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란 (1958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란은 1958년에 개봉한 일본의 특수 촬영 괴수 영화이다.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나비의 조사를 위해 파견된 연구원들이 의문의 죽음을 당하고, 괴수 '바란'의 출현으로 마을이 파괴된다. 자위대의 공격에도 바란은 굴하지 않지만, 특수 화약이 장착된 조명탄을 삼킨 후 폭사한다. 미국에서는 일본 영화의 일부를 편집하고 미국 배우들을 기용하여 '믿을 수 없는 바란'이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혼다 이시로 감독 영화 - 킹콩의 역습
    1967년 개봉한 일본 괴수 영화 《킹콩의 역습》은 악당 과학자 닥터 후가 로봇 메카니콩을 이용해 엘레먼트 X를 얻으려다 킹콩과 격돌하는 이야기로, 고로자우루스, 대우미헤비 등 다양한 괴수가 등장하며 도쿄에서 킹콩과 메카니콩의 대결을 보여준다.
  • 혼다 이시로 감독 영화 - 고지라 (1954년 영화)
    고지라 (1954년 영화)는 핵실험으로 깨어난 괴수 고지라가 일본을 파괴하는 내용을 담은 1954년 일본 영화이며, 핵무기의 공포를 은유하고 괴수 영화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괴수 영화 - 킹콩 (2005년 영화)
    피터 잭슨 감독의 2005년 영화 《킹콩》은 1933년 대공황 시대, 영화감독 칼 덴험이 스컬 아일랜드에서 거대 유인원 킹콩을 만나 뉴욕으로 데려오는 과정과 비극적 최후를 그린 리메이크 작품으로, 나오미 왓츠, 잭 블랙, 에이드리언 브로디가 주연하고 앤디 서키스가 킹콩을 연기하여 흥행에 성공했다.
  • 괴수 영화 - 괴물 (2006년 영화)
    괴물 (2006년 영화)은 주한미군의 유해물질 방류로 한강에 나타난 괴생물체에 맞서 딸을 구하려는 가족의 사투를 그린 봉준호 감독의 영화로, 가족애와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아 한국 영화 역대 최다 관객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 일본의 흑백 영화 - 아나타한 (영화)
    아나타한은 조셉 폰 슈테른베르크 감독이 태평양 전쟁 말기 아나타한 섬에 고립된 일본인들의 갈등과 욕망을 그린 1953년 일본 영화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네기시 아케미가 주연을 맡고 츠부라야 에이지와 이후쿠베 아키라가 참여했다.
  • 일본의 흑백 영화 - 추문 (영화)
    신진 화가와 인기 성악가의 날조된 스캔들을 통해 언론의 자유와 사생활 침해 문제를 제기하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1950년 작품인 추문은 전후 일본 사회의 언론 방종과 사회적 책임을 비판하는 영화이다.
바란 (1958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개봉 포스터
연극 개봉 포스터
원어 제목간지: 大怪獣バラン
로마자 표기: Daikaijū Baran
번역: 거대 괴수 바란
감독혼다 이시로
제작자다나카 도모유키
각본세키자와 신이치
원작구로누마 겐
출연노무라 고조
소노다 아유미
센다 고레야
나카지마 하루오
히라타 아키히코
무라카미 후유키
마쓰오 분인
음악이후쿠베 아키라
촬영고이즈미 하지메 (본편)
아라키 히데사부로 (특촬)
아리카와 사다마사 (특촬)
편집이치지 다이라
제작사도호
배급사도호
개봉일1958년 10월 14일 (일본)
상영 시간87분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미국 개봉 정보
미국 개봉 제목Varan the Unbelievable
감독혼다 이시로
제작자제리 A. 배위츠
각본세키자와 신니치, 쿠로누마 겐
출연노무라 고조, 마이론 힐리
음악이후쿠베 아키라
촬영자크 R. 마르크
편집이치지 다이라
상영 시간87분

2. 줄거리

일본 도호쿠 지방 기타카미강 상류의 외딴 지역에서 시베리아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희귀 나비 '붉은점박이세줄나비'가 발견된다. 이 나비를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스기모토 생물 연구소 소속 연구원 두 명이 호수 근처에서 원인 모를 사고로 사망한다.

사망한 연구원의 여동생이자 기자인 유리코는 스기모토 박사의 조수 우오자키, 카메라맨 호리구치와 함께 진상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으로 향한다. 그들은 외부와 단절된 이와야 마을 사람들과 마주치는데, 마을 사람들은 호수에 잠들어 있다는 전설의 괴물 '바라다기산신'의 저주를 두려워하며 외부인들을 경계한다. 마을의 신주는 재앙을 경고하며 일행을 쫓아내려 하고, 호수 근처에서 실종된 아이조차 찾으려 하지 않는다. 이에 분노한 우오자키는 마을 사람들을 설득하여 아이를 구출하러 나선다.

