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현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현식은 1946년 경상남도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건축가이다. 김수근의 공간그룹과 윤승중의 원도시 건축에서 실무를 익혔으며, 1992년 민현식 건축연구소를 설립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를 역임하고 미술원 원장을 지냈으며, "비움의 구조화"를 건축 철학으로 삼아 한국 전통 건축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파주 출판도시, 광주 아시아 문화 중심 도시 디자인 등 도시 계획 프로젝트에도 참여했다. 베니스 비엔날레,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베를린 Aedes West 등에서 전시회를 개최했으며, 미국 건축가 협회 명예 회원으로 추대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땅의 공간', '비움의 구축', '건축에게 시대를 묻다' 등이 있으며, 공간대상 건축상, 김수근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 동문 - 자하 하디드
이라크 출신 영국 건축가 자하 하디드는 탈구축주의 건축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유동적인 기하학적 형태의 미래지향적 건축물을 설계했으며, 여성 최초로 프리츠커상을 수상하고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등 세계적인 건축물을 남겼으나, 건설 비용과 디자인의 난해함으로 논란을 겪기도 했다. - 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 동문 - 데이비드 치퍼필드
데이비드 치퍼필드는 데이비드 치퍼필드 아키텍츠를 설립하여 유럽과 미국에서 활동하는 영국의 건축가로, 노이에스 박물관 재건축으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으며, 건축물과 주변 환경의 조화를 중시하는 다양한 문화 및 시민 건축 프로젝트를 수행, 2023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했다. -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 최인훈
최인훈은 남북 분단과 이념 갈등 속 개인의 고뇌를 그린 《광장》 등의 작품으로 한국 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서울예술전문대학 교수를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 기여했고, 사후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 이창동
소설가로 데뷔하여 영화감독으로 활동하며 한국 영화계를 대표하는 거장이 된 이창동은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 《밀양》, 《시》, 《버닝》 등의 작품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문화관광부 장관을 역임하고 현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 함양군 출신 - 서동렬
서동렬은 공군 준장으로 임관하여 공군참모총장까지 역임한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공군 발전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탄압 가담 등 신군부 시절 행적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군 복무 후 한국에너지관리공단 이사장을 역임하고 정계에서도 활동했다. - 함양군 출신 - 신성범
신성범은 KBS 기자 출신으로 제18대, 19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현재 제22대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민현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46년 10월 21일 |
출생지 | 미 군정 조선 경상남도 안의군 |
직업 | 건축가 |
소속 | 건축사사무소 기오헌 |
소속 기관 |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주요 건축물 | |
건축물 | 신도리코 아산공장 |
건축물 | 임진각 평화누리 |
건축물 | 한국전통문화학교 |
건축물 | 동숭교회 |
건축물 | 국립국악중고등학교 |
건축물 | 한국전통문화학교 |
건축물 | 국립국악중고등학교 |
건축물 | 윤이상기념관 |
건축물 | 국립국악중고등학교 |
주요 프로젝트 | |
프로젝트 |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기본구상 |
프로젝트 | 가고 싶은 섬 매물도 |
프로젝트 | 화성 역사문화도시 기본구상 |
프로젝트 | 제주특별자치도 경관 및 관리계획 |
캠퍼스 계획 | 대전대학교 종합 캠퍼스 계획 |
수상 경력 | |
수상 | 김수근 문화상 (1992년) |
수상 | 한국건축가협회 특별상 아천상 (1993년) |
수상 | 한국건축문화대상 (1993년) |
수상 | 한국건축가협회상 (2000년) |
수상 | 한국건축가협회 엄덕문상 (2003년) |
수상 | 일맥문화대상 문화예술상 (2009년) |
수상 | 엄덕문 특별상 |
수상 | 국립중앙박물관 국제건축설계경기 가작 |
학력 | |
학교 | 서울대학교 |
학교 | AA건축학교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건축사사무소 기오헌 |
2. 생애
민현식은 1946년 경상남도에서 태어났다. 김수근 건축가 밑에서 공간그룹에서 경력을 쌓았고, 1980년부터 윤승중 건축가와 함께 [https://web.archive.org/web/20120528211919/http://www.wondoshi.co.kr/ 원도시 건축]에서 파트너로 협업하였다. 1989년부터 1990년까지 1년간 런던 AA 스쿨에서 수학하였고, 1992년부터 자신의 건축사무소(민현식 건축연구소, 현 기오헌)를 운영하였다. 1997년에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의 건축과를 설립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최근까지 교수로 재직했다.[2]
