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도로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도로섬은 필리핀에서 일곱 번째로 큰 섬으로, 베르데섬 수로, 민도로 해협, 남중국해, 시부얀해에 둘러싸여 있다. 서민도로주와 동민도로주로 나뉘며, 민도로 산맥과 할콘 산(2,586m)이 주요 지형을 이룬다.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여 다양한 종이 서식하며, 민도로 우림을 포함한다. 고대 중국 상인들은 '마이'로 불렀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미나 데 오로'로 불리기도 했다. 현재는 농업, 관광업, 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며, 타갈로그족이 주를 이루고 망얀족이 소수 민족으로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도로섬 - 서민도로주
    필리핀 민도로 섬 서쪽에 위치한 서민도로주는 맘부라오를 주도로 하며 아포 암초가 있고 농업이 중심 산업이며 타갈로그어와 망얀어를 사용하는 지역이다.
  • 민도로섬 - 동민도로주
    동민도로주는 필리핀 미마로파 지역의 주로, 1950년에 분할되었으며,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로마 가톨릭이 주된 종교이며, 푸에르토 갈레라를 중심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하였다.
  • 서민도로주의 섬 - 루방섬
    루방섬은 필리핀 루손섬 동쪽에 위치한 루방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 잔류병 오노다 히로오가 은신했으며, 어업과 관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서민도로주의 섬 - 아포리프
    아포리프는 필리핀 민도로 해협에 위치한 삼각 환초로, 1980년 해양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 명소로 알려져 있다.
민도로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섬 정보
2020년 민도로 위성 사진
2020년 민도로 위성 사진
위치동남아시아
군도필리핀 제도
수역칼라비테 해협
민도로 해협
시부얀해
남중국해
술루해
타블라스 해협
베르데 섬 통로
면적10571.8 km2
순위73번째
최고봉할콘산
해발고도2,616 m
해안선 길이618.8 km
국가필리핀
행정 구역서민도로주
동민도로주
최대 도시산호세
최대 도시 인구153,267명
인구1,408,454명
인구 조사 년도2020년
인구 밀도117.2 명/km2
민족망얀족
타갈로그족
힐리가이논족
비사야족
로마자 표기Mindoro
지리
할콘산: 2,586m, 2,616m

2. 지리

민도로섬은 필리핀에서 7번째로 큰 섬으로, 루손섬 남서쪽, 팔라완섬 북동쪽에 위치한다. 서쪽으로는 남중국해, 동쪽으로는 시부얀해가 있다.[4] 민도로 산맥은 섬에서 가장 크고 긴 산맥으로, 남북으로 200km, 동서로 58km 뻗어있다. 할콘 산(해발 2586m)은 섬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동민도로주에 위치한다.[4]

민도로섬은 필리핀 생물 다양성의 중심지 중 하나이며, 민도로섬 고유종이 많이 서식한다. 민도로섬은 플라이스토세 동안 다른 필리핀 지역과 분리되어 독자적인 민도로 우림 생태 지역을 형성했다.[4]

2. 1. 지형

민도로 산맥 최고봉 목록(고도순)
순위산 이름높이 (m)높이 (ft)
1할콘 산2616m약 2616.10m
2바코 산2488m약 2488.08m
3우드 산2024m약 2023.87m
4신클레어 산1869m약 1869.95m
5패트릭 산1681m약 1680.97m
6인디 산1668m약 1667.87m
7메릴 산1570m약 1570.02m
8칼라비테 산1521m약 1520.95m
9탤루라 산1488m약 1488.03m
10바부이 봉우리1450m약 1449.93m
11이글리트 산1432m약 1431.95m
12루즈벨트 산1392m약 1392.02m
13벌부루간 산1297m약 1296.92m
14말라심보 산1206m약 1206.09m
15발라틱 산1199m약 1199.08m
16탈리파난 산1162m약 1161.90m
17아브라 데 일로그 산1077m약 1076.86m
18미언스 산998m약 997.92m
19알리냐반 산917m약 916.84m


2. 2. 수계

강 이름길이
부카야오강82km
루민타오강80km
봉가봉강76km
부수앙가강70km
만탕콥강65.2km
발링카윙강56.7km
암나이강56km
몽퐁강48.2km
마가사와앙 투빅48.2km
파그바한강48km
아리고이강48km
란투얀강44.5km
판두루칸강43.5km
파메야스강38.8km
산타크루즈강34.2km
아나하윈강31.4km
아브라 데 일로그강27.4km
나우한강19.2km
칼라판강15.2km


