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태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태원은 일제강점기 시대의 언론인이자 소설가, 번역가, 수필가이다. 1894년 충청남도 서산에서 태어나 경성고등보통학교와 와세다 대학을 졸업했다. 매일신보,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외일보 등 여러 언론사에서 활동하며 편집국장을 역임했다. 빅토르 위고의 《레 미제라블》 등 여러 작품을 번역하고, 소설 《설중매》, 수필 〈청춘예찬〉 등을 발표했으며, 김옥균에 대한 전기문 《갑신정변과 김옥균》을 집필했다. 1934년 폐결핵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산시 출신 - 성완종
    성완종은 경남기업 회장과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이었으나, 공직선거법 위반, 사기 및 횡령 혐의로 기소되어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비리 의혹 수사 중 자살했고, 사망 후 공개된 '성완종 리스트'가 정치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 서산시 출신 - 방효충
    방효충은 위성 자세제어 분야 전문가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충남대학교, KAIST 등에서 인공위성 개발 및 연구에 기여했으며 젊은과학자상과 과학기술훈장을 수상하고 국가우주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항공우주공학자이다.
  • 일제강점기의 소설가 - 김기진
    김기진은 팔봉이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문학평론가, 소설가, 시인으로, KAPF에서 활동하며 경향파 문학 이론을 이끌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에는 반공주의 문인으로 활동했다.
  • 일제강점기의 소설가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결핵으로 죽은 사람 - 이상화 (시인)
    이상화는 일제강점기의 저항 시인으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같은 작품을 통해 민족의 저항 의지를 표현했으며, 민족 시인으로서의 고뇌와 헌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그의 작품과 정신은 현재에도 재평가되고 있다.
  • 결핵으로 죽은 사람 - 헨리 데이비드 소로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 자연주의자로서, 월든 연못에서의 자급자족 생활을 담은 『월든』과 시민 불복종 사상으로 미니멀리즘, 비폭력 저항 운동, 환경 보호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민태원 - [인물]에 관한 문서
작가 정보
이름민태원
출생일1894년 12월 28일
출생지충청도 서산군 음암면 신장리
(현재의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신장리)
사망일1934년 6월 20일
사망지경성부 궁정동
(현재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정동)
직업소설가, 언론인
학력경성고등보통학교(현재의 경기고등학교) 졸업
와세다 대학 정경과 졸업
활동 기간1918년 ~ 1934년
주요 작품《청춘예찬》

2. 생애

민태원은 언론인이자 작가였다.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태어나 경기고등학교의 전신인 경성고등보통학교와 일본 와세다 대학 정경과를 졸업했다.[1][2][3]매일신보》,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외일보》 등에서 기자와 편집국장으로 활동하며, 《애사》, 《부평초》, 《무쇠탈》 등 여러 번안소설을 연재했다.[3] 문학 동인지 《폐허》에 참여했고, 《청춘예찬》, 《갑신정변과 김옥균》 등을 집필했다.[5][6][8] 1934년 폐결핵으로 사망했다.[2]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민태원한국어은 1894년 12월 28일에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신장리에서 태어났다.[1][2] 1910년 4월부터 1914년 3월까지 경성고등보통학교(현재의 경기고등학교)에 재학했고, 1924년에는 일본 와세다 대학 정경과를 졸업했다.[3]

2. 2. 언론 활동

민태원은 1914년에 《매일신보》에 입사하면서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1920년에는 창간한 《동아일보》로 자리를 옮겼다.[3] 1923년 5월 7일부터 《동아일보》 사회부장을 맡았고, 1923년 12월 1일부터 1924년 5월 16일까지는 《동아일보》 정치부장을 역임했다.[4] 1924년 5월에는 《조선일보》로 옮겨 편집국장을 맡았다. 1926년 12월 29일부터 1930년 10월 자진 휴간으로 퇴사할 때까지 《중외일보》에서 편집국장을 역임했다.[3]

2. 3. 문학 활동

민태원은 1918년부터 1919년까지 《매일신보》에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의 번안소설인 《애사》(哀史)를 152회에 걸쳐 연재했으며, 1920년에는 문학 동인지 《폐허》에 참여했다.[5][6]

1920년에는 《동아일보》에 엑토르 말로의 소설 《집 없는 아이》, 기쿠치 유호(菊池 幽芳)의 소설 《오노가쓰미》(己が罪, 나는 죄이다)의 번안소설인 《부평초》(浮萍草)를 113회에 걸쳐 연재했다.[3] 1922년에는 《동아일보》에 포르튀네 뒤 부아고베의 소설 《철가면》의 번안소설인 《무쇠탈》을 165회에 걸쳐 연재했다.[7] 1929년 6월에는 문학지 《별건곤》(別乾坤)에 청춘을 주제로 한 산문인 《청춘예찬》(靑春禮讚)을 발표했고, 김옥균을 주제로 한 전기문인 《갑신정변과 김옥균》을 집필했다.[8]

