식을 지켰다는 점을 고려할 때 놀라운 일이다.[17] 한 가지 가능성은 유대인들이 전용 미크베를 짓는 대신 샘과 같은 자연적인 수원을 사용했을 것이라는 것이다.[18] 또는 많은 할라카 당국에 따르면 미크베에 퍼 올린 물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성경적이 아니라 랍비적인 규정이다.[19] 기원전 100년경 랍비적 칙령이 제정되기 전에는 유대인들이 건물의 일부로 지어지거나 건물 지붕에 부착되어 수동으로 채워지는 지상의 수조에서 몸을 담갔을 가능성이 있다.[17] 제1성전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러한 구조물은 고대 아스돗과 아마도 단에서 발견되었다.[17] 이러한 랍비적 칙령의 이유는 헬레니즘 시대에 그 지역에 퍼진 목욕탕 문화와 의례적 침수 관행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었을 수 있다.[17]
4. 요구 사항
수많은 성경 법률은 의례적인 부정으로부터 정결해지기 위해 "물로 몸을 씻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20] 레위기 11장 36절에는 "샘이나 저수조, 물을 모아 놓은 곳(미크베)"이 정결의 근원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4. 1. 물의 운반
미크베의 물은 인위적인 행위가 아닌 자연적으로 모여야 한다. 따라서 미크베의 물은 빗물이나 샘과 같이 자연적인 원천에서 미크베로 흘러들어야 한다.[22] 이는 중력이나 자연적인 압력 경사에 의해 공급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손으로 퍼 올리거나 운반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수돗물은 미크베의 주된 물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없지만, 적절한 수위까지 물을 채우는 데는 사용될 수 있다.[32]
물은 그 안에 물을 담을 수 있거나 불순해질 수 있는 용기(금속으로 만든 모든 것)를 통과하는 것이 금지된다.[23]
얼음(눈, 얼음, 우박)은 운반 방식에 관계없이 미크베를 채우는 데 사용될 수 있다.[26]
미크베와 샘의 규정은 약간 다르다. 미크베의 물은 정지해 있어야 하지만, 샘물은 계속 흐를 수 있다. 따라서 흐르는 강은 대부분의 물이 빗물이나 눈 녹은 물이 아닌 샘에서 나올 때만 침수에 사용될 수 있다. 바다와 대양은 항상 사용될 수 있다.[27]
4. 2. 크기 및 실제적인 배치
미크베는 평균 체격의 사람이 온몸을 담글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물을 담아야 한다. 깊이 3 큐빗, 너비 1큐빗, 길이 1큐빗인 미크베를 기준으로 필요한 물의 양은 약 40 세아로 추정되었다.[28][29] 세아의 정확한 부피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고전적인 랍비 문헌에서는 144개의 계란을 담을 수 있을 정도라고만 명시한다.[30] 대부분의 정통 유대교에서는 아브로홈 예샤야 카렐리츠의 엄격한 견해를 따르는데, 이에 따르면 1세아는 14.3리터이므로 미크베는 약 575L를 담아야 한다.[31] 이 물의 양은 나중에 어떤 출처의 물로도 채울 수 있지만,[32] 미크베에 40세아 미만의 물이 있었다면, 어떤 용기에 의도적으로 모아졌거나 사람에 의해 옮겨진 3파인트 이상의 물을 추가하면, 자연수원에서 40세아를 채웠더라도 미크베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 미크베는 완전히 배수하고 규정된 방식으로 처음부터 다시 채워야 한다.[7]
5. 사용 이유
미크베는 다양한 이유로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토라와 고전 랍비 문헌에 따르면, 여러 상황 이후 의례적 순결을 회복하기 위해 남녀 모두 미크베를 사용했다.
오늘날 유대인들이 할라카(토라 또는 랍비 법)에 따라 미크베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월경(니다) 또는 비정상적인 체액 분비(자바(zavah)) 후 정결해지려는 여성.[33] 특히, 기혼 여성은 월경이나 출산 후 남편과의 성관계를 재개하기 위해 미크베에 몸을 담가야 한다.[34]
- 유대교로 개종하는 사람
- 음식을 제공하고 먹는 데 사용되는 새로 구입한 식기류(테빌라트 켈림(Tevilat Kelim))
성전 파괴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성전 밖에서는 순결 상태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미크베 사용이 일반적이지 않다.
