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터플라이 나이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터플라이 나이프는 필리핀 발리송 지방에서 유래한 접이식 칼로, 두 개의 손잡이가 칼날을 감싸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에 의해 미국으로 전파되었으며, 묘기용이나 손가락 운동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버터플라이 나이프는 여러 부품으로 구성되며, 잠금장치를 통해 한 손으로 빠르게 개폐할 수 있다. 하지만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높아 여러 국가에서 규제 대상이며, 대한민국에서도 청소년들의 소지 및 범죄 관련 문제로 사회적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이프 - 메스
    메스는 고대부터 외과 수술 등에 사용된 절단 도구로, 수납식, 일회용 메스를 거쳐 최근에는 초음파 절단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외과용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의료 안전과 관련된 문화적 관습도 존재한다.
  • 나이프 - 마체테
    마체테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농경 작업, 정글 탐험, 무기 등으로 사용되는 크고 넓적한 칼로,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널리 쓰이며, 앙골라 국기의 상징이나 브라질 전통 춤 활용 등 문화적 의미도 지닌다.
버터플라이 나이프
개요
열리고 닫힌 발리송
열리고 닫힌 발리송
종류접이식 칼
다른 이름버터플라이 나이프 (Butterfly knife)
바타나가스 나이프 (Batangas knife)
원산지필리핀
상세 정보
특징두 개의 손잡이가 칼날을 감싸는 형태의 접이식 칼
사용법손잡이를 회전시켜 칼날을 노출시키거나 숨김
기술다양한 회전 및 던지기 기술 존재
재료칼날: 강철
손잡이: 금속, 나무, 플라스틱 등
용도휴대용 칼
훈련용
취미
주의사항날카로운 칼날에 의한 부상 위험
기술 연습 시 안전 주의
법적 규제
소지 허가국가 및 지역에 따라 소지 및 휴대에 대한 규제가 다름
대한민국도검 소지 허가 필요 여부 확인 필요

2. 유래

버터플라이 나이프는 원래 필리핀의 발리송 지방 원주민들이 사용하던 칼이었다. (원래 디자인은 지금의 모습과 상당히 큰 차이가 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필리핀에 주둔하던 미군들이 그 칼을 얻어 미국으로 가져갔고, 핸들 안으로 칼날이 들어가고 핸들이 펼쳐지는 독특한 구조와 접고 꺼내는 모습이 매우 멋지게 보여 미국의 여러 칼 제조 회사에서 현지화시켜 상품으로 팔게 된 것이 시초가 되었다. 이 칼은 폭주족, 깡패들이 쓰는 위험한 칼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영화에서 깡패, 건달들에게 적합한 이미지라고 생각한 몇몇 감독들에 의해 왜곡된 이미지가 씌워진 면도 있다. (트레이너 또는 JT형이라는 전제 하에) 경찰이 제제를 가하지 않으며 구멍이 뚫려있는 트레이너라면 학교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선생님들이 위험하다고 판단할 시에는 뺏기는 일도 있다. 손가락을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 두뇌회전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는 사냥용, 전투용 보다는 묘기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마술사들이 손의 힘을 키우기 위해 연습한다고도 한다.

중간에 하이픈이 들어있는 발리송(Bali-Song)이라는 단어는 벤치메이드 회사의 등록상표이다. 그러나 하이픈이 없는 발리송(balisong)은 고유명사이다. 발리송의 단어의 기원에 대해 갖가지 추측과 소문이 있지만, 모두가 동의하는 확실한 사실은 필리핀에서 기원했다는 것이다. (필리핀의 많은 언어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현대 타갈로그어에서 발리송은 '탱을 중심으로 반대로 회전하는 두개의 핸들을 가진 폴딩 나이프'를 뜻한다.)

2. 1. 어원

"발리송(balisong)"이라는 이름은 필리핀 따알 시의 일부인 브랑가이 발리송에서 유래했다. 이곳은 인근 브랑가이 판다얀(현재 따알 시 중심부의 6, 9, 10 구역의 일부인 포블라시온)과 함께 필리핀에서 이 칼을 처음 제조한 중심지였다.[3][4][5][6] 두 브랑가이는 대장장이 산업의 중심지였으며, 보로 칼과 같은 다른 날붙이도 생산했다. 또한 "발리송(balisong)"이라는 용어는 칼날의 손잡이가 전통적으로 새겨진 물소(carabao)와 사슴 뿔, 그리고 뼈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유래한 타갈로그어 단어 "발링 수가이(baling sungay)"(말 그대로 "부러진/접히는 뿔")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7][8]

'버터플라이 나이프'라는 별명은 발리송을 작동할 때 나비의 날갯짓같기 때문에 붙여졌다. 영어권에서는 움직임에서 유래한 "팬 나이프(fan knives)"와 "버터플라이 나이프(butterfly knives)", 그리고 열고 닫을 때 나는 소리에서 유래한 "클릭 클랙(click clacks)"이라고도 불린다.

