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전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전관은 가스를 채운 밀폐된 유리관으로, 가스 종류와 작동 방식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형광등, 네온관, 제논 플래시 램프 등이 있으며, 가스 종류로는 헬륨, 네온, 아르곤, 크립톤, 제논, 수은, 나트륨, 황, 질소, 할로겐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전관은 조명,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전력 장치, 연산용 튜브, 지시계, 노이즈 다이오드, 전압 조정관, 경과 시간 측정 등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방전관 |
---|
2. 가스 종류 및 용도
형광등, 수은등, 나트륨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 다양한 종류의 방전관이 있으며,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인다.
네온관은 저압 가스를 사용하며, 니키시 튜브는 형광 표시관으로 대체되었지만 과거에는 가스 방전관을 이용해 표시 장치를 만들었다.
사진 촬영에 사용되는 제논 플래시 램프도 가스 방전관의 일종이며, 최근에는 황 램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비활성 기체는 조명, 스위칭 등 다양한 목적의 방전관에 자주 사용된다. 순수한 비활성 기체는 스위칭 튜브에 사용되며, 비활성 기체 충전 사이라트론은 수은 기반 사이라트론보다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2]
- '''헬륨''': 헬륨-네온 레이저 및 일부 사이 라트론에 사용된다. 헬륨은 수소만큼 짧은 탈이온화 시간을 제공하지만 낮은 전압을 견디기 때문에 덜 사용된다.[4]
- '''네온''': 낮은 점화 전압을 가져 저전압 튜브에 자주 사용된다. 네온 방전은 밝은 적색광을 방출하여 네온 사인에 사용된다.
- '''아르곤''': 형광등에 처음 사용된 기체로, 저렴한 비용, 높은 효율, 낮은 점화 전압으로 인해 여전히 자주 사용된다.[3]
- '''크립톤''': 아르곤 대신 형광등에 사용될 수 있다. 크립톤을 사용하면 전극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지만, 램프 길이당 전압 강하가 낮아 튜브 직경을 줄여 보상해야 한다. 크립톤 충전 램프는 높은 시동 전압이 필요하여 아르곤-크립톤 혼합물을 사용하기도 한다.[3]
- '''제논''': 높은 절연 파괴 전압을 가지고 있어 고전압 스위칭 튜브에 유용하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같이 형광체를 여기시키기 위해 자외선 생성이 필요한 경우 가스 혼합물의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과거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으나, 현재는 OLED 등 다른 기술에 밀려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다.
페닝 혼합물은 네온 램프, 가이거-뮐러 관 등 낮은 이온화 전압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5]
수은, 나트륨, 황 등 다양한 금속 증기가 방전관에 사용된다.
- '''수은 증기''': 조명, 수은 아크 밸브, 이그니트론과 같이 고전류를 사용하는 곳에 쓰인다.
- '''나트륨 증기''': 나트륨 램프에 사용된다.
- '''황 증기''': 황 램프에 사용된다.[3]
육불화황은 강력한 온실가스이므로, 한국에서는 육불화황 사용을 줄이고 대체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 1. 수소
수소는 사이러트론, 데카트론, 크라이트론과 같이 매우 빠른 스위칭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수소의 상승 및 회복 시간은 다른 가스보다 훨씬 짧다.[9] 수소 사이러트론은 일반적으로 열음극이다. 수소(및 중수소)는 보조 필라멘트로 가열되는 금속 수소화물 형태로 튜브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요소를 가열하여 수소를 사용, 정화된 가스를 보충하고 주어진 전압에서 사이리스터 작동에 필요한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1]2. 2. 듀테륨
