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승은 1936년 전라북도 김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뉴욕 주립 대학교 올바니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한국은행에서 근무하며, 중앙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1988년 노태우 정부에서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과 건설부 장관을 지냈으며, 5개의 1기 신도시 건설을 기획, 실행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은행 총재를 역임하며 한국은행의 독립성 강화에 기여했다. 퇴임 후에는 사회 봉사 활동과 함께 사재를 사회에 환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리공업고등학교 동문 - 유현종
    유현종은 1961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분단 현실 비판,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 역사와 영웅을 다룬 서사극 집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한국창작문학상을 수상했다.
  • 명예 신지식인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명예 신지식인 - 이어령
    이어령은 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소설가, 언론인, 교수, 국어학자이자 초대 문화부 장관을 역임한 공무원으로, 사회 비평, 교육 활동, 올림픽 기획, 저술 활동 등을 통해 한국과 일본, 디지털 시대 문명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고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박승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박승
한글박승
한자朴昇
출생일1936년 2월 16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김제군
학력서울대학교 경제학과
뉴욕 주립 대학교 올바니 대학원 경제학 석사·박사
직업전 한국은행 총재

2. 생애

박승은 1936년 2월 16일 전라북도 김제시 흥사동에서 박혁거세의 66세손이자 고려 말 대제학을 지낸 박의중의 21세손으로 태어났다.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도 학업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고,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61년 한국은행에 입행하여 경제 전문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69년 뉴욕 연방준비은행과 워싱턴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서 연수를 받았고, 1972년 뉴욕주립대학교 올바니에서 경제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5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 경제자문단장으로 근무했다.

1976년부터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1984년 중앙대학교 정경대학장, 1986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및 중앙대 경제연구소장, 1987년 한국국제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1988년 노태우 정부의 초대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으로 발탁되어 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 등 한국 최초의 1기 신도시 건설을 주도했다. 이후 제20대 건설부 장관을 역임하며 신도시 건설의 기틀을 마련했다.

2002년 김대중 대통령에 의해 제22대 한국은행 총재로 임명되었다. 재임 기간 동안 한국은행의 독립성을 강화하고 화폐개혁을 추진했다.

퇴임 후에는 하나금융그룹 사회공헌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소외 계층을 위한 봉사활동을 펼쳤다. 또한, 모교와 여러 기관에 기부하며 사회 환원에 앞장섰다.

1963년 권영하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 3녀를 두었으며, 11명의 손자녀가 있다.

2. 1. 출생과 성장 과정 (1936~1961)

日帝중국어 식민지였던 1936년 2월 16일 전북 김제시 흥사동 313번지 제내 마을에서 아버지 박현식(朴賢植, 1894-1961)[12]과 어머니 강신용(姜信用, 1895-1984)[13]의 2남 4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密陽), 박혁거세(朴赫居世 기원전 69년-서기 4년)의 66세손, 고려 말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정제공(貞齊公) 박의중(朴宜中 1337-1403)의 21세손이다. 반산반야 농촌의 소작농가에서 초등학교 때부터 논일, 밭일, 땔감 마련하는 일 등 온갖 농사일을 하면서 자란 그는 1948년 그곳 백석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익산시에 있는 이리공업고등학교(당시 6년제)를 기차 통학하였다. 이때 그는 집에서 목화를 심어 길쌈을 해 만든 옷을 입고 고무신을 신고 다녔으며 6년 동안 매일 새벽 김제 농촌 집을 나와 왕복 14km를 걸어 기차를 타고 학교를 다녔다. 수업료를 못 내 시험을 못 치고 돌아간 일도 여러 번 있었다. 여름철 벼농사를 지을 때 무더위에 농민들의 땀 냄새와 흙냄새 그리고 푸른 벼 냄새가 어우러진 그 특이한 냄새를 평생 잊을 수 없어 자신의 호를 스스로 청도(靑稻)라고 지었다.

