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마역은 1966년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전철역이 되었고, 2023년 수도권 전철 서해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된 역이다. 경의·중앙선과 서해선이 지나가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역명은 인근 지명인 백석동과 마두동에서 유래되었다. 일산 신도시 시가지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아파트 단지, 병원, 학교, 공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역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역 - 소사역
소사역은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위치한 경인선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환승역으로, 1997년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8년 서해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향후 여러 노선의 운영이 계획되어 있고 지상 3층의 1호선 승강장과 지하 2층의 서해선 승강장을 갖춘 7개의 출구가 있는 역이다. - 고양시의 전철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고양시의 전철역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경의선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경의선 - 문산역
문산역은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과거 경의선 남측 종착역이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단절의 상징이었으나, 현재는 수도권 전철역으로 운영되며 남북 교류의 중심 역할과 3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문산역과 임진강역을 잇는 셔틀 전동열차가 운행 중이다.
백마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역 번호 | 경의·중앙선: K324 서해선: S09 |
모국어 표기 | 백마역 |
한자 표기 | 白馬驛 |
로마자 표기 | Baengmayeok |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1동 92 |
운영 주체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경의선) (서해선) |
역 종류 | 배치간이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 2면 4선 |
버스 노선 | " 11 " " 017A 039 080 081 082A 082B" |
구조 | 지상역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개업 | |
경의선 | 1966년 4월 26일 |
경의·중앙선 개통 | 2014년 12월 27일 |
서해선 개통 | 2023년 8월 26일 |
노선 정보 | |
경의·중앙선 | 영업 거리: 서울역 기점 21.5 km, 도라산역 기점 34.6 km 이전 역: K323 곡산 다음 역: K325 풍산 역 간 거리: 이전 역 1.6 km, 다음 역 1.7 km |
서해선 | 영업 거리: 일산역 기점 3.6 km, 원시역 기점 33.4 km 이전 역: S08 풍산 다음 역: S10 곡산 역 간 거리: 이전 역 1.7 km, 다음 역 1.6 km |
통계 | |
2019년 승차 인원 | 6,941명 |
2019년 승강 인원 | 13,421명 |
2. 역사
1966년 1월 1일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했고, 4월 26일 무배치간이역으로 변경되었다.[7][8] 1968년 3월 1일에는 을종대매소로, 1981년 7월 1일에는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4] 1993년 7월 15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5]
2006년 12월 3일 구 역사가 철거되었고, 2008년 5월 8일 임시승강장으로 이전했다가, 2009년 6월 27일 신 역사가 영업을 시작했다.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전철역이 되었으며, 서울 기점 21.3km에서 21.5km로 변경되었다.[9] 2023년 8월 26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2. 1. 연혁
- 1966년 1월 1일 : 임시승강장으로 영업 개시[7]
- 1966년 4월 26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8]
- 1968년 3월 1일 : 을종대매소로 변경
- 1981년 7월 1일 : 배치간이역으로 승격[4]
- 1993년 7월 15일 : 보통역으로 승격[5]
- 2006년 12월 3일 : 구 역사 철거
- 2008년 5월 8일 : 임시승강장으로 이설
- 2009년 6월 27일 : 신 역사 영업 개시
-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전철역이 됨, 서울 기점 21.3 km에서 21.5 km로 변경[9]
- 2023년 8월 26일 : 수도권 전철 서해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2. 2. 역명 유래
역 이름은 인근 지명인 백석동의 '''백'''과 마두동의 '''마'''에서 따온 것이다. 참고로 북한에도 백마선(경의선의 구선)상에 동명의 역이 있다.3. 역 구조
백마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사용되며,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백마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출입구는 역 서쪽에 1번, 역 동쪽에 2번 출입구로 총 2곳이 있다.승강장 번호 | 노선 | 방향 |
---|---|---|
1, 2 | 경의·중앙선 | 능곡, 행신, 한국항공대, 가좌, 용문, 지평, 서울 방면 |
서해선 | 소사, 시흥시청, 초지, 원시 방면 | |
3, 4 | 경의·중앙선 | 일산, 문산 방면 |
서해선 | 일산 방면 |
4. 이용객 변동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10]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각주 | ||
경의·중앙선 | 승차 | 2,199 | 2,790 | 3,290 | 3,543 | 4,549 | 5,292 | 6,381 | 6,654 | 6,749 | 6,714 | 6,941 | 5,284 | 5,576 | 6,227 | [10] |
하차 | 1,961 | 2,501 | 3,018 | 3,252 | 4,180 | 4,887 | 5,912 | 6,138 | 6,258 | 6,255 | 6,480 | 5,004 | 5,490 | 5,979 |
4. 1. 수도권 전철
노선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
경의·중앙선 | 승차 인원 | 2,199 | 2,790 | 3,290 | 3,543 | 4,549 | 5,292 | 6,381 | 6,654 | 6,749 | 6,714 | 6,941 |
하차 인원 | 1,961 | 2,501 | 3,018 | 3,252 | 4,180 | 4,887 | 5,912 | 6,138 | 6,258 | 6,255 | 6,480 | |
승하차 인원 | 4,160 | 5,291 | 6,308 | 6,795 | 8,729 | 10,179 | 12,293 | 12,792 | 13,007 | 12,969 | 13,421 |
2009년은 개업일인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평균이다.
5. 역 주변
일산 신도시의 시가지가 펼쳐져 있으며, 주변 시설은 다음과 같다.
- 마두1동
- 백마마을 아파트단지
- 백송마을 아파트단지
- 정발마을 아파트단지
- 국립암센터
- 정발고등학교
- 숲속마을 아파트단지
-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 백마마을
- 백송마을
- 숲속마을
- 은행마을
- 동국대학교병원
- 일산병원
- 설촌공원
- 백마교사거리
- 백마초등학교
- 마두1동 행정복지센터
- 풍동
- 풍산중학교
- 단풍마을
- 마두역
- 애니골 카페 마을
- 백마중학교
- 백마초등학교
- 마두1동 주민센터
- 마두동 성당
도시형 버스 | 11번・15번 |
---|---|
마을버스 | 017번・080번・081번・082번・085번 |
일산선 백마역[2]
6. 인접한 역
wikitext
```
이전 출력물과 비교했을 때 변경된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열 병합(colspan) 제거: `colspan="3"` 속성을 제거했습니다. 이는 하위 섹션의 내용과 중복을 피하기 위함입니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한국철도공사 노선을 표 형태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상위 섹션에서는 간략하게 표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2. 역 번호 제거: 각 역 옆에 있던 역 번호(예: K325, S08)를 제거했습니다. 이 역시 하위 섹션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 수정 사항들은 주어진 지침, 특히 하위 섹션과의 중복을 최소화하라는 요구사항을 반영한 것입니다.
6. 1. 수도권 전철
참조
[1]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2]
문서
백마공원, 마두공원, 강촌공원을 경유하여 직선으로 갈 수 있다.
[3]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31호
1966-04-19
[4]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32호
1966-04-19
[5]
뉴스
서해선 소사-일산역 26일 개통…일산역∼김포공항 '19분'
https://n.news.naver[...]
2023-08-26
[6]
문서
도라산 기점 34.6 km
[7]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06호
대한민국관보
1966-01-01
[8]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32호
대한민국관보
1966-04-19
[9]
간행물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383호
대한민국관보
2009-06-18
[10]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