듀테륨은 자외선 분광학을 위한 자외선 램프, 중성자 발생기 튜브, 크로사트론과 같은 특수 튜브에 사용된다. 듀테륨은 수소보다 항복 전압이 더 높다.[2] 고전압 작동이 필요한 경우 빠른 스위칭 튜브에서 수소 대신 사용된다.[2] 예를 들어 수소로 채워진 CX1140 사이라트론의 양극 전압 정격은 25kV인 반면, 듀테륨으로 채워지고 다른 모든 면에서 동일한 CX1159는 33kV이다.[2] 또한, 동일한 전압에서 듀테륨의 압력은 수소보다 높을 수 있어, 과도한 양극 소모를 일으키기 전에 더 높은 전류 상승률을 허용하며, 훨씬 높은 피크 전력을 얻을 수 있다.[1] 그러나 회복 시간은 수소보다 약 40% 느리다.[1]2. 3. 비활성 기체

비활성 기체는 조명, 스위칭 등 다양한 목적으로 튜브에 자주 사용된다. 순수한 비활성 기체는 스위칭 튜브에 사용되며, 비활성 기체 충전 사이라트론은 수은 기반 사이라트론보다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2] 전극은 고속 이온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데, 기체의 중성 원자가 충돌을 통해 이온 속도를 늦추고 이온 충격으로 전극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줄인다. 제논과 같이 분자량이 큰 기체는 네온처럼 가벼운 기체보다 전극 보호 효과가 크다.[3]
2. 3. 1. 헬륨
헬륨은 헬륨-네온 레이저 및 높은 전류 및 고전압 정격의 일부 사이 라트론에 사용된다. 헬륨은 수소만큼 짧은 탈이온화 시간을 제공하지만 낮은 전압을 견딜 수 있으므로 훨씬 덜 자주 사용된다.[4]2. 3. 2. 네온
네온은 낮은 점화 전압을 가져 저전압 튜브에 자주 사용된다. 네온 방전은 비교적 밝은 적색광을 방출하는데, 이는 네온 사인에 활용된다. 네온 충전 스위칭 튜브는 스위치를 켜면 빨간색으로 빛나기 때문에 지표 역할을 하기도 하며, 이는 카운터와 디스플레이 역할을 하는 데카트론 튜브에서 활용된다.[3] 높은 전력과 짧은 길이의 형광등에도 사용되지만, 낮은 원자 질량 때문에 가속 이온으로부터 전극을 거의 보호하지 못하므로 양극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추가 스크린 와이어나 플레이트를 사용하기도 한다.[3]네온관은 저압의 가스 봉입관이다.
2. 3. 3. 아르곤
아르곤은 형광등에 사용된 최초의 기체였으며, 저렴한 비용, 높은 효율성, 매우 낮은 점화 전압으로 인해 여전히 자주 사용된다.[3] 초기 정류기 튜브에도 사용되었으며, 최초의 사이라트론은 그러한 아르곤 충전 튜브에서 파생되었다.[3] 형광등에서는 수은과 함께 사용된다.[3]2. 3. 4. 크립톤
크립톤은 아르곤 대신 형광등에 사용할 수 있다. 크립톤을 형광등에 사용하면 전극의 총 에너지 손실을 약 15%에서 7%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램프 길이당 전압 강하는 아르곤보다 낮으며, 이는 튜브 직경을 줄여 보상할 수 있다. 크립톤 충전 램프는 더 높은 시동 전압이 필요하며, 25%~75% 아르곤-크립톤 혼합물을 사용하여 이를 완화할 수 있다. 형광등에서는 수은과 함께 사용된다.[3]2. 3. 5. 제논
비활성 기체인 제논은 높은 절연 파괴 전압을 가지고 있어 더 높은 전압 스위칭 튜브에 유용하다. 제논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와 같이 형광체를 여기시키기 위해 자외선 생성이 필요한 경우 가스 혼합물의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5] 생성된 파장은 아르곤 및 크립톤보다 길고 형광체를 더 잘 통과한다. 이온화 전압을 낮추기 위해 네온-제논 또는 헬륨-제논 혼합물이 사용된다.[5] 350torr 이상에서는 헬륨이 네온보다 낮은 절연 파괴 전압을 가지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제논 농도가 1% 이하에서는 페닝 효과가 이러한 혼합물에서 중요해지는데, 이는 제논 이온화의 대부분이 다른 비활성 기체의 여기된 원자와의 충돌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논 농도가 몇 퍼센트 이상에서는 전자의 대부분의 에너지가 제논의 직접적인 이온화에 사용되기 때문에 방전이 제논을 직접 이온화한다.[5]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과거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으나, 현재는 OLED 등 다른 기술에 밀려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다.