1954년 이리공고를 졸업하고 집안 형편이 어려워 해군사관학교에 지원하여 제13기로 합격하였으나 경제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열망 때문에 입학을 포기하고 1년 동안 주경야독으로 자습하여 1955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에 진학하였다.[14] 고향 부모님이 노환으로 농사지을 사람이 없어 학기 중 농사일 때문에 내려가는 일이 많았으며 학비 때문에 재학 중 군 복무를 자원하여 마쳤다. 제대 후에는 논을 팔아 학업에 전념하여 3학년 이후에는 성적도 좋아졌으며 각종 학술행사에는 대학을 대표하기도 했다.[15] 1961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2. 2. 한국은행 근무와 유학 (1961~1976)

1961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은행 입행시험에 합격하여 조사부에서 근무하였다. 그해 5.16 군사쿠데타가 일어나 중앙공무원교육원이 출범하였는데, 1962년부터 3년간 여기서 한국경제와 경제개발에 대한 강의를 담당하였다.[16]

1969년에는 약 1년간 뉴욕 연방준비은행과 워싱턴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 업무연수를 다녀왔다. 1972년 1월에는 한국은행 최초로 2년 석사과정 해외학술연수생으로 선발되어 뉴욕주립대학교 올바니에서 경제발전론을 전공하였다. 2년만에 경제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74년 5월 귀국하여 한국은행에 복귀하였다. 박사학위 논문제목은 ‘노동력과잉 후진국에서 외자의 경제개발 효과’였다.[16]

1975년 4월부터 1년 동안은 남덕우 당시 경제기획원 장관의 요청과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요청으로 사우디아라비아 경제자문단장으로 리야드(Riyad)의 경제기획성에서 근무하였다.[17]

2. 3. 중앙대학교 교수 시절 (1976~2001)

1976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돌아와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전직하여 9월 학기부터 경제원론, 경제발전론, 국제경제학 등을 강의했다.[18] 대학으로 전직하면서 전공분야인 "경제발전론"을 집필하기 시작하여 1977년 박영사에서 펴냈는데, 이 책은 그 뒤 약 30년간 대학교재로 널리 이용되었다. 이때부터 강단을 떠날 때까지 모든 과목에 대해 스스로 학생들로부터 강의평가를 받았으며, 모든 시험은 시험지를 돌려주고 채점기준을 공시한 뒤 채점 잘못이 있을 때는 이를 정정해 주었다. 그리고 신문기고, 방송출연, 외부강연 등 왕성한 사회활동을 했다.[19] 1977년부터 3년간 서울신문 논설위원을 겸직하기도 했다. 특히 이때는 민간연구소가 없어 대학교수들의 사회참여수요가 컸던 시기여서 정부의 물가, 산업, 농정, 금융, 세제, 노동, 행정, 사법고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문위원 또는 심의위원으로 참여하였다.

이러한 교내외 활동을 바탕으로 1984년 중앙대학교 정경대학장으로 임명되었으며,[20] 1985년에는 정부의 경제개발5개년계획 조정위원장을 맡았다. 1986년에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과 중앙대 경제연구소장을 겸직하였고,[21] 1987년도 한국국제경제학회 회장에 선출되었다.[22] 그리고 1988년 초에는 중앙대학교 대학원장에 임명되었다.

1990년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복귀하여 2001년 정년 퇴임할 때까지 강의를 계속했다.

2. 4.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과 건설부 장관 (1988~1989)

1987년 12월 16일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노태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듬해 2월 노태우 정부가 출범하면서 초대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으로 발탁되었다.[23] 노태우 대통령과 일면식도 없었지만, 경제단체 등 사회 각계의 추천이 있었다고 한다. 당시 노태우 대통령은 5년 임기 중 200만 호의 주택 건설을 공약했는데, 이 공약 이행이 경제수석에게 부여된 최대 과제였다. 당시 서울시에는 이러한 대규모의 집을 지을 만한 땅이 없었고 주변은 그린벨트로 묶여 있었다. 그리하여 당시 건설비서관 홍철 박사(훗날 인천대 총장)와 협의하여 서울 도심에서 반경 25km 외곽에 신도시를 짓고 한 시간 출퇴근이 가능하도록 지하철로 연결하기로 하고 대통령의 재가를 받았다. 이것이 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 등 한국 최초의 5대 신도시이며, 이른바 한국의 1기 신도시이다.[24] 신도시에 대한 계획이 완성되자 대통령은 이제 건설의 집행을 맡으라 하여 1988년 12월 제20대 건설부 장관으로 임명하였다.[25] 신도시 건설은 주택 가격 폭등과 맞물려 심각한 부동산 투기 현상과 현지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 시위, 그리고 여야 간의 뜨거운 정쟁을 불러왔다. 그러한 와중에 건설 총괄 집행 기구로 건설부 내에 신도시기획단을 신설하고 건설 시공, 토지 보상, 건설 자재 수급 등 건설 시공을 위한 기본 틀을 마련해 놓고 1989년 7월 장관직에서 물러나 다시 대학으로 돌아왔다.[26]

2. 5. 한국은행 총재 (2002~2006)

