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방문 기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문 기록은 사용자가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방문한 웹 페이지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이다. 이는 로컬에서 이전 방문 페이지를 쉽게 찾고, 자동 완성을 통해 웹 페이지 접근성을 높이는 데 활용된다. 타겟 광고, 개인 맞춤 가격, 연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개인 정보 침해 및 유출과 같은 프라이버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사용자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만, 프라이버시 인식 부족, 기술적 지식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거 - 과거완료
    과거완료는 과거 특정 시점 이전에 시작되어 그 시점에 완료되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사건을 나타내는 시제로, 라틴어처럼 동사 활용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영어의 `had + 과거분사`나 한국어의 '-었었-' 어미처럼 조동사와 과거분사를 결합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언어에서는 존재하지 않거나 드물게 사용되기도 한다.
  • 과거 - 어제
    어제는 오늘보다 하루 앞선 과거의 시간 단위로, 지나간 사건이나 경험을 회상하거나 이야기할 때 사용되는 추상적인 시간 개념이다.
  • 웹 브라우저 - NPAPI
    NPAPI는 웹 브라우저 플러그인이 브라우저와 상호 작용하는 인터페이스였으나, 새로운 웹 표준 등장, API 노후화, 보안 문제로 쇠퇴하여 주요 브라우저들이 지원을 중단했고, 대한민국에서는 액티브X 대안으로 고려되다 HTML5 전환으로 과도기적인 기술로 사용되었다.
  • 웹 브라우저 - 브라우저 엔진
    브라우저 엔진은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지정하고 시각적 표현을 계산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이다.
방문 기록
웹 브라우징 기록
개요
유형컴퓨터 데이터
보존 기간브라우저 설정에 따라 다름
관련 개인 정보 보호 문제HTTP 쿠키
웹 버그
웹사이트 추적
세부 사항
포함 정보방문한 웹사이트의 URL
각 웹사이트 방문 시간
검색어
다운로드 기록
쿠키
캐시된 웹 페이지 콘텐츠
웹사이트에 제출된 데이터
저장된 비밀번호
활용
용도사용자 경험 개선
웹사이트 문제 해결
개인 맞춤형 광고 제공
디지털 포렌식 조사
사용자 활동 추적
관리
관리 방법브라우저 설정에서 기록 삭제
개인 정보 보호 브라우저 사용
VPN 사용
검색 엔진 설정 변경
광고 차단기 사용
쿠키 관리 도구 사용
기타
관련 항목브라우저 확장 기능
인터넷 검열
온라인 개인 정보 보호
사이버 보안

2. 활용

웹 브라우징 기록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바탕으로 맞춤형 광고를 보여주는 타겟 광고에 사용된다.[8] 또한, 사용자의 구매 이력 등을 분석하여 상품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는 개인 맞춤 가격 전략에도 활용될 수 있다.[16] 이 외에도 사람들의 웹 브라우징 행동 양식을 분석하거나 개인의 웹 사용 기록을 정리하는 등 다양한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7][3] 이러한 활용은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동시에 개인 정보 활용과 관련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도 제기된다.[11][12][13]

2. 1. 로컬 히스토리

로컬에 저장된 방문 기록은 희미한 기억만 남아 있거나 찾기 어려운 웹 페이지를 다시 방문할 때 유용하다. 또한, 브라우저는 자주 방문하는 페이지로 더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주소 표시줄에서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데 이 기록을 활용한다.[4]

방문 기록의 보존 기간은 인터넷 브라우저마다 다르다. 모질라 파이어폭스 데스크톱 버전은 기본적으로 places.sqlite 파일에 기록을 무기한 저장하지만, 디스크 공간이 부족하면 가장 오래된 기록부터 자동으로 삭제한다.[1] 반면, 구글 크롬 데스크톱 버전은 기본적으로 10주 동안 기록을 보관하고 그 이전 기록은 자동으로 삭제한다. 과거에는 Archived History라는 이름으로 무기한 기록 파일이 존재했으나, 2014년 9월에 출시된 버전 37에서 제거되고 자동으로 삭제되었다.[5][6]

구글 크롬(데스크톱 버전)용 ''History Trends Unlimited''와 같은 브라우저 확장 기능을 사용하면 방문 기록을 로컬에 무기한 저장하고, 데이터 내보내기를 통해 이식 가능한 파일로 만들거나, 자신의 방문 습관 및 통계를 분석할 수 있다.[7]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시크릿 모드를 사용하면 방문 기록이 저장되지 않는다.