- 케리(keri)(성행위 또는 몽정으로 인한 정액의 정상적인 배출)[36]
- 니다 또는 자바(zavah) 또는 그들의 옷이나 물건과 접촉한 사람[38]
- 차라아트(tzaraath) 후[39]
- 제사장(Kohen)이 봉헌되는 경우[40]
- 대제사장(Kohen Gadol)은 욤 키푸르에 다섯 번 미크베에 간다.[41][42]
- 붉은 암소 의식을 행한 코헨[43]
- 시체 또는 무덤에 접촉한 사람[44]
- 자연사한 동물의 고기를 먹은 사람[45]
- 성전산을 방문하고자 하는 사람
이 외에도 여러 관습에 따라 미크베를 사용한다.
- 결혼식 당일에 신랑[46]
- 아들의 할례(bris) 전에 아버지[46]
- 욤 키푸르 전[47]
- 로쉬 하샤나 전[48]
- 코헨은 제사장의 축복(priestly blessing)을 낭송할 예배 전
- 유대교 명절 전[47]
- 임신 9개월 중 어느 시점[49]
- 매 안식일(Shabbat) 전 (특히 하시드파 유대교)
- 하시드파 유대교에서는 매일
- 일부 유대 장례식장에는 매장 전 정화 절차(taharah) 중 시신을 담그기 위한 미크베가 있다.
남성의 미크베 사용은 하시드파 유대교 공동체에서 더 일반적이며, 독일계 유대인 공동체와 같이 다른 공동체에서는 거의 하지 않는다. 개종, 비유대인으로부터 구입한 식기를 처음 사용, 출산 후, 월경이 끝난 후, 욤 키푸르 전날 등에도 미크베를 사용한다.
5. 1. 율법
전통적으로 미크베는 토라와 고전 랍비 문헌에 규정된 규칙에 따라 다양한 사건 이후 의례적 순결을 회복하기 위해 남녀 모두가 사용했다.오늘날 유대인들이 토라 또는 랍비 법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미크베에 잠수하는 일반적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월경(니다) 또는 관련된 상태인 비정상적인 체액 분비(자바(zavah))로부터 정결해지기를 원하는 여성.[33] 특히, 기혼 여성은 월경이나 출산 후 남편과의 부부 관계를 재개하기 위해 잠수해야 한다.[34] (자바(zavah)의 남성에 해당하는 자브(zav)는 미크베에서 정결해질 수 없지만 흐르는 샘물에 잠수해야 한다.)
- 성별에 관계없이 유대교로 개종하는 사람
- 음식을 제공하고 먹는 데 사용되는 새로 얻은 식기류도 잠수해야 한다(테빌라트 켈림(Tevilat Kelim)).
성전 파괴 이후 일반적으로 실천되지 않은(일반적으로 성전 외부에서는 순결 상태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미크베 잠수가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케리(keri)(성행위 또는 몽정으로 인한 정액의 정상적인 배출)[36] 케리로 인한 잠수는 테루마 또는 제물을 먹을 수 있도록 토라에서 요구된다. 에즈라는 토라의 말씀을 낭송할 수 있도록 이를 행해야 한다고 제정했다.[37] 후자의 경우는 ''테빌라트 에즈라''("에즈라의 잠수")로 알려져 있다. 현대에는 더 이상 의무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일부는 관습이나 경건의 행위로 이를 수행한다.
- 니다 또는 자바(zavah) 또는 그들의 옷이나 물건과 접촉한 사람[38]
- 차라아트(tzaraath) 후[39]
- 제사장(Kohen)이 봉헌되는 경우[40]
- 대제사장(Kohen Gadol)은 욤 키푸르에 다섯 번 미크베에 간다.[41][42]
- 붉은 암소 의식을 행한 코헨[43]
- 시체 또는 무덤에 접촉한 사람, 붉은 암소 의식의 재가 뿌려지는 것 외에도[44]
- 자연사한 동물의 고기를 먹은 사람[45]
- 성전산을 방문하고자 하는 사람(이는 여전히 소수 의견에 따라 방문을 허용하는 랍비 당국을 따르는 일부 현대 유대인들이 실천하고 있다)
탈무드에서는 미크워오트(ミクワーオート)에서 논의되고 있다.