2. 4. 사망

1934년 6월 20일에 서울 궁정동에서 폐결핵으로 인해 4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3]

3. 주요 작품

민태원은 번안 소설, 창작 소설 외에도 수필, 평론, 전기문, 기행문, 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1921년 8월 21일부터 1921년 9월 8일까지는 《동아일보》에 기행문 《백두산행》(白頭山行)을 17회에 걸쳐 연재했다. [1] 1922년 9월에는 《동명》 제4호에 시 《겁화》(劫火)를 발표하기도 했다.

3. 1. 번안 소설

민태원은 여러 편의 번안 소설을 발표하여 당대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대표적인 번안 소설로는 《애사》, 《부평초》, 《무쇠탈》 등이 있다.

  • '''《애사》(哀史)'''는 1918년 7월 28일부터 1919년 2월 8일까지 《매일신보》에 152회에 걸쳐 연재된 번안 소설이다.

  • '''《부평초》(浮萍草)'''는 1920년 4월 1일부터 1920년 9월 4일까지 《동아일보》에 113회에 걸쳐 연재되었으며, 1925년에 박문서관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 '''《무쇠탈》'''은 1922년 1월 1일부터 1922년 6월 20일까지 《동아일보》에 165회에 걸쳐 연재되었으며, 1923년에 동아일보사 출판부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3. 2. 창작 소설

제목연재 기간연재 매체비고
설중매(雪中梅)》1919년 5월 23일 ~ 1919년 8월 31일매일신보76회
《죽음의 길》1922년 11월 28일 ~ 1923년 1월 18일동아일보45회
《오색의 꼬리별》1930년 10월 28일 ~ 1932년 3월 20일매일신보378회
《세 번째의 신호》1933년 5월 18일 ~ 1933년 10월 7일매일신보139회
《천아성》(天鵝聲)1934년 1월 1일 ~ 1934년 4월 23일매일신보109회
《새 생명》1934년 4월 24일 ~ 1934년 6월 22일매일신보49회, 작가 사망으로 미완성
단편 소설 제목발표 시기수록 매체
《어느 소녀》1920년 7월폐허》 제1호
《음악회》1921년 1월《폐허》 제2호
《만찬》1923년 2월《동명》 제23호


3. 3. 수필 및 평론

민태원은 수필과 평론 활동도 활발히 하였다. 1917년 7월 《청춘》 제9호에 수필 《화단(花壇)에 서서》를 발표하였고, 1921년 6월 《학지광》 제22호에는 수필 《창전(窓前)의 녹일지(綠一枝)》를 수록하였다. 1923년 5월 《개벽》 제35호에는 수필 《황야의 나그네》를, 1924년 4월 《개벽》 제46호에는 수필 《추억과 희망》을 발표했다. 그의 대표적인 산문 중 하나인 《청춘예찬》은 1929년 6월 《별건곤》 제21호에 수록되었다.[1]

1926년 1월 《신민》 제9호에 논문 《경제적 파멸에 직면하여》를, 같은 해 9월 《신민》 제17호에는 논문 《보기 싫은 현실의 환영(幻影)》을 발표하여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1]

3. 4. 전기문

민태원은 김옥균을 다룬 전기문 2편을 남겼다.

  • 《오호 고균 거사》(嗚呼 古筠 居士): 1926년 박문서관에서 출간되었다.
  • 《갑신정변과 김옥균》: 1947년 국제문화협회에서 출간되었으며, 민태원 사후에 출간되었다.

4. 평가

민태원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참조

[1] 뉴스 "세계인을 사로잡은 민태원의 청년정신" http://www.daejonilb[...] 2022-10-30
[2] 뉴스 「레미제라블」한국 최초의 번안작가 우보(牛步) 민태원 http://www.npnews.co[...] 2013-04-04
[3] 웹인용 민태원 - YES24 작가파일 http://www.yes24.com[...] 2022-10-30
[4] 뉴스 민태원 선생 알아가기, 첫 발걸음 시작됐다 http://www.ohmynews.[...] 2022-10-10
[5] 웹인용 민태원의『레 미제라블』번역 연구 -일본어 기점텍스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https://www.kci.go.k[...] 2022-10-30
[6] 웹인용 민태원 http://encykorea.aks[...] 2022-10-30
[7] 웹인용 무쇠탈 http://encykorea.aks[...] 2022-10-30
[8] 뉴스 청춘과 진보예찬 http://www.gnnews.co[...] 2012-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