2. 3. 6. 페닝 혼합물
페닝 혼합물은 네온 램프, 가이거-뮐러 관 및 기타 가스 충전 입자 검출기 등에서 낮은 이온화 전압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5] 고전적인 조합은 약 98–99.5%의 네온과 0.5–2%의 아르곤이며, 이는 네온 전구 및 단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된다.[5]2. 4. 금속 증기
수은, 나트륨, 황 등 다양한 금속 증기가 방전관에 사용된다. 많은 금속 증기는 단독으로 또는 불활성 기체와 함께 여러 레이저에 사용된다. 형광등이나 수은등, 나트륨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이 있다.2. 4. 1. 수은 증기
수은 증기는 조명, 수은 아크 밸브, 이그니트론과 같은 고전류를 사용하는 곳에 쓰인다. 수은은 높은 증기압과 낮은 이온화 전위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된다. 수은과 불활성 가스를 섞어 사용하면 튜브 내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수은-불활성 가스 혼합물에서 방전은 처음에는 주로 불활성 가스에 의해 일어나며, 여기서 발생하는 열은 수은을 증발시켜 필요한 증기압에 도달하게 한다. 저전압(수백 볼트) 정류기에서는 소량의 불활성 가스와 포화 수은 증기를 함께 사용하여 튜브를 차가운 상태에서 시작할 수 있게 한다. 고전압(킬로볼트 이상) 정류기에서는 낮은 압력에서 순수한 수은 증기를 사용하며, 튜브의 최대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액체 수은은 수은 저장소 역할을 하여 방전 중에 소모되는 증기를 보충한다. 불포화 수은 증기도 사용할 수 있지만, 보충이 되지 않아 튜브의 수명이 짧아진다.[9] 수은 증기압은 수은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은 기반 튜브가 작동할 수 있는 환경은 제한적이다. 저압 수은 램프에서는 효율이 가장 좋은 최적의 수은 압력이 있다. 이온화된 수은 원자가 방출하는 빛은 주변의 이온화되지 않은 원자에 흡수되어 다시 방출되거나, 원자가 빛을 내지 않고 에너지를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수은 압력이 너무 높으면 빛 손실이 발생한다. 수은 압력이 너무 낮으면 이온화되어 빛을 낼 원자가 부족해진다. 저압 수은 램프의 최적 온도는 약 42°C이며, 이 온도에서 수은의 포화 증기압(튜브에 약 1mg의 액체 수은 방울로 존재하며, 정화 과정에서 손실되는 수은을 보충하는 저장소 역할)이 이 최적치에 도달한다. 더 높은 주변 온도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 램프에서는 수은이 비스무트 및 인듐과의 아말감 형태로 존재한다. 아말감 위의 증기압은 액체 수은 위의 증기압보다 낮다.[6] 수은은 형광등에서 형광체를 자극하기 위한 가시광선 및 자외선 광원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아르곤과 함께, 때로는 크립톤이나 네온과 함께 사용된다. 수은 이온은 천천히 다시 이온화되지 않아 수은으로 채워진 사이라트론의 스위칭 속도를 제한한다. 심지어 낮은 에너지의 수은 이온으로 충격을 가해도 산화물 코팅된 음극이 점차 파괴된다.[1]2. 4. 2. 나트륨 증기
나트륨 램프에 사용된다.2. 4. 3. 황 증기
황 램프에 사용된다.[3]2. 5. 기타 기체

- 공기는 일부 수요가 낮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 비교적 높은 압력의 질소는 서지 방지기에 사용되기도 한다.
- 할로젠 및 알코올 증기는 가이거-뮐러 계수관에서 활용된다.[9]
2. 5. 1. 질소
비교적 높은 압력의 질소는 짧은 증가 시간 때문에 서지 방지기에 사용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튜브가 전압 서지에 빠르게 반응하도록 한다.[9]
2. 5. 2. 할로젠 및 알코올 증기
할로젠 및 알코올 증기는 자외선을 흡수하고 높은 전자 친화성을 갖는다. 비활성 기체에 첨가하면 방전을 소멸시키는데, 이는 가이거-뮐러 계수관에서 활용된다.[9] 가이거-뮐러 계수관은 입사된 베타선 및 감마선에 의해 발생한 광전 효과에 의한 전자선에 의한 전리 작용에 기인하는 애벌런치 효과로 방사선을 계측한다.2. 6. 절연 기체