아이를 찾는 과정에서 우오자키 일행은 호수에서 나타난 거대한 파충류 괴수 '바란'을 목격한다. 바란은 마을을 습격하여 파괴하고 신주를 짓밟는다. 도쿄로 돌아온 스기모토 박사는 바란이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에 살았던 고대 생물 '바란노포드'의 일종이라고 밝힌다. 방위청(현 자위대)의 요청으로 스기모토 박사도 현지로 동행한다. 방위청은 화학 물질을 이용해 바란을 호수 밖으로 유인하여 공격하지만 실패한다. 바란에게 쫓기던 유리코와 우오자키는 동굴로 피신하고, 스기모토 박사의 제안으로 조명탄을 사용하여 바란의 주의를 돌린다. 그러나 바란은 팔과 다리 사이의 피막을 펼쳐 날개를 삼아 하늘로 날아 도망친다.

이후 바란은 조시시 앞바다에 나타나 어선을 공격하고, 도쿄만으로 이동한다. 자위대 호위함대는 강력한 폭뢰 공격을 퍼붓지만 바란의 단단한 피부에는 효과가 없었다. 이에 후지무라 박사가 건설용으로 개발 중이던 특수 화약의 사용이 제안되지만, 후지무라 박사 본인은 그 효과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마침내 바란은 도쿄 국제 공항(하네다 공항)에 상륙하고, 도심 진입을 막기 위해 자위대는 공항에 총력을 집중시킨다.

특수 화약이 도착하자 우오자키는 화약을 가득 실은 트럭을 몰고 바란에게 돌진하여 밑에서 폭파시키는 공격을 감행하지만, 후지무라 박사의 우려대로 바란의 피부에는 통하지 않았다. 그러나 스기모토 박사는 이와야 마을에서 바란이 조명탄의 빛에 이끌렸던 것을 떠올리고, 특수 화약에 시한 장치를 달아 조명탄 내부에 넣어 바란에게 삼키게 하자는 작전을 제안한다. 헬리콥터가 특수 화약이 든 조명탄을 바란의 입 속으로 떨어뜨리는 데 성공하고, 조명탄 두 발을 삼킨 바란은 체내에서 화약이 폭발하자 고통스러워하며 도쿄만으로 후퇴한 뒤 바다 속에서 완전히 폭사한다. 바란의 위협은 사라졌지만, 동시에 인류는 이 고대 생물의 비밀을 밝혀낼 기회를 영원히 잃게 되었다.

2. 1. 미국판 줄거리 (1962)

이 영화는 미국 개봉을 위해 대대적으로 현지화되었다. 제리 A. 베어위츠가 제작을 맡았으며, 베어위츠는 또한 마이론 힐리가 일본계 미국인 배우들과 상호 작용하는 새로운 장면을 연출했다. 사이드 해리스가 각본을 썼으며, 이 각본은 일본에 주둔한 미국 군사 과학자가 바란이 서식하는 호수에서 담수화 실험을 수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국 버전은 원래 일본 영화의 15분 분량만 포함하고 있으며, 토호 스태프의 이름은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이푸쿠베 아키라의 음악은 ''어메이징 콜로설 맨''의 음악으로 대체되었다.

미국 버전은 70분 길이로, 1962년 12월 12일 Crown International에서 ''Varan the Unbelievable|믿을 수 없는 바란eng''이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금성 제1호 우주선''과 함께 상영되었다.[2][3] 혼다 이시로는 1980년대까지 미국 버전의 존재를 몰랐다. 영화 역사가 스튜어트 갤브레이스 4세는 토호가 영어 더빙 버전을 제작했다고 주장했지만, 그러한 버전의 증거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3. 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로는 노무라 코조가 연기한 우오자키 켄지, 소노다 아유미가 연기한 신조 유리코, 센다 코레야가 연기한 스기모토 박사 등이 있다. 자세한 출연진 정보는 아래 세부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일본판

배우배역
노무라 코조(野村孝造)우오자키 켄지(魚崎健二)
소노다 아유미(園田郁美)신조 유리코(新庄百合子)
마츠오 후민도(松尾文人)호리구치 모토히코(堀口元彦)
센다 코레야스기모토 박사
히라타 아키히코후지무라 박사
무라카미 후유키(村上冬樹)우마지마 박사
세라 아키라(芹明)마을 신부
쿠사마 아키오(草間章雄)쿠사마 경관
츠치야 요시오카츠모토 경관
야마다 미노스케(山田巳之助)국방부 장관
이토 히사야(伊東壽哉)신조 이치로(新庄一郎)
타지마 요시후미함장
이토 타카시(伊藤隆)마을 소년
나카지마 하루오바란



출연진 정보는 ''토호의 고질라 시리즈의 비평적 역사와 필모그래피''에서 가져왔다.