3. 역사

고대 중국 상인들은 민도로섬을 摩逸|마이중국어(Ma-i 또는 Mait)라고 불렀다. 스페인 사람들은 이 섬을 '미나 데 오로'(Mina de Oro, 금광을 의미)라고 불렀는데, 여기서 현재의 섬 이름이 유래되었다. 사학자 윌리엄 헨리 스콧에 따르면, 972년 송나라의 공식 역사 기록에는 '마이'가 중국과 교역을 했던 국가로 언급되어 있다.[6]

민도로 상인들은 밀랍, 면, 진주, 거북이 등껍질, 약용 빈랑, '유타(yu-ta)'[황마?] 천 등을 중국에 수출했고, 중국에서는 자기, 교역용 금, 쇠솥, 납, 구리, 유색 유리 구슬 및 쇠 바늘 등을 수입했다.[6]

이 섬은 브루나이 술탄국에 의해 침략 및 정복되었으며, 이후 스페인이 침략하여 주민들을 기독교화하기 전까지 모로족 정착지가 있었다.[7] 이후, 스페인과 민다나오의 모로족 간의 전쟁으로 인해 인구가 감소했는데, 모로족은 스페인화된 사람들을 노예로 삼고 섬을 다시 이슬람화하려고 했다.[8][9] 그 결과, 대부분의 인구가 인근 바탕가스로 도망쳤고 한때 번성했던 민도로의 마을들은 폐허가 되었다.[8] 17세기에 조반니 프란체스코 제멜리 카레리가 이 섬을 방문했다.[10]

1700년대 말, 민도로에는 원주민 3,165가구와 스페인계 필리핀인 4가구가 있었다.[11][12] 1898년, 민도로는 카비테와 바탄에서 섬으로 들어온 반군의 유입으로 인해 스페인에 대항하는 필리핀 혁명에 참여했다. 그러나 필리핀의 미국 점령과 필리핀의 일본 점령 시대 동안 지역 애국심은 약화되었다.

1900년 민도로섬 지도


태평양 전쟁일본군이 민도로섬을 점령했지만, 1944년 12월 15일 미군은 루손섬 탈환을 위한 발판으로 민도로섬에 상륙하여 민도로섬 전투가 벌어졌다. 일본 해군은 상륙한 미군을 저지하기 위해 레이호 작전을 실시하였고, 망가린만에 7척의 돌격부대를 투입하여 미군에 피해를 주고 철수했다. 이것은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군 최후의 승리였지만 전황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국 민도로섬의 일본군은 산 속으로 패주하여 기아와 전염병에 시달렸고, 현지 게릴라와의 전투로 대부분 사망했다. 오오카 쇼헤이는 민도로섬에서 포로 생활을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설을 썼다. 1956년 일본의 항복을 알지 못한 채 민도로섬 산 속에 숨어 지내던 4명의 잔류 일본군이 귀국했다.

필리핀 독립 후 이 지역은 회복되었고, 1920년부터 1950년까지 이 섬은 단일 주였으며, 칼라판이 주도였다. 1950년 국민투표를 거쳐 현재의 서민도로동민도로로 분할되었다.[13]

4. 행정 구역

1921년부터 1950년까지 민도로섬은 하나의 주였다. 현재는 서민도로주동민도로주 두 개의 주로 분할되어 있다. 두 주를 나누는 것은 해발 2,500m가 넘는 산맥이며, 섬 전체가 산악 지형이라 특히 서부 서민도로주의 교통이 불편하다. 섬의 북서쪽 해안에는 카라비테 해협을 끼고 루방섬 등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루방 제도가 있다.[4]

5. 경제

민도로섬의 경제는 대부분 농업에 의존하고 있다. , 옥수수 등의 곡물과 감귤, 바나나, 람부탄, 코코넛, 사탕수수, 땅콩 등 다양한 농산물을 재배한다. 양어장(메기, 밀크피쉬, 틸라피아) 운영, 목축업, 가금류 사육도 이루어진다. 임업과 대리석, 구리 광산도 활발하다.

아포리프 국립공원, 루방섬, 푸에르토 갈레라, 사방 해변, 할콘 산 등을 중심으로 관광업도 발달하였다.

외국 자본의 광산 개발은 국가 경제에 기여하는 측면도 있지만, 환경 문제와 원주민의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6. 주민

타갈로그족이 민도로섬 주민의 주류를 이루며, 중앙 산악 지대에는 8개 부족으로 구성된 소수 민족인 망얀족이 거주한다.

6. 1. 언어

타갈로그어가 민도로섬의 주요 언어이며, 바탕가스와 지리적으로 가깝고 바탕가스 출신 주민들이 거주하여 바탕가스 타갈로그어 방언의 영향을 받았다.[21]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토착 망얀어와 비사야어군의 영향을 크게 받아 독특한 방언이 형성되었다. 비사야어와 망얀어도 섬에서 사용되며, 망얀어는 민도로 원주민 언어로 여러 방언을 가지고 있다.

