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속무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속무용은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여 전승되는 춤을 의미하며, 민족 전체의 관심사로 부각되어 격식을 갖춘 형태는 민족무용으로 발전한다. 민속무용은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들이 전통 음악에 맞춰 추는 경우가 많으며, 샤머니즘, 농경, 어로, 제액, 수렵, 전투, 종교 의식, 관혼상제 등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민속무용이 존재하며,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속 무용 - 스퀘어댄스
    스퀘어댄스는 네 쌍의 커플이 정사각형 대형을 이루어 콜러의 지시에 따라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사교 춤의 한 형태이다.
  • 민속 무용 - 차르다시
    차르다시는 헝가리어로 "선술집"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한 헝가리 민족 무용이자 음악 장르로, 느린 부분과 빠른 부분으로 나뉘는 특징을 가지며, 19세기 유럽에서 인기를 얻었고 2024년에는 헝가리의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춤 - 승무
    승무는 한국 전통 춤으로, 다양한 악기 반주에 맞춰 추며, 여러 기원 설과 불교 의례 연관성 논쟁이 있지만, 조선 시대 금지 후 민속춤으로 발전하여 서민의 애환을 담은 예술로 자리매김했고, 다양한 장단 변화에 따른 춤사위와 장삼의 움직임이 특징이며,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및 지역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 춤 - 한량무
    한량무는 조선 후기 남사당패에서 유래하여 진주 교방에서 전승되는 7인의 춤으로, 한량, 별감, 승려, 색시 등의 등장인물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풍자하며, 북, 장구 등 악기 반주에 맞춰 춤사위를 펼친다.
민속무용
정의 및 특징
정의특정 지역 사람들의 삶을 반영하는 춤
특징공동체 의식 강화
문화적 정체성 표현
지역별 독특한 형식과 스타일 보유
역사 및 기원
기원고대 부족 사회의 의식과 축제
발전농경 사회, 종교 의식, 사회 활동과 결합하며 발전
지역별 민속무용
유럽폴카 (체코)
왈츠 (오스트리아)
스코틀랜드 하일랜드 댄스
아시아부채춤 (한국)
가부키 (일본)
바라타나티암 (인도)
아프리카부족 춤 (나이지리아, 케냐 등)
아프리카 댄스
아메리카스퀘어 댄스 (미국)
탱고 (아르헨티나)
한국 민속무용
종류탈춤
강강술래
농악
검무
특징지역색 강함
역사와 문화 반영
공동체적 성격
참고 자료
관련 문서민속, 춤, 전통 문화

2. 민속무용과 민족무용

민속무용은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여 전승되는 춤을 의미하며, 민족무용은 민족 전체의 관심사로 승화된 민속무용을 지칭한다. 러시아 발레의 특정 종목, 에스파냐의 볼레로, 중국 혁명 후 중공 가무단이 연출하는 민족무용 등이 그 예이다.

민속 무용은 대개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들이 전통 음악에 맞춰 추는 춤으로, 대중 공연을 위해 고안되지 않았지만 나중에 무대 공연을 위해 편곡될 수 있다. 혁신보다는 전통을 따르며, 새로운 댄서는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거나 도움을 받아 비공식적으로 배운다.

타라부코의 풀제이 축제 기간 동안의 전통 무용수와 공연

2. 1. 민속무용의 기원

민속무용은 인간의 가장 원시적이며 소박하고 본능적인 소원이나 욕구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는 개인만이 아닌 집단에 의해 통일된 신앙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점이 민속무용의 공통된 성격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무용은 때로는 발전 과정에서 직업화하고 전문화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민간, 특히 농경·수렵·어로 민족 사이에서 발생하여 전승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시 말해, 원시 종교적인 민간 신앙에 수반되는 부대적인 행사나 제사 의식이 민속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무용은 그것을 행하는 인간의 집단, 사회, 풍토를 연구하는 민속학, 문화인류학 등의 학문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반대로, 민속무용 연구는 민속학, 문화인류학, 사회학 등 관련 학문의 도움 없이는 성과를 올리기 어렵다.

노래나 춤, 간단한 연극적인 이야기, 대화, 몸짓 등은 인간의 생리적인 현상으로서, 누구든지 선천적으로 가수이자 배우이기도 하다. 환경이나 육성 여하에 따라 어떤 사람은 직업적인 무용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생리적 본능에서 나온 노래나 춤은 예술로 승화되어도 민족적인 집단이나 부락의 공유물이 되지 않고 개인의 재능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민속무용이라고 명명하려면 어떤 형태이든 공동체의 신앙이나 욕구로부터 생긴 공유물이라는 조건이 필요하다. 민족 무용은 민족 전체의 공유물이 되어야 한다.

민속 무용은 다음 속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공유한다.

  • 춤은 대개 전문적인 훈련을 거의 받지 않은 사람들이 민속 무용 모임이나 사교 행사에서 추는 경우가 많으며, 전통 음악에 맞춰 춘다.
  • 대개 대중 공연이나 무대를 위해 고안되지 않았지만, 나중에 무대 공연을 위해 편곡되고 설정될 수 있다.
  • 혁신보다는 다양한 국제 문화로부터 물려받은 전통이 실행을 지배한다(하지만 민속 전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한다).
  • 새로운 댄서는 종종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거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아 비공식적으로 배운다.


어떤 사람들은 민속 무용을 지배 기구가 없는 춤 또는 경쟁 또는 전문 기관이 없는 춤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민속 무용"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유럽 문화와 역사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춤에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20세기 이전에 시작되었다. 다른 문화권에서는 "민족 무용" 또는 "전통 무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후자의 용어는 의식 무용을 포함할 수 있다.

2. 2. 민속무용과 샤머니즘

민속무용은 그 발생 동기와 목적이 관객을 위한 것이 아니라, 연주자 자신이 무아지경에 이르는 데 있었다. 민속무용은 오락이 아닌, 사람들의 절실한 소망과 감사를 신에게 전하고 신의 뜻을 받는 구체적인 표현이었다. 따라서 민속무용의 근원은 샤머니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샤먼은 신과 인간 사이의 중개자로서, 신들린 상태에서 초자연계와 소통하고 신의 계시를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이들은 개인이나 집단의 기원을 신에게 전달하고, 악령을 물리치는 의식을 행하며 춤을 추었다. 이러한 샤먼의 행위는 민속무용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발리섬의 불춤 '케치야'는 마을에 병자가 생겼을 때 악귀를 쫓기 위해 행해지던 샤머니즘 의식에서 유래했다. 마을 사람들이 횃불 주위에 모여 '케치야'를 외치며 집단적인 춤을 추는 형태로, 오늘날에는 관광적 색채가 강해졌지만 여전히 샤머니즘적 요소를 간직하고 있다.