2002년 초 당시 김대중 대통령에 의해 제22대 한국은행 총재로 임명되었다.[30] 당시만 해도 김대중 대통령과는 전혀 모르는 사이였다. 4년간의 임기 중 역점사업은 한은법을 고쳐 한국은행의 독립성을 강화하는 일과 화폐개혁을 추진하는 일이었다. 한은법은 한은 부총재가 당연직 금융통화위원이 되고 한국은행의 예산을 정부로부터 독립시키는 내용의 개정안이 2003년 8월 국회를 통과하였다.[31] 화폐개혁은 위폐 방지와 품질 개선을 위한 신권 발행, 5만원권과 10만원권 고액권 발행, 화폐 단위를 1,000:1로 줄이는 [https://www.bok.or.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386 화폐단위변경] 등 세 가지를 동시에 하려는 것이었다.[32] 그러나 신권 발행과 5만원권 발행만 실현되고 나머지는 향후 과제로 남겨둔 채 2006년 3월 임기 만료로 만 70세에 총재직에서 물러났다.

2. 6. 퇴임 이후 (2006~현재)

그 후로는 사회봉사활동 이외에 어떤 형태의 재취업도 하지 않았다. 2018년부터 2023년 초까지 하나금융그룹 김정태 회장의 요청을 받고 하나금융의 사회공헌위원장으로 봉사하였는데, 소외지역에 어린이집을 지어주고 결손가정이나 다문화가정을 돕는 일을 했다. 젊어서부터 두세 차례 정치권의 참여 요청이 있었지만 6.25전쟁을 겪으면서 정치에는 관여하지 않겠다고 다짐한 바 있어 모두 사양하였다.[33]

박승은 여생을 보내고 남은 재산은 모두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여러 차례 사회에 약속한 바 있다. 그는 이것을 실행했다. 2010년에는 모교인 김제 백석초등학교에 영상실을 갖춘 도서관을 건립하였고, 2020년에는 이 학교에 장학기금 10억을 하나은행 신탁증서로 출연하였다. 2018년에는 모교인 이리공업고등학교(2024년에 국제에너지공고로 개편)에 장학기금으로 7억, 김대중평화센터에 운영기금 3억을 기부하였고, 그 뒤 모교인 서울대와 교수로 재직했던 중앙대에도 발전기금을 기부했다. Albany의 뉴욕주립대에는 은사인 Pong S, Lee(이봉석) 교수를 기리기 위한 추모사업기금을 설치하기로 하고 여기에 200000USD를 기부하였다. 여기서 나오는 수익으로 매년 경제학과에서 저명한 외부학자를 초빙하여 강연회를 열고 대학원 학생들의 연구활동을 지원하게 된다.[33] 한편 부인 권영하는 모교인 이리여고와 이화여대에 각각 1억의 장학기금을 전달했다.[34] 이로써 2023년 현재 약 40억 상당의 사재를 사회에 환원했는데, 한은 총재로 재직 중이던 2005년 재산신고액이 45억이었음을 감안하면 재산을 환원하겠다는 약속은 잘 지켜진 셈이다. 모교인 뉴욕주립대학교(Albany)는 2004년 자랑스런 동문상을 수여했으며 2007년 5월 졸업식에서는 인문학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하였다.[35] 2017년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는 문재인 후보의 자문위원장을 맡아 문재인 대통령 당선에 일조한 바 있다.[36] 1963년 권영하와 결혼하여[37] 슬하에 2남 3녀를 두고 11명의 손자녀가 있어 직계가족이 모두 23명에 이른다. 본인과 두 아들 그리고 세 사위가 모두 박사 학위를 가지고 학계나 연구소에 봉직하여 학자집안이라 할만하다.

2. 7. 사회 환원

박승은 여러 차례 사회에 재산을 환원하겠다고 약속했고, 이를 실행했다. 2010년 모교인 김제 백석초등학교에 영상실을 갖춘 도서관을 건립했고, 2020년에는 이 학교에 장학기금 10억을 하나은행 신탁증서로 출연했다.[33] 2018년에는 모교인 이리공업고등학교(2024년에 국제에너지공고로 개편)에 장학기금 7억, 김대중평화센터에 운영기금 3억을 기부했고, 그 뒤 모교인 서울대와 중앙대에도 발전기금을 기부했다. Albany의 뉴욕주립대에는 은사인 Pong S, Lee(이봉석) 교수를 기리기 위한 추모사업기금을 설치하기로 하고 200000USD를 기부했다.[33] 부인 권영하는 모교인 이리여고와 이화여대에 각각 1억의 장학기금을 전달했다.[34]