수트 액터는 테즈카 카츠미나카지마 하루오가 맡았다. 주로 테즈카가 수중 장면을, 나카지마가 육상 장면을 담당했다. 테즈카는 바란이 바다에 잠기는 장면 촬영 중 점화 장치의 타이밍 오류로 감전될 뻔한 사고를 겪었다. 나카지마는 허리를 굽혔을 때 다리 관절이 사람처럼 보이는 것을 피하기 위해, 라돈 촬영 때와 마찬가지로 발이 화면에 나오지 않도록 주의하며 연기했다.

바란이 어선을 전복시키는 장면에는 당시 도입되기 시작한 스크린 프로세스 기법이 사용되었다.

영화는 스탠다드 사이즈 필름으로 촬영되었는데, 이를 트리밍하는 과정에서 바란이 등장하여 몸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장면에서 머리 부분이 화면에서 잘려나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다.

바란이 꼬리를 흔들며 날뛰는 장면은 1954년작 《고질라》의 고질라 영상을 재활용한 것이다.

바란의 울음소리는 콘트라베이스를 이용하여 만들었다.

3. 2. 미국판 (1962)

이 영화는 미국 개봉을 위해 대대적으로 현지화되었다. 제리 A. 베어위츠가 제작을 맡았으며, 베어위츠는 또한 마이론 힐리가 일본계 미국인 배우들과 상호 작용하는 새로운 장면을 연출했다. 사이드 해리스가 각본을 썼으며, 이 각본은 일본에 주둔한 미국 군사 과학자가 바란이 서식하는 호수에서 담수화 실험을 수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국 버전은 원래 일본 영화의 15분 분량만 포함하고 있으며, 토호 스태프의 이름은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이후쿠베 아키라의 음악은 ''어메이징 콜로설 맨''의 음악으로 대체되었다.

'''미국 버전 출연진'''

  • 마이론 힐리(Myron Healey) - 제임스 브래들리 사령관
  • 츠루코 코바야시(鶴子小林) - 안나 브래들리
  • 클리포드 카와다(Clifford Kawada) - 키시 대위
  • 데릭 시마츠(Derick Shimatsu) - 마츠


미국 버전은 70분 길이로, 1962년 12월 12일 크라운 인터내셔널 픽처스에서 ''믿을 수 없는 바란''(Varan the Unbelievableeng)이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금성 제1호 우주선''과 함께 상영되었다. 토호는 1962년과 1963년 영어 판매 카탈로그에 미국 버전을 소개했다.[2][3] 혼다 이시로는 1980년대까지 미국 버전의 존재를 몰랐다. 영화 역사가 스튜어트 갤브레이스 4세는 토호가 영어 더빙 버전을 제작했다고 주장했지만, 그러한 버전의 증거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버라이어티는 "'고질라', '괴수 고르고', '최후의 해저 괴물'에 이은 틈새시장을 위한 독창성이 결여된 몬스터 영화"라고 비평했으며, "해리스의 각본도 버위츠의 연출도 관객의 흥미를 유지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도쿄 위클리』는 "바라안은 하네다 공항을 습격하는데, 이는 옛 고질라 영화의 결말을 연상시킨다. 새로운 것은 아무것도 없다. 괴수 영화에서는 이것밖에 할 수 없는 것이다"라고 비평했다.

작가 데이비드 카라트는 미국판의 브래들리 사령관이 일본인을 구하기 위해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구하려던 사람들로부터 오해를 받아 공격받은 인물로 보았다. 그는 브래들리 사령관의 모습을 일본 점령기의 미국에 비유하며, 일본 영화계가 이 문제를 금기시했다고 지적한 뒤 "극히 정치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은 평가할 만하다"고 주장했다.

4. 등장 괴수: 바란

바란은 중생대부터 살아남은 거대한 파충류로, 이와테현 키타카미강 상류의 호수에 서식했다. 인근 이와야 마을에서는 '바라다기산신'이라 불리며 토착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작중에서는 희귀 나비 연구팀의 조난 사고를 계기로 그 존재가 알려진다. 조사팀과 마을 주민들 앞에서 호수에서 나타나 마을을 파괴하고, 스기모토 박사에 의해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에 살았던 바라노포드의 생존자로 밝혀진다. 군대의 공격을 피해 날개막을 이용해 바다로 도주한 뒤, 어선을 공격하고 하네다 공항에 상륙하여 파괴 활동을 벌인다. 빛나는 물체를 삼키는 습성을 이용한 작전으로, 특수 화약이 장착된 조명탄을 삼키고 내부 폭발로 인해 최후를 맞는다.

4. 1. 디자인 및 묘사

날개막을 펼친 바란


중생대의 수륙 양생 동물이나 인간을 포식하는 육식 거대 파충류이다. 극중에서는 단순히 "괴수"라고만 불리며, 자료에 따라서는 "공룡"이라고 기술하기도 한다. 바라노포다의 생존자로, 이와테현 키타카미강 상류의 호수에 살며, 외부와 격리된 집락에서 バラダギさんじん|바라다기산진일본어("바라다기사마"라고도 함)이라고 불리며 토착 신앙의 대상이었다.