자와섬의 '말 춤' 역시 악마를 쫓고 병을 치료하기 위한 샤머니즘 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샤먼의 지시에 따라 신들린 사람이 말을 타고 춤을 추는 형태로, 점차 궁중무용으로 발전하여 자와섬의 우아한 무용이 되었다.

이 외에도 뉴브리튼섬 바이닝족의 '불춤', 스위스의 '늇스라', '크로이제' 등 여러 민속무용에서 샤머니즘적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민속무용은 샤머니즘과 깊은 관련을 맺으며 발생하고 발전해 왔다.

2. 3. 민속무용에 나타나는 인간의 소망

민속무용은 인간의 가장 원시적이고 소박하며 본능적인 소망이나 욕구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는 개인뿐 아니라 집단에 의해 통일된 신앙에서 비롯된다. 민속무용은 발생 동기와 목적이 관객에게 보이는 것이 아니라, 연주자 자신이 무아지경에 들어가는 데 있었다. 처음에는 오락이 아니라, 영매가 된 연주자가 사람들의 소원을 신에게 전달하고 신의 말씀을 전하며 소원 성취를 돕는 것이었다. 이는 신에 대한 봉사이기도 했다.

원시 시대에는 생존과 안전을 위한 기원이 주를 이루었다. 그날의 양식을 얻고, 질병과 자연재해를 피하며, 외적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종족을 보존하고 번영시키는 등 생명 유지에 필요한 것들이었다. 이러한 소원 성취를 위해 자연발생적으로 다양한 민속 행사와 무용이 생겨났다. 농경, 수렵, 어로 민족 사이에서 발생하여 전승되는 것이 특징이며, 원시 종교적인 민간 신앙에 수반되는 부대 행사나 제사 의식이 민속무용이라고 할 수 있다.

2. 4. 민속무용과 농경

농경 사회에서 민속무용은 풍년을 기원하고 수확을 축하하는 중요한 의식이었다. 모내기 때에는 풍년을 기원하는 춤을 추었고, 가을에는 수확을 축하하며 신에게 감사하는 축제를 열었다. 이러한 축제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민속무용이 발전했다.

한국의 농악은 모내기나 추수와 같은 농경 활동과 관련된 대표적인 민속무용이다. 남방 각 지역에도 농악과 비슷한 여러 무용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그리스에서는 포도 수확을 주관하는 신인 디오니소스(바쿠스)를 기리는 제전에서 민속무용이 발전했다.[1] 이 제전에서는 남녀가 반나체로 횃불 주위를 돌며 디오니소스 찬가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1] 이러한 디오니소스 제전은 점차 연극적인 성격으로 변모하여 그리스극으로 발전했다.[1]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삼(大麻)을 가진 남자가 밭에서 높이 뛰어오르는 춤을 추면 삼이 높이 자란다고 믿는 풍습이 있었다.[2]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여러 지방에서는 춤을 추거나 뛰어오르는 행위를 통해 삼의 성장을 기원했다.[2] 마케도니아 농민들은 밭갈이 후 가래를 던졌다 받으며 곡식이 높이 자라기를 기원했다.[2] 동부 러시아의 소녀들은 참회 화요일 밤에 나뭇잎, 꽃, 리본, 방울, 삼 등으로 장식된 환(環) 속에서 춤을 추며 삼의 성장을 기원했다.[2]

가뭄이나 장마와 같은 자연재해를 막기 위한 기우제에서도 민속무용이 행해졌다.[3] 기우제에서는 보통 사자춤이 등장하는데, 특히 청색 사자 머리춤은 비를 불러온다고 여겨졌다.[3] 사자춤은 동양의 대표적인 민속무용으로, 한국, 중국, 인도 등지에서 널리 행해졌다.[3]

2. 5. 민속무용과 어로

어로 민족은 농경 민족보다 반농반어(半農半漁)인 경우가 많지만, 바다에서의 생활은 목숨을 건 일이기 때문에 생명에 대한 불안감이 컸다. 원시 시대에는 날씨 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워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며 샤먼의 예고에 의지했고, 이는 어촌에 샤먼과 민간 신앙이 널리 퍼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민간 신앙은 집단적인 민속 무용을 발생시켰는데, 풍어제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한국에서도 예로부터 풍어제가 행해졌으며, 현재까지도 그 풍습이 남아있다. 남태평양의 어느 섬에서는 마을 여인들이 해안에 모여 앉아 팔과 머리를 움직여 파도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춤을 추는데, 이는 풍어나 항해의 안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처럼 민속 무용은 생활 환경에 맞는 자연 발생적인 성격과 양식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2. 6. 민속무용과 제마

민속무용은 질병과 재해를 막기 위한 주술적인 성격을 띠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민속무용의 대표적인 예로는 샤먼의 주술무용을 들 수 있다.[1] 샤먼은 신들린 상태에서 초자연적인 존재와 소통하고, 신의 계시를 전달하는 무녀(巫女)를 의미한다. 이들은 개인이나 집단의 안녕을 위해 악령을 쫓아내는 의식을 행하며, 이때 특유의 복장을 착용하고 북과 방울 등을 사용하며 춤을 춘다.[1]

발리섬의 불춤인 '케치야'는 마을에 병자가 생겼을 때 악귀를 쫓기 위해 행해지던 의식에서 유래했다.[1] 마을 사람들이 횃불 주위에 모여 '케치야 케치야'를 외치며 집단적인 춤을 추는 형태로, 샤먼이 주도하던 의식이 점차 마을 사람들에게 전승된 것이다.[1]

자와섬의 '말 춤' 또한 질병을 악마의 소행으로 여기고 샤먼이 이를 퇴치하기 위해 행하던 의식에서 비롯되었다.[1] 샤먼의 기도 후 신들린 사람이 등나무와 대나무로 만든 채색된 말을 타고 춤을 추는 형태로, 궁중무용으로 발전하기도 했다.[1]

이 외에도 뉴브리튼섬 바이닝족의 '불춤' 등 가면을 사용하는 샤머니즘 기반의 민속무용이 존재한다.[1] 이러한 예시들은 민속무용이 샤머니즘적인 발상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2. 7. 민속무용과 수렵

수렵 사회에서는 사냥감의 풍요를 기원하고 사냥 기술을 연마하기 위한 민속무용이 발생했다. 원시 시대 및 미개인들은 수렵이나 어로를 통해 식생활을 유지했으며, 포획물의 양은 생존에 매우 중요했다. 따라서 포획물이 많기를 바라는 모의 동작이 생겨났고, 사냥감을 모방한 의상을 입거나 가면을 쓰고 춤을 추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모든 사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었으며, 목적 달성을 위해 영혼에 마술을 걸었다. 그들은 캥거루나 메뚜기 등이 부족할 경우, 그것들이 곧 죽임을 당할 것을 나타내는 연극적인 행위를 통해 대상물과 공감하는 마법의 주문을 외웠다.