발리송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가설이 있다.

  • Tom Wei Ding과 Tom Wei Toi는 1983년 저서 ‘The Manipulation Manual for the Balisong Knife’에서 발리송은 ‘예리한 나이프’를 뜻한다고 주장했다.
  • Jeff Imada는 1984년 저서 The Balisong Manual에서 "bali"는 ‘부러뜨리다’를 뜻하고, "sung" 은 ‘뿔’을 뜻한다고 주장했다.
  • Tai Jo는 1985년 저서 Balisong Knife에서 발리송이라는 단어는 ‘부러진 뿔’에서 유래되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 발리송이란 단어는 독특한 이름이고 사실은 아무 의미도 없다는 주장도 있다. 필리핀 바탄가스 주에 바리오스중에 발리송이라는 곳이 있는데, 이곳은 칼을 만드는 곳으로 유명하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발리송은 필리핀에서 29cm 길이로 열리기 때문에 "베인테 이 누에베(veinte y nueve)" 또는 "투웬티나인(twenty-nine)"으로도 알려져 있다.

3. 역사

원래 필리핀의 발리송(버터플라이 나이프) 지방 원주민들이 사용하던 칼이었는데(원본 디자인은 현재의 모습과 상당히 큰 차이가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필리핀에 주둔하던 미군들이 그 칼을 얻어 미국으로 가져가게 되었다. 핸들 안으로 칼날이 들어가고 핸들이 펼쳐지는 독특한 구조로 접고 꺼내는 모습이 매우 멋지게 보여서, 미국의 여러 칼 제조 회사에서 현지화시켜 상품으로 팔게 된 것이 시초가 되었다. 이 칼은 폭주족, 깡패들이 쓰는 위험한 칼로 알려져 있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단지 영화에서 깡패, 건달들에게 적합한 이미지라고 생각한 몇몇 감독들에 의해 영화에서 깡패들이 쓰는 이미지로 변질되고, 지금의 발리송에 대한 편견이 되어버렸다. Trainer영어 또는 JT영어형이라는 전제 하에 경찰이 제재를 가하지 않으며 구멍이 뚫려있는 트레이너라면 학교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선생님들이 위험하다고 판단할 시에는 뺏기는 일도 다반사이다. 그리고 손가락을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 두뇌 회전에도 좋다.

지금은 사냥용, 전투용보다는 묘기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마술사들이 손의 힘을 키우기 위해 연습한다고도 한다. 나이프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구전에 따르면 이 나이프는 서기 800년 필리핀에서 처음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만한 문서나 고고학적 증거는 없다. 필리핀에서 발리송의 대량 생산이 이루어진 것은 1900년대 초에 이르러서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주장으로는 발리송이 1500년대 후반부터 1760년대 후반 사이에 발명된 프랑스의 측정 도구인 "피에 뒤 루아"( pied du roi프랑스어, "왕의 발")를 개량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하지만 그것이 어떻게 필리핀에 소개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당시 프랑스와 동맹 관계에 있던 스페인 제국의 선원들에 의해 소개되었을 것이라는 이론이 있다.[9][10]

기원에 관계없이 현대의 발리송은 필리핀에서 완성되었는데, 크기가 훨씬 커졌고 주로 도구가 아닌 무기로 사용되었다. 빠른 개폐 기술("플리핑") 또한 필리핀에서 개발되었다. 반면 프랑스의 "피에 뒤 루아"는 주로 접이식 였으며, 나이프는 일부 표본에 장식으로 포함된 경우가 있었다. 이것들은 개폐가 번거로워 자기 방어에 사용되기는 어려웠는데, 특히 측정을 돕기 위해 손잡이 끝에서 직각으로 금속 tang영어이 달려 있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9][10] 19세기 후반 영국에서도 발리송과 매우 유사한 디자인의 제품이 생산되었는데, 아마 "피에 뒤 루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후자와 마찬가지로 주로 실용적인 도구였다.[11]