특수한 경우(예: 고전압 스위치)에는 유전 특성이 우수하고 항복 전압이 매우 높은 가스가 필요하다. 전기음성도가 높은 원소, 예를 들어 할로겐은 방전 채널에 존재하는 이온과 빠르게 재결합하기 때문에 선호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스 중 하나는 육불화황으로, 특수한 고전압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그 외에 건조 가압 질소와 할로카본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육불화황은 강력한 온실가스이므로, 한국에서는 육불화황 사용을 줄이고 대체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 가스 충전관의 물리학 및 기술
타운센드 방전은 가스 밀도에 대한 임계 전계 강도 값이 도달하면 이온 충돌에 의해 전자 흐름이 지속적으로 증폭되는 현상이다. 전계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방전 단계가 나타나며, 사용된 가스는 튜브의 매개변수에 큰 영향을 미친다. 파센의 법칙에 의해 항복 전압은 가스 조성 및 전극 간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3. 1. 가스 압력
가스 압력은 0.001and(-) 사이에서 다양할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1and(-) 사이의 압력이 사용된다.[9] 가스 압력은 다음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9]- 절연 파괴 전압 (점화 전압이라고도 함)
- 전류 밀도
- 작동 전압
- 역화 전압[7]
- 튜브 수명 (압력이 낮은 튜브는 가스를 소모하기 때문에 수명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음)
- 음극 스퍼터링, 더 높은 압력에서 감소
특정 값 이상에서는 가스 압력이 높을수록 점화 전압이 높아진다. 고압 조명 튜브는 가스 압력이 낮을 때 차가운 상태에서 점화를 위해 수 킬로볼트의 펄스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예열 후, 빛 방출에 사용되는 휘발성 화합물이 기화되고 압력이 증가하면 방전을 다시 점화하려면 훨씬 더 높은 전압이 필요하거나 램프를 냉각하여 내부 압력을 줄여야 한다.[6] 예를 들어, 많은 나트륨 증기 램프는 전원을 끈 직후에 즉시 다시 켤 수 없으며, 다시 켜기 전에 냉각되어야 한다.
가스는 튜브 작동 중에 여러 현상에 의해 소모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통칭하여 '''클린업'''이라고 한다. 가스 원자 또는 분자는 전극 표면에 흡착된다. 고전압 튜브에서는 가속된 이온이 전극 재료로 침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의 내부 표면에 스퍼터링된 전극에 의해 형성되고 증착된 새로운 표면도 가스를 쉽게 흡착한다. 비활성 기체는 또한 튜브 구성 요소와 화학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수소는 일부 금속을 통해 확산될 수 있다.[9]
진공관에서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게터가 사용된다. 가스 충전 튜브에 가스를 재공급하기 위해 '''리플레니셔'''가 사용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리플레니셔는 수소와 함께 사용된다; 수소 흡수 금속(예: 지르코늄 또는 티타늄)으로 만들어진 필라멘트가 튜브에 존재하며, 그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수된 수소와 탈착된 수소의 비율이 조정되어 튜브 내 수소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금속 필라멘트는 수소 저장소 역할을 한다. 이 접근 방식은 예를 들어 수소 사이 라트론 또는 중성자 튜브에 사용된다. 포화된 수은 증기를 사용하면 액체 수은 풀을 재료의 대량 저장소로 사용할 수 있으며, 클린업으로 손실된 원자는 더 많은 수은의 증발에 의해 자동으로 보충된다. 그러나 튜브 내 압력은 수은 온도에 크게 의존하며, 이를 주의 깊게 제어해야 한다.[9]
대형 정류기는 소량의 불활성 가스가 포함된 포화 수은 증기를 사용한다. 불활성 가스는 튜브가 차가울 때 방전을 지원한다.
수은 아크 밸브의 전류-전압 특성은 액체 수은의 온도에 크게 의존한다. 순방향 바이어스에서 전압 강하는 0°C에서 약 60 볼트에서 50°C에서 10 볼트 이상으로 감소한 다음 일정하게 유지된다. 역 바이어스 절연 파괴("아크 백") 전압은 온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여 60°C에서 36kV에서 80°C에서 12kV로, 더 높은 온도에서는 더 낮아진다. 따라서 작동 범위는 일반적으로 18and(-) 사이이다.[8]
3. 2. 가스 순도