5. 2. 관습
다음은 미크베에 몸을 담그는 관습에 대한 내용이다.- 결혼식 당일에 신랑은 미크베에 몸을 담근다.[46]
- 아들의 할례(bris) 전에 아버지는 미크베에 몸을 담근다.[46]
- 욤 키푸르 전에는 미크베에 몸을 담그는 관습이 있으며,[47] 기혼 여성도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 로쉬 하샤나 전에 미크베에 몸을 담그는 관습이 있다.[48]
- 코헨은 제사장의 축복(priestly blessing)을 낭송할 예배 전에 미크베에 몸을 담근다.
- 유대교 명절 전에 미크베에 몸을 담그는 관습이 있는데,[47] 이는 제사장의 축복을 낭송할 때 명절 전에 몸을 담그는 코헨의 관습의 연장선상에 있거나, 성전 시대에 요구되었던 것처럼 명절 전에 자신을 정화하기 위함이다.
- 임신 9개월 중 어느 시점에 미크베에 몸을 담그는 관습이 있다.[49]
- 매 안식일(Shabbat) 전에 미크베에 몸을 담그는 관습이 있으며, 특히 하시드파 유대교에서 널리 행해진다.
- 하시드파 유대교에서는 매일 미크베에 몸을 담그는 관습(minhag)이 있다.
- 일부 유대 장례식장에는 매장 전 정화 절차(taharah) 중 시신을 담그기 위한 미크베가 있다.
남성의 몸 담그기는 하시드파 유대교 공동체에서 더 일반적이며, 독일계 유대인(German Jewish) 공동체와 같이 다른 공동체에서는 거의 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욤 키푸르와 같은 대사(High Holidays) 전에만 행해진다.
개종을 하거나, 비유대인으로부터 구입한 식기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 출산 후, 월경이 끝난 후, 욤 키푸르 전날 등에도 미크베를 사용한다.
6. 사용 중 요구 사항
미크바에 들어가기 전에는 몸을 깨끗이 하고, 몸과 물 사이에 아무것도 없도록 해야 한다. 옷, 장신구, 화장품, 매니큐어, 인조 손톱, 콘택트렌즈, 머리카락이나 피부에 바른 미용 제품 등을 모두 제거해야 한다.[62]
미크바에 들어가기 전에는 머리카락과 몸을 깨끗하게 씻고, 굳은살과 각질을 제거해야 한다. 어떤 사람들은 손톱을 다듬기도 한다. 머리카락은 빗어서 엉킨 곳이 없도록 해야 하지만, 드레드락 머리 스타일은 예외적으로 허용되기도 한다. 입안을 깨끗이 헹구고, 뺄 수 있는 틀니는 제거해야 한다. 준비를 마친 후에는 몸에 이물질이 없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하며, 때로는 다른 사람이 도와주기도 한다.[50] 샤워나 목욕을 하고 몸 전체를 깨끗하게 확인하는 것은 미크바에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지켜야 할 종교적 요구 사항이다.[51]
랍비 전통에 따르면 머리카락은 몸의 일부로 간주되기 때문에 물이 모든 부분에 닿아야 한다. 따라서 머리를 땋은 상태로는 미크바에 들어갈 수 없다. 아슈케나짐 유대인 공동체는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을 빗어 엉키지 않게 해야 한다고 믿지만, 드레드락의 경우에는 이 규칙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몇몇 랍비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드레드락을 허용하기도 한다.
7. 절차
여성용 미크베에서는 방문객들에게 개인실이 제공되며, 이곳에서 침수 준비를 한다. 개인실에는 샤워 시설이나 욕조가 있고, 몸을 깨끗이 씻고 준비할 수 있는 세면도구와 용품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보통 머리를 감고 빗질하며, 손톱을 다듬고, 굳은살과 각질을 제거하고, 이를 닦는다. 콘택트렌즈, 장신구, 불필요한 의료 기구 및 화장품은 제거한다. 로션과 컨디셔너는 사용하지 않는다. 미크베의 물과 몸 전체가 완전히 닿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제거하는 것이 준비의 목적이다.
준비가 끝나면, 사용자는 미크베 담당자에게 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 담당자는 사용자가 준비 과정에서 빠뜨린 것이 없는지 확인하고, 수영장으로 안내한다. 침수 의식은 다양하지만, 축복을 하고 물에 완전히 잠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담당자는 몸의 모든 부분이 물에 잠겼는지 확인한다.