머리부터 꼬리 끝까지 등은 갑옷처럼 두꺼운 피부로 덮여 있으며, 슬림하지만 근육질의 손발가락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5개이다. 얼굴 주변의 뿔과 머리에서 등까지 이어지는 반투명한 긴 유독 가시가 특징이다. 통상적으로는 네 발로 걷지만 두 발로 일어서거나, 날다람쥐처럼 몸 측면과 팔과 뒷다리 사이에 얇은 날개막을 펼쳐 음속으로 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육해공에서의 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몸은 부드러워서 폭뢰 등의 공격을 무력화한다.

신장은 50m, 체중은 15000ton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료에 따라서는 "고질라와 동등한 정도" 또는 체중 "25000ton" 등으로 다르게 기술되기도 한다. 다른 자료에서는 "신장 10m, 체중 60ton"라는 설도 있다. 하네다 공항에 출현한 장면에서는 고질라처럼 거대한 생물로 묘사되어 있다. 비행 속도는 마하 1.5이다.

마루산에 따르면, "파충류 고질라 속 라돈과 바라노포다"로 분류된다. 포스터에서는 고질라나 라돈을 능가한다고 언급된다. 별명으로는 "동양의 괴물", "동양의 대괴수", "날다람쥐 괴수", "대괴수", "유익막룡"[5] 등이 있다. 준비고에서는 단순히 "산신"이라고 불렸다.

육식 공룡처럼 보이지만 비행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고질라와 라돈의 특징을 모두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다.

5. 제작진


  • 제작: 다나카 토모유키
  • 원작: 쿠로누마 켄
  • 각본: 세키자와 신이치
  • 촬영: 코이즈미 하지메
  • 미술: 시미즈 키요시
  • 녹음: 코누마 와타루, 미야자키 마사노부
  • 조명: 카네코 미츠오
  • 음악: 이후쿠베 아키라
  • 감독 조수: 카지타 코지
  • 음향 효과: 미나와 이치로
  • 편집: 타이라 하지메
  • 제작 담당: 카와카미 카츠타로
  • 특수 기술
  • * 촬영: 아라키 슈조, 아리카와 사다마사
  • * 미술: 와타나베 아키라
  • * 조명: 키시다 쿠이치로
  • * 합성: 무코야마 히로시

5. 1. 일본판


  • 혼다 이시로 - 감독
  • 츠부라야 에이지 - 특수 촬영 감독
  • 카지타 코지 - 조감독
  • 스즈키 키요시 - 미술 감독
  • 와타나베 아키라 - 특수 촬영 미술 감독
  • 무코야마 히로시 - 광학 효과
  • 제리 A. 베어위츠(Jerry A. Baerwitz) - 감독, 프로듀서 (미국 촬영분)
  • 잭 마르케트(Jack Marquette) - 촬영 감독 (미국 촬영분)
  • 시드 해리스(Sid Harris) - 작가 (미국 버전)


'''등장 장비'''

  • M4A3E8 셔먼
  • M24 채피
  • 2톤 반 트럭
  • 3/4t 트럭(닷지 WC52형・Q4W70형)
  • 1/4t 트럭
  • 아야나미급 호위함 "우라나미"
  • 쿠스급 호위함 "스기"
  • 야시마급 소해정 "야시마"
  • 상륙정
  • F-86F 세이버 전투기
  • P2V-7 대잠 초계기
  • 시코르스키 S-51
  • H-19 다용도 헬리콥터
  • 89mm 로켓 발사통 M20 개량 4형
  • 81mm 박격포 M1
  • 75mm 무반동포 M20
  • M1 카빈

5. 2. 미국판 (1962)

이 영화는 미국 개봉을 위해 상당 부분 수정 및 재편집되었다. 미국의 제리 A. 베어위츠(eng)가 제작을 맡았고, 미국 촬영분의 감독도 담당했으며, 배우 마이론 힐리(eng)가 일본계 미국인 배우들과 함께 등장하는 새로운 장면을 연출했다. 미국 촬영분의 촬영 감독은 잭 마르케트(eng)였다. 각본은 시드 해리스(eng)가 새로 작성했으며, 일본에 주둔한 미국 군사 과학자가 바란이 사는 호수에서 담수화 실험을 한다는 내용으로 변경되었다.

미국판은 원본 일본 영화의 장면을 약 15분 정도만 포함했으며, 토호 스태프의 이름은 크레딧에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 이푸쿠베 아키라의 원본 음악은 영화 ''어메이징 콜로설 맨''(The Amazing Colossal Maneng)의 음악으로 대체되었다.