수우어족의 일파인 만단 인디언은 사냥을 떠나기 전 물소 가죽으로 몸을 싸고 두개골을 쓴 채 원을 그리며 춤을 추는 '물소 댄스'를 추었다. 이는 물소를 잡는 모의 동작으로, 그들의 생활과 관련된 진지한 행위였다.

뉴기니섬파푸아인들은 고기잡이철이 오면 톱상어의 상징적인 가면을 쓰고 춤을 추었다. 이 춤은 바다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고기가 잘 잡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이 외에도 아프리카를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 동물의 자태나 가면을 사용하는 무도를 볼 수 있으며, 유럽의 '곰의 무도', 아이누의 '곰제사(熊祭)', 뉴기니의 '화식조(火食鳥)의 춤' 등도 이러한 류에 속한다.

2. 8. 민속무용과 전투

원시 시대에는 인접 종족의 침략이 큰 위협이었고, 약육강식이 당연하게 여겨졌기에 자기방어가 필수적이었다. 종족 보존과 식량 확보를 위해 전투 준비가 필요했고, 사냥 기술은 전투 기술로 응용되었다. 이는 수렵 민족에게서 전투적 무용이 발달한 배경이다. 적을 위협하기 위해 창, 방패, 활, 화살 등의 무기와 얼굴 문신, 가면 등이 사용되었으며, 몽둥이춤, 검무(劍舞), 창무(槍舞) 등 용맹한 민속무용으로서 전투무용이 성립되었다.

전투무용은 적에게 위협을 가하는 동시에 전투의 승리를 기원하고 아군의 사기를 고취하는 역할을 했다. 뉴기니에서는 부족 집단들이 극락조(極樂鳥) 깃털로 장식하고 창과 방패를 든 전투무용대가 모의 전투를 벌이기도 한다. 피지섬 원주민들은 손뼉 반주에 맞춰 창, 부채, 깃발을 들고 군무(群舞)를 춘다.

2. 9. 종교의식과 민속무용

근원적으로는 주술(呪術)과 관계되지만, 신이나 부처에게 봉사하는 종교 의식과 제전에는 무용이 함께 했다. 무용은 신이나 부처에게 바치는 경건한 행사였으며, 때로는 관계자들이 목욕재계를 할 정도로 관람 대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점차 오락적 성격이 강해지면서 종교 의식으로서의 민속무용이 성립되었다. 앞서 언급한 그리스의 디오니소스 제전의 가장행렬도 종교 의식에 수반되는 민속무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3]

종교 의식과 민속 무용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티베트, 몽골, 중국 등지에 퍼져 있는 라마교와 그 제전에서 행해지는 '도귀무'를 예로 들 수 있다. 티베트, 몽골, 중국 일부 지역에는 라마교가 퍼져 있으며, 라마 사원이 있는 곳에서는 제사 의식을 할 때 공양을 위한 가면무도인 '도귀무'를 행한다. 발생 동기, 규모, 형식의 특이성으로 볼 때, 도귀무는 현재 세계 가면극과 가면무용 중 가장 특색 있는 무용이다. 900년경 라마교 보호자였던 국왕 살해 전설에서 비롯되었으며, 매년(주로 6월) 이를 행하지 않으면 수해, 화재, 기근 등 재앙이 일어난다고 믿었다. 라마교 제일(祭日)에 사원 안뜰에서 라마승들이 집행하며, 금실, 은실로 수놓은 옷과 무늬 있는 장화를 신고, 머리 전체가 들어갈 만큼 큰 가면을 쓴다. 가면 종류는 귀신 얼굴, 짐승 얼굴 등 다양하며, 나무로 만들기도 하지만 보통 종이로 만들어 여러 색깔로 채색하여 괴기하다. 가면 역사에서도 귀중한 존재이다. 무용 종류는 다음과 같다.[3]

  • 서무(序舞:파이샨 쟐보)
  • 공양무(供養舞:치요에갈 챰)
  • 항마무(降魔舞:텔갈 챰)


무용을 시작하기 전, 백발 노인과 새끼 귀신, 또는 해골 가면을 쓴 광대가 등장하여 장내를 정리한다. 연주는 큰 징, 큰 나팔(간동), 방울, 큰 북(홍고르고오), 소라, 피리 등으로 이루어지며, 독경을 하면서 진행된다. 춤과 음악은 느리고 숙연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몽골 초원의 웅대한 자연과 어우러져 대륙 민속무용의 여유를 보여준다. 구경꾼들은 이날을 기다려 먼 초원에서 도보나 말을 타고 모여든다. 이날은 춤 외에도 몽골 씨름, 경마 등이 열리고, 경내에는 일용품, 잡화 시장이 선다. 몽골, 티베트인에게는 기다려지는 휴식일인 것이다.[3]

종교 의식에 수반되는 무용으로는 그리스 바쿠스제(祭)가 언급되었지만, 라마교의 도귀무도 형식은 다르지만 발상은 유사하다. 고대 로마는 그리스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연극도 그리스를 모방했다. 연극 형식을 취하기 전 무용, 음악도 그리스에서 로마로 유입되었고, 지리적 관계상 이집트 영향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에는 '누마'라는 춤이 있었는데, 전투 무용이자 군중이 참여하고 군신 마르스를 제사한다는 점에서 종교적 민속무용이라 할 수 있다. 흉패를 단 긴 옷을 입고 창, 방패를 들고 군신 찬가를 부르며 시가행진을 했다고 한다. 포도 수확제인 바쿠스제(바쿠나리스), 농경신 사투르누스제(사투르나리아), 목신 팡제(르베르칼) 등 종교적 제전 때에는 시민들이 밤새워 거리에서 소란을 피우고, 노예들도 해방되어 난장판을 벌였다고 한다.[3]

2. 10. 민속무용과 관혼상제

원시 및 미개 사회에서 결혼과 장례는 종족 번영과 영혼 불멸을 기원하는 매우 중요한 의식이었다. 이는 부족 전체의 관심사였으며, 이에 수반되는 제의와 무용이 발생했다. 가마 행렬, 장송 행렬 등은 오늘날까지도 지방에 그 흔적이 남아 있으며, 환희나 비탄의 노래를 곁들여 관혼상제와 관련된 민속무용이 성립되었다.