2. 2. 타겟 광고

타겟 광고는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더 관련성 높은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8]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쇼핑 웹사이트에서 신발을 검색한 후 다른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해당 신발 광고가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타겟 광고는 기존 온라인 광고의 전환율을 두 배로 높이는 효과가 있다.[9]

실시간 입찰(RTB, Real-Time Bidding)은 타겟 광고가 사용자에게 도달하기까지의 과정에서 활용되는 핵심 기술이다. 이 시스템은 특정 웹사이트에 광고를 게재하기 위해 광고주들이 자동으로 가격을 입찰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19] 광고주는 해당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타겟 고객의 특성을 분석하여 광고 단가를 결정하며,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많을수록 광고주가 더 높은 가격을 제시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19]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검색 기록과 같은 개인 정보가 입찰에 참여하는 모든 회사에 공유될 수 있다.[10] 실시간으로 정보가 처리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명시적인 동의 없이 정보가 수집되거나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전송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11]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정보가 어떻게 수집되고 저장되며 사용되는지에 대해 매우 제한적인 정보만을 갖게 된다.[12][13]

타겟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은 자신의 정보가 수집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정보 수집 사실을 미리 알고 있다면, 타겟 광고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광고 링크를 클릭할 의향이 높아질 수 있다.[10] 반면, 정보 수집 사실을 알지 못했던 사용자는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를 느껴 광고 링크 클릭을 꺼릴 수 있다.[10] 또한, 사용자가 해당 웹사이트를 신뢰할 만하다고 판단하면, 개인 맞춤형 서비스로 인식하고 광고 링크를 클릭할 가능성이 높아진다.[10][14]

이러한 프라이버시 문제와 광고 효율성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량제 추적'이라는 새로운 시스템이 제안되기도 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와 광고주 사이에 중개자를 두는 방식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정보를 중개인에게 제공할지 여부를 직접 결정할 수 있으며, 중개인은 사용자가 동의한 정보만을 광고주에게 전달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는 대가로 금전적 보상을 받을 수도 있다. 이 방식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광고 추적의 효율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중개 과정에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15]

2. 3. 개인 맞춤 가격

개인 맞춤 가격은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자주 구매하거나 해당 제품에 대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그 사용자에게 더 높은 가격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웹 브라우징 기록은 사용자의 구매 행동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맞춤 가격 전략을 사용하면 기업은 현상 유지 상태와 비교했을 때 이윤을 12.99%까지 늘릴 수 있다.[16]

2. 4. 연구

웹 브라우징 기록은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람들의 브라우징 행동 양식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용자가 한 사이트에서 광범위하게 브라우징하면 추가 페이지를 요청할 확률이 높아지는 반면, 더 많은 사이트를 방문할수록 추가 페이지를 요청할 가능성은 줄어든다.[17]

웹 브라우징 기록은 또한 개인 웹 라이브러리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개인 웹 라이브러리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 기록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브라우징 경향, 시간 분배, 자주 방문하는 웹사이트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일부 사용자는 이 기능을 유용하다고 생각한다.[3]

3. 개인 정보 보호 문제

웹 브라우징 기록은 개인 정보 침해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타겟 광고와 관련하여 문제가 제기된다. 타겟 광고는 사용자의 검색 기록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더 관련성 높은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8] 한 연구에 따르면 타겟 광고는 기존 온라인 광고의 전환율을 두 배로 높이기도 한다.[9]

이러한 타겟 광고의 배후에는 실시간 입찰(RTB, Real-Time Bidding)이라는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9] RTB는 특정 웹사이트의 광고 공간을 두고 광고주들이 실시간으로 입찰하는 시스템인데, 이 과정에서 광고주가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의 검색 기록과 같은 정보가 입찰에 참여하는 여러 회사에 공유될 수 있다.[10][19] 문제는 이러한 정보 공유가 사용자의 명시적인 동의 없이 이루어지거나,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전송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11]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정보가 어떻게 수집, 저장, 사용되는지 제대로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12][13]

타겟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은 정보 수집 사실 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사용자가 정보가 수집된다는 것을 미리 알고 있다면 광고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링크 클릭 의향이 높아질 수 있다.[10] 반면, 정보 수집 사실을 몰랐다면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가 커져 링크 클릭 의향이 감소할 수 있다.[10] 또한 사용자가 해당 웹사이트를 신뢰하는지 여부도 개인화된 서비스 수용 및 링크 클릭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10][14]

