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배흥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흥립은 1546년에 태어나 1572년 무과에 급제한 조선 시대의 무관이다. 임진왜란 발발 전 이순신의 명을 받아 군함 건조에 참여했고, 전쟁 중에는 조방장, 방어사 등을 역임하며 이순신 휘하에서 활약했다. 특히 칠천량 해전에서 원균과 배설이 도주하는 상황에서도 홀로 남아 적과 싸우며 군선을 구출하는 등 용맹을 떨쳤으며, 명량 해전과 노량 해전에도 참여했다. 이후 경상우수영 수군절도사,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등을 거쳐 공조참판을 지냈으며, 1608년 사망 후 1871년 효숙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산 배씨 -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에서 KBO 리그를 누비며 2004년 정규 시즌 MVP와 다승왕을 두 차례 수상하고, 한화 이글스와 두산 베어스를 거쳐 은퇴한 야구 선수 배영수는 현재 SSG 랜더스의 코치로 활동 중이다.
  • 1608년 사망 - 가나모리 나가치카
    가나모리 나가치카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긴 무장으로, 히다 정벌에 공을 세워 다카야마 성주가 되었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도 활약했으며, 다도에도 능하여 센노 리큐와 교류하는 등 문화적 재능도 보였다.
  • 1608년 사망 - 권응수
    권응수는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영천성 탈환에 공을 세운 무신이자 의병장으로, 경상도병마절도사 겸 방어사를 지냈으며 선무공신 2등에 책봉되고 좌찬성에 추증, 경덕사에 배향되었다.
  • 1546년 출생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 1546년 출생 - 다케다 가쓰요리
    다케다 신겐의 아들인 다케다 가쓰요리는 스와 가문의 가독을 잇고 다케다 가문의 당주가 되었으나, 나가시노 전투 패배 후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에 밀려 덴모쿠 산에서 자결하며 다케다 가문을 멸망시킨 인물로, 그의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판단에 대한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
배흥립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배흥립
한자 표기裵興立
로마자 표기Bae Heungrip
백기
효숙
출생일1546년 11월 7일
사망일1608년 10월 17일
사망 장소한양, 조선
소속 국가조선
군사 경력
복무 기간알 수 없음
최종 계급종2품
주요 전투임진왜란



정유재란


2. 생애

배흥립은 임진왜란정유재란 시기에 활약한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1604년(선조 37) 공조참판, 지훈련원사, 충청도수군절도사, 충청도병마절도사를 거쳤다.[13]

1607년(선조 40) 영흥도호부사를 지내다 이듬해 병으로 사임, 1608년 향년 63세로 사망했다.[12] 1871년(고종 8) 효숙(孝肅)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14]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1546년 11월 7일에 태어났다. 1572년(선조 5)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1] 이후 결성(結城)과 흥양(興陽)의 현령을 지냈다.[2]

2. 2. 임진왜란 시기의 활약

임진왜란 발발 전, 배흥립은 이순신의 명을 받아 군함을 건조했다.[1]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한산도대첩과 행주대첩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임진왜란 발발 당시, 조방장(助防將) 및 방어사(防禦使)를 역임했다. 이순신 장군의 첫 번째 해전에서 전부장(前部將)으로, 사천 해전에서 원균의 후부장(後部將)으로 활약하며 통정(通政) 정3품에 올랐다.[3][4]

1596년 장흥 수령으로 임명되었으나, 무뢰한 문제로 파면되었다.[5] 1597년 경상좌수사(慶尙左水使)직에서 해임되었고, 이후 배설의 조방장으로 임명되었다.[6][4]

2. 3. 정유재란과 칠천량 해전

1597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배흥립은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의 지휘 아래 칠천량 해전에 참전하였다. 칠천량 해전에서 이억기와 최호가 전사하고 원균배설이 도주하였으나, 배흥립은 단 한 척의 배로 적진에 돌진하여 남은 배들을 구출하고 적의 진격을 늦추기 위해 끝까지 싸웠다.[7][2][1]

2. 4. 칠천량 해전 이후

1597년 정유재란 당시 칠천량 해전에서 단 한 척의 배로 적의 진격을 방해하였다.[7] 이억기와 최호가 전사했을 때, 원균배설 역시 칠천량 해전에서 도주했으나, 배흥립은 단 한 척의 배를 이끌고 적진으로 돌진했다.[7] 그는 남은 배들을 구출하고 적의 진격을 늦추기 위해 끝까지 싸웠다.[2][1] 원균의 패배 이후 이순신이 복귀했을 때, 명량 해전노량 해전에 참여했고, 정2품으로 승진했다.[4]

1600년 경상우수영 수군절도사, 전라좌도 수군절도사를 지냈다.[8][9][2] 1604년(선조 37) 충청도 수군절도사, 공조참판을 지냈다.[10][11] 1607년(선조 40) 영흥의 수령이 되었으나, 이듬해 병으로 사임하고 한양으로 돌아갔다. 1608년 10월 17일 한양 자택에서 병으로 사망했다.[1] 1871년(고종 8) 효숙(孝肅)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14]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배경보(裵景輔)
부친배인범(裵仁範)
외조부김익(金瀷, 1504 ~ ?)
외조모화순 최씨최훈(崔壎)의 딸
모친김소가(金小加, 1528 ~ 1617)[15]
남동생배수립(裵秀立)
전처심유옥(沈酉玉, 1549 ~ ?)[16] 심횡(沈鋐)의 장녀
후처여산 송씨송계조(宋繼祖)의 딸


4. 평가

배흥립은 임진왜란정유재란 동안 뛰어난 용맹과 지략을 발휘한 장수였다. 특히 칠천량 해전에서 그가 보여준 희생정신과 용기는 높이 평가받고 있다.[1][2][7] 이억기와 최호가 전사하고, 원균배설이 도주할 때도, 배흥립은 단 한 척의 배로 적진에 돌진하여 끝까지 싸웠다.[1][2][7]

5. 배흥립을 연기한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Bae Heung-rip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Bae Heung-rip https://terms.naver.[...]
[3]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25th August 16 http://sillok.histor[...]
[4] 뉴스 http://www.ilyoseoul[...] 2020-06-28
[5]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29th March 25 http://sillok.histor[...]
[6]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30th February 7 http://sillok.histor[...]
[7] 웹사이트 Battle of Chilcheollyang https://terms.naver.[...]
[8]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33rd June 13 http://sillok.histor[...]
[9]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34th May 3 http://sillok.histor[...]
[10]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37th May 7 http://sillok.histor[...]
[11] 뉴스 https://www.mk.co.kr[...] 2020-06-28
[12] 문서 『배흥립 신도비명』
[13] 문서 『선조실록』
[14] 문서 『고종실록』
[15] 문서 선원록에 이름이 남아있다.
[16] 문서 심통원의 손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