발리송의 기원을 필리핀까지 거슬러 올리는 것은 용이하다. 현재도 바탕가스주에서 남녀노소 모두 애용하고 있으며, Tagaytaytl 산기슭에는 " barrio balisongtl"이라는, 버터플라이 나이프의 이름을 딴 마을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접이식 나이프가 고온다습한 필리핀에서 발명되었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고, 스페인 통치 시대에 유럽에서 전래되었다는 견해가 강하다. 프랑스 해군포병 나이프에 유사한 구조가 있는 것이 있으며, 이것을 기원으로 하는 설도 있지만 확증은 없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필리핀 주둔 미군이 귀국 시 미국에 가지고 들어왔다. 필리핀에서 활발하게 수입된 것으로 보이며, 전술 나이프(병사가 휴대하는 last ditch영어적인 나이프)의 원형이라는 설도 있다. 그 유행은 젊은이들에게까지 미쳤고, 유행의 흔적은 유명한 게임 "Wizardry"의 아이템 등에서도 볼 수 있다(초기 일본어판에서는 "나비 칼"로 번역되었다). 사용 인구의 급증에 따라 범죄 사용도 증가했다. 마침내 많은 주에서 금지하는 법률이 생겨났고, 연방 차원에서도 완제품 버터플라이 나이프의 수입은 금지되어 있다. 비슷한 예는 수십 년 후 일본에서도 발생했지만, 금지가 아니라 "유해 완구 지정" 및 "업계의 자주 규제"에 그치고 있다.

필리핀 수입이 아닌 미국의 나이프 제조업체로는 발리송사(Balison영어)가 있다. 버터플라이 마크를 특징으로 하는 이 회사는 레스와 로벨타 데아시스 부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두 번 도산했다. 첫 번째 도산 후에는 퍼시픽 컷러리(Pacific Cutlery영어)사로, 두 번째 도산 후에는 벤치메이드(Benchmade영어)사로 부활하여 현재에 이른다. 설비 노후화로 인한 수년간의 공백을 제외하고는 항상 발리송 라인업을 유지해 왔다.

4. 구조

버터플라이 나이프는 칼날(블레이드)과 두 개로 나뉜 손잡이(그립)로 구성된다. 칼날을 손잡이 사이에 끼워 넣어 수납하며, 펼칠 때는 두 손잡이가 칼날 뿌리 부분의 핀을 중심으로 약 180도 회전한다.

개폐 조작은 약간의 연습이 필요하지만, 익숙해지면 한 손으로도 쉽고 빠르게 조작할 수 있다. 독특한 개폐 방식 때문에 많은 애호가들이 있다. 원래 필리핀무기(파이팅 나이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후술)

칼날 한쪽에만 날이 서 있는 형태가 일반적이며, 넓은 의미에서는 접이식 칼의 일종이다. 하지만 손잡이 전체 길이보다 긴 칼날을 가진 것도 있는데, 이 경우 칼날 끝이 손잡이 밖으로 튀어나오기 때문에 전용 칼집이 필요하다. 보통 가죽 케이스나 파우치에 넣어 보관하며, 부츠에 부착하거나 부츠 자체에 수납 공간이 있는 경우도 있다.

나이프로서 다용도로 활용 가능하며, 잘 관리하면 사과 껍질을 벗기거나 연필을 깎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원래 무기로 사용되었고 끝이 날카롭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소지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있다.(→유해 완구)

사용 시(개방 시)에는 두 부분으로 나뉜 손잡이를 잡고 칼날 꼬리 부분에 있는 핀을 끼워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칼날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래치(latch) 등의 보조 고정 장치가 있는 경우도 있다.

접이식 칼 중에서는 매우 단순한 구조이며, 이보다 단순한 것은 나이프 정도이다. 고정에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 개폐 저항이 매우 작고, 원심력만으로도 개폐가 가능하다.

칼날이 갑자기 접히는 것에 대한 안전성은 다른 접이식 칼에 비해 비교적 높은 편이다. 적어도 손잡이를 꽉 잡고 있으면 구조상 칼날이 접힐 일이 없기 때문이다.

장식적인 접는 동작은 칼날을 휘두르는 것처럼 보여 위험해 보일 수 있지만, 원칙대로 다루면 손가락에 닿는 것은 칼날의 등 부분과 손잡이뿐이므로 보기보다 다칠 위험은 적다. 하지만 손에서 힘이 빠져 칼이 날아가거나, 손이 미끄러져 떨어뜨리거나, 잡는 부분을 잘못 잡아 칼날 면을 잡을 수도 있다. 따라서 날이 없는 연습용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

원심력 등을 이용해 한 손으로 빠르게 개폐할 수 있으며, 좌우 어느 손으로도 동일한 동작이 가능하다. 단, 칼날의 등이 손가락에 닿는 개폐 동작 시, 반대쪽 손잡이를 잡으면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숙련이 필요하다.

