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 수슬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수슬린은 러시아의 수학자이다. 그는 해석적 집합 이론에 기여했으며, 특히 수슬린 문제와 수슬린 가설로 알려져 있다. 수슬린은 1894년 러시아 사라토프주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니콜라이 루진의 지도를 받았으며, 1917년에 수학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1919년 러시아 내전 중 티푸스로 사망했다. 수슬린은 생전에 한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사후에 두 편의 논문이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수학자 - 그리고리 페렐만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푸앵카레 추측과 기하화 추측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즈상과 밀레니엄 문제 상금을 거부하며 은둔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러시아의 수학자 - 게오르크 칸토어
게오르크 칸토어는 집합론의 기초를 다지고 무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집합의 크기가 다를 수 있음을 증명했으며, 대각선 논법과 초한수 이론을 제시한 독일계 수학자이다. - 1919년 사망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1919년 사망 - 칼 라르손
스웨덴 화가 칼 라르손은 수채화, 유화, 프레스코화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가족과 집을 주제로 한 그림, 일본 미술의 영향을 받은 화풍, 그리고 《구스타프 바사의 스톡홀름 입성》과 《동지제의 희생》 등의 대표작으로 유명하다. - 1894년 출생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1894년 출생 - 김형직
김형직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김일성의 아버지로, 조선국민회에 참여하고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북한에서는 항일 독립운동 지도자로 추앙받지만 반공주의적 성향을 가졌다는 증언도 있다.
미하일 수슬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94년 11월 15일 |
출생지 | 러시아 사라토프주 크라사프카 |
사망일 | 1919년 10월 21일 (향년 24세) |
사망지 | 러시아 사라토프주 크라사프카 |
국적 | 러시아 |
분야 | 일반 위상수학 기술적 집합론 |
모교 | 모스크바 대학교 |
지도 교수 | 니콜라이 루진 |
이름 | |
러시아어 | Михаи́л Я́ковлевич Су́слин |
로마자 표기 | Mikhail Iakovlevich Suslin |
프랑스어 | Michel Souslin (미셸 수슬랭) |
2. 생애
러시아 사라토프주의 작은 마을인 크라사프카(Красавкаru)에서 그레고리력 1894년 11월 15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야코프 가브릴로비치 수슬린(Я́ков Гаври́лович Су́слинru)이었으며, 어머니는 마트료나 바실리예브나 수슬리나(Матрёна Васи́льевна Су́слинаru)였다.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니콜라이 루진 밑에서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러시아 내전 이후 유행한 티푸스로 인하여 그레고리력 1919년 10월 21일에 24세의 나이에 요절하였다.
미하일 수슬린은 1894년 11월 15일 가난한 농부 야코프 가브릴로비치 수슬린과 마트레나 바실리예브나 수슬린의 외아들로 크라사프카 마을에서 태어났다. 수슬린은 어린 시절부터 수학에 대한 예리한 관심을 보였고, 초등학교 교사 베라 안드레예브나 테플로고르스카야-스미르노바의 격려를 받아 학업을 계속했다. 1905년부터 1913년까지 발라쇼프 남자 중등학교에 다녔다.
1913년 수슬린은 모스크바 대학교에 입학하여 니콜라이 루진의 지도를 받으며 공부했다. 1917년 수학 학위를 취득하고 즉시 이바노보-보즈네센스크 공과대학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수슬린은 러시아 내전 이후 1919년 모스크바 유행성 발진티푸스로 24세의 나이에 발진티푸스로 사망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미하일 야코블레비치 수슬린은 1894년 11월 15일(Красавкаru)에서 가난한 농부 야코프 가브릴로비치 수슬린(Я́ков Гаври́лович Су́слинru)과 마트료나 바실리예브나 수슬리나(Матрёна Васи́льевна Су́слинаru)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수슬린은 어린 시절부터 수학에 대한 예리한 관심을 보였고, 초등학교 교사 베라 안드레예브나 테플로고르스카야-스미르노바의 격려를 받아 학업을 계속했다. 1905년부터 1913년까지 발라쇼프 남자 중등학교에 다녔다.1913년 모스크바 대학교에 입학하여 니콜라이 루진의 지도를 받았다. 1917년 수학 학위를 취득하고 즉시 이바노보-보즈네센스크 공과대학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러시아 내전 이후 1919년 모스크바 유행성 발진티푸스 당시 티푸스로 24세의 나이에 사망하였다.
2. 2. 대학교 시절과 연구
미하일 수슬린은 1894년 11월 15일 러시아 사라토프주의 작은 마을인 크라사프카(Красавкаru)에서 가난한 농부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수학에 대한 예리한 관심을 보였으며, 초등학교 교사의 격려를 받아 학업을 계속했다. 1905년부터 1913년까지 발라쇼프 남자 중등학교에 다녔다.1913년 모스크바 대학교에 입학하여 니콜라이 루진의 지도를 받았다. 1917년 수학 학위를 취득하고 즉시 이바노보-보즈네센스크 공과대학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러시아 내전 이후 1919년 모스크바 유행성 발진티푸스로 24세의 나이에 발진티푸스로 사망했다.