1992년 "시대의 메아리" 전시회에 출품한 "깊은 공간이 있는 주택"[3]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현상학적 미학", "마당; 특정한 불확정적 공간", "건축적 풍경", "비움의 구조화; 미학보다 윤리" 등 창의적인 주제를 담은 프로젝트들을 꾸준히 발표하였다.[4]
파주 출판도시를 위한 "파주 랜드스케이프 스크립트"[5][6]와 "광주, 아시아 문화 중심 도시"의 개략적인 디자인 등 여러 도시 계획 및 디자인 프로젝트에도 참여했다.[7] 그의 작품과 아이디어는 한국 건축과 도시 계획에 중요한 전환점을 제시하며, 항상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그의 작품은 한국 전통 건축에서 비롯된 "비움의 구조화"[8]에 집중해왔다. 이는 부지의 특성과 일상생활의 기반 시설과 깊이 관련된 개념으로, 건축의 객관화 수준을 넘어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는 부지의 지질학적 특징을 추상화하여 특정한 건축적 풍경을 창조하며, 상징적인 건축의 대안으로 건축의 다른 차원을 탐구한다.[9]
베니스 비엔날레(1996/2000/2002),[10]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초청 "비움의 구조화"(2003),[11] 베를린 Aedes West "파주 출판도시"(2005)[12][13] 등 국제 전시회를 통해 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건축 분야에서 보편성을 얻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공간 연구소, 원도시 건축에서 실무를 담당했으며, 런던 AA 스쿨에서 수학했다. 1996년 건축사사무소 기오헌을 설립하고, 1997년부터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2년부터 동 미술원 원장을 역임했다. 2006년에는 미국 건축가 협회 명예 회원(Hon. FAIA)이 되었다.
그의 경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기간 | 내용 |
---|---|
1992년~1996년 | 민현식 건축 연구소 대표 |
1996년~1997년 | 건축사사무소 기오헌 대표 |
1997년~ | 건축사사무소 기오헌 고문 |
1997년~2012년 |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 |
2002년~2004년 |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원장 |
민현식은 마당 깊은 집, 신도리코 건물, 국립국악중고등학교, 한국전통문화학교, 대전대학교 등 다양한 건축물을 설계했으며, 4.3 건축가 그룹, 건미준(건축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등 사회활동을 통해 "비움의 구축"이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건축과 도시의 새로운 이론을 구축하고 실천했다.[29][30]
3. 활동 및 철학
1992년 '시대의 반향' 전시에서 '마당 깊은 집'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기 시작한[32] 그는 현상학적 미학, 불확정적 공간으로서의 마당, 건축적 랜드스케이프 등 주요 화두를 제시하며 파주출판도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 등 도시 계획 및 디자인에 참여했다. 그의 작업은 한국 현대 건축과 도시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건축가 김태수는 민현식을 "건축과 사회, 그리고 예술혼의 진실성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깊이는 견줄 데 없다"고 평가했다.[31]
3. 1. 비움의 구축
민현식은 "비움의 구축"이라는 화두를 가지고 이 시대 건축과 도시의 새로운 이론을 구축하고, 그것을 건축적으로 실천하는 데 몰두하고 있다.[29][30] 그의 건축 철학은 건축의 다른 차원을 연구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한국 현대 건축의 독자성을 밝히는 것뿐만 아니라 미래의 이론을 발전시키고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33]
그는 1992년 '시대의 반향' 전시에서 '마당 깊은 집'이라는 작품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기 시작했다.[32] 이후 현상학적 미학, 불확정적 공간으로서의 마당, 건축적 랜드스케이프, 비움의 구축과 같은 주요 화두를 가지고 작업을 선보였다. 그의 건축적 관심은 파주출판도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의 계획 디자인 등 여러 도시계획과 도시 디자인으로 확장되었다.
그의 작업 중심에는 한국 전통사상에서 기인한 비움의 구축이라는 화두가 있다. 그는 땅의 지형을 추상화하여 독특한 건축적 랜드스케이프를 구축한다.
1996년과 2002년 베니스 건축비엔날레,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초청 '비움의 구축'(민현식+승효상) 건축전, "S(e)oul-scape" 등 건축전에 참가하였다.[31] 2003년 펜실베니아 대학교에서 초청한 "비움의 구축"전과 2005년 베를린 '파주출판도시'전을 통해 그의 건축에 대한 근본적이고 창조적인 생각들이 알려졌다.
3. 2. 현상학적 미학과 불확정적 공간
민현식은 1992년 '시대의 반향' 전시에서 '마당 깊은 집'이라는 작품을 선보이며 대중과 소통하기 시작했다.[32] 이후 그는 현상학적 미학, 불확정적 공간으로서의 마당, 건축적 랜드스케이프, 비움의 구축 등 주요 화두를 제시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왔다. 그의 작품들은 이러한 키워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그의 건축적 관심은 도시 문제로 확장되어 파주출판도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 등 여러 도시 계획 및 디자인에 참여하였다. 그의 작업과 건축에 대한 생각은 항상 논쟁의 중심에 있었으며, 한국 현대 건축과 도시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그의 작업 중심에는 한국 전통사상에서 기인한 비움의 구축이라는 화두가 자리 잡고 있다.