간단한 구조로 안전성과 편리성이 좋지만, 저렴하고 품질이 낮은 제품도 많다. 원심력을 이용한 빠른 개폐는 기술이 필요하지만, 보기 좋은 장식적인 조작법도 있으며, 이를 겨루는 경기도 있다.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같은 기술과 비용으로 더 튼튼한 접이식 나이프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구조상 칼날 너비에 제약이 있어 곡선이나 폭이 넓은 칼날은 드물다.

오랫동안 사용하면 두 지점 부분에 헐거움이 생겨 칼날이 흔들릴 수 있는데, 이는 세밀한 작업에 지장을 주는 단점이다.

4. 1. 부품

발리송은 크게 "샌드위치 구조"와 "채널 구조" 두 가지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샌드위치 구조는 여러 층을 핀이나 나사로 조립하는 방식이다. 이 구조는 피벗 핀을 더 단단하게 조일 수 있어 결합을 방지한다. 칼이 닫히면 칼날은 층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채널 구조는 각 손잡이가 하나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손잡이에는 홈이 파여 있어 칼이 닫힐 때 칼날이 이 홈 안에 들어간다. 이 방식은 샌드위치 구조보다 더 튼튼하다고 알려져 있다.

두 구조를 결합한 "찬위치(chanwich) 구조"도 있다. 이는 채널 손잡이의 두 반쪽을 나사로 조이는 방식이다. 드물지만, 이 구조는 두 구조의 장점을 모두 가지면서 단점은 없앤다. 채널 구조처럼 손잡이 형태가 우수하고, 손잡이 결합 강도도 조절할 수 있으며, 청소를 위해 손잡이 내부에 접근하기도 쉽다. 스퀴드 인더스트리즈(Squid Industries)의 쓰나미(Tsunami)가 대표적인 예시이다.[12]

발리송은 작동 방식에 따라 베어링, 부싱, 와셔 세 가지로 나뉜다.[13]

  • 베어링 작동 방식: 피벗 구멍 주변에 작은 볼 베어링이 있어 손잡이가 회전한다.
  • 부싱 작동 방식: 각 피벗 구멍에 탱보다 약간 두꺼운 금속 부싱이 있고, 양쪽에 와셔라고 불리는 청동 디스크가 있다. 피벗 나사를 조이면 와셔가 부싱을 고정하지만 탱은 고정하지 않아 손잡이가 탱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 와셔만 작동 방식: 부싱이 없는 방식으로, 저렴하고 품질이 낮다. 나사를 조이면 손잡이가 탱에 걸려 마찰이 증가하고, 와셔, 탱, 손잡이가 빨리 마모된다.


필리핀 전통 버터플라이 나이프는 철도 레일이나 차량의 판스프링으로 만들어져 내구성과 강도가 높았다.

대부분의 현대식 발리송은 탱 핀 대신 "젠 핀(zen pins)"을 사용한다. 젠 핀은 손잡이 상단에 박혀 칼날 하단과 접촉하는 두 개의 작은 핀이다. 젠 핀은 탱 핀이 빠지는 문제를 해결한다.

일부 현대식 발리송은 핀이 없는 시스템을 사용하기도 한다. 핀이 없고 대신 손잡이 재질이 블레이드와 접촉하여 젠 핀과 유사하게 작동한다. 핀이 없는 발리송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퀴드 인더스트리즈(Squid Industries)의 소드피시(Swordfish)가 있다.[14]

벤치메이드 42의 부품


발리송의 각 부분은 다음과 같다.