뉴아일랜드에서는 6월에 사자(死者)에 대한 공양을 공동으로 진행한다. 이때 비스마르크 아키페라 동단의 토인들은 비밀결사의 지시 하에 '이별'을 뜻하는 가면을 쓰고 장례를 치른다. 이 가면은 죽은 사람의 얼굴을 본뜬 것이며, 가면을 쓰고 춤을 추는 사람은 비밀결사에서 선출된 사람으로 제한된다. 이처럼 가면은 제사의 도구로 자주 사용되었다.

젊은이의 성인식 또는 입단식(사회에 나가기 전 집단 훈련을 받기 위해 부락 공동체나 비밀결사에 입단하는 것) 때에도 의식, 노래, 춤이 행해지며, 대개 가면을 쓴다. 펠로폰네소스반도의 입단식 등이 그 예시이며, 인도네시아, 폴리네시아, 아프리카 각지에도 입단식과 그에 따르는 무용이 있다.

3. 세계의 민족무용

민속무용은 특정 지역에서 육성·전승되어 온 무용을 말하며, 그중 특정 무용이 민족 전체의 관심사로 부각되어 승화될 때 민족무용으로서의 의미와 격식을 갖추게 된다. 이러한 예는 세계 여러 민족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샤먼은 민족에 따라 사고방식에 차이가 있지만, 보통 신들린 상태에서 초자연계와 직접 교감하여 신의 계시를 말하는 무녀(巫女)를 의미한다. 샤먼은 신불(神佛)에 봉사하는 사제이자 주술의, 예언자, 정치가, 의사, 점쟁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개인 혹은 집단과 초자연계의 중개자 역할을 한다. 이들은 샤먼 특유의 복장을 하고, 북을 치며 방울을 흔들면서 실신 상태에 이르기까지 극적 흥분 속에서 도취하며, 하늘에 올라가 신의 계시를 받거나 지하의 영(靈)과 대화를 나눈다.

샤먼은 집단의 리더로서 극적 행위자가 되며, 기원자 또한 행사에 직접 참여하는 참가자이다. 이는 무대 위의 연기자와 관람석의 관객과 같은 의미의 감정 교류를 행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극장이 아무리 근대화되더라도 샤머니즘을 도외시할 수 없으며, 집단 기원의 구체적 형상화로서의 민속무용에서는 이러한 상호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발리섬의 불춤인 '케치야'는 마을에 병자가 생기면 병자를 사원 광장으로 옮겨 횃불을 피우고, 마을 젊은이들이 횃불 둘레를 둘러앉아 '케치야 케치야'라고 외치며 춤을 추는 의식이다. 이는 샤먼에 의해 행해지던 악마 제거 풍습이 마을 사람들에게 전승된 것이다. 자와섬의 '말 춤' 또한 샤먼이 병자를 위해 기도를 하고, 신접한 자가 말을 타고 미친 듯이 춤을 추며 병마를 물리치는 제신(祭神) 행사이다. 이러한 샤머니즘적 요소는 스위스의 '늇스라', '크로이제' 등 유럽의 민속무용에서도 발견된다.

민속 무용은 다음 속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공유한다.


  • 춤은 대개 전문적인 훈련을 거의 받지 않은 사람들이 민속 무용 모임이나 사교 행사에서 추는 경우가 많으며, 전통 음악에 맞춰 춘다.
  • 대개 대중 공연이나 무대를 위해 고안되지 않았지만, 나중에 무대 공연을 위해 편곡되고 설정될 수 있다.
  • 혁신보다는 다양한 국제 문화로부터 물려받은 전통이 실행을 지배한다(하지만 민속 전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한다).
  • 새로운 댄서는 종종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거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아 비공식적으로 배운다.


"민속 무용"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유럽 문화와 역사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춤에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20세기 이전에 시작되었다. 다른 문화권에서는 "민족 무용" 또는 "전통 무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후자의 용어는 의식 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힙합 댄스와 같은 많은 현대 무용이 자발적으로 진화하지만, "민속 무용"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적용되지 않으며, 대신 "거리 춤" 또는 "토속 춤"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민속 무용"이라는 용어는 전통에 상당한 정도로 얽매여 있고 "일반 민중"의 춤과 민속 무용에서 유래한 현대 무도회 춤 사이의 구분이 존재했던 시대에 시작된 춤에 한정된다.

이탈리아인들의 ''타란텔라'' 춤


세르비아 민속 그룹의 축제 춤


래퍼 검무 - 셰필드 스틸


터키 민속 춤


아르메니아 댄서. 흐루센코프 폴크페스트(HlushenkovFolkFest) - 우크라이나, 흐멜니츠키

3. 1. 아시아의 민족무용

민속무용은 인간의 가장 원시적이고 소박한 본능적인 욕구를 표현하며, 집단 신앙에서 발단한다. 민속무용은 민간에서 발생하여 전승되는 특징을 가지며, 민속학, 문화인류학 등의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시아의 민족무용은 다음과 같다.