3. 3. 건축적 랜드스케이프
그는 땅의 지형을 추상화하는 것을 통해 독특한 건축적 랜드스케이프를 구축한다.[33] 그의 건축철학은 건축의 다른 차원을 연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33] 그의 작업들은 단순히 한국 현대 건축의 독자성을 밝히는 것뿐만 아니라 미래의 이론을 발전시키고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33] 그는 땅의 지질학적 특징을 추상화하여 특정한 건축적 풍경을 창조하는 방식으로, 상징적인 건축의 대안을 제시하며, 건축의 다른 차원을 탐구하고 객관화의 수준을 넘어 확장하는 방법을 제시한다.[9]
4. 주요 경력
연도 | 내용 |
---|---|
1972년~1974년 | 공간연구소 |
1974년~1975년 | 건축동인 장 |
1980년~1992년 | 원도시건축 |
1992년~1996년 | 민현식건축연구소 대표 |
1996년~1997년 | 건축사사무소 기오헌 대표 |
1997년~ | 건축사사무소 기오헌 고문 |
1997년~2012년 |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 |
2002년~2004년 |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원장 |
2005년 | 한국건축가협회 명예이사 (FKIA) |
2006년 | 미국건축가협회 명예회원 (Hon. FAIA) |
5. 대표작
민현식은 1992년 '시대의 반향' 전시에서 '마당 깊은 집'이라는 작품으로 대중과 소통하기 시작했다.[32] 이후 현상학적 미학, 불확정적 공간으로서의 마당, 건축적 랜드스케이프, 비움의 구축 등 주요 화두를 제시하며 꾸준히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건축 철학은 건축의 다른 차원을 연구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한국 현대 건축의 독자성을 밝히고 미래 이론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33]
주요 작품으로는 신도리코한국어 관련 시설, 국립국악중고등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태고등학교, 대전대학교 캠퍼스, 파주출판도시 내 건축물, 동숭교회 등이 있다.
5. 1. 건축물
- 서울 본사 및 공장, 아산 공장, 기숙사, 중국 판매 본부 및 칭다오 공장 등[16][17][18][19]
- 국립국악중고등학교 (서울특별시)[21]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부여군)
- 문태고등학교 (목포시)
- 의정부 성약교회[23]
- 윤이상 기념관
- 대전대학교 마스터플랜, 제2기숙사, 맥센터, 문무관 등[20]
- 임진각 평화누리
- 파주 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마스터플랜 및 인포룸, 말과창조사, 북센 출판물종합유통센타 등
- 동숭교회[2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북 분원[5][6]
- 해남군 화원 리조트
- 평화누리 평화 공원 + 청소년 수련원
- [https://whc.unesco.org/en/list/738/ 유네스코 세계 유산] 종묘
- 김천시 실버 병원
- 포항시 기독교 병원
연도 | 종류 | 이름 | 비고 |
---|---|---|---|
1991 | 신도리코 직원 기숙사 | [19] | |
1994 | 신도리코 행정 빌딩 | ||
1995 | 주거 시설 | 봉천 주거 지구 개발 아파트 | |
1995 | 공모전 | 국립중앙박물관 | |
1997 | 종교 건축 | 성약교회 | [23] |
1998 | 교육 시설 | 국립국악고등학교 | [21] |
1998 | 교육 시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
1999 | 교육 시설 | 문태고등학교 | |
1999 | 신도리코 본사 및 서울 공장 | ||
1999 | 신도리코 아산 공장 | [18] | |
1999 | 병원 | 포항 기독교 병원 | |
1999 | 주거 시설 | 삼성 타워 팰리스 유닛 계획 및 디자인 | |
2000 | 주거 시설 | 심우주 주택 | |
2000 | 쥬노헤어 상계 지점 | ||
2001~2009 | 교육 시설 | 대전대학교 종합 캠퍼스 계획, 문무관, 다목적 센터 등 | [20] |
2004 | 하임 빌딩, 벤처 기업을 위한 오피스 단지 | ||
2004 | KD 미디어 파주출판도시 | ||
2004 | 언어와 창작 출판사 | ||
2004 | BOOKXEN, 출판 유통 복합 단지 | ||
2004 | 파주출판도시 조경 | ||
2004 | 파주출판도시 정보실 | ||
2004~2005 | 칭다오 복합 단지 | [17] | |
2005 | R-TOTO 회사 본사 및 전시 갤러리 | [22] | |
2005 | 종교 건축 | 동숭교회 | |
2005 | 법문사 출판사 | ||
2005 | 평화누리 평화 공원 + 청소년 수련원 | ||
2005 | 종묘 | ||
2006 | 병원 | 김천 실버 병원 | |
2007 | 해남 화원 리조트 | ||
2008 | 주거 시설 | WALDHAUS 지산 | |
200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북 분원 |
5. 2. 도시 계획
민현식은 파주출판도시,[5][6]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 기본 구상,[29][30] 제주특별자치도 경관 및 관리 계획, 수원화성 역사문화도시 기본 계획, 가고 싶은 섬-매물도 등 도시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29][30] 그의 건축적 관심은 도시 문제로 확장되었으며, 이러한 작업들은 한국 현대 건축과 도시 문제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32]6. 저서
7. 수상 경력
수상 및 경력 |
---|
참조
[1]
웹사이트
Homepage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http://eng.karts.ac.[...]