  • 바이트 핸들(Bite handle): 칼날의 날카로운 부분에 닿는 손잡이. 칼이 닫힐 때 이 손잡이를 잡으면 베일 수 있다. 보통 잠금장치가 이 손잡이에 붙어 있다.
  • 초일(Choil): 키커 바로 위에 있는 칼날의 무딘 부분. 칼날을 갈기 쉽게 해준다.
  • 키커(Kicker 또는 Kick): 칼날의 날카로운 부분이 손잡이 안쪽에 닿아 손상되는 것을 막는 부분. 피벗 위에 추가적인 탱핀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 잠금장치(Latch): 칼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는 장치. 자석이 사용되기도 한다.
  • 바탕가스 잠금장치(Latch, Batangas): 바이트 핸들에 부착된 잠금장치.
  • 마닐라 잠금장치(Latch, Manila): 안전 손잡이에 부착된 잠금장치.
  • 스프링 잠금장치(Latch, Spring): 손잡이를 쥐었을 때 스프링을 이용해 잠금장치를 열리게 하는 장치.
  • 잠금장치 게이트(Latch gate): 손잡이 채널 내부에 있는 블록. 잠금장치가 칼날에 부딪히는 것을 막는다.
  • 피벗 조인트(Pivot joint): 탱/칼날/손잡이 조립체가 회전하는 핀.
  • 안전 손잡이(Safe handle): 칼날의 무딘 부분에 닿는 손잡이. (보통 잠금장치가 없는 손잡이)
  • 스웨지(Swedge): 칼날의 무딘 등 부분. 일부 발리송은 크리스 검과 비슷한 물결 모양의 날을 가지기도 한다.
  • 탱(Tang): 손잡이가 피벗 핀으로 부착되는 칼날의 기부.
  • 탱 핀(Tang Pin(s)): 칼날이 닫혔을 때 손잡이에서 떨어져 무뎌지는 것을 방지하는 핀. 버터플라이 나이프를 조작할 때 손잡이가 과도하게 부딪히는 것을 막기 위한 두 번째 핀이기도 하다.
  • 젠 핀(Zen Pins): 손잡이 안쪽에 장착된 나사. 탱에 장착된 키커와 충돌하여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서 칼날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 날(Blade): 칼의 중앙을 따라 뻗어 있는 강철 조각. 닫혔을 때 두 손잡이 모두에 고정된다. 칼날의 한쪽 가장자리는 날카로워 베일 수 있다. 스웨지라고 불리는 다른 가장자리는 무디다.

5. 종류

버터플라이 나이프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안전한 스퀴디 발리송이 있다. 단종되었지만 트레이너로 구매 가능한 벤치메이드 42도 있다. 쇠로 만들어져 무겁다는 편견을 깬 마코(Mako)와 일본풍의 발리송 무라사마, 진날처럼 보이지만 JT형에 모양이 예쁜 타키온 등이 있다.[1]

6. 기술

베이직플리핑은 발리송을 위로 올렸다가 잡는 가장 기본적인 기술이다.[1]

가장 간단한 오프닝/클로징 기술인 "호라이즌탈(Horizontal)".
[1]

2번째로 빠른 오프닝/클로징 기술인 "스파이 오프닝(Spy Opening)".
[1]

발리송 기술은 매우 다양하며, 발리송을 계속 회전시키는 ‘패닝’, 고급 기술인 ‘시저링’ 등이 있고, 자신만의 기술을 만들 수도 있다.[1] 발리송 개폐 조작은 약간의 연습이 필요하지만, 익숙해지면 한 손으로도 쉽고 빠르게 조작할 수 있다.[1] 독특한 개폐 액션은 많은 애호가들을 매료시킨다.[1]

원심력을 이용한 빠른 개폐는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지만, 화려하고 멋진 조작법도 있어 이를 겨루는 경기도 열린다.[1] 이는 젊은이들에게 발리송이 인기 있는 또 다른 이유이기도 하다.[1] 하지만 장식적인 접이 동작은 날붙이를 휘두르는 것이기 때문에 위험해 보일 수 있다.[1] 그러나 원칙대로 다루면 손가락에 닿는 것은 칼등과 손잡이뿐이므로 보기보다 부상 위험은 적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에서 힘이 빠져 날아가거나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등의 위험성은 존재한다.[1] 따라서 날이 없는 연습용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1]

7. 사회적 인식 및 법적 규제

발리송은 범죄에 쉽게 사용될 수 있고, 또 쉽게 숨길 수 있다는 이유로 여러 국가에서 금지되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발리송을 사용한 범죄를 칼을 사용한 범죄로 간주한다.[2]

국가규제 내용
오스트레일리아일반적으로 금지 무기로 분류되며, 소지 허가가 필요하다.
벨기에, 덴마크, 뉴질랜드, 노르웨이, 네덜란드불법
캐나다중력 나이프 또는 원심 나이프로 간주되어 금지
독일2003년 에르푸르트 학살 이후 금지. 위반 시 최대 5년 징역, 나이프 몰수, 최대 10000EUR 벌금
아일랜드불법 공격 무기
영국1989년부터 공격 무기로 분류[21]
프랑스18세 이상 소지 가능, 허가 없는 휴대는 불법
이탈리아양날이 없는 경우 소지 가능, 정당한 이유 없는 휴대는 불법
스위스휴대, 증여, 대여, 구매, 거래 금지
필리핀마닐라에서 신분증, 허가 없는 휴대 금지. 칼날 길이, 개폐 방식 제한
러시아칼날 길이 90mm 이하만 허용
스웨덴휴대, 수입, 거래는 불법, 소지 및 수집은 합법
미국주마다 다름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해외 법적 규제 참조)
체코, 헝가리, 리투아니아, 폴란드일반 나이프와 동일하게 취급