침수 후에는 담당자가 요금을 청구한다. 일반적인 요금은 18USD–36USD이지만,[53] 고급 미크베에서는 더 비쌀 수 있다. 일부 현대적인 '고급' 미크베 시설에는 고급 준비실이 있고, 세면도구를 제공하여 스파와 같은 분위기를 조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미크베는 보통 다른 미크베 시설보다 입장료가 더 비싸다.[54]
8. 현대적 관행
현대 사회에서 미크바는 다양한 유대교 분파에서 각기 다른 의미와 관행으로 이어진다.
정통 유대교에서는 전통적인 규정을 엄격하게 준수한다. 정통 유대교 여성들은 남편과의 성관계에 앞서 미크베에서 몸을 정화해야 한다. 이는 결혼 전 신부와 월경이나 출산 후의 기혼 여성 모두에게 해당된다.[1] 겸손의 규칙에 따라 남성과 여성은 분리된 시설을 이용하거나 다른 시간에 미크베를 사용한다.[1]
보수 유대교에서는 2006년 유대법 및 표준 위원회의 레스폰사(Responsa)를 통해 월경 후 미크베 사용을 재확인하면서도, 특정 상황에서의 관용을 허용했다.[55][56][57][58] 또한, 예루살렘 성전 외부에서는 의례적 순결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견해를 제시하며, 새로운 신학적 기반과 용어를 채택했다.[55][56][57][58] 보수 유대교는 유대인 명절 전의 침례나 비유대인에게서 구입한 식기 침례를 권장하지만, 의무 사항은 아니다. 최근에는 치유나 축하를 위한 미크베 사용도 늘어나고 있다.
개혁 유대교와 재건주의 유대교에서는 미크베의 할라카(halachic) 요구 사항을 엄격하게 따르지 않지만, 일부 랍비들은 미크베 의식을 권장한다. 개종, 결혼 준비, 명절 전 등 다양한 상황에서 미크베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60] 특히, "개방적인" 미크베는 유대법에 따른 이유 외에도 이혼, 치료, 낙태 후, 삶의 전환을 기념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침수를 허용하며, 개종에도 사용될 수 있다.[62][63]
8. 1. 정통 유대교
정통 유대교는 일반적으로 고전적인 규정과 전통을 준수하며, 따라서 정통 유대교 여성들은 남편과의 성관계 전에 미크베에서 몸을 정화해야 한다.[1] 이는 결혼 전 신부와 월경이나 출산 후의 기혼 여성 모두에게 해당한다.[1]정통 유대교의 겸손에 관한 규칙에 따라 남성과 여성은 다른 장소에 있는 별도의 미크베 시설을 이용하거나, 다른 시간에 미크베를 사용한다.[1]
8. 2. 보수 유대교

2006년 일련의 레스폰사(Responsa)에서 보수 유대교(Conservative Judaism)의 유대법 및 표준 위원회(Committee on Jewish Law and Standards)는 보수파 여성들이 월경 후 니다 기간이 끝난 후 매달 미크베를 사용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을 재확인하면서, 니다 기간 단축 등 특정한 관용을 채택했다.[55][56][57][58] 채택된 세 가지 레스폰사는 전통적인 의식을 재확인하는 의견부터 예루살렘 성전 외부에서는 의례적 순결의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선언하는 의견까지 다양한 접근 방식을 허용하며, 의례의 새로운 신학적 기반을 제시하고, 월경과 관련된 관행의 명칭을 '타하라트 하미슈파카(taharat hamishpacha)'(가족의 순결)에서 '케두샷 하미슈파카(kedushat hamishpaha)'(가족의 신성)으로 바꾸는 등 새로운 용어를 채택하여 의례적 순결의 개념이 더 이상 적용될 수 없다는 견해를 반영했다.