70분 분량의 미국판은 1962년 12월 12일, '믿을 수 없는 바란'(Varan the Unbelievableeng)이라는 제목으로 크라운 인터내셔널 픽처스(Crown International Pictures)에 의해 개봉되었다. 개봉 당시 영화 ''금성에서 온 우주선''(First Spaceship on Venuseng)과 함께 상영되었다. 토호는 1962년과 1963년 영어 판매 카탈로그에 이 미국 버전을 소개했다.[2][3]

원본 영화 감독 혼다 이시로는 1980년대까지 미국 버전의 존재를 몰랐다. 영화사학자 스튜어트 갤브레이스 4세(Stuart Galbraith IV)는 토호가 영어 더빙 버전을 제작했다고 주장했지만, 그러한 버전의 증거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6. 제작 배경

1957년, 미국 AB-PT 픽처스는 도호에 텔레비전 방송용 괴수 영화의 공동 제작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도호는 처음에는 30분 분량의 에피소드 여러 편으로 구성된 TV 시리즈로 《바란》 제작을 기획했으며, 다나카 도모유키 프로듀서는 해외 판매 수익 확보를 위해 의도적으로 저예산 제작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제작이 진행되던 중 공동 제작사였던 AB-PT 픽처스가 도산하면서, 도호는 단독으로 제작 방향을 극장용 장편 영화로 급하게 변경해야만 했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제작 환경의 변화는 혼다 이시로 감독을 비롯한 제작진에게 촬영 및 편집 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안겨주었다.

영화의 원작은 《공중 대괴수 라돈》의 원작자이기도 한 구로누마 겐이 맡았으며, 각본은 이후 고질라 시리즈에서 활약하게 되는 세키자와 신이치가 담당했다.[7] 특히 해외 수출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에 기획 단계부터 '동양의 괴물'이라는 부제가 붙는 등 동양적인 요소가 강조되었다.

6. 1. 기획

1957년, 미국의 AB-PT 픽처스는 도호에 텔레비전용 새로운 괴수 영화 공동 제작을 제안했다. AB-PT의 요청에 따라, 도호는 《바란》(Varan the Unbelievable)을 각 30분 분량의 3부작으로 제작하고, 상업 광고를 위해 페이드 인/아웃을 넣을 계획이었다. 다나카 프로듀서는 ABC 판매를 통해 수익을 보장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영화에 낮은 예산과 낮은 제작 가치를 부여했다. 이 영화는 일본과 미국의 공동 제작을 목표로 했지만, 제작 중에 AB-PT가 도산하면서 극장용 영화로 변경되었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변경에 대해 혼다 감독은 "이러한 변화는 우리에게 강요되었습니다. 우리는 작은 화면에서 크게 보이고 강력하게 보이도록 촬영했지만, 갑자기 같은 장면을 가져와서 큰 화면에서도 같은 인상을 주려고 해야 했습니다. 그 방식으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우리는 세 개의 에피소드로 만들겠다는 전제 하에 촬영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제 우리는...어떻게든 그것을 모두 하나의 연속적인 이야기로 합쳐야 했습니다. 물론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조정하는 데 매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데스크 사이드 기획자들은 촬영 측면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라고 당시의 어려움을 설명했다.

원작은 쿠로누마 켄이 담당했으며, 그는 라돈이 미국에 개봉된 후 다나카로부터 "무엇이든 좋으니 생각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새로운 괴수 영화 집필에 착수했다. 각본은 세키자와 신이치가 맡았으며, "기본적이고 단순하게" 유지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세키자와의 초기 초고에는 "동쪽의 괴물"이라는 부제가 사용되었다. 세키자와가 쓴 아이들이 바란을 흉내 내는 장면은 최종 영화에서는 삭제되었다.

6. 2. 촬영

촬영은 1958년 7월에 흑백으로, 1.33:1 화면비로 시작되었다. 원래 이 영화는 미국의 AB-PT 픽처스(American Broadcasting-Paramount Theatres)와 도호가 공동으로 제작하는 텔레비전 방송용 시리즈(총 4화)로 기획되었으나, AB-PT가 문을 닫으면서 제작 중간에 도호는 영화의 지위를 극장용 장편 영화로 변경했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변경으로 인해 감독 혼다 이시로는 처음부터 다시 촬영할 수 없었고, 기존에 촬영된 1.33:1 비율의 영상을 와이드스크린(2.35:1 토호 팬스코프) 형식으로 "확대"하는 방식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고지라, 킹 오브 몬스터스!》의 일본 개봉 시에도 사용된 방식이었다. 도호는 영화를 2.35:1 토호 팬스코프 릴리즈로 홍보했다. 혼다 이시로 감독은 작은 화면을 기준으로 촬영된 영상을 큰 화면으로 옮기는 과정의 어려움과, 여러 편으로 기획된 이야기를 한 편으로 압축해야 하는 문제점을 토로하며 제작 방침 전환에 대한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텔레비전용 저예산 제작 방침의 영향으로, 특수 효과 감독 츠부라야 에이지는 예산을 절약하기 위해 자위대의 공격 장면 등에서 《고지라》와 《고지라의 역습》의 장면 일부를 재활용했다. 제작진은 도호 스튜디오에서 특정 장면 촬영이 어려울 경우, 저렴한 사운드 스테이지나 야외 세트를 빌려 촬영하기도 했다. 피난 장면은 도호 부지 내에서 촬영되었는데, 이때 일부 사무실 건물과 사운드 스테이지가 화면에 보이기도 했다.

