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트 (오스만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레트는 오스만 제국에서 비무슬림 소수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로, 종교적 공동체를 의미했다. 오스만 제국은 종교에 따라 밀레트를 구분하여 자치권을 부여했고, 각 밀레트는 자체 법률과 세금을 가지고 있었다. 19세기 민족주의의 부상과 함께 밀레트 개념은 변화했으며, 종교적 신념과 민족적 국적의 동일시가 이루어졌다. 밀레트 제도는 오스만 제국 이후 이집트, 이스라엘, 그리스 등 일부 국가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존재하며, 터키어에서 '밀레트'는 국가 또는 민족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밀레트 (오스만 제국) | |
---|---|
개요 | |
![]() | |
유형 | 법률 시스템 |
위치 | 오스만 제국 |
도입 | 기원후 15세기 |
폐지 | 오스만 제국 해체 이후 |
상세 내용 | |
정의 | 오스만 제국 내의 종교적 소수 집단을 의미하며, 각 집단은 자체적인 법률, 종교, 교육, 사회 복지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었음 |
특징 | 각 밀레트는 종교 지도자를 통해 자치권을 행사했으며, 세금 징수, 법률 제정, 교육 운영 등에 대한 권한을 가짐 밀레트 시스템은 종교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지만, 동시에 종교 간의 불평등과 갈등을 야기하기도 함 |
기원 | 밀레트 시스템의 기원은 이슬람의 딤미 제도에서 찾을 수 있음 오스만 제국은 딤미 제도를 확장하여 기독교, 유대교 등 다양한 종교 집단에게 자치권을 부여 |
밀레트의 종류 | 정교회: 룸 밀레트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밀레트 유대교: 유대인 밀레트 |
역할 | 종교적 소수 집단의 자치권 보장 사회적 안정 유지 세금 징수 및 행정 업무 대행 |
역사적 맥락 | |
배경 | 오스만 제국은 다양한 종교와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였으며, 밀레트 시스템은 이러한 다양성을 관리하고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됨 |
발전 | 밀레트 시스템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으며, 특히 19세기 탄지마트 개혁 시기에 더욱 확대되고 제도화됨 탄지마트 개혁은 모든 밀레트에게 법적으로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고, 중앙 정부의 통제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영향 | 밀레트 시스템은 오스만 제국의 사회, 정치,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종교적 소수 집단의 정체성과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데 기여함 또한, 밀레트 시스템은 민족주의 운동의 발전을 촉진하고, 오스만 제국의 해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함 |
평가 | |
긍정적 평가 | 종교적 다양성 존중 사회적 안정 유지 소수 집단의 자치권 보장 |
부정적 평가 | 종교 간 불평등 심화 민족주의 운동 촉발 중앙 정부의 통제 약화 |
2. 명칭
"밀레트(millet)"라는 용어는 아랍어 "밀라(milla)"에서 유래되었으며, 오스만 터키어에서는 종교, 종교 공동체, 국가라는 세 가지 기본 의미를 지녔다.[8] 첫 번째 의미는 쿠란의 용법에서 파생되었다.[8] 벤자민 브라우드와 도널드 쿼타트는 탄지마트 개혁 이전에는 "밀레트"가 오스만 제국 외부의 무슬림 종교 공동체 또는 기독교인을 지칭했다고 주장했다.[8][9] 반면, 마이클 우르시누스는 그 단어가 그 이전에도 오스만 제국의 비무슬림 신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기록했다.[8] 이 용어는 19세기 이전에 일관성 없이 사용되었다.[8]
밀레트 제도는 이슬람교 지배 아래 살아가는 비무슬림 소수민족(딤미)의 처우에 관한 이슬람 규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오스만 제국에서 밀레트는 소수 민족이 오스만 정부의 간섭을 거의 받지 않고 스스로를 다스릴 수 있는 개인법에 관한 별도의 법원을 가리켰다.[13][14]
오스만 제국은 19세기까지 비무슬림에 대한 행정이 지역과 집단에 따라 균일하지 않았지만, 이전 시대의 몇 가지 일반적인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기독교와 유대교 공동체는 상당한 자치권을 부여받았다. 이들 공동체의 세금 징수, 교육, 법률 및 종교 문제는 자체 지도자들이 관리했다. 이를 통해 오스만 제국은 "최소한의 저항"으로 다양한 민족을 다스릴 수 있었다. 특히 유대인 공동체는 오스만 제국 통치하에서 번성했으며, 스페인에서 추방된 유대인들의 유입으로 그 수가 증가했다. 동시에 비무슬림은 여러 형태의 차별을 받았고 오스만 지배 엘리트에서 배제되었다.[16] 아르메니아인은 오스만 제국 통치하에서 세 개의 ''밀레트''를 형성했다.[17] 가톨릭교도, 카라이트, 그리고 사마리아인과 같은 광범위한 다른 집단들도 대표되었다.
19세기 초 술탄 마흐무트 2세() 통치 시대부터 비무슬림 오스만 공동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밀레트"가 체계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0] 공식 문서에서 비무슬림 신민은 그리스 정교회, 아르메니아, 유대의 세 "밀레트"로 조직되었다고 언급되었다.[10] 당시 관료들은 밀레트 시스템이 메흐메트 1세() 시대부터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이라고 주장했지만,[10] 최근 연구에서는 고대 전통을 가장한 후기 정치적 혁신으로 보고 있다.[10] 오스만 국가는 민족성이 아닌 종교를 사용하여 각 "밀레트"를 정의했으며, 무슬림은 "밀레트"에 속한다고 정의하지 않았다.[11]
1876년 오스만 헌법의 오스만 터키어 버전에서는 아랍어 및 페르시아어 버전과 마찬가지로 "''밀레트''"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당시 아랍어 "''밀라''"의 사용은 "움마"라는 단어에 대한 선호로 감소하고 있었다.[5] 아르메니아인, 그리스인, 유대인 거주자들은 "''밀레트''" 대신 자신들을 "국가"(, 아르메니아어: ազգ (azg), 그리스어: Έθνος (ethnos), 라디노어: ''nasyon'')로 묘사했다.[12] 오스만 헌법의 프랑스어 버전은 "''밀레트''" 대신 "''communauté''"라는 단어를 사용했으며, 아르메니아어의 հասարակութիւն (''hasarakut'iwn''), 불가리아어의 общност/община (''obstina''), 그리스어의 κοινότης (''koinotēs''), 유대-스페인어의 ''komunita'' 등 다른 언어 버전에서도 프랑스어에 기반한 단어를 사용했다.[5]
"밀레트"는 아랍어로 "종교, 신앙; 종파"를 의미하는 مِلَّةar(millah 또는 milla, 밀라)를 어원으로 하는 튀르키예어 단어 millet(밀레트)의 가타카나 표기 변형 중 하나이다. 튀르키예어 발음은 밀레트이므로 "밀레트"는 오독이지만, 일본에서는 자주 사용되어 온 표기였다. 현재는 중동 관계 논문이나 전문 서적에서는 원어 발음에 따른 "밀레트"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개념
사람들은 민족적 기원이 아닌 종교적 소속(또는 그들의 종교 공동체)에 따라 밀레트에 묶여 있었다(현대까지 아르메니아인은 예외).[15] 밀레트는 그들 자신의 법을 정하고 세금을 징수하고 분배하는 등 상당한 권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제국에 대한 충성만 요구되었다. 한 밀레트의 구성원이 다른 밀레트 구성원에게 범죄를 저지른 경우 피해 당사자의 법이 적용되었지만, 무슬림과 관련된 모든 분쟁은 샤리아 기반 법에 따랐다.