보수 유대교 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포괄적인 안내서인 이삭 클라인(Isaac Klein)의 『유대교 종교 의례 안내(A Guide to Jewish Religious Practice)』는 미크베의 다른 용도에 대한 보수적인 견해도 다루고 있지만, 2006년 의견보다 이전에 작성되었기 때문에 정통파(Orthodox)에 더 가까운 접근 방식을 설명하며, 위에서 언급한 관용과 견해는 다루지 않는다. 미리엄 버코위츠(Miriam Berkowitz) 랍비의 최근 저서 『담그기: 미크베에 대한 실용적이고 영적인 안내(Taking the Plunge: A Practical and Spiritual Guide to the Mikveh)』(예루살렘: 셰크터 연구소(Schechter Institute), 2007)는 전통적인 준수 이유와 함께 현대적인 문제와 새로운 미크베 사용, 준비 방법과 기대 사항, 그리고 법의 발전 과정을 포괄적으로 논의한다. 보수 유대교는 유대인 명절(욤 키푸르 포함) 전의 침례나 비유대인으로부터 구입한 식기의 침례를 권장하지만 의무화하지는 않는다. 치유(강간, 근친상간, 이혼 등 이후) 또는 축하(중요한 생일, 기념일, 서임 또는 토라를 처음 읽는 경우)를 위해 자유주의 세계 전반에서 새로운 용도가 개발되고 있다.
정통파 유대교와 마찬가지로 보수 운동을 통해 유대교로 개종한 사람들은 미크베에서 몸을 담그는 것이 요구된다. 두 명의 유대인이 그 행사를 목격해야 하며, 그중 적어도 한 명은 침례 장면을 직접 봐야 한다. 미크베에서 몸을 담그는 것은 졸업식과 비슷한 매우 감동적이고 인생을 바꾸는 경험으로 묘사되어 왔다고 한다.[59]
8. 3. 개혁 유대교와 재건주의 유대교

개혁 유대교와 재건주의 유대교는 보수 유대교와 정통 유대교처럼 미크베(mikveh)의 할라카(halachic) 요구 사항을 준수하지 않지만, 일부 개혁 및 재건주의 랍비들은 미크베 의식을 권장한다. 그러나 개종, 결혼 준비, 심지어 명절 전에도 미크베를 사용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60] 21세기에 미크베는 삶의 전환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침수를 보는 진보적인 유대인들 사이에서 부활을 경험하고 있다. 2001년까지 미국 중앙 랍비 회의는 개종자를 위한 미크베 의식을 권장하기 시작했다.[61]
"개방적인"(Open) 미크베는 유대법에 반드시 필요한 이유가 아니더라도 침수를 고려하도록 환영한다. 이혼이나 치료 후, 낙태 후 마무리를 짓거나, 삶의 전환을 축하하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침수할 수 있다.[62] 진보적인 유대인들은 개종을 위해서도 미크베를 사용할 수 있다.[63]
9. 해석
아리예 카플란은 부정의 율법을 창세기 서두의 이야기와 연결짓는다. 창세기에 따르면, 아담과 하와는 선과 악을 아는 나무의 열매를 먹음으로써 세상에 죽음을 가져왔다. 카플란은 부정의 대부분의 율법이 어떤 형태의 죽음(혹은 니다의 경우 잠재적인 생명의 상실)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죽음의 형태 중 하나와 접촉한 사람은 그러한 죽음(그리고 확장하여 죄)과의 접촉을 정화하기 위해 창세기에 에덴동산(생명의 근원)에서 흘러나오는 것으로 묘사된 물에 몸을 담가야 한다.[64]
아브라함 이삭 쿠크에 따르면, 미크베에 몸을 담그는 것은 "우리가 물리적 우주로부터의 실존적 소외를 인식하도록 강요받는 것"이다. "우리가 얼마나 오랫동안 물속에서 생존할 수 있을까요? 물속에 잠기는 경험은 이 세상에서 우리의 존재가 일시적이며, 우리는 더 오래 지속되는 목표를 향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해줍니다."[65]
장례식 후에 미슈나의 미크바오트 논문 7장을 읽는 관습이 있다. 이 논문은 미크베의 율법을 다루며, 7장은 미크베에 유효한 물의 근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눈, 우박, 서리, 얼음, 소금, 부을 수 있는 진흙)에 대한 논의로 시작된다. 이것은 "살아있는 물"이 생명 없는 얼어붙은 상태(예: 얼음)에서도 다시 살아있는 물이 될 수 있다는(녹은 후) 부활에 대한 믿음을 암시한다.