바란 슈트를 입고 연기한 배우 나카지마 하루오는 클라이맥스 장면 촬영 도중 화상을 입기도 했다. 총 촬영 기간은 28일이었으며, 1958년 8월 중순에 완료되었다.

7. 평가



'''일본판'''

혼다 이시로 감독과 프로듀서 다나카 도모유키는 완성도에 아쉬움을 표하며 만족스럽지 못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팬들 사이에서는 인기가 있어, 고질라 스토어의 괴수 피규어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8].

'''미국판'''

미국에서 『''Varan the Unbelievable''』이라는 제목으로 개봉된 버전은 당시 언론으로부터 독창성이 부족하고 기존 괴수 영화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다만, 작가 데이비드 카라트는 미국판이 점령기 미국의 상황을 은유하며 정치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7. 1. 일본판

1958년 7월부터 촬영이 시작되었으며, 흑백, 1.33:1 스탠다드 화면비로 제작되었다. 당초 미국과의 합작으로 텔레비전용 작품으로 기획되었으나, 공동 제작사였던 AB-PT 픽처스가 도산하면서 토호 단독 제작의 극장용 영화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혼다 이시로 감독은 이미 촬영된 필름을 와이드스크린용으로 다시 찍을 수 없었기에, 괴수왕 고지라의 일본 개봉 시 사용했던 "블로우업" 방식을 채택했다. 토호는 이를 2.35:1 비율의 "토호 팬스코프"로 홍보했으며, 이로써 본 작품은 토호 특촬 최초의 시네마스코프 영화(토호 팬스코프)가 되었다. 혼다 감독은 후년 인터뷰에서 촬영 도중 방식이 변경되어 어려움을 겪었다고 술회했다.

촬영 중에는 여러 사고가 발생했다. 수영장 촬영 중 조명 전원 박스가 물에 빠져 바란 슈트를 입고 있던 테즈카 카츠미가 감전되어 실신했으며, 트럭이 바란 아래에서 폭파하는 장면에서는 나카지마 하루오가 복부에 화상을 입었다. 또한 사가미 강에서 와이어로 바란 슈트를 끌어 촬영하던 중 슈트가 물의 저항으로 가라앉아 나카지마가 익사할 뻔하기도 했다.

하네다 공항 세트는 특수 기술 감독 츠부라야 에이지의 예상보다 크게 제작되었다. 토호 스튜디오에서 촬영할 수 없는 부분은 외부 세트를 빌려 촬영했으며, 시민들이 대피하는 장면은 토호 부지 내에서 촬영되어 일부 장면에 토호의 사무실이나 사운드 스테이지가 보이기도 한다. 총 촬영 기간은 28일이었으며, 8월 중순에 종료되었다.

자위대의 공격 장면에는 실제 훈련 영상과 함께 『고지라』, 『고지라의 역습』의 영상이 일부 사용되었다. 혼다 감독에 따르면 사용된 훈련 영상은 기존 자료가 아닌, 실제 훈련 현장에서 새로 촬영한 것이라고 한다.

당시 ''도쿄 위클리''는 "바란이 하네다 공항을 공격하지만, 다른 오래된 고질라의 결말을 연상시킨다. 새로운 것은 없다. 그것이 괴수 영화로 할 수 있는 전부"라고 평했다.

혼다 감독은 훗날 이 작품에 대해 만족하지 못했다고 인정하며, "처음부터 다시 만들 수 있었다면 자위대 장면 등을 더 웅장하게 했을 것이다. 모든 것이 작은 세트에서 촬영되었고 로케이션 촬영도 적었다. 영화 전체가 좀 더 나았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표했다.

한편, 1958년 10월 6사 협정에 따라 극장 영화의 텔레비전 방영이 금지되면서, 본래 텔레비전용으로 기획되었던 이 작품 역시 극장 개봉이 확정되는 배경이 되었다.

7. 2. 미국판 (1962)

이 영화는 미국 개봉을 위해 대대적으로 현지화되었다. 제리 A. 베어위츠가 제작을 맡았으며, 베어위츠는 또한 마이론 힐리가 일본계 미국인 배우들과 상호 작용하는 새로운 장면을 연출했다. 사이드 해리스가 각본을 썼으며, 이 각본은 일본에 주둔한 미국 군사 과학자가 바란이 서식하는 호수에서 담수화 실험을 수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국 버전은 원래 일본 영화의 15분 분량만 포함하고 있으며, 토호 스태프의 이름은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이푸쿠베 아키라의 음악은 ''어메이징 콜로설 맨''의 음악으로 대체되었다.