  • 아르다
  • 아르메니아 춤
  • 아시리아 민속 무용
  • 아제르바이잔 춤
  • 비후: 아삼의 춤으로, 봄의 도래를 기념하며 아삼 새해의 시작을 알린다.
  • 아탄: 아프가니스탄의 국립 춤이자 파키스탄 파슈툰 부족의 민속 춤이다.
  • 벨리 댄스
  • 체르케스 춤
  • 원무
  • 다브케: 레반트의 민속 춤
  • 돔카치: 인도의 비하르와 자르칸드의 민속 춤
  • 가르바 원무: 구자라트에서 유래된 종교적 춤이다.
  • 이스라엘 민속 무용
  • 칼벨리아: 라자스탄의 춤 형식 중 하나로, 칼벨리아 부족이 춘다.
  • 키가: 아시리아인들 사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민속 춤
  • 쿠르드 춤
  • 루리 춤
  • 마잔데라니 춤
  • 중동 춤
  • 타발 총바
  • 큐슈테프디: 투르크메니스탄의 국립 춤
  • 요울라
  • 양거
  • 롬봉
  • 롬 바흐
  • 로밤 니어리 체아 추어
  • 공작춤
  • 차얌
  • 캄보디아 코코넛 춤
  • 캄보디아 물고기 춤
  • 트로트 춤

캄보디아 공작춤

  • 본 춤
  • 부요: 일본 게이샤 또는 댄스 예술가의 전형적인 춤
  • 림세 (아이누)
  • 카차시 (오키나와)
  • 자핀[3]
  • 타망 셀로 춤
  • 자우레 춤
  • 라케 나치 춤
  • 네와리
  • 만주슈리 춤
  • 카우라 춤
  • 마지 나치 춤
  • 라우테 춤
  • 초카라 춤
  • 카얄리 춤
  • 마루니 춤
  • 데우다 춤
  • 차울로 춤
  • 단 나치 춤
  • 마디콜레 춤
  • 파구(춤)
  • 소라티
  • 사켈라 (찬디)
  • 싱가루
  • 타르바레
  • 바즈라요기니 춤
  • 차리트라 춤
  • 자트-자틴
  • 차르야 춤
  • 하누만
  • 발세 마리키나
  • 벤잔
  • 비나수안
  • 카리뇨사
  • 아바네라 보톨레냐
  • 이틱-이틱
  • 칼레사
  • 군타오 실랏 아밀 방사
  • 군타우
  • 쿠라차
  • 라 호타 몬카데나
  • 레리온
  • 마그카수요
  • 마그랄라틱
  • 파그디와타
  • 판당고
  • 팡갈레이
  • 파라구아넨
  • 피스타
  • 사가얀
  • 사야우 사 방코
  • 수블리
  • 티클로스

''싱킬''(Singkil), 필리핀의 ''마라나오족''(Maranao people)의 전통 민속 무용으로, 서사시 ''다라겐''(Darangen)의 일부를 묘사한다.

  • 대나무춤(아미족)
  • 일본 민요
  • 일본 무용
  • 신무용
  • 농악
  • 양거
  • 케착
  • 산히양 두다리
  • 펜뎃
  • 레공
  • 대나무춤(티니클링)

필리핀 문화 무용단 회원들이 일본 가데나 공군 기지에서 열린 2007년 아시아 태평양 문화 유산의 달 기념 행사에서 ''티니클링''(tinikling)을 공연하고 있다.

  • 오디시
  • 방라
  • 클레즈머
  • 데브카
  • 카쉬크
  • 제이베크
  • 세마
  • 테케
  • 할라이
  • 호라
  • 호론


인도, 파키스탄, 미얀마, 타이, 인도네시아, 필리핀, 티베트,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각국의 민족무용은 각기 독특한 특징과 역사를 지니고 있다.

3. 1. 1. 한국의 민족무용

한국은 농경 민족으로서 모심기와 관련된 다양한 무용이 발생하여 발전하였고, 현재까지도 계승 및 존속되고 있다. 이는 농경 사회의 특징과 샤머니즘의 영향을 받은 결과이다. 남방 각 지역에 농악과 그 밖의 여러 무용이 남아있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농경 사회에서는 오곡 풍년을 기원하는 모내기제(祭)와 같은 행위가 나타나며, 가을에는 수확을 축하하고 신불(神佛)에 감사하는 수확제(收穫祭)가 거행된다. 이러한 제의적 성격의 행사는 민속무용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리슨의 <고대예술과 제식(祭式)>은 농경에 대한 인간의 기원이 어떻게 무용의 형태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가뭄이나 장마와 같은 자연재해를 극복하기 위한 기우(祈雨) 행사에서도 민속무용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부락 전체가 참여하는 기우제에서는 사자춤이 등장하는데, 이는 비를 유도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사자춤은 동양적인 민속무용의 대표격으로, 한국, 중국, 인도 등지에서 널리 행해졌으며, 현재도 그 자취가 남아있다.

3. 1. 2. 인도의 민족무용

인도 무용은 인도교의 신들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동양에서도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다. 인도 무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드라(mudra)'라고 하는 손가락 표현법이다. 이러한 표현에는 각기 의미가 있어, 그것을 통해 내용을 전달한다. 이처럼 표현법에 의미를 부여하고 약속을 통해 의지를 전달하는 방식은 동양 무용 전반의 특징이다. 팔이나 손가락 운동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다리 운동에만 의존하는 서양의 민족무용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인도의 고전 무용은 크게 북방의 카탁 댄스, 마니푸리, 카타칼리, 그리고 남방의 바라타나티암의 네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민족무용은 사원에서 종교적인 의식으로 추는 것이 가장 많다. 그 외에도 전투와 관련된 춤이나 민중의 오락 무용 등이 있다. 대표적인 민족무용으로는 아샘 지방 나아가족의 나아가 댄스, 풍년을 축하하는 비프, 벵골 지방의 남성적인 라이베시, 막대기 춤인 카티 댄스 등이 있다. 비하르 지방의 가면춤인 비하르스, 웃다르 지방의 애인끼리 추는 치하페리, 펀잡 지방의 윤무인 반그라, 라자스탄 지방의 카야할, 규라트 지방의 가르바 댄스 등 인도는 민족무용의 보고(寶庫)라고 할 만하다.

3. 1. 3. 스리랑카의 민족무용

실론섬에는 독특한 민족무용이 많다. 예를 들어 접시를 손바닥에 올려놓고 추는 하트 타리와 북춤인 우데키 등이 있다.

3. 1. 4. 파키스탄의 민족무용

역사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인도 무용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여러 민족이 섞여 있어 각기 다른 민족 무용이 존재한다. 풍년을 기원하는 방그라, 소녀들이 추는 깃다나 키쿠리, 원을 그리며 추는 가르바 등이 있다.[1]

  • 방라: 펀자브인의 수확 춤이자,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음악 스타일이다.
  • 치트랄리 춤: 파키스탄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의 치트랄 지역 춤이다.
  • 카탁 춤: 파키스탄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지역 춤이다.
  • 레와 (민속 춤): 파키스탄 발루치 민속 춤이다.
  • 차프: 파키스탄의 전통 발로치 민속 춤이다.
  • 아탄: 아프가니스탄의 국립 춤이자 파키스탄 파슈툰 부족의 인기 있는 민속 춤이다. 파키스탄 퀘타와 와지리스탄의 독특한 스타일도 포함한다.[1]

3. 1. 5. 미얀마의 민족무용

미얀마는 고전무용이나 민족무용이 비교적 빈곤한 나라라고 할 수 있다. 국민적인 행사로는 불의 축제, 물의 축제, 꽃의 축제 등 3대 축제가 있어 활발하게 춤을 추지만, 독특한 민족무용으로는 원시적인 나트 신앙에 의한 정령의 춤, 전투적인 검무, 막대기 끝에 불을 달아 추는 불춤 등이 알려져 있다.

