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안소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번안소설은 원작의 내용, 풍속, 지명, 인명 등을 자국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고 각색하여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는 소설을 의미한다. 번역이나 표절과는 구분되며,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가에서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의 가전, 조선 시대의 삼언이박 번안이 있었고, 개화기에는 일본과 서양 문학을 번안한 소설들이 등장했다. 이해조의 《철세계》가 최초의 번안소설로 알려져 있으며, 구연학의 《설중매》, 조중환의 《장한몽》, 이상협의 《해왕성》, 민태원의 《무쇠탈》 등 다양한 작품들이 번안되었다. 일본에서도 중국과 서양 작품을 번안한 소설이 많이 창작되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서양 작품을 일본풍으로 개작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르별 소설 - 장르 소설
장르 소설은 특정 장르의 관습을 따르는 대중 소설로, 출판업계에서 "카테고리 소설"이라고도 불리며, 19세기부터 발전해 다양한 하위 장르를 포괄하고, 대중 소설은 1924년 일본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로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는 엔터테인먼트 작품으로 분류된다. - 장르별 소설 - 성장소설
성장소설은 순진한 주인공이 세상 경험을 통해 인생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다루는 소설 장르로, 빌둥스로만과 유사하지만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빌헬름 딜타이에 의해 그 의미가 확립되고 대중화되어 다양한 변형과 하위 장르를 포함하며 성장 영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문학 기법 - 데우스 엑스 마키나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극적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갑작스럽게 등장하는 외부적 요소를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유래하여 현대 문학 및 미디어에서도 사용되는 문학적 장치이다. - 문학 기법 - 환유
환유는 사물이나 개념을 직접 지칭하지 않고 연관된 다른 사물이나 개념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수사법으로, 은유와 달리 유사성이 아닌 연관성에 기반하며, 일상 언어와 문학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번안소설 | |
---|---|
번역 소설 | |
특징 | |
정의 | 원작의 내용과 주제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한국어 문장으로 자연스럽게 옮기는 것이 중요함. |
등장 배경 | 개화기 이후 서구 문물의 유입과 함께 번역 문학이 활발해지면서 번역 소설도 등장함. |
영향 | 한국 문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문학적 시도와 실험을 가능하게 함. |
번역 방법 | |
직역 | 원문의 단어와 문장 구조를 그대로 번역하는 방법으로, 원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지만, 한국어 문장으로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음. |
의역 | 원문의 의미를 파악하여 한국어 문맥에 맞게 번역하는 방법으로, 한국어 문장으로 자연스럽게 느껴지지만, 원문의 의미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번역 윤리 | |
저작권 | 원작자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
오역 | 원문의 내용을 잘못 해석하여 번역하는 것을 방지해야 함. |
윤문 | 번역문의 문장을 다듬어 가독성을 높이는 작업이 필요함. |
2. 개념
번안은 번역, 표절과 혼동되기도 하지만, 원작을 활용하는 방식과 개작자의 창의성에 따라 구분된다. 번역은 외국 작품을 자국어로 옮기는 것이고, 표절은 타인의 작품 일부를 몰래 가져오는 것이다. 반면, 번안은 원작의 내용, 풍속, 지명, 인명 등을 자국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고 각색하여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는 것을 의미한다.[1]
한국에서는 고려시대부터 번안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개화기에는 일본과 서양 문학을 바탕으로 한 번안소설이 많이 등장했다. 이러한 번안소설에 대해서는 외국문학의 모방이나 전통의 단절로 보는 부정적인 견해와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하는 긍정적인 견해가 공존한다.[1]
3. 한국의 번안소설
3. 1. 한국 번안소설의 역사
고려시대에는 〈태평광기〉에서 비롯된 가전의 번안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중국의 〈삼언이박〉에서 비롯된 번안이 있었다.[1]
개화기에는 창가나 신소설이 나오기 이전에 외국의 작품을 국문으로 번역한 작품이나 번안소설이 그 준비과정으로서 먼저 나타났다. 일본이나 서양문학을 원전으로 번안이 이루어졌다. 1898년 이해조의 역술로 나온 《철세계》는 최초의 번안소설이며, 신소설 이전에 출현한 것이다. 《철세계》가 번안되기 이전에 이미 성경과 찬송가의 한국어 번역이 이루어졌고, 문학적인 작품으로는 1895년 선교사 게일(J. S. Gale)에 의해 존 버니언의 《천로역정》이 한국어로 번역되었다.[1] 그 후 1907년 번간의 정치소설 《서사건국지》는 초기의 신소설에 영향을 주었고, 계속하여 번안소설은 스에히로 데스초오의 〈설중매〉를 번안한 구연학의 《설중매》를 비롯하여 오자키 고요의 〈금색야차〉를 번안한 조중환의 《장한몽》, 《쌍옥루》, 《불여귀》, 이상협의 뒤마의 〈몬테크리스토 백작〉을 번안한 《해왕성》, 《재봉춘》, 《정부원》, 민태원의 《무쇠탈》 등 외국작품이 번안되어 일반에게 널리 읽혀졌다. 이 번안소설은 신소설과 거의 때를 같이하여, 그 내용도 유사한 것이 많다.[1] 이러한 번안소설에 대해서 외국문학의 모방이나 전통의 단절로 보는 부정적인 견해와 비교문학적 관심에서 그 가치를 인정했던 긍정적인 견해가 있다.