프라이버시 보호와 광고 효율성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량제 추적' 시스템이 제안되기도 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와 광고주 사이에 중개인이 존재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정보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그 대가로 금전적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이는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데이터 추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지만,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15]

3. 1. 개인 정보 침해 우려

웹 브라우징 기록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등 로컬 장치에 저장되며 공개적으로 게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애드웨어나 잠재적 불필요 프로그램(PUP) 등은 사용자의 명시적인 동의 없이 웹사이트 방문 기록과 같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18] 이러한 정보 추적은 많은 플랫폼에서 기본적으로 허용되는 경우가 많다.[11]

웹사이트 쿠키 역시 방문 기록을 수집하는 주요 수단이다. 쿠키는 크게 자사 쿠키와 서드 파티 쿠키로 나뉜다. 특히 서드 파티 쿠키는 여러 웹사이트에 걸쳐 사용자의 정보를 추적하고 수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 정보 침해 가능성을 높인다.[19] 자사 쿠키는 해당 웹사이트 내에서의 활동 정보만 접근할 수 있지만, 서드 파티 쿠키는 여러 웹사이트에서 수집한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에 대한 더 상세한 프로필을 만들 수 있다.[19] 예를 들어, 한 웹사이트에서 뉴스를 보고 다른 웹사이트에서 특정 질병 정보를 검색한 기록이 서드 파티 쿠키를 통해 결합되면, 해당 사용자가 특정 건강 문제에 관심이 있다고 추론될 수 있다.[19] 이렇게 여러 웹사이트의 방문 기록이 합쳐지면 사용자의 관심사, 성향, 심지어 민감할 수 있는 정보까지 노출될 위험이 커진다. 충분한 정보가 축적되면,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20]

수집된 방문 기록은 타겟 광고에 활용되기도 한다. 이는 사용자의 검색 기록 등을 분석하여 관련성 높은 광고를 보여주는 방식이다.[8] 실시간 입찰(RTB) 과정에서는 사용자의 방문 기록을 포함한 정보가 광고 입찰에 참여하는 여러 회사에 공유될 수 있는데,[10]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동의가 없거나 정보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전송되는 경우가 있어 개인 정보 유출 및 오용의 우려가 제기된다.[11] 사용자들은 자신의 정보가 어떻게 수집되고 활용되는지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2][13] 사용자가 정보 수집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타겟 광고를 접하면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다.[10]

3. 2. 개인 정보 유출 사건

2006년, AOL은 사용자들의 검색 기록을 포함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공개했다. 이 데이터에는 사용자 ID나 이름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공개된 검색 기록만으로도 특정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했다.[21] 예를 들어, 사용자 번호 4417749번은 3개월간의 검색 기록 분석을 통해 실제 신원이 확인되기도 했다.[22] 이는 검색 기록 데이터가 익명화되더라도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민감한 정보임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2020년에는 널리 사용되는 백신 소프트웨어인 아바스트(Avasteng)가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제3자에게 판매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체코 공화국 당국은 이 혐의에 대해 예비 조사를 시작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바스트는 자회사인 점프샷(Jumpshoteng)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 데이터를 마케팅 분석 목적으로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바스트 측은 판매된 데이터에 사용자의 개인 식별 정보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AOL 사례와 마찬가지로 검색 기록 패턴 분석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논란이 커지자 아바스트는 문제 해결을 위해 점프샷 운영을 중단했다.[23] 이 사건은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 기록이 어떻게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개인 정보 보호가 얼마나 취약할 수 있는지를 드러냈다.

3. 3.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노력

사용자가 개인 정보 침해 위험을 느낄 경우, 개인 정보를 공개하려는 의도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24] 일부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가 실제 행동으로 이어져, 사용자가 개인 정보 공유를 줄이고 더 많은 보호 조치를 취하게 된다고 밝히기도 했다.[25] 사용자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를 가질 경우, 온라인 서비스 이용을 줄이거나,[25] 정보 제공 거부, 허위 정보 제공, 온라인 정보 삭제, 주변 사람이나 관련 기관에 불만을 제기하는 등의 보호 조치를 취하기도 한다.[26]

하지만 여러 이유로 사용자가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는 어렵다. 우선, 사용자는 충분한 프라이버시 인식을 갖고 있지 않으며, 실질적인 영향이 없는 한 웹 추적에 대해 크게 걱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자신의 데이터가 상업적 가치를 지닌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11]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웹사이트의 개인 정보 처리 방침 링크를 인지하기 어려우며, 특히 여성이나 고령 사용자는 이러한 공지를 무시할 가능성이 더 높다. 설령 개인 정보 처리 방침 링크를 인지하더라도, 정보 공개 결정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도 있다.[27] 또한, 사용자는 프라이버시 유출을 인지하더라도 자신을 보호할 충분한 기술적 지식을 갖추지 못해 수동적인 입장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11]