관 내의 기체는 원하는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순수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소량의 불순물이라도 튜브의 값을 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비활성 기체의 존재는 일반적으로 항복 전압과 연소 전압을 증가시킨다. 불순물의 존재는 기체의 글로우 색상 변화로 관찰할 수 있다. 튜브에 공기가 새어 들어가면 산소가 유입되는데, 산소는 전기음성도가 높아 전자 붕괴 생성을 억제한다. 이로 인해 방전이 창백하거나, 우유빛깔을 띄거나, 붉게 보일 수 있다. 미량의 수은 증기는 푸르스름하게 빛나 원래 기체의 색상을 가리며, 마그네슘 증기는 방전을 녹색으로 만든다.[9]작동 중 튜브 구성 요소의 탈기를 방지하기 위해 기체를 채우고 밀봉하기 전에 베이킹이 필요하다. 고품질 튜브에는 철저한 탈기가 필요하며, 1μPa 정도의 산소만 있어도 몇 시간 안에 전극을 단분자 산화물 층으로 덮기에 충분하다. 비활성 기체는 적절한 게터로 제거할 수 있다. 수은을 함유한 튜브의 경우, 수은과 아말감을 형성하지 않는 게터(예: 지르코늄, 바륨 제외)를 사용해야 한다. 음극 스퍼터링은 비활성 기체를 게터링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 기준 튜브는 이러한 목적으로 몰리브덴 음극을 사용한다.[9]
4. 조명 및 디스플레이 응용
형광등, CFL 램프, 수은등, 나트륨등, HID 램프는 모두 조명에 사용되는 가스 충전 튜브이다.[1]
네온 램프와 네온 사인 (요즘 대부분은 네온 기반이 아님) 또한 저압 가스 충전 튜브이다.[1]
닉시 튜브는 숫자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던 특수화된 역사적인 저압 가스 충전 튜브 장치이다.[1]
제논 플래시 램프는 밝은 빛의 섬광을 생성하기 위해 카메라와 스트로브 조명에 사용되는 가스 충전 튜브이다.[1]
최근 개발된 황 램프도 뜨거울 때는 가스 충전 튜브이다.[1]
5. 전자 장치 응용
점화 전압은 비활성 상태가 오래 지속된 후 이온 농도가 0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 따라 달라지므로, 많은 진공관은 이온 가용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프라이밍된다.
- 광학적: 주변 빛, 2와트 백열 전구, 또는 동일한 튜브 내의 글로 방전을 이용한다.
- 방사능적: 기체에 삼중 수소를 첨가하거나 튜브 내부를 코팅한다.
- 전기적: '유지' 또는 '프라이머' 전극을 사용한다.
5. 1. 전력 장치
사이라트론, 크라이트론, 이그니트론, 가스 방전관(GDT) 등이 있다.- 사이라트론: 고전압 전류를 스위칭하는 데 사용된다. 수소 충전 사이라트론은 매우 빠른 스위칭이 가능하며, 수소화물 저장소를 통해 수소를 보충하여 정밀한 압력 조절이 가능하다.[9][1] 듀테륨 충전 사이라트론은 수소보다 더 높은 항복 전압을 가져 고전압 작동에 유리하다.[2]
- 크라이트론: 고전압 전류 스위칭에 사용된다.
- 이그니트론: 수은 정류기의 일종으로 고전압 전류 스위칭에 사용된다.
- 가스 방전관 (GDT): 전기 및 전자 회로에서 전압 서지를 제한하는 서지 보호기로 사용된다.
비활성 기체는 스위칭 튜브에 자주 사용되며, 제논과 같이 분자량이 큰 기체는 전극을 더 잘 보호한다.[3] 페닝 혼합물은 낮은 이온화 전압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5. 2. 연산용 튜브
슈미트 트리거 효과는 부성 저항 영역의 음의 미분 저항을 이용하여 타이머, 이완 발진기, 네온 램프, '트리거 튜브', '릴레이 튜브', 데카트론, 닉시관을 사용한 디지털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10]5. 3. 지시계
다음은 특수 네온 램프의 종류이다.- '''튜니온''''(Tuneon): 초기 튜닝 표시기로, 짧은 와이어 양극과 부분적으로 빛나는 긴 와이어 음극이 있는 유리관이다. 빛나는 길이는 튜브 전류에 비례한다.
- 형광체 네온 램프
- 래칭 표시기 또는 픽셀 도트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발광 트리거 튜브
- 직접 발광 트리거 튜브
- 형광 트리거 튜브
5. 4. 노이즈 다이오드
열음극 가스 방전 노이즈 다이오드는 최대 UHF 주파수까지는 일반적인 진공관 유리 외피 형태로, SHF 주파수와 도파관에 대각선으로 삽입하기 위한 경우에는 필라멘트용 총검 마운트와 애노드(anode) 탑캡이 있는 길고 얇은 유리관 형태로 제공되었다.페닝 혼합물은 출력 온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네온과 같은 순수한 불활성 가스가 사용되었다. 점화 전압은 200V 미만이었지만, 점화를 위해서는 2와트 백열 램프에 의한 광학적 점화 및 5kV 범위의 전압 서지가 필요했다.