19세기 오스만 제국 내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밀레트 개념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다.
4. 밀레트의 종류
=== 무슬림 ===
오스만 제국 내 많은 수의 체르케스인은 주로 크림 전쟁으로 인해 발생했다. 전쟁 중과 그 이후 수년간, 많은 체르케스인들이 러시아 제국에 의해 고향이 정복당하면서 도망쳤다.[18] 오스만 제국의 체르케스인들은 무슬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로 자급자족하며 자체적인 정체성을 유지했고, 외부의 영향력을 용납하지 않는 자체 법정을 갖기도 했다.[19]
=== 정교회 기독교인 ===
루마 밀레트(Rum Millet)는 오스만 제국 내 정교회 기독교인 공동체를 지칭하는 말로, "로마 민족"이라는 뜻의 ''밀레트-이 룸''(''millet-i Rûm'')으로도 불렸다.[20] 이들은 어느 정도 자율성을 누렸다.[20]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알바니아인, 조지아인, 아랍인, 아로마니아인, 메글레노-로마니아인, 루마니아인, 세르비아인 등 다양한 민족과 언어를 가진 사람들이 모두 룸 밀레트에 속했지만, 종교 지도부는 주로 그리스인이 맡았다.[20]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족 정체성은 유지되었는데, 1680년 술탄의 칙령에는 발칸 반도의 민족 집단으로 그리스인 (''Rum''), 알바니아인 (''Arnaut''), 세르비아인 (''Sirf''), "왈라키아인" (''Eflak'', 아로마니아인과 메글레노-로마니아인을 지칭), 불가리아인 (Bulgar)이 언급되어 있다.[21]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오스만 제국 내 모든 동방 정교회 신민의 최고 종교 및 정치 지도자인 ''밀레트-바시''(민족 지도자)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러시아 (1774년 퀴취크 카이나르자 조약에 따라) 등 일부 강대국은 오스만 제국의 정교회 신민에 대한 보호권을 주장하기도 했다. 페치 세르비아 총대주교청과 오흐리드 대주교청은 한때 세계 총대주교의 보호를 받는 자치 정교회였으나, 18세기(각각 1766년과 1767년)에 그리스 파나리오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19세기에는 정교회 기독교 밀레트가 그리스인에 의해 지배되면서, 불가리아와 루마니아의 자치 교회 설립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1860~1862년에 걸쳐 1963년에 제작된 일련의 법률들은 그리스 정교회 밀레트의 기본 법률을 구성한다.
=== 아르메니아인 ===
19세기까지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22]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23] 아르메니아 개신교 교회(19세기에 형성됨)[24]에 속하는지에 관계없이 모든 민족 아르메니아인에게 봉사하는 단일 아르메니아 ''밀레트''가 존재했다. 이 ''밀레트''는 종교적 역할 외에도 정치적, 문화적 역할도 수행했다. 즉, 모든 아르메니아인과 일부 다른 집단을 묶어 종교적 정체성에서 민족적 정체성으로의 변화를 보여주었다.[23] 그 결과, 이 ''밀레트''에 속한 모든 집단이 술탄이 임명한 ''밀레트'' 지도자가 부과한 규범을 따라야 하는 일종의 헤게모니가 등장했다.[23] 이는 이 모든 집단에 문화적, 정치적, 언어적, 종교적 영향을 미쳤다. 나중에 별도의 가톨릭 ''밀레트''가 등장했다. 아르메니아 교회와 신학적으로 연관된 교회(비칼케돈주의라는 점에서)에 속하는 비 아르메니아인들은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의 권한 아래 있었지만, 자체 총대주교를 가진 별도의 계층을 유지했다. 이 그룹에는 시리아 정교와 콥트교가 포함되었다.[25][22]
1850년에 아르메니아 가톨릭과 아르메니아 개신교는 (영국의 지원을 받아) 아르메니아 그레고리 밀레트에서 분리되어 자체 밀레트가 되었다. 1856년 제국 개혁 칙령 이후, 아르메니아 개신교 밀레트는 대표적이고 평신도의 통제 원칙에 기초한 헌법을 정부로부터 승인받은 최초의 밀레트였다. 그레고리 아르메니아인 사이에서 헌법에 대한 논쟁은 개신교 아르메니아인들의 영향을 받았다. 아르메니아 그레고리 밀레트는 Loussavorial과 Khavarials 사이, 그리고 포르테와의 아르메니아 공동체 내의 여러 해의 긴장 끝에 1863년 3월 29일에 헌법을 받았다.