3. 1. 6. 타이의 민족무용

타이의 무용은 인도의 영향을 많이 받아 매우 특색있고 오래된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고전적인 궁정무용이 중심을 이룬다. 라마 6세(재위 1910-1925) 시대에는 왕궁 내에 대규모 무용단과 관현악단을 편성하고 예술원을 설립하여 무용과 음악 발전을 꾀했다. 이 예술원은 현재 국립 시르파콘 음악무용학교가 되어 나라 예술의 중심이 되고 있다.

고전적인 타이 무용은 콘, 라콘, 람타이 등 세 종류로 나뉜다. 민족무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랜턴 댄스: 손목을 흔들어 두 개의 랜턴을 돌리는 춤이다.
  • 캔들 댄스: 랜턴 대신 촛불을 들고 춘다.
  • 만 누이 신타: 엷은 천을 흔들며 추는 춤이다.
  • 포렌렙: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양쪽 손가락에 금빛깔의 긴 손톱을 끼고 추는 춤이다.[1]

3. 1. 7. 인도네시아의 민족무용

인도 및 타이와 함께 동양에서 무용이 발달한 지역이다. 그 특징은 인도의 카타칼리 무용의 힘참과 타이 무용의 우아함에 인형적인 움직임을 조화시킨 신비성에 있다. 그 중심지는 자바섬과 발리섬이다. 자바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혁제(革製) 인형을 사용하는 와얀 케도크라는 영회극(影繪劇)과 양클 크리티크라는 목제(木製)의 인형극이다. 무용에서는 스린피라는 궁정무용이 대표적이며, 그 밖에 쿠프쿠프라는 나비의 춤, 트페인이라는 가면무용이 있다. 발리섬의 무용으로는 레곤이 가장 유명한데, 레곤극(劇)에서 나오는 아름다운 여성의 춤이다. 이와 반대로 남성의 힘찬 춤으로는 발리스가 있다. 발리섬은 무용이 매우 발달한 섬이라고 할 수 있다.[1]

자바 춤의 무용수가 인도네시아 자바에서 ''스림피'' 춤을 추고 있다

3. 1. 8. 필리핀의 민족무용

필리핀에는 궁정무용이나 고전무용은 없고 민족무용만이 존재한다. 필리핀은 오랫동안 에스파냐의 지배와 미국의 통치를 받았기 때문에, 필리핀의 민족무용은 아시아적이면서도 서구적인 요소가 강한 특징을 보인다. 루손섬에는 술이 든 컵을 들고 추는 비나스원이 있고, 민다나오섬에는 둘이서 부채를 서로 던지며 추는 스아 스아 등이 있다. 또한, 여자가 던지는 모자를 춤추면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쓰는 팡상고 사 상바리로와 두 개의 대나무를 서로 마주치고 있는 사이를 뛰어 넘으며 추는 티니클링 등 다양한 민속무용이 존재한다.

3. 1. 9. 티베트의 민족무용

티베트는 도약(跳躍)의 춤이 많다. 모두 라마교와 관련이 있으며, 크게 강도무(降跳舞), 공양무(供養舞), 지무(地舞)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강도무는 악마를 다스려 몰아내는 춤이고, 공양무는 천인(天人)의 춤, 지무는 만다라를 만들 때의 춤이다. 민족적인 칼춤도 알려져 있다.

3. 1. 10. 중국의 민족무용

중국의 민속 무용은 사용하는 소도구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옷소매가 긴 춤, 부채춤, 칼춤, 불자(拂子)의 춤, 수건의 춤 등이 있다. 둘이서 한 쌍이 되어 추는 사자춤, 웅장한 북춤, 순진 가련형(型)의 화고등, 연꽃춤, 차(茶)를 따는 춤인 채차가(採茶歌) 등이 전국에 걸쳐 알려져 있다.

3. 1. 11. 일본의 민족무용

일본 민족무용은 악기보다 말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크게 종교와 관련된 무용과 연중행사로 행해지는 무용으로 나눌 수 있다. 이야기 줄거리가 뚜렷하거나, 노래 가사에 맞춰 춤을 추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 민족무용을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신사(神事) 관련: 무자신악(巫子神樂), 대신악(大神樂)
  • 불사(佛事) 관련: 염불춤(念佛踊)
  • 전원무용(田園藝能) 관련: 전유(田遊), 풍년춤(豊年踊)
  • 해변 관련: 대어절(大漁節), 고래춤(鯨踊)
  • 풍류(風流): 우산춤(傘踊), 꽃갓춤(花笠踊), 칼춤(劒舞), 낫춤(鎌踊), 북춤(太鼓踊)
  • 기타: 가부키춤(歌舞伎踊), 사자춤(獅子舞)

3. 2. 서양의 민족무용

유럽의 민속 무용은 매우 다양하며, 각 나라와 지역마다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오스트리아 민속 무용, 바스통 춤, 발레, 반 댄스, 불가리아 춤 (프라보, 파이두슈코 호로, 간키노 호로, 다이초보 호로 등), 원무, 클로깅, 잉글리쉬 컨트리 댄스, 판당고, 플라멩코, 조지아 춤, 그리스 춤, 호라, 인터내셔널 민속 춤, 아일랜드 춤, 이탈리아 민속 춤 (타란텔라, 칼라브리아 타란텔라, 피치카 등), 옌카, 호타, 콜로, 렌들러, 메이폴 댄스, 모리스 댄스, 폴카, 폴란드 민속 춤, 러시아 민속 춤, 터키 춤, 우크라이나 춤, 베르분크, 북유럽 폴스카 춤, 슈플라틀러, 스퀘어 댄스, 검무, 무기 춤, 츠비에파허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검무에는 긴 검무와 래퍼 춤이 있다. 안무된 춤 중 일부는 민속 춤이라고 불리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그렇지 않다. 컨트리 댄스는 현대 민속 춤 및 사교 댄스와 중복된다.