미국 버전은 70분 길이로, 1962년 12월 12일 Crown International에서 ''Varan the Unbelievable''이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금성 제1호 우주선''과 함께 상영되었다. 토호는 1962년과 1963년 영어 판매 카탈로그에 미국 버전을 소개했다.[2][3] 혼다 이시로는 1980년대까지 미국 버전의 존재를 몰랐다. 영화 역사가 스튜어트 갤브레이스 4세는 토호가 영어 더빙 버전을 제작했다고 주장했지만, 그러한 버전의 증거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당대의 평론에서, 버라이어티는 영화를 "고질라", ''고르고'' 및 ''다이노사우르스!''에 이어 "포화된 틈새 시장을 위한 독창성 없는 괴물 멜로드라마"라고 언급했다. 이 평론은 미국 버전 영화에 대한 것으로, "해리스의 시나리오도, 베어위츠의 연출도 흥미를 유지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작가 데이비드 칼라트는 미국판의 브래들리 사령관이 자신이 오해받는 인물이며 외국(일본)을 돕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기울였지만, 자신이 돕고자 하는 사람들(일본인)에게 공격받는다고 생각하는 모습에 주목했다. 칼라트는 이를 일본 점령기의 미국 상황에 비유하며, 당시 일본 영화 산업이 이 주제를 다루는 것을 금기시했기 때문에 미국 버전이 "이례적으로 정치적인 내용으로 인해 지나가는 찬사를 받을 만하다"고 평가했다.