=== 시리아 기독교인 ===
아시리아인은 터키어 방언으로 '아수리'라고 불린다.[26] 아시리아인들은 기독교 종파에 따라 나뉘었으며, 오스만 정부는 이들을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 취급했다. 동방 교회는 대체로 아시리아인으로 간주되지만, 전례 언어는 시리아어이기 때문에, 19세기 오스만 법률에 따라 교회 소속에 따른 분리의 결과로 시리아어를 사용하는 아시리아인에 대한 여러 '밀레트'가 발생했다.[27]
시리아 가톨릭 교회 공동체는 1829년에 자체 ''밀레트''로 인정받았다.[27] 칼데아 가톨릭 교회 공동체는 1844년에 자체 ''밀레트''로 인정받았다.[28] 오스만 제국 내 시리아 정교회 공동체는 오랫동안 자체 ''밀레트''로 인정받지 못하고, 아르메니아 ''밀레트''의 일부였다. 이는 시리아 정교회가 언어적, 문화적, 정치적, 종교적으로 아르메니아인의 지배를 받았음을 의미한다.[23] ''탄지마트'' 개혁(1839–78) 기간 동안 시리아 정교회는 1873년에 자체 ''밀레트''로 인정받아 독립적인 지위를 얻었다.[27]
=== 유대인 ===
밀레트 시스템 하에서 유대인들은 동방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등과 마찬가지로 종교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로 조직되었다. 그들은 제국 내에서 가장 지리적으로 널리 퍼진 집단이었다.[29] 오스만 제국의 유대인들은 오스만 제국 내의 기독교인들과 비슷한 특권을 누렸다.[30] 밀레트의 틀 안에서 그들은 상당한 행정적 자율성을 가졌으며, 하캄 바시(Hakham Bashi)에 의해 대표되었다.[31]
유대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다른 밀레트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경전의 사람들"로 간주되었으며 이슬람의 샤리아 법에 의해 보호받았다.[32] 그러나 유대인들은 법의 시각에서 무슬림과 동등하게 여겨지지는 않았지만,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 비교적 좋은 대우를 받았다. 노먼 스틸만은 중세 유대인들의 번영이 그들의 무슬림 통치자들의 번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스틸만은 유대 문화가 번성했던 9세기에서 13세기 사이, "중세 이슬람 문명이 절정에 달했다"고 지적한다.[33] 중세 유럽에서의 맹렬한 박해를 고려할 때, 많은 유대인들은 밀레트를 긍정적으로 바라보았다. 19세기 후반, 시온주의 운동의 선구자였던 젊은 러시아 유대인 집단인 빌루와 같은 단체들은 팔레스타인에서 더 큰 독립성을 허용하는 밀레트와 같은 정착지를 허용하기 위해 술탄과 협상할 것을 제안했다.[34]
=== 로마 가톨릭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이후, 술탄의 영토 내 유일한 라틴 가톨릭 집단은 제노바인들이었다.[35] 그 후 수십 년 동안, 터키 군대는 발칸 반도로 진격하여 알바니아, 보스니아, 크로아티아, 헝가리의 가톨릭 인구를 점령했다.
동방에서는, 16세기 레바논의 마론파, 팔레스타인의 라틴인, 그리고 한때 라틴 가톨릭 공동체를 가지고 있던 대부분의 그리스 섬들이 터키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공동체의 상실에 대한 교황의 반응은 처음에는 십자군을 소집하는 것이었지만, 유럽 가톨릭 군주들의 반응은 미미했다. 게다가 프랑스는 합스부르크에 대항하여 터키와 동맹을 맺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 오스만 세계의 가톨릭 신자들은 프랑스 대사의 인물로 포르테(Porte)에서 보호를 받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마 가톨릭 ''밀레트''는 탄지마트 개혁이 시작될 때 설립되었다.[38]
멜키트 가톨릭은 술탄 압둘메지드에 의해 1848년 종교 공동체로서 자율성을 얻었다.[36] 브루스 마스터스는 멜키트 가톨릭 신자들이 자신들만의 ''밀레트''를 주장하며, 이는 그들에게 "독자성"을 부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37]
4. 1. 무슬림
오스만 제국 내 많은 수의 체르케스인은 주로 크림 전쟁으로 인해 발생했다. 전쟁 중과 그 이후 수년간, 많은 체르케스인들이 러시아 제국에 의해 고향이 정복당하면서 도망쳤다.[18] 오스만 제국의 체르케스인들은 무슬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로 자급자족하며 자체적인 정체성을 유지했고, 외부의 영향력을 용납하지 않는 자체 법정을 갖기도 했다.[19]
4. 2. 정교회 기독교인
루마 밀레트 (Rum Millet)는 오스만 제국 내 정교회 기독교인 공동체를 지칭하는 말로, "로마 민족"이라는 뜻의 ''밀레트-이 룸''(''millet-i Rûm'')으로도 불렸다.[20] 이들은 어느 정도 자율성을 누렸다.[20]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알바니아인, 조지아인, 아랍인, 아로마니아인, 메글레노-로마니아인, 루마니아인, 세르비아인 등 다양한 민족과 언어를 가진 사람들이 모두 룸 밀레트에 속했지만, 종교 지도부는 주로 그리스인이 맡았다.[20]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족 정체성은 유지되었는데, 1680년 술탄의 칙령에는 발칸 반도의 민족 집단으로 그리스인 (''Rum''), 알바니아인 (''Arnaut''), 세르비아인 (''Sirf''), "왈라키아인" (''Eflak'', 아로마니아인과 메글레노-로마니아인을 지칭), 불가리아인 (Bulgar)이 언급되어 있다.[21]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오스만 제국 내 모든 동방 정교회 신민의 최고 종교 및 정치 지도자인 ''밀레트-바시''( 민족 지도자)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러시아 (1774년 퀴취크 카이나르자 조약에 따라) 등 일부 강대국은 오스만 제국의 정교회 신민에 대한 보호권을 주장하기도 했다. 페치 세르비아 총대주교청과 오흐리드 대주교청은 한때 세계 총대주교의 보호를 받는 자치 정교회였으나, 18세기(각각 1766년과 1767년)에 그리스 파나리오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19세기에는 정교회 기독교 밀레트가 그리스인에 의해 지배되면서, 불가리아와 루마니아의 자치 교회 설립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1860~1862년에 걸쳐 1963년에 제작된 일련의 법률들은 그리스 정교회 밀레트의 기본 법률을 구성한다.