2. 3. 이른 죽음
미하일 수슬린은 1894년 11월 15일 러시아 사라토프주의 작은 마을인 크라사프카(Красавкаru)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야코프 가브릴로비치 수슬린(Я́ков Гаври́лович Су́слинru)이었으며, 어머니는 마트료나 바실리예브나 수슬리나(Матрёна Васи́льевна Су́слинаru)였다.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니콜라이 루진 밑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러시아 내전 이후 티푸스가 유행하였고, 이로 인하여 1919년 10월 21일에 2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3. 연구 업적
미하일 수슬린은 평생 총 3편의 논문을 집필하였으며, 그 가운데 1편은 생전에, 2편은 사후에 출판되었다.
- 1917년, 해석적 집합/Sur un définition des ensembles measurables ''B'' sans nombres transfinis프랑스어의 개념을 도입한 논문을 출판하였다.
- 1920년,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 등과 공저한 미해결 문제집에 수슬린 가설을 제시하였다.
- 1923년, "Sur un corps non dénombrable de nombres réels"를 출판하였다.
그의 이름은 특히 수슬린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표준적인 집합론적 공리계인 ZFC와 독립적인 것으로 밝혀진 전순서 집합에 관한 질문이다.
수슬린은 해석적 집합(때로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기도 함) 이론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트리를 통해 정의될 수 있는 일종의 실수 집합이다. 그는 니콜라이 루진의 연구생(1917년)이었을 때 앙리 르베그의 논증에서 오류를 발견했는데, 르베그는 의 모든 보렐 집합의 경우, 실수 축으로의 투영 또한 보렐 집합이라고 증명했다고 믿었다.
3. 1. 해석적 집합 (수슬린 집합)
미하일 수슬린은 해석적 집합 이론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니콜라이 루진의 연구생(1917년)이었을 때 앙리 르베그의 논증에서 오류를 발견했는데, 르베그는 R2의 모든 보렐 집합의 경우, 실수 축으로의 투영 또한 보렐 집합이라고 증명했다고 믿었다. 수슬린은 1917년 논문에서 해석적 집합의 개념을 도입하였다.수슬린의 이름은 수슬린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표준적인 집합론적 공리계인 ZFC와 독립적인 것으로 밝혀진 전순서 집합에 관한 질문이다. 수슬린은 1920년에 출판된 미해결 문제집에 수슬린 가설을 제시하였다.
3. 2. 수슬린 문제
미하일 수슬린은 평생 총 3편의 논문을 집필하였으며, 그 가운데 1편은 생전에, 2편은 사후에 출판되었다. 1917년에 출판된 논문에서 수슬린은 해석적 집합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1920년에는 수슬린 및 다른 수학자들이 제시한 미해결 문제집에 수슬린 가설을 제시하였다.그의 이름은 특히 수슬린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ZFC와 독립적인 것으로 밝혀진 전순서 집합에 관한 질문이다.
수슬린은 해석적 집합 이론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트리를 통해 정의될 수 있는 일종의 실수 집합이다. 그는 니콜라이 루진의 연구생이었을 때 앙리 르베그의 논증에서 오류를 발견했는데, 르베그는 의 모든 보렐 집합의 경우, 실수 축으로의 투영 또한 보렐 집합이라고 증명했다고 믿었다.
3. 3. 기타 업적
미하일 수슬린은 평생 총 3편의 논문을 집필하였으며, 그 가운데 1편은 생전에, 2편은 사후에 출판되었다. 1917년에 출판된 논문에서 수슬린은 해석적 집합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1920년에는 수슬린 및 다른 수학자들이 제시한 미해결 문제집에 수슬린 가설을 제시하였다. 1923년에 출판된 논문에서는 "Sur un corps non dénombrable de nombres réels"를 저술하였다.그의 이름은 특히 수슬린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ZFC와 독립적인 것으로 밝혀진 전순서 집합에 관한 질문이다.
수슬린은 해석적 집합 이론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트리를 통해 정의될 수 있는 일종의 실수 집합이다. 니콜라이 루진의 연구생이었던 1917년, 수슬린은 앙리 르베그의 논증에서 오류를 발견했는데, 르베그는 의 모든 보렐 집합의 경우, 실수 축으로의 투영 또한 보렐 집합이라고 증명했다고 믿었다.
4. 저작 목록
미하일 수슬린은 평생 총 3편의 논문을 집필하였으며, 그 가운데 1편은 생전에, 2편은 사후에 출판되었다.
- 초한수를 사용하지 않는 B 측정 가능 집합의 정의에 관하여/Sur un définition des ensembles measurables ''B'' sans nombres transfinis프랑스어, ''Comptes Rendus de l’Académie des Sciences'' 164, 1917, 88–91. 이 논문에서 수슬린은 해석적 집합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 문제들/Problèmes프랑스어, ''Fundamenta Mathematicae'' 1, 1920, 223–224.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 등 여러 수학자들과 함께 제시한 미해결 문제집이다. 여기에 수슬린은 수슬린 가설을 제시하였다.
- 가산 실수체에 관하여/Sur un corps non dénombrable de nombres réels프랑스어, ''Fundamenta Mathematica'' 4, 1923, 311–315.
수슬린이 생전에 출판한 논문은 4페이지 분량의 ''초한수를 사용하지 않는 B 측정 가능 집합의 정의에 관하여''가 유일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