8. 기타


  • '''대괴수 바란'''[9]: 후지타 시게루가 작화를 맡아 아카시야 서방에서 오리지널 단행본으로 1958년 10월 5일에 발행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Godzilla's Destroy All Monsters Was Toho's Avengers (& It Was Awesome) https://screenrant.c[...] 2019-12-05
[2] 이미지 Toho 1962 Films "Varan" and "The Human Vapor" Pages https://i.imgur.com/[...]
[3] 이미지 Toho Films 1963 List of English Dub Pictures https://i.imgur.com/[...]
[4] 웹사이트 DVD Savant Review: Varan the Unbelievable https://www.dvdtalk.[...] 2005-05-19
[5] 문서 ゴジラ×メカゴジラ 劇場パンフレット
[6] 뉴스 『シン・ゴジラ』の舞台・蒲田で『特撮のDNA』展開催! 貴重な造形資料でたどる東宝怪獣・特撮映画の歴史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018-12-19
[7] 문서 現代に生きる怪異 謎と秘境物語 1959
[8] 뉴스 「第2回あなたが選ぶ!東宝怪獣新作ソフビフィギュア」1位のバランが商品化!「ムービーモンスター」バランがゴジラ・ストア限定で登場! https://hobby.dengek[...] KADOKAWA 2022-10-24
[9] 웹사이트 大怪獣バラン 書誌詳細 https://iss.ndl.go.j[...] 国立国会図書館
[10] 웹사이트 映画資料室 https://viewer.kinto[...]
[11] 웹사이트 僕は三人前 http://db.eiren.org/[...] 一般社団法人日本映画製作者連盟
[12] 웹사이트 フランキーの僕は三人前 : 作品情報 https://eiga.com/mov[...] エイガ・ドット・コム
[13] 웹사이트 フランキーの僕は三人前 http://www.kinenote.[...] キネマ旬報社
[14] 웹사이트 バランが立った!マルサンのソフビ人形で直立ポーズのバランが漆黒成形で発売! http://hobby.dengeki[...] アスキー・メディアワークス 2016-07-13
[15] 웹사이트 大怪獣バラン Varan http://www.ishirohon[...]
[16] 문서 multiref
[17] 문서 multiref
[18] 문서 multiref
[19] 문서 multiref
[20] 문서 multiref
[21] 문서 multiref
[22] 문서 multiref
[23] 문서 Harvnb
[24] 문서 Harvnb
[25] 문서 Harvnb
[26] 문서 Harvnb
[27] 문서 Harvnb
[28] 문서 Harvnb
[29] 서적 ゴジラVSメカゴジラ 東宝 出版・商品事業室 1993-12-11
[30] 문서 Harvnb
[31] 문서 Harvnb
[32] 문서 Harvnb
[33] 문서 Harvnb
[34] 문서 Harvnb
[35] 문서 Harvnb
[36] 서적 ゴジラ大百科 1990
[37] 서적 ゴジラ大百科 1992
[38] 서적 ゴジラ大百科 1992
[39] 서적 ゴジラ大百科 1993
[40] 서적 ゴジラ大百科 1993
[41] 서적 ゴジラ大百科 1993
[42] 서적 ゴジラ大百科 1993
[43] 서적 ゴジラ大百科 1994
[44] 서적 怪獣大全集 1991
[45] 서적 怪獣大全集 1991
[46] 서적 ヒットブックスVSモスラ 1992
[47] 서적 決定版ゴジラ入門 1992
[48] 서적 超最新ゴジラ大図鑑 1992
[49] 서적 超最新ゴジラ大図鑑 1992
[50] 서적 ゴジラ大全集 1994
[51] 서적 ゴジラ大全集 1994
[52] 서적 大ゴジラ図鑑2 1995
[53] 서적 ゴジラ来襲 1998
[54] 서적 ゴジラ来襲 1998
[55] 서적 ゴジラ来襲 1998
[56] 서적 日本特撮映画図鑑 1999
[57] 서적 ゴジラ画報 1999
[58] 서적 ゴジラ画報 1999
[59] 서적 ゴジラ1954-1999超全集 2000
[60] 서적 GMK超全集 2002
[61] 서적 GMK超全集 2002
[62] 서적 ゴジラ×メカゴジラ超全集 小学館 2003-01-10
[63] 서적 ゴジラ×モスラ×メカゴジラ 東京SOS[[超全集]] 小学館 2004-01-01
[64] 서적 本多全仕事 2000
[65] 서적 本多全仕事 2000
[66] 서적 動画王特別編集ゴジラ大図鑑 2000
[67] 서적 動画王特別編集ゴジラ大図鑑 2000
[68] 서적 動画王特別編集ゴジラ大図鑑 2000
[69] 서적 円谷英二特撮世界 2001
[70] 서적 円谷英二特撮世界 2001
[71] 서적 ソノラマMOOK
[72] 서적 ソノラマMOOK
[73] 서적 東宝特撮メカニック大全
[74] 서적 東宝特撮メカニック大全
[75] 서적 東宝特撮メカニック大全
[76] 서적 Galbraith IV
[77] 서적 Kalat
[78] 서적 Kalat
[79] 서적 Kalat
[80] 서적 東宝ゴジラ会
[81] 서적 モスラ映画大全
[82] 서적 オール東宝怪獣大図鑑
[83] 서적 オール東宝怪獣大図鑑
[84] 서적 オール東宝怪獣大図鑑
[85] 서적 初代ゴジラ研究読本
[86] 서적 初代ゴジラ研究読本
[87] 서적 オール東宝メカニック大図鑑
[88] 서적 オール東宝メカニック大図鑑
[89] 서적 オール東宝メカニック大図鑑
[90] 서적 東宝特撮映画大全集
[91] 서적 東宝特撮映画大全集
[92] 서적 東宝特撮映画大全集
[93] 서적 東宝特撮映画大全集
[94] 서적 東宝特撮映画大全集
[95] 서적 東宝特撮映画大全集
[96] 서적 東宝特撮映画大全集
[97] 서적 東宝特撮映画大全集
[98] 서적 キャラクター大全
[99] 서적 キャラクター大全
[100] 서적 東宝特撮全怪獣図鑑
[101] 서적 東宝特撮全怪獣図鑑
[102] 서적 東宝特撮全怪獣図鑑
[103] 서적 大辞典
[104] 서적 大辞典
[105] 서적 GODZILLA60
[106] 서적 東宝チャンピオンまつりパーフェクション 2014
[107] 서적 村瀬継蔵 2015
[108] 서적 超常識 2016
[109] 서적 超常識 2016
[110] 서적 超常識 2016
[111] 서적 Walker 2016
[112] 서적 解体全書 2016
[113] 서적 超解体全書 2023
[114] 서적 ゴジラとともに 2016
[115] 서적 ゴジラ365日 2016
[116] 서적 ゴジラ365日 2016
[117] 서적 ゴジラ365日 2016
[118] 서적 ゴジラ365日 2016
[119] 서적 ゴジラ365日 2016
[120] 서적 ゴジラ×3式機龍〈メカゴジラ〉コンプリーション ホビージャパン 2016-12-21
[121] 서적 Ryfle 2017
[122] 서적 Ryfle 2017
[123] 서적 Ryfle 2017
[124] 서적 ゴジラ検定 2018
[125] 서적 バトル・オブ・キングギドラ 2020
[126] 서적 バトル・オブ・キングギドラ 2020
[127] 서적 全怪獣大図鑑 2021
[128] 서적 全怪獣大図鑑 2021
[129] 서적 GTOM vol.0 2022
[130] 서적 GTOM vol.12 2023
[131] 서적 大解剖図鑑 2023
[132] 서적 小林淳 2022
[133] 서적 小林淳 2022
[134] 서적 宇宙船YEAR BOOK 1999 朝日ソノラマ 1999-05-01
[135] 서적 NEWTYPE THE LIVE 特撮ニュータイプ 角川書店 2012-03-01
[136] 서적 怪獣黙示録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