4. 3. 아르메니아인
19세기까지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22]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23] 아르메니아 개신교 교회(19세기에 형성됨)[24]에 속하는지에 관계없이 모든 민족 아르메니아인에게 봉사하는 단일 아르메니아 ''밀레트''가 존재했다. 이 ''밀레트''는 종교적 역할 외에도 정치적, 문화적 역할도 수행했다. 즉, 모든 아르메니아인과 일부 다른 집단을 묶어 종교적 정체성에서 민족적 정체성으로의 변화를 보여주었다.[23] 그 결과, 이 ''밀레트''에 속한 모든 집단이 술탄이 임명한 ''밀레트'' 지도자가 부과한 규범을 따라야 하는 일종의 헤게모니가 등장했다.[23] 이는 이 모든 집단에 문화적, 정치적, 언어적, 종교적 영향을 미쳤다. 나중에 별도의 가톨릭 ''밀레트''가 등장했다. 아르메니아 교회와 신학적으로 연관된 교회(비칼케돈주의라는 점에서)에 속하는 비 아르메니아인들은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의 권한 아래 있었지만, 자체 총대주교를 가진 별도의 계층을 유지했다. 이 그룹에는 시리아 정교와 콥트교가 포함되었다.[25][22]
1850년에 아르메니아 가톨릭과 아르메니아 개신교는 (영국의 지원을 받아) 아르메니아 그레고리 밀레트에서 분리되어 자체 밀레트가 되었다. 1856년 제국 개혁 칙령 이후, 아르메니아 개신교 밀레트는 대표적이고 평신도의 통제 원칙에 기초한 헌법을 정부로부터 승인받은 최초의 밀레트였다. 그레고리 아르메니아인 사이에서 헌법에 대한 논쟁은 개신교 아르메니아인들의 영향을 받았다. 아르메니아 그레고리 밀레트는 Loussavorial과 Khavarials 사이, 그리고 포르테와의 아르메니아 공동체 내의 여러 해의 긴장 끝에 1863년 3월 29일에 헌법을 받았다.
4. 4. 시리아 기독교인
아시리아인은 터키어 방언으로 '아수리'라고 불린다.[26] 아시리아인들은 기독교 종파에 따라 나뉘었으며, 오스만 정부는 이들을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 취급했다. 동방 교회는 대체로 아시리아인으로 간주되지만, 전례 언어는 시리아어이기 때문에, 19세기 오스만 법률에 따라 교회 소속에 따른 분리의 결과로 시리아어를 사용하는 아시리아인에 대한 여러 '밀레트'가 발생했다.[27]
시리아 가톨릭 교회 공동체는 1829년에 자체 ''밀레트''로 인정받았다.[27] 칼데아 가톨릭 교회 공동체는 1844년에 자체 ''밀레트''로 인정받았다.[28] 오스만 제국 내 시리아 정교회 공동체는 오랫동안 자체 ''밀레트''로 인정받지 못하고, 아르메니아 ''밀레트''의 일부였다. 이는 시리아 정교회가 언어적, 문화적, 정치적, 종교적으로 아르메니아인의 지배를 받았음을 의미한다.[23] ''탄지마트'' 개혁(1839–78) 기간 동안 시리아 정교회는 1873년에 자체 ''밀레트''로 인정받아 독립적인 지위를 얻었다.[27]
4. 5. 유대인
밀레트 시스템 하에서 유대인들은 동방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등과 마찬가지로 종교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로 조직되었다. 그들은 제국 내에서 가장 지리적으로 널리 퍼진 집단이었다.[29] 오스만 제국의 유대인들은 오스만 제국 내의 기독교인들과 비슷한 특권을 누렸다.[30] 밀레트의 틀 안에서 그들은 상당한 행정적 자율성을 가졌으며, 하캄 바시(Hakham Bashi)에 의해 대표되었다.[31]
유대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다른 밀레트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경전의 사람들"로 간주되었으며 이슬람의 샤리아 법에 의해 보호받았다.[32] 그러나 유대인들은 법의 시각에서 무슬림과 동등하게 여겨지지는 않았지만,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 비교적 좋은 대우를 받았다. 노먼 스틸만은 중세 유대인들의 번영이 그들의 무슬림 통치자들의 번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스틸만은 유대 문화가 번성했던 9세기에서 13세기 사이, "중세 이슬람 문명이 절정에 달했다"고 지적한다.[33] 중세 유럽에서의 맹렬한 박해를 고려할 때, 많은 유대인들은 밀레트를 긍정적으로 바라보았다. 19세기 후반, 시온주의 운동의 선구자였던 젊은 러시아 유대인 집단인 빌루와 같은 단체들은 팔레스타인에서 더 큰 독립성을 허용하는 밀레트와 같은 정착지를 허용하기 위해 술탄과 협상할 것을 제안했다.[34]
4. 6. 로마 가톨릭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이후, 술탄의 영토 내 유일한 라틴 가톨릭 집단은 제노바인들이었다.[35] 그 후 수십 년 동안, 터키 군대는 발칸 반도로 진격하여 알바니아, 보스니아, 크로아티아, 헝가리의 가톨릭 인구를 점령했다.
동방에서는, 16세기 레바논의 마론파, 팔레스타인의 라틴인, 그리고 한때 라틴 가톨릭 공동체를 가지고 있던 대부분의 그리스 섬들이 터키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공동체의 상실에 대한 교황의 반응은 처음에는 십자군을 소집하는 것이었지만, 유럽 가톨릭 군주들의 반응은 미미했다. 게다가 프랑스는 합스부르크에 대항하여 터키와 동맹을 맺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 오스만 세계의 가톨릭 신자들은 프랑스 대사의 인물로 포르테(Porte)에서 보호를 받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마 가톨릭 ''밀레트''는 탄지마트 개혁이 시작될 때 설립되었다.[38]
멜키트 가톨릭은 술탄 압둘메지드에 의해 1848년 종교 공동체로서 자율성을 얻었다.[36] 브루스 마스터스는 멜키트 가톨릭 신자들이 자신들만의 ''밀레트''를 주장하며, 이는 그들에게 "독자성"을 부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37]
4. 7. 개신교
5. 역사
밀레트 제도는 이슬람 지배 아래 사는 비무슬림 소수민족(딤미)의 처우에 관한 이슬람 규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오스만 용어는 구체적으로 소수 민족이 오스만 정부의 거의 간섭 없이 스스로를 다스릴 수 있는 개인법에 관한 별도의 법원을 가리킨다.