10. 비유적 사용
히브리어에서 "미크베"라는 단어는 "희망"이라는 단어와 같은 어근을 사용하며, 이는 성경과 랍비 문헌 모두에서 두 개념을 비유적으로 연결하는 기초가 되었다. 예를 들어, 예레미야서에서 "미크베"라는 단어는 "희망"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동시에 "생수"와도 관련되어 있다.[66]
מִקְוֵה|미크베he 이스라엘의 희망이시여, 당신을 버리는 자들은 모두 수치를 당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생수의 근원이신 주님을 버렸기 때문입니다.
נְקַוֶּה|네카베he 여러 민족들의 무가치한 우상들 중에 비를 내리게 할 수 있는 것이 있습니까? 또는 하늘이 소나기를 내릴 수 있습니까? 우리 하나님이신 주님이 아니십니까? 우리가 당신을 희망하지 않습니까? 당신이 이 모든 것을 만드셨기 때문입니다.[67]
미슈나에서 욤 키푸르에 대한 논의를 이어받아 라비 아키바는 미크베 침수를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에 비유한다. 아키바는 예레미야서에서 하나님을 "이스라엘의 미크베"로 묘사한 것을 언급하며, "미크베가 더러운 것을 정화하듯이, 거룩하신 분이신 그는 이스라엘을 정화하신다"고 말한다.[68]
11. 논란
이스라엘 종교 행동 센터는 개혁 유대교와 보수 유대교 신자들이 공공 자금으로 운영되는 미크베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스라엘 대법원은 공공 의식 목욕탕이 모든 유대교 개종 희망자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판결했다. 이전까지 정통파 관리들은 비정통파 개종자들이 유대법에 부합하지 않고, 그들이 개종시킨 사람들도 유대인이 아니기 때문에 미크베 사용을 막았다.[69]
2013년, 이스라엘 여성정의센터와 정통 유대교 페미니즘 단체인 콜레흐는 미크베에서 종교 의식 담당자가 여성들에게 개인적인 질문을 하는 것을 금지해 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70] 최고랍비청은 여성의 침수 전 결혼 여부에 대한 질문을 금지하겠다고 밝혔다.[70] 2015년, ITIM 옹호 센터는 여성들이 감독 없이 미크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71] 2016년 6월, 최고랍비청은 여성들이 담당자 없이 미크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데 동의했다.[72]
일부 트랜스젠더는 성전환을 기념하기 위해 미크바 침수 의식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미크베를 관리하는 많은 정통파 당국은 유대법에 따른 침수만 허용한다. 매사추세츠주 뉴턴에 있는 마이임 하이임은 트랜스젠더가 접근하기 쉬운 미크베 공간을 조성하고, 미크베 안내자들에게 성 문제에 대한 교육을 제공했다.[73] 유대인 트랜스젠더 공동체 내에서는 성전환 기념 미크베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어떤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성별 구분이 강한 공간에서 불편함을 느끼고, 다른 사람들은 미크베를 월경 후 기혼 여성이 가는 곳으로 여긴다.[73]
11. 1. 비정통파 개종자의 사용
이스라엘 종교 행동 센터는 개혁 유대교와 보수 유대교 신자들이 공공 자금으로 운영되는 미크베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10년 만에 결론이 난 이 사건에서 이스라엘 대법원은 공공 의식 목욕탕이 개혁 유대교와 보수 유대교 개종자를 포함한 모든 유대교 개종 희망자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판결했다. 2016년 판결에서 엘리아킴 루빈슈타인 대법원장은 특정 개종자들을 배제하는 것은 차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이 판결 이전까지 정통파 관리들은 비정통파 개종자들이 유대법에 기술적으로 부합하지 않고, 그들이 개종시킨 사람들도 기술적으로 유대인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미크베도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았다. 루빈슈타인 대법원장은 "일단 공공 미크베를 설립하고 대중에게 서비스를 제공했으면 – 개종 과정을 포함하여 – 국가는 그 사용을 허용하는 데 있어 공평해야 합니다."라고 언급했으며, "이스라엘 국가는 공평한 방식으로만 한다면 미크베 사용을 감독할 자유가 있다"고 말했다.[69]11. 2. 과도한 질문