2023년 현재 약 40억 상당의 사재를 사회에 환원했는데, 이는 2005년 재산신고액 45억을 감안하면 재산 환원 약속이 잘 지켜진 셈이다. 2018년부터 2023년 초까지 하나금융그룹 김정태 회장의 요청을 받고 하나금융의 사회공헌위원장으로 봉사하며 소외지역에 어린이집을 짓고 결손가정이나 다문화가정을 돕는 일을 했다.[33]

3. 학력

4. 경력

연도경력
1957년 ~ 1959년군 복무 (15사단 38연대 2대대)
1961년 ~ 1976년한국은행 조사부 조사역, 과장, 차장
1962년 ~ 1965년중앙공무원 교육원 강사
1974년 ~ 1975년사우디아라비아 경제자문단장
1976년 ~ 2001년중앙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교수
1977년 ~ 1979년서울신문 경제논설위원
1978년 ~ 1982년정부 금융제도심의위원, 사법고시위원, 외무고시위원, 중앙노사공익위원
1982년 ~ 1988년물가안정위원, 산업정책심의위원, 세제심의위원, 금융발전심의위원
1984년 ~ 1988년농업진흥공사 이사, 농정심의위원, 외자도입심의위원
1984년 ~ 1987년중앙대학교 정경대학장
1985년 ~ 1986년경제개발 5개년계획 조정위원장
1986년 ~ 1987년한국국제경제학회장, 중앙대학교 경제연구소장
1986년 ~ 1988년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1988년중앙대학교 대학원장
1988년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2]
1988년 ~ 1989년제20대 건설부 장관[3]
1992년 ~ 1993년국토통일원 정책고문
1993년 ~ 1996년대한주택공사 이사장
1997년 ~ 1998년교통개발연구원 이사장
1998년 ~ 2001년제2건국운동 경제분과위원장, 삼성물산 사외이사
1999년 ~ 2000년한국경제학회장, 정부 자영자소득파악위원장
2001년 ~ 2002년정부 공적자금관리위원장
2001년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2002년 ~ 2006년제22대 한국은행 총재, 금융통화위원회 의장[5]
2009년 ~ 2013년대통령자문 국민원로회의 위원
2018년 ~ 2023년하나금융 사회공헌위원장


5. 저서


  • 1969년 《한국경제성장론》, 일신사
  • 1976년 《경제발전론》(대표 저서, 1990년 및 2000년 개정판), 박영사
  • 1982년 《s.s.쿠즈네츠》, 유풍출판사
  • 1983년 《한국경제정책론》, 박영사
  • 1987년 《근대경제성장론》(s.s.쿠즈네츠 원저, 공역), 한국경제신문사
  • 1996년 《한국경제의 두 얼굴》, 고려원
  • 2006년 《한국경제의 역동성은 위기에서 나온다》, 한국은행
  • 2010년 《하늘을 보고 별을 보고》(자서전), 한국일보사
  • 2011년 《김대중을 생각한다》 (공저), 삼인
  • 2012년 《쫄지마, 청춘》 (공저), 한국일보사
  • 2012년 《내 인생 후회되는 한 가지》 (공저), 위즈덤 경향


박승 교수는 한국어로 11권의 책을 출판하였다. 그의 가장 주목할 만한 저서는 1976년에 출판된 《경제발전론》으로, 30년 동안 한국의 대학 교재로 널리 사용되었다.[1]

6. 상훈

연도상훈
1964내각 사무처장 표창, 대한민국 국무총리상
1969경제기획원장관 표창, 대한민국 경제기획원 장관상
1987국민훈장 목련장
1989청조근정훈장
2004뉴욕주립대학교 올버니 동문상
2007뉴욕주립대학교 올버니 명예박사학위 (Doctor of Humane Letters)
2011자랑스런 전북인 상
2014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문상
2015중앙대학교 총동창회 공로상