사람들은 밀레트 개념에 따라 민족적 기원이 아닌 종교적 소속 (또는 그들의 고백 공동체)에 의해 밀레트에 묶여있었다. (아르메니아인/Հայերhy의 경우는 제외, 현대까지) 밀레트에 속한 자들은 엄청난 권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법을 정하고 그들 자신의 세금을 징수하고 분배했다. 필요한 것은 제국에 대한 충성뿐이었다. 한 밀레트의 구성원이 다른 구성원에 대해 범죄를 저질렀을 때 피해 당사자의 법이 적용되었지만 지배 이슬람 다수가 가장 중요했기 때문에 무슬림과 관련된 모든 분쟁은 그들의 샤리아 기반 법에 속했다.
나중에 밀레트의 개념에 대한 인식은 오스만 제국 내에서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19세기에 바뀌었다.
윌리엄 에인저 위그램은 1910년 페르시아 사산 제국에 "밀레트"라는 용어를 적용했는데, 그곳의 상황이 오스만 제국의 밀레트 시스템과 유사하며 이를 설명할 다른 용어가 없다고 주장했다.[39] 다른 일부 저자들도 이 용법을 채택했다.[40] 사산 제국의 초기 기독교인들은 동방 교회(나중에는 네스토리우스 교회로 알려짐, 네스토리우스파 분열 이후)를 형성했다. 동방 교회의 지도자인 가톨리코스 또는 동방 총대주교는 제국 내 기독교인들에 대해 페르시아 왕에게 책임을 졌다. 기독교인들을 보호받는 종교 공동체로 유지하는 이 시스템은 사산 왕조의 이슬람 정복 이후에도 계속되었고,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공동체는 번성하여 제국의 국경을 훨씬 넘어 중국과 인도까지 선교사를 파견할 수 있었다.
1839년과 1856년에 걸쳐 오스만 제국은 종교 공동체 간의 평등을 목표로 개혁을 시도했다. 이러한 개혁 과정에서 동방 가톨릭 교회와 개신교 기독교 공동체를 위한 새로운 ''밀레트''가 등장했다. 각 ''밀레트''의 수장과 성직자들은 중앙 정부의 내부 규율 검토를 받게 되었고, 그들의 권력은 견제받게 되었다.[41] 많은 ''밀레트'' 시스템 내 성직자들은 이러한 개혁에 반발했는데, 이는 개혁이 ''밀레트''와 성직자들이 쌓아온 권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밀레트''들은 자율성을 포기하려 하지 않았고, 시도된 개혁과 종교 공동체의 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늦추었다.[42]
19세기 초 이전에는 ''밀레트''가 막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체적인 법률을 제정하고 세금을 징수 및 분배했다. 탄지마트 개혁은 오스만 제국 내 피지배 민족 사이에서 오스만주의를 장려하고 분리주의 민족주의 운동의 부상을 막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개혁은 새로운 법률과 규정을 통해 비무슬림과 비튀르크인을 오스만 사회에 더욱 철저하게 통합하려 했지만,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1856년, 탄지마트 시대에 압뒬메지트 1세 술탄은 ''핫-에 훔마윤(Hatt-ı Hümayun)'' (현대 터키어: ''Islahat Fermânı''; "개혁 칙령")을 제정하여 모든 종교 공동체의 종교 자유와 시민적 평등을 선포했다. 또한 각 ''밀레트''에 더 큰 특권과 자치권을 부여했지만, 술탄에 대한 충성 서약도 요구했다.
1863년 3월, 술탄은 당시의 아르메니아 정교 그레고리 민족(''밀레트'')을 위한 헌법인 "아르메니아 민족 규정(Turkish: ''Nizâmnâme−i Millet−i Ermeniyân'')을 제정했다. 이 문서는 아르메니아 지식인들이 작성했으며,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와 귀족의 권력을 제한하려 했다. 이는 아르메니아 민족 의회를 창설했다.[43]
이러한 두 개혁은 이론적으로 법에 의한 사회 변화의 완벽한 예였지만, 오스만 정치 및 행정 구조에 심각한 스트레스를 야기했다.
오스만 제국은 오스만 제국 치외법권 하에서 중요한 국내 권력을 잃었다. 제국에 거주하는 많은 외국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법이 아닌 모국의 법을 따랐다. 게다가 유럽 열강들은 제국 내 특정 집단의 공식적인 보호자가 되었다. 러시아는 동방 정교회를, 프랑스는 로마 가톨릭을, 영국은 유대인 및 기타 집단을 보호했다.[44]
러시아와 영국은 아르메니아인을 두고 경쟁했다. 동방 정교회는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아나톨리아에 100명이 넘는 미국 개신교 선교사를 파견하여 자신들의 가르침을 약화시킨다고 인식했다.