2013년, 이스라엘 여성정의센터(Center for Women's Justice)와 정통 유대교 페미니즘 단체인 콜레흐(Kolech)는 국가가 자금을 지원하고 운영하는 미크베에서 종교 의식 담당자가 여성들에게 개인적인 질문을 하는 것을 금지해 달라는 소송을 대법원에 제기했다.[70] 이에 대해 최고랍비청(Chief Rabbinate)은 여성의 침수 전 결혼 여부에 대한 질문을 금지하겠다고 밝혔다.[70] 당시 제기된 항의는 이러한 관행이 용납할 수 없는 차별을 나타낸다는 것이었다.[70]2015년, ITIM 옹호 센터(ITIM Advocacy Center)는 13명의 정통파 유대교 여성을 대표하여 최고랍비청과 예루살렘 종교위원회(Jerusalem Religious Council)를 상대로 대법원에 소송을 제기하여, 여성들이 "개인적인 관습에 따라 감독 없이, 또는 원하는 경우 자신의 담당자와 함께" 미크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1] 이 소송은 최고랍비청이 2013년에 통과된, 종교 의식 담당자가 여성들에게 개인적인 질문을 하지 않고 미크베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지시 사항을 무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71] 2016년 6월, 최고랍비청은 여성들이 담당자 없이 미크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데 동의했다.[72]
11. 3. 트랜스젠더
일부 트랜스젠더는 성전환을 기념하기 위해 미크바 침수 의식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미크베를 관리하는 많은 정통파 당국은 유대법에 따른 침수만 허용한다. 따라서 다른 유대인 단체들은 중요한 인생의 전환점을 기념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미크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매사추세츠주 뉴턴에 있는 마이임 하이임(Mayyim Hayyim)이라는 단체는 보스턴의 LGBT 유대인 단체 중 하나인 케셰트(Keshet)와 협력하여 트랜스젠더가 접근하기 쉬운 미크베 공간을 적극적으로 조성하고, 미크베 안내자들에게 성 문제에 대한 교육을 제공했다.[73]유대인 트랜스젠더 공동체 내에서는 성전환을 기념하기 위한 미크베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어떤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성별이 매우 강하게 구분되고 완전한 나체를 요구하는 공간에서 불편함을 느낀다. 다른 사람들은 여전히 미크베를 월경 후 기혼 여성이 가는 곳으로 여기며, 따라서 트랜스젠더 여성은 월경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 사항에서 면제된다고 생각한다.[73]
참조
[1]
서적
The New Bantam-Megiddo Hebrew & 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Bantam Books
[2]
서적
Multi Dictionary
Ad Publications
[3]
웹사이트
Concerning Ritual Purity and Cleanliness
http://www.religious[...]
[4]
서적
Meshiv Dabar
[5]
웹사이트
understanding Mikvah
https://www.kollelme[...]
[6]
웹사이트
Jastrow Dictionary of the Talmud and Targumim
https://www.sefaria.[...]
1883-01-01
[7]
백과사전
MIḲWEH
http://www.jewishenc[...]
[8]
백과사전
Jewish Practices & Rituals: Mikveh. History and Archaeology
https://www.jewishvi[...]
Thomson Gale
2008-01-01
[9]
서적
Manifest Identity: From ''Ioudaios'' to Jew: Household Judaism as Anti-Hellenization in the Late Hasmonean Era
https://berlinarchae[...]
Vandenhoeck & Ruprecht
[10]
뉴스
2,200-Year-Old Duck-Shaped Shovel Unearthed in Ancient Galilee
http://www.biblicala[...]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15-12-10
[11]
웹사이트
מקווה טהרה מימי בית שני התגלה בחפירות ארכיאולוגיות בירושלים
https://www.ynet.co.[...]
[12]
웹사이트
מקוואות טהרה מימי בית שני בתל חברון
https://www.ariel.ac[...]
[13]
웹사이트
המקווה במצדה
https://www.daat.ac.[...]
[14]
웹사이트
Israeli Archaeologists Unearth 2,000-Year-Old Ritual Bath
http://www.sci-news.[...]
2020-10-01
[15]
성경
[16]
서적
Parshat Derakhim: Archaeology and Geography in the Weekly Torah Reading
[17]
웹사이트
חיים של טהרה
https://segulamag.co[...]
[18]
서적
Mishneh Torah, Mikvaot 4:2; Tosafot, Pesachim 17b s.v. ela; Beit Yosef, Yoreh Deah 201
[19]
성경
[20]
웹사이트
The Mikvah
https://www.chabad.o[...]