참조

[1] 서적 33 Contemporary Figures of Korea Contemporary Figure Research Association 2006-09
[2] 뉴스 Announced for the Cabinet of the Sixth Republic The Chosun Ilbo and The Donga Ilbo 1988-02-19
[3] 뉴스 A Large-scale Cabinet Reshuffle Executed The Kyunghyang Shinmun 1988-12-05
[4] 뉴스 Details on the General Assembly’s dispute over demonstrations against constructing 5 new towns The Seoul Economic Daily, The Central Economic Daily, The Korea Economic Daily, The Hankook Ilbo 1988-04-28
[5] 뉴스 Related articles about Seung Park’s appointment as governor of the Bank of Korea The Maeil Business Newspaper, The Hankyoreh Newspaper 2002-02-21
[6] 간행물 A Historical Illumination of the 7th Amendment of the Bank of Korea Act Bank of Korea 2006
[7] 뉴스 Bank of Korea’s Detailed Plan for Currency Unit Change, Regret for Not Completing the Monetary System Reform The Chosun Ilbo, The Seoul Economic Daily, The Hankook Ilbo 2004-06-07
[8] 웹사이트 Excellence Awards, University at Albany Alumni Association https://www.alumni.a[...]
[9] 웹사이트 UAlbany Announces Commencement Weekend 2007 https://www.albany.e[...] University at Albany 2007-05-16
[10] 뉴스 The Korea Economic Daily, The E-daily, The JoongAng Ilbo, The Hankook Ilbo, The Kyunghyang Shinmun 2012-09-28
[11] 서적 하늘을 보고, 별을 보고 한국일보사 2010
[12] 간행물 박현식 1894-01-12
[13] 간행물 강신용 1895-04-18
[14] 간행물 이리공고 교지 기림
[15] 논문 한국경제의 위기와 부흥정책의 방향, 불균형성장론, 후진국경제개발방안의 소고, 환율 현실화의 제 문제점, 개발정책에 대한 소고 동아일보, 상대평론 1957, 1960
[16] 뉴스 한국은행 박승 조사역 미국 뉴욕주립대(Albany)에서 ‘노동력과잉 후진국에서 외자의 경제개발 효과’ 라는 논문으로 경제학 박사학위 취득, 이른바 경기대책의 공전 한국경제신문, 중앙일보 1974-08-16
[17] 뉴스 사우디에 경제자문단 5명 파견 내외경제신문 1975-07-29
[18] 뉴스 수출인플레를 잡아라 내외경제신문 1977-05-22
[19] 서적 하늘을 보고 별을 보고 한국일보사 2010
[20] 뉴스 중앙대 교무위원 대폭인사 단행 중대신문 1984-03-01
[21] 뉴스 금융통화위원에 박승 매일경제신문 1986-01-11
[22] 뉴스 한국 국제경제학회 새 회장에 박승 중앙대 교수 중앙일보 1986-12-16
[23] 뉴스 총리에 이현재, 대통령비서실장 홍성철, 제6공화국 조각 발표 조선일보 및 동아일보 1988-02-19
[24] 간행물 1988년 신도시 기획 1988
[25] 뉴스 강영훈 총리 조순 부총리, 대폭적인 개각 단행 경향신문 1988-12-05
[26] 뉴스 5대 신도시 건설에 대한 기획, 집행, 반대시위, 국회여야정쟁 서울경제신문, 중앙경제신문, 한국경제신문, 한국일보사 1989-04-28
[27] 뉴스 자영자 소득파악위원장 취임과 활동 조선일보, 한국경제신문, 한겨레신문 1999-04-17
[28] 뉴스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장의 취임과 활동 한국일보, 동아일보 2001-02-20
[29] 뉴스 한국경제학회장에 중앙대 박승 교수 선출 문화일보, 한국경제신문 1998-11-19
[30] 뉴스 박승의 한은총재 임명 매일경제신문, 한겨레신문 2002-02-21
[31] 간행물 제7차 한국은행법 개정에 대한 역사적 조명 한국은행 2006
[32] 뉴스 한은 화폐단위변경 구체안, 화폐제도개혁 완결 못해 아쉬움 조선일보, 서울경재신문, 한국일보사 2004-06-07
[33] 뉴스 조선일보, 서울이코노미뉴스, 동아일보, 서울경제신문, 조선일보 2003-03-05
[34] 웹인용 이화여대 홈페이지 https://giving.ewha.[...]
[35] 웹인용 Excellence Awards, University at Albany Alumni Association, 朴 昇 한국은행 총재,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자랑스러운 동문상” 수상, UAlbany Announces Commencement Weekend 2007 https://www.alumni.a[...] the University at Albany Alumni Association, 한국은행, University at Albany, 동아일보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2004-06-07, 2007-05-16
[36] 뉴스 박승은의 2012년, 2017년 대선 활동 한국경제신문, 이데일리, 중앙일보, 한국일보, 경향신문 2017-05-12 #가장 최근 날짜를 사용
[37] 간행물 # 출처가 명확하지 않으므로 간행물로 분류 권영하 약력 1938-07-25 # 출생 날짜를 date로 사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