대부분의 사용자는 웹 브라우징 기록 수집을 막기 위해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고, 쿠키를 삭제하며,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웹사이트를 피하는 등의 소극적인 방법을 사용한다.[12][28] 하지만 대부분의 광고 차단기는 사용자에게 프라이버시 인식 제고를 위한 충분한 지침을 제공하지 않으며, 표준 블랙리스트화이트리스트에 의존한다는 한계가 있다.[29] 이러한 목록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를 추적하는 웹사이트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광고 차단기는 추적 도메인이 차단될 때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30]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브라우저 대신 하드 드라이브에 브라우징 기록을 수집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려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들도 등장하고 있다.[31] 이는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삭제한 후에는 브라우징 기록 데이터를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Wiederherstellen wichtiger Daten aus einem alten Profil {{!}} Hilfe zu Firefox https://support.mozi[...]
[2] 웹사이트 Google Chrome History Location {{!}} Chrome History Viewer https://www.foxtonfo[...]
[3] 논문 Personal Web Library: organizing and visualizing Web browsing history 2018
[4] 웹사이트 Autocompletion in Chrome's Omnibox is getting smarter https://mspoweruser.[...] 2020-08-24
[5] 웹사이트 Archived History files removed from Chrome v37 https://web.archive.[...] Obsidian Forensics
[6] 웹사이트 "[chrome] Revision 275159" https://src.chromium[...]
[7] 웹사이트 3 Simple Yet Useful Extensions to Enhance Chrome's History https://www.maketech[...] 2018-10-07
[8] 논문 Privacy and security online: best practices for cybersecurity 2018
[9] 간행물 The Value of Behavioral Targeting 2010
[10] 논문 Unraveling the Personalization Paradox: The Effect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Trust-Building Strategies on Online Advertisement Effectiveness 2015
[11] 논문 Online advertising: Analysis of privacy threats and protection approaches 2017
[12] 논문 The Online Advertising Industry: Economics, Evolution, and Privacy 2009
[13] 논문 On the regulation of personal data distribution in online advertising platforms 2019
[14] 논문 Personalization versus Privacy: An Empirical Examination yes of the Online Consumer’s Dilemma 2005
[15] 논문 Pay-per-tracking: A collaborative masking model for web browsing 2017
[16] 논문 Approximating purchase propensities and reservation prices from broad consumer tracking 2020
[17] 논문 A Model of Web Site Browsing Behavior Estimated on Clickstream Data 2003
[18] 논문 Analyzing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by malware 2019
[19] 논문 Dissolving Privacy, One Merger at a Time: Competition, Data, and Third Party Tracking 2020
[20] 논문 On-web user tracking of browsing patterns for personalized advertising 2017
[21] 뉴스 AOL apologizes for release of user search data https://www.cnet.com[...] 2020-11-27
[22] 뉴스 A Face Is Exposed for AOL Searcher No. 4417749 https://www.nytimes.[...] 2020-11-27
[23] 뉴스 Popular antivirus software Avast under investigation for selling user browsing histories https://fortune.com/[...] 2020-11-27
[24] 논문 The Privacy Paradox: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s versus Behaviors 2007
[25] 논문 Online Privacy Concerns and Privacy Management: A Meta-Analytical Review 2017
[26] 논문 Internet Users' Information Privacy-Protective Responses: A Taxonomy and a Nomological Model 2008
[27] 논문 The disconnection between privacy notices and information disclosure: an online experiment 2016
[28] 논문 A personalized approach to web privacy: awareness, attitudes and actions 2011
[29] 논문 Privacy leakage on the Web: Diffusion and countermeasures 2013
[30] 논문 Diffusion of User Tracking Data in the Online Advertising Ecosystem 2018
[31] 웹사이트 Visited: Securely collect browsing history over browsers https://github.com/y[...] 2022-05-12
[32] 웹인용 Wiederherstellen wichtiger Daten aus einem alten Profil {{!}} Hilfe zu Firefox https://support.mozi[...]
[33] 웹인용 Google Chrome History Location {{!}} Chrome History Viewer https://www.foxtonfo[...]
[34] 논문 Personal Web Library: organizing and visualizing Web browsing history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