서방 국가 정부의 지원을 받은 이러한 종교 활동은 정치적 목표와 무관하지 않았다. 1847년의 촛대 전쟁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이는 결국 1854년에 크림 전쟁으로 이어졌다.[44] 팔레스타인에서는 가톨릭과 정교회 수도사들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으며, 프랑스는 1840년부터 이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자원을 투입했다. 성지 수리는 종파들에게 중요했는데, 이는 성지 열쇠 소유와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프랑스를 포함한 보호국들은 오스만 수도에 총독에 대한 경고장을 보냈는데, 그가 "촛대 전쟁"으로 인해 성전 안에 군인을 배치하여 성묘 교회를 방어해야 했기 때문에 열쇠 교체 기회를 없앤 혐의로 비난받았다.[45] 역대 오스만 정부는 예루살렘 성지 통제권을 놓고 경쟁하는 여러 기독교 집단에 우선적인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칙령을 발표했다.[46]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유럽에서 일어난 민족주의는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으로 확대되었다. 각 밀레트는 자체 학교, 교회, 병원 및 기타 시설을 설립하면서 점점 더 독립성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활동은 기독교 인구를 효과적으로 오스만 정치 시스템의 틀 밖으로 이동시켰다.[47]
오스만 ''밀레트'' 시스템(시민권)은 종교적 신념과 민족적 국적의 동일시가 증가하면서 약화되기 시작했다. 프랑스 혁명의 사상과 ''밀레트'' 시스템의 상호 작용은 오스만 깃발 아래에서 국적을 종교와 동일시하는 일련의 사상(새로운 형태의 개인적 동일성)을 만들어냈다. 아르메니아 민족 해방 운동이 아르메니아 교회 내에서 표출되었을 때, 이 시스템을 유지하거나 문명 충돌을 막는 것은 불가능했다. 총대주교 네르세스 바르자베디안은 1878년 4월 13일 영국 외무부 장관 샐즈베리 경에게 오스만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47]
아르메니아인과 터키인이 더 이상 함께 살 수 없게 되었다. 기독교 행정부만이 평등, 정의, 양심의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무슬림 행정부를 기독교 행정부로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아르메니아(동부 아나톨리아)와 킬리키아는 기독교 행정부가 설립되어야 할 지역으로 여겨졌고, 터키 아르메니아인들은 레바논에서처럼 터키 아르메니아에서도 기독교 행정부를 요구했다.[47]
5. 1. 사산 제국의 밀레트
윌리엄 에인저 위그램은 1910년 페르시아 사산 제국에 "밀레트"라는 용어를 적용했는데, 그곳의 상황이 오스만 제국의 밀레트 시스템과 유사하며 이를 설명할 다른 용어가 없다고 주장했다.[39] 다른 일부 저자들도 이 용법을 채택했다.[40] 사산 제국의 초기 기독교인들은 동방 교회(나중에는 네스토리우스 교회로 알려짐, 네스토리우스파 분열 이후)를 형성했다. 동방 교회의 지도자인 가톨리코스 또는 동방 총대주교는 제국 내 기독교인들에 대해 페르시아 왕에게 책임을 졌다. 기독교인들을 보호받는 종교 공동체로 유지하는 이 시스템은 사산 왕조의 이슬람 정복 이후에도 계속되었고,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공동체는 번성하여 제국의 국경을 훨씬 넘어 중국과 인도까지 선교사를 파견할 수 있었다.5. 2. 19세기 (개혁 시대)
1839년과 1856년에 걸쳐 오스만 제국은 종교 공동체 간의 평등을 목표로 개혁을 시도했다. 이러한 개혁 과정에서 동방 가톨릭 교회와 개신교 기독교 공동체를 위한 새로운 ''밀레트''가 등장했다. 각 ''밀레트''의 수장과 성직자들은 중앙 정부의 내부 규율 검토를 받게 되었고, 그들의 권력은 견제받게 되었다.[41] 많은 ''밀레트'' 시스템 내 성직자들은 이러한 개혁에 반발했는데, 이는 개혁이 ''밀레트''와 성직자들이 쌓아온 권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밀레트''들은 자율성을 포기하려 하지 않았고, 시도된 개혁과 종교 공동체의 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늦추었다.[42]19세기 초 이전에는 ''밀레트''가 막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체적인 법률을 제정하고 세금을 징수 및 분배했다. 탄지마트 개혁은 오스만 제국 내 피지배 민족 사이에서 오스만주의를 장려하고 분리주의 민족주의 운동의 부상을 막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개혁은 새로운 법률과 규정을 통해 비무슬림과 비튀르크인을 오스만 사회에 더욱 철저하게 통합하려 했지만,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1856년, 탄지마트 시대에 압뒬메지트 1세 술탄은 ''핫-에 훔마윤(Hatt-ı Hümayun)'' (현대 터키어: ''Islahat Fermânı''; "개혁 칙령")을 제정하여 모든 종교 공동체의 종교 자유와 시민적 평등을 선포했다. 또한 각 ''밀레트''에 더 큰 특권과 자치권을 부여했지만, 술탄에 대한 충성 서약도 요구했다.
1863년 3월, 술탄은 당시의 아르메니아 정교 그레고리 민족(''밀레트'')을 위한 헌법인 "아르메니아 민족 규정(Turkish: ''Nizâmnâme−i Millet−i Ermeniyân'')을 제정했다. 이 문서는 아르메니아 지식인들이 작성했으며,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와 귀족의 권력을 제한하려 했다. 이는 아르메니아 민족 의회를 창설했다.[43]
이러한 두 개혁은 이론적으로 법에 의한 사회 변화의 완벽한 예였지만, 오스만 정치 및 행정 구조에 심각한 스트레스를 야기했다.
==== 선교 보호령의 영향 ====
오스만 제국은 오스만 제국 치외법권 하에서 중요한 국내 권력을 잃었다. 제국에 거주하는 많은 외국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법이 아닌 모국의 법을 따랐다. 게다가 유럽 열강들은 제국 내 특정 집단의 공식적인 보호자가 되었다. 러시아는 동방 정교회를, 프랑스는 로마 가톨릭을, 영국은 유대인 및 기타 집단을 보호했다.[44]
러시아와 영국은 아르메니아인을 두고 경쟁했다. 동방 정교회는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아나톨리아에 100명이 넘는 미국 개신교 선교사를 파견하여 자신들의 가르침을 약화시킨다고 인식했다.