[21]
위키소스
ספרא על ויקרא יא
[22]
위키소스
שולחן ערוך יורה דעה רא לו
[23]
서적
The Secret of the Jew: His Life, His Family / סוד נצח ישראל
http://hebrewbooks.o[...]
Rabbi David Miller
[24]
웹사이트
My Machberes
https://www.jewishpr[...]
2015-04-09
[25]
위키소스
משנה מקואות ז א
[26]
웹사이트
פניני הלכה - מקוואות
https://ph.yhb.org.i[...]
[27]
위키소스
עירובין ד ב
[28]
위키소스
יומא לא א
[29]
서적
Numbers Rabbah
[30]
기타
[31]
위키소스
משנה מקואות ג
[32]
성경
[33]
웹사이트
Laws of Childbirth
https://www.chabad.o[...]
[34]
기타
[36]
성경구절
[37]
위키소스
Bava Kamma 82b
[38]
성경구절
[39]
성경구절
[40]
성경구절
[41]
율법
Mishnah Yoma 3:3
[42]
성경구절
[43]
성경구절
[44]
성경구절
[45]
성경구절
[46]
웹사이트
Final Preparations Before the Circumcision – The day of the brit milah
https://www.chabad.o[...]
[47]
서적
Shulchan Aruch
[48]
웹사이트
Hilchos U'Minhagei Rosh Hashanah Orthodox Union
https://www.ou.org/h[...]
2014-09-24
[49]
웹사이트
Are There Jewish Customs for Pregnancy and Birth?
https://www.chabad.o[...]
2019-03-17
[50]
웹사이트
What Is A Mikveh?
https://www.myjewish[...]
2023-04-25
[51]
웹사이트
Shower before Mivah
http://dinonline.org[...]
2015-12-29
[52]
서적
Kitzur Dinei Taharah: A Digest of the Niddah Laws Following the Rulings of the Rebbe's of Chabad
Kehot Publication Society
2005
[53]
웹사이트
What Is A Mikveh?
https://www.myjewish[...]
2023-04-27
[54]
뉴스
West Side's Luxury Mikveh
https://www.proquest[...]
2023-04-25
[55]
웹사이트
Mikveh and the Sanctity of Family Relations
https://web.archive.[...]
2006-12-06
[56]
웹사이트
Mikveh And The Sanctity Of Being Created Human
https://web.archive.[...]
2006-12-06
[57]
웹사이트
Observing Niddah In Our Day: An Inquiry On The Status Of Purity And The Prohibition Of Sexual Activity With A Menstruant
https://web.archive.[...]
2006-12-06
[58]
웹사이트
RESHAPING THE LAWS OF FAMILY PURITY FOR THE MODERN WORLD
https://web.archive.[...]
2006-12-06
[59]
웹사이트
Becoming Jewish: Tales from the Mikveh
http://www.jewishjou[...]
2013-05-08
[60]
웹사이트
Reimagining the Mikveh
https://web.archive.[...]
Reformjudaismmag.org
2008-09-01
[61]
웹사이트
Reimagining the Mikveh
https://reformjudais[...]
ReformJudaism.org
2024-03-26
[62]
뉴스
What is the mikvah all about?
https://wapo.st/4giw[...]
2023-04-16
[63]
웹사이트
The New American Mikveh
https://web.archive.[...]
2012-08-13
[64]
서적
Waters of Eden
[65]
서적
Gold from the Land of Israel: A New Light on the Weekly Torah Portion – From the Writings of Rabbi Abraham Isaac HaKohen Kook'
Urim Publications
2006
[66]
성경구절
[67]
성경구절
[68]
위키소스
Yoma 85b
[69]
웹사이트
Israel's Supreme Court: Public ritual baths must accept non-Orthodox, too
https://religionnews[...]
2016-02-14
[70]
뉴스
Don't Ask, Don't Tell; - the New Mikveh Policy
https://www.haaretz.[...]
2013-05-10
[71]
뉴스
Israeli NGO asks Supreme Court to protect women's rights at mikvah
http://www.timesofis[...]
Times of Israel
2015-07-20
[72]
뉴스
Israeli Women to Be Allowed to Bathe in Mikvehs Without an Attendant
https://www.haaretz.[...]
Haaretz
2016-06-23
[73]
논문
Opening Up the Mikvah
https://read.dukeupr[...]
2006-08-01
[74]
서적
Jewish Encyclopedia
[75]
성경
Leviticus 1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