민속 춤에 익숙한 사람들은 춤을 어느 나라에서 유래했는지 종종 알 수 있다. 일부 국가의 춤은 그 나라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인접 국가도 유사한 특징을 갖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독일오스트리아의 슈플라틀러는 몸과 신발을 치는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다른 몇몇 국가의 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특징이다.

일부 세르비아, 불가리아 및 크로아티아 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춤을 공유하며, 때로는 해당 춤에 동일한 이름과 음악을 사용하기도 한다.

인터내셔널 민속 춤 그룹은 여러 나라의 도시와 대학 캠퍼스에 존재하며, 댄서들은 레크리에이션을 위해 여러 문화권의 민속 춤을 배운다.

발폴크 행사는 서유럽과 중부 유럽에서 열리는 사교 춤 행사로, 1970년대의 민속 부흥에서 시작되어 2000년경부터 더욱 인기를 얻고 있으며, 쇼티시, 폴카, 마주르카, 왈츠와 같은 19세기 말의 인기 있는 유럽 파트너 댄스를 추고, 프랑스를 비롯하여 스웨덴, 스페인 및 기타 국가에서 유래한 다른 유럽 민속 춤도 함께 춘다.

3. 2. 1. 에스파냐의 민족무용

에스파냐는 유럽에서 민족무용이 가장 발달한 나라 중 하나로 손꼽힌다. 에스파냐 무용은 전통적인 고전무용과 각 지방의 민속무용을 모두 아우르며, 아르헨티나(1890-1936) 이후 무대 예술로 발전한 형태와 집시들의 정열적인 플라멩코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1]

에스파냐 무용은 발을 강하게 디디고, 숄을 흔들거나 치마를 펄럭이며, 손가락을 튕기는 등 격렬한 표현이 특징이다. 여기에 독특하고 미묘한 캐스터네츠 소리가 어우러진다.[1]

에스파냐는 13개 지방으로 나뉘며, 각 지방마다 고유한 민속무용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인 민속무용으로는 아라곤 웨스카 지방의 손수건 춤, 갈리시아 지방의 무이네이라, 안달루시아 지방 그라나다판당고, 나바라 지방의 스커트 춤, 아라곤호타, 안달루시아 그라나다플라멩코, 아라곤이나 나바라 지방의 보타 등이 있다.[1]

3. 2. 2. 러시아의 민족무용

러시아는 유럽 대륙에서 에스파냐 다음으로 민속무용이 다양하게 발달한 지역이다. 광대한 영토에 걸쳐 여러 지방마다 고유한 민속무용이 존재하지만, 러시아 전역에 걸쳐 일반적인 것은 없다. 그중에서도 폴카는 러시아를 대표하는 민속무용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폴카는 춤 자체가 아니라 1830년경 보헤미아 지방에서 시작된 무도곡을 의미하며, 러시아인들은 이 박자에 맞춰 춤을 추는 것을 즐긴다.[1]

러시아에서 민속무용이 특히 발달한 지역은 카프카즈, 그루지야, 우크라이나, 우랄 지방이다. 카프카즈의 레즈긴카나 체르케스카, 그루지야의 레크리나 베르쿠리, 우크라이나의 마카비차나 오로도니크, 우랄의 세스촐라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1]

3. 2. 3. 폴란드의 민족무용

폴란드는 마주르카의 나라로 불린다. 마주르카 외에도 폴로네즈나 폴카 같은 춤곡이 성행하며, 이러한 것들이 폴란드 민족무용의 중요한 기조(基調)를 이루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타트라 산맥 지방의 남자 춤인 고라레(고라루스키), 카르파티안 산맥 지방의 코로메지카, 오랜 전통을 갖는 크라코비악 등이 알려져 있다.[1]

폴란드의 주요 민속 춤으로는 오베레크, 쿠야비악, 크라코비악, 폴로네즈, 마주르카가 있다.

3. 2. 4. 스웨덴의 민족무용

일반적으로 포르스카라고 불리는 농민의 춤이 널리 알려져 있다. 포르스카는 과거 폴란드에서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덴마크핀란드에서도 같은 이름의 춤이 활발하게 추어지고 있다. 이 외에도 제례나 사교 모임에서 추는 레크스트, 4분의 4박자에 맞춰 짝을 지어 추는 레닌겐 등이 있다.[1]

3. 2. 5. 체코슬로바키아의 민족무용

이 나라의 대표적인 무곡은 폴카이다. 체코는 그 본고장과 같은 느낌을 준다. 체코슬로바키아의 민족무용을 크게 나누면 체스키슈, 모라브스키슈, 스로벤스키슈의 세 종류가 있다. 주로 보헤미아의 서부가 중심이며 이어 모라비아라든가 슬로바키아 지방에서 활발하다. 보헤미아 지방에는 바보라슈카라는 2/4박자의 춤이 있으나, 역시 2/4박자인 카라마쥬카라는 둘이서 추는 춤이 보헤미아·모라비아·슬로바키아 지방에서 성행되고 있다.[1]

3. 2. 6. 유고슬라비아의 민족무용

유고슬라비아의 대표적인 민족무용으로는 콜로가 있다. 콜로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하여 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등 거의 전역에 걸쳐 보급되어 있다. 특히 마케도니아 지방은 이 나라 민족무용의 중심지이며, 그 중에서도 동부 산악지대에는 테시코트, 게릴라전의 상황을 무용화한 코미타스 등이 있다. 동부 세르비아 지방에는 서로 허리띠를 잡고 추는 남성들의 쇼프스코, 명랑한 발라키아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정화의 방울을 울리며 추는 분제프카 등이 있다.

3. 2. 7. 독일의 민족무용

남부 독일이나 바이에른의 산악지대에 특히 성행하며, 그 가운데에는 손가락을 마주잡고 추는 펜게르 폴카, 발소리를 내면서 추는 흐라이프라틀러, 번갈아 교체하는 두 리듬에 의한 축복의 춤인 츠비에파허, 구두로 바닥을 울리고 몸을 치면서 추는 슈플라틀러 등이 있다.

3. 2. 8. 영국의 민족무용

스코틀랜드아일랜드에 민속무용이 잉글랜드보다 더 많다. 스코틀랜드인들은 남성도 켈트 (치마의 일종)를 입고 춤을 추며 즐긴다. 스코틀랜드에서는 게일족에 특수한 민족무용이 있다.