2012-06-09
[2]
서적
건축에게 시대를 묻다
https://archive.toda[...]
돌베개
2006
[3]
뉴스
41 pg
http://english.donga[...]
The Dong-A Ilbo
1995-01-17
[4]
웹사이트
Structuring Emptiness : Book Review
http://koreanarchite[...]
2011-10
[5]
웹사이트
PAJU BOOK CITY: aru homepage
http://aru.londonmet[...]
[6]
웹사이트
www.pajubookcity.org
http://www.pajubookc[...]
2014-11-29
[7]
웹사이트
Hub city of Asian culture, Gwangju
http://www.cct.go.kr[...]
[8]
서적
비움의 구축 Structuring Emptiness
https://books.google[...]
동녘
2005
[9]
웹사이트
UHSoA Currents 2008: Structuring Emptiness
http://www.aiahonolu[...]
2008-04-12
[10]
웹사이트
La Biennale de Venezia Korean Pavilion official page
http://www.korean-pa[...]
2002
[11]
웹사이트
Almanac, Vol. 50, No. 7, October 7, 2003
http://www.upenn.edu[...]
[12]
웹사이트
Baunetz, Sep 20 2005
http://www.baunetz.d[...]
[13]
웹사이트
Aedes, Sep 2005
http://www.aedes-arc[...]
[14]
웹사이트
Homepage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http://www.karts.ac.[...]
2012-08-04
[15]
웹사이트
NAVER personal information page
http://people.search[...]
[16]
블로그
'SINDOH Architecture Story' from Sindoricoh Blog
http://blog.naver.co[...]
[17]
웹사이트
VM Space. The 2nd Phase of Sindohrico Company's Qingdao Comp.
http://www.vmspace.c[...]
2013-01-06
[18]
웹사이트
KIA. Project Information. Sindoricoh Headquarters, Asan
http://www.kia.or.kr[...]
[19]
웹사이트
KIA. Project Information. Dormitory of Sindoricoh
http://www.kia.or.kr[...]
[20]
웹사이트
VM space. Daejeon University's Munmugwan and WestGate Square
http://www.vmspace.c[...]
2013-01-05
[21]
웹사이트
KIA. Project Information. Korea Traditional Music National School
http://www.kia.or.kr[...]
[22]
웹사이트
VM Space. The Royal TOTO Company Building
http://www.vmspace.c[...]
2013-02-05
[23]
웹사이트
KIA. Project Information. Sungyak Presbyterian Church
http://www.kia.or.kr[...]
[24]
웹사이트
Homepage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ENG)
http://eng.karts.ac.[...]
[25]
웹사이트
Homepage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KOR)
http://www.karts.ac.[...]
[26]
웹사이트
NAVER personal information page
http://people.search[...]
[27]
웹인용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진 소개 페이지
https://archive.toda[...]
2012-02-05
[28]
웹사이트
한국건축가협회 인물 상세정보
http://www.kia.or.kr[...]
[29]
뉴스
민현식 교수의 '지적비움(intelligent void)' 조감도
http://news.naver.co[...]
뉴시스
[30]
간행물
모호한 이중주: 낭만과 전위에 대하여 - 4.3그룹
http://ancbook.cafe2[...]
월간 건축문화
[31]
웹사이트
건축에게 시대를 묻다 - 민현식의 한국 현대건축 읽기
http://www.dolbegae.[...]
[32]
뉴스
아파트 숲속의 '마당깊은집':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5-01-17
[33]
뉴스
한예종 미술원 민현식 교수 美 건축가협회 명예회원에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34]
뉴스
일맥문화대상에 민현식 교수 등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