서방 국가 정부의 지원을 받은 이러한 종교 활동은 정치적 목표와 무관하지 않았다. 1847년의 촛대 전쟁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이는 결국 1854년에 크림 전쟁으로 이어졌다.[44] 팔레스타인에서는 가톨릭과 정교회 수도사들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으며, 프랑스는 1840년부터 이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자원을 투입했다. 성지 수리는 종파들에게 중요했는데, 이는 성지 열쇠 소유와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프랑스를 포함한 보호국들은 오스만 수도에 총독에 대한 경고장을 보냈는데, 그가 "촛대 전쟁"으로 인해 성전 안에 군인을 배치하여 성묘 교회를 방어해야 했기 때문에 열쇠 교체 기회를 없앤 혐의로 비난받았다.[45] 역대 오스만 정부는 예루살렘 성지 통제권을 놓고 경쟁하는 여러 기독교 집단에 우선적인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칙령을 발표했다.[46]
==== 민족주의의 영향 ====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유럽에서 일어난 민족주의는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으로 확대되었다. 각 밀레트는 자체 학교, 교회, 병원 및 기타 시설을 설립하면서 점점 더 독립성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활동은 기독교 인구를 효과적으로 오스만 정치 시스템의 틀 밖으로 이동시켰다.[47]
오스만 ''밀레트'' 시스템(시민권)은 종교적 신념과 민족적 국적의 동일시가 증가하면서 약화되기 시작했다. 프랑스 혁명의 사상과 ''밀레트'' 시스템의 상호 작용은 오스만 깃발 아래에서 국적을 종교와 동일시하는 일련의 사상(새로운 형태의 개인적 동일성)을 만들어냈다. 아르메니아 민족 해방 운동이 아르메니아 교회 내에서 표출되었을 때, 이 시스템을 유지하거나 문명 충돌을 막는 것은 불가능했다. 총대주교 네르세스 바르자베디안은 1878년 4월 13일 영국 외무부 장관 샐즈베리 경에게 오스만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47]
아르메니아인과 터키인이 더 이상 함께 살 수 없게 되었다. 기독교 행정부만이 평등, 정의, 양심의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무슬림 행정부를 기독교 행정부로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아르메니아(동부 아나톨리아)와 킬리키아는 기독교 행정부가 설립되어야 할 지역으로 여겨졌고, 터키 아르메니아인들은 레바논에서처럼 터키 아르메니아에서도 기독교 행정부를 요구했다.[47]
5. 2. 1. 선교 보호령의 영향
오스만 제국은 오스만 제국 치외법권 하에서 중요한 국내 권력을 잃었다. 제국에 거주하는 많은 외국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법이 아닌 모국의 법을 따랐다. 게다가 유럽 열강들은 제국 내 특정 집단의 공식적인 보호자가 되었다. 러시아는 동방 정교회를, 프랑스는 로마 가톨릭을, 영국은 유대인 및 기타 집단을 보호했다.[44]러시아와 영국은 아르메니아인을 두고 경쟁했다. 동방 정교회는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아나톨리아에 100명이 넘는 미국 개신교 선교사를 파견하여 자신들의 가르침을 약화시킨다고 인식했다.
서방 국가 정부의 지원을 받은 이러한 종교 활동은 정치적 목표와 무관하지 않았다. 1847년의 촛대 전쟁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이는 결국 1854년에 크림 전쟁으로 이어졌다.[44] 팔레스타인에서는 가톨릭과 정교회 수도사들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으며, 프랑스는 1840년부터 이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자원을 투입했다. 성지 수리는 종파들에게 중요했는데, 이는 성지 열쇠 소유와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프랑스를 포함한 보호국들은 오스만 수도에 총독에 대한 경고장을 보냈는데, 그가 "촛대 전쟁"으로 인해 성전 안에 군인을 배치하여 성묘 교회를 방어해야 했기 때문에 열쇠 교체 기회를 없앤 혐의로 비난받았다.[45] 역대 오스만 정부는 예루살렘 성지 통제권을 놓고 경쟁하는 여러 기독교 집단에 우선적인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칙령을 발표했다.[46]
5. 2. 2. 민족주의의 영향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유럽에서 일어난 민족주의는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으로 확대되었다. 각 밀레트는 자체 학교, 교회, 병원 및 기타 시설을 설립하면서 점점 더 독립성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활동은 기독교 인구를 효과적으로 오스만 정치 시스템의 틀 밖으로 이동시켰다.[47]오스만 ''밀레트'' 시스템(시민권)은 종교적 신념과 민족적 국적의 동일시가 증가하면서 약화되기 시작했다. 프랑스 혁명의 사상과 ''밀레트'' 시스템의 상호 작용은 오스만 깃발 아래에서 국적을 종교와 동일시하는 일련의 사상(새로운 형태의 개인적 동일성)을 만들어냈다. 아르메니아 민족 해방 운동이 아르메니아 교회 내에서 표출되었을 때, 이 시스템을 유지하거나 문명 충돌을 막는 것은 불가능했다. 총대주교 네르세스 바르자베디안은 1878년 4월 13일 영국 외무부 장관 샐즈베리 경에게 오스만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47]
아르메니아인과 터키인이 더 이상 함께 살 수 없게 되었다. 기독교 행정부만이 평등, 정의, 양심의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무슬림 행정부를 기독교 행정부로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아르메니아(동부 아나톨리아)와 킬리키아는 기독교 행정부가 설립되어야 할 지역으로 여겨졌고, 터키 아르메니아인들은 레바논에서처럼 터키 아르메니아에서도 기독교 행정부를 요구했다.[47]
6. 오스만 제국 이후의 밀레트
이라크,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이집트, 그리스 (종교적 소수자를 위해)와 같은 일부 오스만 제국 이후 국가에서 종교 기반 법적 다원주의 형태가 밀레트 제도를 연상시키는 다양한 형태로 여전히 존재한다. 이들 국가는 각 종교 공동체에 대해 별도의 개인 법원 및/또는 법률을 따르며 의회에 지정석을 할당한다. 인도, 이란,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와 같이 오스만 제국 외부에서 발전한 일부 법률 시스템도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48]
이집트의 경우, 가족법 (결혼, 이혼, 위자료, 자녀 양육권, 상속 및 매장 포함)은 개인의 종교적 신념에 따라 결정된다. 이슬람교, 기독교, 유대교의 세 가지 "천상의 종교"만이 인정된다. 무슬림 가족은 샤리아에 근거한 개인 지위 법, 기독교 가족은 교회법, 유대인 가족은 유대교 법의 적용을 받는다. 기독교 여성과 무슬림 남성의 결혼 관련 분쟁 시에는 법원이 개인 지위 법을 적용한다.[48]
이스라엘은 정통 유대교는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만, 개혁 랍비와 보수 랍비는 인정하지 않아 결혼을 주례할 수 없다. 드루즈와 바하이는 별도의 공동체로 인정된다. 이스라엘은 개인이 어떤 공동체에 속하는지 결정하고, 해당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공식 등록할 권리를 가지는데, 이는 개인이 종교 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것을 반대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예: 유대인 출신의 독실한 무신론자는 유대교 종교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등록).[48]
슐라미트 알로니와 우리 아브네리와 같은 이스라엘 세속주의자들은 이러한 오스만 잔재에 항의하며, 미국의 시스템처럼 종교적 소속이 국가가 간섭해서는 안 되는 개인적인 문제로 간주되는 시스템으로 대체할 것을 요구했지만, 이러한 제안은 거부되었다.[48]
그리스는 무슬림 소수만을 인정하며, 터키인, 포마크인, 불가리아인과 같은 민족 또는 국가 소수는 인정하지 않는다. 이는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에 관한 협약과 1924년 로잔 조약의 결과이며, 옛 ''밀레트'' 범주는 터키 내 그리스 정교회 인구와 그리스 내 무슬림의 교환에 사용되었다. "서트라키아의 무슬림"(터키인, 포마크인 및 롬족)과 "이스탄불의 그리스 정교회"는 보호받는 소수 민족으로 설정되었다. 1925년 국제 연맹의 요구로 폴리티스-칼포프 의정서가 서명되어 "그리스 슬라브어 사용인"을 불가리아인으로 인정하고 보호를 보장했으나,[49]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압력을 주장하며 그리스-세르비아 동맹 1913을 포기하겠다고 위협한 그리스 의회는 비준을 거부했다. 1927년 몰로프-카판타리스 협정에 따라 그리스 내 슬라브어 사용 인구의 대부분이 불가리아로 이주했다.[49]
6. 1. 현대적 의미
오늘날, 터키어 단어 "''밀레트''"는 "국가" 또는 "민족"을 의미하며, ''튀르크 밀레티''(Türk milleti, "터키 민족"), ''잉글리즈 밀레티''(İngiliz milleti, "영국 민족") 등과 같이 사용된다. 또한 종교적, 민족적 분류로 사용되기도 하며, 특정 집단(반드시 종교적 또는 민족적일 필요는 없음)에 속하는 사람들을 분류하는 속어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무쉬추 밀레티''(dolmuşçu milleti, "미니밴 택시 운전사들"), 또는 ''카딘 밀레티''(kadın milleti, "여성") 등이 있다.참조
[1]
서적
Christians and Jews in the Ottoman Arab World: The Roots of Sectari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
서적
Christians and Jews in the Ottoman Empire
Holmes & Meier
1982
[3]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2009
[4]
서적
The Islamic Roots of Democratic Pluralis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5]
서적
The First Ottoman Experiment in Democracy
http://menadoc.bibli[...]