검무에는 긴 검무와 래퍼 춤이 포함된다.

잉글랜드 웰스 지방의 웰스 대성당(Wells Cathedral) 정원에서 추는 모리스 춤(Morris dancing)


영국의 민속무용
종류
아이리쉬 댄스
* S.C.D (스코티시 컨트리 댄스)


3. 2. 9. 프랑스의 민족무용

레뷰나 쇼로 널리 알려진 캉캉은 프랑스의 오랜 춤이다. 남동부 프로방스 지방의 파란돌 등 프랑스에는 다양한 민족무용이 있다.

프랑스의 민속 무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민속 무용
가보트
카드리유
쿠랑트
파스피에
파란돌
브란르
브레
뮈제트
메누에트
리고동


3. 2. 10. 이탈리아의 민족무용

대표적인 것으로는 타란텔라가 있다. 남부 이탈리아나 시칠리아섬에서 많이 추어지고 있다. 곡은 8분의 3, 또는 8분의 6박자이다. 차차 스피드를 올려 만돌린, 기타, 드럼 등으로 연주하는데, 춤을 추는 사람은 탬버린이나 캐스터네츠를 울리면서 춘다.[1]

이탈리아의 민속 춤 종류는 다음과 같다.

민속 춤
타란텔라
칼라브리아 타란텔라
피치카
몬페리나
발루 툰두
살타렐로
시칠리아나
폴라네


3. 2. 11. 미국의 민족무용

미국의 고유한 민족무용으로는 아메리카 인디언의 춤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우족의 곰의 춤, 호피족의 독수리 춤 등이 있다. 또한 하와이의 훌라는 매우 잘 알려져 있다.[1]

3. 3. 중동, 중앙아시아 및 남아시아의 민족무용


  • 아르다
  • 아르메니아 춤
  • 아시리아 민속 무용
  • 아제르바이잔 춤
  • 비후: 아삼의 춤으로, 봄이 오는 것을 기념하며 전통적으로 아삼 새해의 시작을 알린다.
  • 아탄: 아프가니스탄의 국립 춤이자, 파키스탄 퀘타와 와지리스탄의 독특한 스타일을 포함하여 파키스탄 파슈툰 부족 사이에서 인기 있는 민속 춤이다.
  • 벨리 댄스
  • 방라: 파키스탄인도에서 추는 펀자브인의 수확 춤이자,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음악 스타일이다.
  • 치트랄리 춤: 파키스탄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치트랄의 춤이다.
  • 체르케스 춤
  • 원무
  • 다브케: 레반트의 민속 춤이다.
  • 돔카치: 인도의 비하르와 자르칸드의 민속 춤이다.
  • 가르바 원무: 구자라트에서 유래된 종교적 춤으로 전 세계에서 추어진다.
  • 이스라엘 민속 무용
  • 칼벨리아: 라자스탄에서 가장 관능적인 춤 형식 중 하나로, 칼벨리아 부족이 춘다.
  • 카탁 춤: 파키스탄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의 춤이다.
  • 키가: 아시리아인들 사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민속 춤이다.
  • 쿠르드 춤
  • 루리 춤
  • 레와 (민속 춤): 파키스탄 발루치 민속 춤이다.
  • 마잔데라니 춤
  • 중동 춤
  • 차프: 파키스탄의 전통 발로치 민속 춤이다.
  • 타망 셀로 등 다양한 춤
  • 타발 총바
  • 큐슈테프디: 투르크메니스탄의 국립 춤이다.
  • 요울라

3. 4.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민족무용


  • 양거

  • 롬봉
  • 롬 바흐
  • 로밤 니어리 체아 추어
  • 공작춤
  • 차얌
  • 캄보디아 코코넛 춤
  • 캄보디아 물고기 춤
  • 트로트 춤

  • 본 춤
  • 부요, 일본 게이샤 또는 댄스 예술가의 전형적인 춤
  • 림세 (아이누)
  • 카차시 (오키나와)
  • 농악
  • 자핀[3]
  • 타망 셀로 춤
  • 자우레 춤
  • 라케 나치 춤
  • 네와리
  • 만주슈리 춤
  • 카우라 춤
  • 마지 나치 춤
  • 라우테 춤
  • 초카라 춤
  • 카얄리 춤
  • 마루니 춤
  • 데우다 춤
  • 차울로 춤
  • 단 나치 춤
  • 마디콜레 춤
  • 파구(춤)
  • 소라티
  • 사켈라 (찬디)
  • 싱가루
  • 타르바레
  • 바즈라요기니 춤
  • 차리트라 춤
  • 자트-자틴
  • 차르야 춤
  • 하누만


  • 발세 마리키나
  • 벤잔
  • 비나수안
  • 카리뇨사
  • 아바네라 보톨레냐
  • 이틱-이틱
  • 칼레사
  • 군타오 실랏 아밀 방사
  • 군타우
  • 쿠라차
  • 라 호타 몬카데나
  • 레리온
  • 마그카수요
  • 마그랄라틱
  • 파그디와타
  • 판당고
  • 팡갈레이
  • 파라구아넨
  • 피스타
  • 사가얀
  • 사야우 사 방코
  • 싱킬
  • 수블리
  • 티클로스
  • 티니클링
  • 대나무춤(아미족)

3. 5. 남아메리카의 민족무용

국가민속무용
아르헨티나차카레라, 바이레시토, 가토, 쿠에카, 차마메, 말람보, 삼바
브라질삼바
페루마리네라
베네수엘라가이타 술리아나


3. 6. 아프리카의 민족무용


  • 키좀바
  • 암바스 베이
  • 아시코
  • 비쿠치
  • 아도와
  • 아그바자
  • 아그베코르 (아탐가)
  • 판클로고
  • 보보보
  • 알카이다
  • 비티 하레이

3. 7. 북아메리카의 민족무용


  • 모던 댄스
  • 바일레 폴클로리코(멕시코 및 중앙 아메리카)
  • 콘트라댄스
  • 스퀘어 댄스
  • 메렝게

미국

  • 스퀘어 댄스
  • 오클라호마 믹서
  • 라운드 댄스

3. 8. 오세아니아의 민족무용

참조

[1] 웹사이트 Folk dance {{!}} Definition, Music, History, Typ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2-10
[2] 웹사이트 Golden age http://www.turkmenis[...]
[3] 웹사이트 Tarian Zapin – Yayasan Warisan Johor http://www.ywj.gov.m[...] 2017-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