하나의 소형 사이리스터는 횡자계에서 다이오드로 작동할 때 노이즈 소스로 추가적인 용도를 찾았다.[11]
5. 5. 전압 조정관
전압 조정관은 20세기 중반에 흔히 사용되었다.5. 6. 경과 시간 측정
음극 스퍼터링은 스퍼터된 금속이 저항이 서서히 감소하는 집전 요소에 증착되는 금속 증기 전량 측정기 기반 경과 시간 측정기인 ''시간 총괄기''에서 활용된다.[12]6. -tron 튜브 목록
- 엑시트론(Excitron): 수은 풀 튜브[13]
- 게스트론(Gusetron) 또는 가우시트론(gausitron): 수은 아크 풀 튜브[13]
- 이그니트론(Ignitron): 수은 풀 튜브[13]
- 센디트론(Sendytron): 수은 풀 튜브[13]
- 트리그니트론(Trignitron): 전기 용접기에 사용되는 수은 풀 튜브의 상표[13]
- 캐패시트론(Capacitron): 수은 풀 튜브[13]
- 코로트론(Corotron): 가스 충전 션트 레귤레이터의 상표로, 일반적으로 규제 전압을 설정하기 위해 소량의 방사성 물질을 포함[13]
- 크로사트론(Crossatron): 변조 튜브[13]
- 카세트론(Kathetron) 또는 캐세트론(cathetron): 튜브 외부에 그리드가 있는 열음극 가스 충전 트라이오드[13]
- 네오트론(Neotron): 펄스 발생기[13]
- 퍼머트론(Permatron): 자기장에 의해 양극 전류가 제어되는 열음극 정류기[13]
- 파노트론(Phanotron): 정류기[13]
- 플로마트론(Plomatron): 그리드 제어 수은 아크 정류기[13]
- 스트로보트론(Strobotron): 고속 사진(high-speed photography)에 사용되는 고전류 좁은 펄스를 위해 설계된 냉음극 튜브[13]
- 타크트론(Takktron): 고전압 저전류용 냉음극 정류기[13]
- 사이어트론(Thyratron): 열음극 스위칭 튜브[13]
- 트리거트론(Trigatron): 스파크 갭과 유사한 고전류 스위치[13]
- 알파트론(Alphatron): 진공 측정용 이온화 튜브의 한 형태[13]
- 데카트론(Dekatron): 계수 튜브 (닉시관(nixie tube) 및 네온등(neon light) 참조)[13]
- 플라스마트론(Plasmatron): 제어된 양극 전류를 가진 열음극 튜브[13]
- 태시트론(Tacitron): 중단 가능한 전류 흐름을 가진 저잡음 사이어트론[14]
- 크라이트론(Krytron): 고속 냉음극 스위칭 튜브[13]
참조
[1]
간행물
The Evolution of the Hydrogen Thyratron
http://www.cdvandt.o[...]
Marconi Applied Technologies Ltd
[2]
웹사이트
Pulse Power Switching Devices – An Overview
http://nuclearweapon[...]
[3]
웹사이트
The Fluorescent Lamp – Gas Fillings
http://www.lamptech.[...]
2011-05-17
[4]
웹사이트
Thyratron various
http://www.cdvandt.o[...]
2011-05-17
[5]
간행물
Gas Discharge and Experiments for Plasma Display Panel
https://web.archive.[...]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Compilation Part Notice ADP011307
[6]
서적
Handbook of optoelectronics
https://books.google[...]
CRC Press
[7]
학회자료
Surface-Controlled Mercury-pool Rectifier
https://worldradiohi[...]
Institute of Radio Engineers
1940-02
[8]
서적
Reference Data for Engineers: Radio, Electronics, Computers and Communications
https://books.google[...]
Newnes
[9]
간행물
Chapter 2: The construction of a gas-discharge tube
http://www.electrics[...]
[10]
웹사이트
Subminiature gas triode type RK61 data sheet
https://frank.pocnet[...]
Raytheon Company
2017-03-20
[11]
웹사이트
6D4 Miniature triode thyratron data sheet
https://frank.pocnet[...]
Sylvania
2013-05-25
[12]
웹사이트
7414 Subminiature Time Totalizer data sheet
https://frank.pocnet[...]
Bendix Corporation
1959-03-14
[13]
간행물
Chapter 8: Special tubes
http://www.electrics[...]
[14]
웹사이트
NRL Memorandum Report 60: Application of Tacitron Type RCA 6441 to Pulse Circuitry
https://commons.wiki[...]
United States Naval Research Laboratory
1956-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