Orient-Institut Istanbul
[6]
간행물
The Ottoman ''Millet'' System: Non-Territorial Autonomy and its Contemporary Legacy.
2016
[7]
서적
A Shameful Act
Holt Paperbacks
[8]
기타
Millet
http://dx.doi.org/10[...]
[9]
서적
The Ottoman Empire, 1700–1922
Cambridge University Press (Kindle edition)
[10]
문서
Millet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11]
웹사이트
The Ottoman Millet System
https://dergipark.or[...]
[12]
서적
The First Ottoman Experiment in Democracy
http://menadoc.bibli[...]
Orient-Institut Istanbul
[13]
서적
Southeastern Europe under Ottoman rule, 1354–1804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4]
백과사전
Millet {{!}} religious community
https://www.britanni[...]
2018-01-30
[15]
기타
Son İmparatorluk Osmanlı
Timaş Yayınları (Timaş Press)
[16]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Press
2013
[17]
문서
'"Osmanlı Barışı (Ottoman Peace)"'
Timaş Yayınları (Timaş Press)
2007
[18]
학술지
Immigration and Settlement of Circassians in the Ottoman Empire on British Documents 1857-1864
1998
[19]
서적
Circassian genocide
[2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Volume 3: The Late Ottoman Empire, 1603-183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문서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Късно средновековие и Възраждане, том 2
https://www.bghistor[...]
TRUD Publishers
2004
[22]
기타
Christians in a changing world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5-17
[2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11-02
[24]
서적
Son imparatorluk Osmanlı
https://www.worldcat[...]
Timaş
2006
[25]
서적
THE OTTOMAN MILLET SYSTEM
[26]
웹사이트
'Minorities (Ottoman Empire/Middle East)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First World War (WW1)'
https://encyclopedia[...]
2022-05-17
[27]
서적
Narratives of Identity: The Syrian Orthodox Church and the Church of England 1895-1914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4-10-16
[28]
서적
Ostsyrische Christen und Kurden im Osmanischen Reich des 19. und frühen 20. Jahrhunderts
http://worldcat.org/[...]
LIT-Verl
2014
[29]
학술지
The Ottoman Millet System: Non-Territorial Autonomy and its Contemporary Legacy
http://dx.doi.org/10[...]
2015-12-21
[30]
기타
Jews in the Ottoman Empire (1580–1839)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5-17
[3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11
[32]
서적
Christians and Jews in the Ottoman Arab world: the roots of sectarianism
http://worldcat.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3]
서적
Myth, Countermyth, and Distortion
[34]
논문
The Ottoman policy towards Jewish immigration and settlement in Ottoman Palestine: 1882-1920 /
https://open.metu.ed[...]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2014
[35]
서적
Catholics and Sultans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04-21
[36]
간행물
The Establishment of the Melkite Catholic Millet in 1848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in Tanzimat Syria
http://dx.doi.org/10[...]
BRILL
2022-05-17
[37]
간행물
The Establishment of the Melkite Catholic Millet in 1848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in Tanzimat Syria
http://dx.doi.org/10[...]
BRILL
2022-05-17
[38]
서적
Religion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in Kosovo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39]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Assyrian Church
https://books.google[...]
Gorgias Press
[40]
서적
The lopsided spread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41]
서적
Christians and Jews in the Ottoman Arab world: the roots of sectarianism
http://worldcat.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8-06
[42]
서적
A History of Muslims, Christians, and Jews in the Middle East
http://worldcat.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4-03
[43]
간행물
Tanzimattan Cumhuriyete Yerel Yönetim Gelenegi
[44]
뉴스
The Crimean War Begins
http://www.historyto[...]
[45]
문서
[46]
웹인용
Arab Nationalism and Christianity in the Levant
http://www.psa.ac.uk[...]
[47]
문서
[48]
간행물
Egypt –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by the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https://2001-2009.st[...]
State Department
[49]
논문
Minority Rights and Educational Problems in Greek Interwar Macedonia: The Case of the Primer "Abecedar"
[50]
서적
オスマン帝国 イスラム世界の「柔らかい専制」
株式会社講談社
[51]
웹사이트
milletのトルコ語の発音 ( millet meclisi から Türkiye Büyük Millet Meclisi へ)
https://ja.forvo.com[...]
2023-10-14
[52]
웹사이트
ミッレト制
2020-07-11
[53]
간행물
帝国から国民国家へ オスマン帝国における共存形態の変容と崩壊
http://www.totetu.or[...]
東洋哲学研究所
2020-07-11
[54]
웹사이트
ミッレト
2020-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