3. 2. 개화기 번안소설의 특징
개화기에는 창가나 신소설이 나오기 이전에 외국의 작품을 국문으로 번역한 작품이나 번안소설이 그 준비 과정으로 먼저 나타났다. 일본이나 서양 문학을 원전으로 번안이 이루어졌다. 1898년 이해조의 역술로 나온 《철세계》는 최초의 번안소설이며, 신소설 이전에 출현한 것이다. 《철세계》가 번안되기 이전에 이미 성경과 찬송가의 한국어 번역이 이루어졌고, 문학 작품으로는 1895년 선교사 게일(J. S. Gale)에 의해 존 버니언의 《천로역정》이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그 후 1907년 번간된 정치 소설 《서사건국지》는 초기의 신소설에 영향을 주었다.
계속하여 스에히로 데스초오의 〈설중매〉를 번안한 구연학의 《설중매》를 비롯하여 오자키 고요의 〈금색야차〉를 번안한 조중환의 《장한몽》, 《쌍옥루》, 《불여귀》, 이상협의 A. 뒤마의 〈몬테크리스토 백작〉을 번안한 《해왕성》, 《재봉춘》, 《정부원》, 민태원의 《무쇠탈》 등 외국 작품이 번안되어 일반에게 널리 읽혀졌다. 이 번안소설은 신소설과 거의 때를 같이하여, 그 내용도 유사한 것이 많다. 이러한 번안소설에 대해서 외국문학의 모방이나 전통의 단절로 보는 부정적인 견해와 비교문학적 관심에서 그 가치를 인정했던 긍정적인 견해가 있다.
일본 가정 소설의 번안소설이 많이 매일신보에 연재되었고, 신파극의 공연과 연계되었으며, 조선의 풍속 개량의 의도도 있었다[1].
3. 3. 주요 작가와 작품
존 버니언의 천로역정은 1895년 선교사 게일(J. S. Gale)에 의해 한국어로 번역되었으며, 근대 소설의 모태로 평가받는다.[1] 이해조의 철세계는 쥘 베른의 소설 인도 왕비의 유산을 1898년에 번안한 것으로, 최초의 번안소설이다.[1] 박은식의 서사건국지는 프리드리히 실러의 희곡 빌헬름 텔을 번안하여 1907년 매일신보에 연재한 것이다.[1] 구연학의 설중매는 스에히로 데스초오의 정치 소설 설중매를 1908년에 번안한 것이다.[1]
주요 작가와 작품은 다음과 같다.
4. 일본의 번안 소설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부터 육조 시대부터 청나라 말기까지의 문언, 백화 소설을 불문하고 중국 소설을 소재로 한 번안 작품이 많이 만들어졌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서양 작품을 일본 풍으로 개작하는 경향이 있었다. 초기에는 인명만 일본식으로 바꾸고 설정은 현지 그대로 둔 경우가 있었는데, 현재는 이 수법이 전혀 계승되지 않아 이질적인 인상을 주지만 당시에는 이것이 읽기 쉽다고 환영받았다. 이에 반해, 에도가와 란포의 번안 소설은 일본을 무대로 일본인이 등장하는 전근대 스타일로 돌아와, 오늘날에는 이 형식이 더 많이 읽혀지고 있다.
4. 1. 전근대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에 중국 소설(육조 시대부터 청나라 말기까지의 문언·백화 소설을 불문하고)을 소재로 한 번안 작품이 많이 만들어졌다.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츠 이야기』에도 번안 작품이 있다. 산유테이 엔초의 레퍼토리로 알려진 『모란등롱』이 명나라 시대의 『전등신화』를 번안한 것도 그 예시 중 하나이다.4. 2. 근대
메이지 시대 이후, 서양 작품을 일본풍으로 개작하는 경향이 있었다. 쿠로이와 루이코의 『철가면』, 『엄굴왕』 등도 그 한 예이다. 오자키 코요의 『금색야차』에도 번안의 흔적이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초기, 특히 루이코 작품에서는 인명만 일본화하고 설정은 현지 그대로 둔 경우(영국인 형사의 이름이 모리(森)이거나 검사가 마루베(丸部)이거나 하는 등)가 있는데, 현재는 이 수법이 전혀 계승되지 않아 이질적인 인상을 주지만, 당시에는 이것이 읽기 쉽다고 환영받았다. 이에 반해, 에도가와 란포의 번안 소설(일부는 루이코 작품을 재번안)은 일본을 무대로 일본인이 등장하는 전근대 스타일로 돌아와, 오늘날에는 이 형식이 더 많이 읽혀지고 있다.참조
[1]
논문
"朝鮮における「新派」:演劇と小説との交渉"
http://scs.kyushu-u.[...]
2009-10-01
[2]
논문
"〈翻案小説〉をめぐって:渡辺霞亭の『想夫憐』と李相協の『再逢春』を中心に"
http://www.tulips.ts[...]
筑波大学比較・理論文学会
2000-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