일로카노어, 비콜어, 힐리가이논어, 카라야어, 세부아노어, 쿠요논어와 같은 언어와 영어, 호키엔어, 스페인어도 소수 사용된다.

민도로에서 사용되는 토착 언어는 다음과 같다.

언어군언어사용자 수
북부 민도로 언어군이라이야어10,000명
알랑간어2,150명
타디아완어4,200명
남부 민도로 언어군부히드어8,000명
타우부이드어8,000명
하누노오어14,000명
비사야어군라타그논어310명


6. 2. 종교

기독교(로마 가톨릭)가 주요 종교이다. 그러나 선주민인 망얀족은 주로 애니미즘을 믿는다. 필리핀 가톨릭 교회, 예수 그리스도 교회, 필리핀 독립 교회, 침례 교회 등도 민도로섬에서 활동하고 있다.[6]

7. 교통

필리핀 산호세 공항이 있다.

8. 환경

민도로섬의 광산 개발은 섬의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한다.[18] 현지 및 국제 광산업체들은 지하에 매장된 풍부한 텅스텐 광맥을 개발하기 위해 섬의 생태계를 무시해왔다.[18] 노르웨이 광산업체인 인텍스는 텅스텐 매장량 탐사를 시도했으나, 지역 환경 보호 조례로 인해 중단되었다.[19] 소규모의 합법 및 불법 채광 활동이 섬 곳곳에서 계속되고 있으며, 이는 현지 경찰의 단속 부족으로 인한 것이다.[20]

민도로섬은 타마라우(''Bubalus mindorensis'')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타마라우는 섬의 고유종으로, 소과에 속하며 물소와 관련된 종이다. 현재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토요타 자동차는 필리핀에서 판매하는 밴에 "타마라우"라는 이름을 붙여 택시 등으로 사용되도록 하였으며, 이는 타마라우가 필리핀의 국민적 상징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

9. 기타

민도로섬은 타마라우의 고향이며, 타마라우는 카라바오(Carabao)라고 불리는 물소와 함께 필리핀의 국민적 상징 중 하나이다. 토요타 자동차도 필리핀에서 판매하는 밴에 "타마라우"라는 이름을 붙여 택시용 등으로 호평을 받았을 정도이다.[4] 타마라우는 민도로섬의 고유종이며, 물소와 마찬가지로 소과에 속하지만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slands of Philippines http://islands.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5-05-22
[2] 웹사이트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as of May 1, 2010 https://web.archive.[...]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5-05-22
[3] 문서 Sulu Sea http://www.eoearth.o[...] 2011
[4] 웹사이트 Mindoro rain forests - The Encyclopedia of Earth https://editors.eol.[...] 2024-11-11
[5]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98 Vol. 38 https://www.gutenber[...] Arthur H. Clark Company
[6] 서적 Prehispanic Source Materials for the Study of Philippine History New Day Publishers
[7] 문서
[8] 웹사이트 Culture Contact and Ethnogenesis in Mindoro up to the End of the Spanish Rule http://www.asj.upd.e[...] Asian Studies, Volume XII, Number 1 1974-04
[9] 문서
[10] 서적 Erotika Biblion https://archive.org/[...] Chez Tous Les Libraries
[11]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www.xeniaedit[...]
[12]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s://ia601608.us.[...]
[13]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505 – An Act to Create the Provinces of Oriental Mindoro and Occidental Mindoro http://www.chanroble[...] 1950-06-13
[14] 웹사이트 Documenting and Conserving Biodiversity in the Philippines https://www.fieldmus[...] 2015-Fall
[15] 웹사이트 Mining expansion threatens indigenous tribes in Philippines {{!}} DW {{!}} 19.01.2011 https://www.dw.com/e[...]
[16] 웹사이트 Mining developments suspended in Mindoro region https://www.cultural[...]
[17] 웹사이트 Mindoro governor leads rally vs mining company https://newsinfo.inq[...] 2015-06-12
[18] 웹사이트 Gov. Umali opposes mining activity in Oriental Mindoro {{!}} Politiko Bicol Region https://bicol.politi[...] 2019-04-26
[19] 웹사이트 Mining developments suspended in Mindoro region https://www.cultural[...]
[20] 웹사이트 Small-scale mining alive in Mindoro https://newsinfo.inq[...] 2014-12-30
[21] 웹사이트 Lowland Cultural Group of the Tagalogs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中国ロケット残骸を公開 重さ100キロ、比ミンドロ島沖で発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2-08-03
[23] 웹인용 Islands of Philippines http://islands.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5-05-22
[24] 문서 Sulu Sea http://www.eoearth.o[...] 2011
[25] 서적 Prehispanic Source Materials for the Study of Philippine History https://archive.org/[...] New Day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