발리송 트레이너는 날이 무디고 날카롭지 않아, 발리송이 불법인 일부 지역에서도 합법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7. 1. 사회적 인식

버터플라이 나이프는 칼의 일종이기에, 트레이너나 JT여도 학부모나 교사들은 이를 염려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청소년 폭력배나 일진들이 일탈 패션의 연장선상에서 버터플라이 나이프를 소지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문제시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 나이프 특유의 조작 방법이 주는 "화려함" 또는 "멋짐"은 일탈 패션에 관심 있는 청소년층을 매료시키는 경향이 있다. 후지TV의 텔레비전 드라마 『기프트』(1997년 4월~6월)에서 키무라 타쿠야가 연기한 주인공이 능숙하게 조작하는 모습이 나와 유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1998년에 중학생 소년들이 이 나이프를 소지하고 있다가 살인 사건을 일으킨 사례가 2건(도치기 여성 교사 살인 사건 포함) 발생하여 사회 문제화되었다. 이후, 이 작품은 재방송되지 않았고, DVD 출시 시에는 해당 장면에 모자이크 처리가 되었다(2019년 발매된 블루레이 박스에는 모자이크 없음).

같은 방송국의 『춤추는 대수사선』 제7화(1997년 2월 18일)에서도 후카와 토시카즈가 연기한 범인이 이 나이프를 다루는 장면이 있지만, 도카이TV(2010년대)나 시즈오카TV(2024년 10월 17일)에서의 지상파 재방송 시에는 나이프 부분에 모자이크 처리를 하는 조치가 취해졌다.[41]

7. 2. 대한민국 법적 규제

대한민국에서는 청소년 폭력배나 일진(과거 펑크족 패션)과 같이 일탈을 추구하는 패션의 일환으로 버터플라이 나이프를 소지하는 청소년들이 있었고, 이를 문제시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 나이프 특유의 조작 방식이 주는 "화려함"이나 "멋짐"은 이러한 일탈 패션에 관심을 갖는 청소년층을 매료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1997년 4월부터 6월까지 방영된 후지TV의 텔레비전 드라마 기프트에서 키무라 타쿠야가 연기한 주인공이 버터플라이 나이프를 능숙하게 다루는 모습이 방영되면서 유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1998년, 평소 버터플라이 나이프를 소지하고 있던 중학생 소년들이 잇따라 살인 사건( 도치기 여성 교사 살인 사건 포함)을 일으키면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후 드라마 '기프트'는 재방송되지 않았고, DVD에서는 해당 장면에 모자이크 처리가 되었다 (2019년 발매된 블루레이 박스에는 모자이크 없음).

후카와 토시카즈가 범인 역을 맡았던 춤추는 대수사선 제7화(1997년 2월 18일 방영)에서도 버터플라이 나이프를 사용하는 장면이 있었으나, 도카이TV(2010년대)와 시즈오카TV(2024년 10월 17일)에서 재방송될 때는 나이프 부분에 모자이크 처리가 되었다.[41]

7. 3. 해외 법적 규제

발리송은 범죄에 쉽게 사용될 수 있고 은폐가 용이하다는 점 때문에 여러 국가에서 법적으로 규제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발리송을 이용한 범죄를 칼을 이용한 범죄로 간주하기도 한다.

  •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발리송을 금지 무기로 분류하며, 소지 허가가 필요하다. 오스트레일리아 법률은 발리송을 자동으로 날이 열리는 플립 나이프의 일종으로 정의한다.[2]
  • 벨기에, 덴마크, 뉴질랜드, 노르웨이, 네덜란드에서는 버터플라이 나이프가 불법이다.
  • 캐나다에서는 발리송을 중력 나이프 또는 원심 나이프로 간주하여 금지한다.
  • 독일에서는 2003년 에르푸르트 학살 이후 발리송을 금지했다. 이를 어기면 최대 5년의 징역, 나이프 몰수, 최대 10000EUR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15][16]
  • 아일랜드에서는 버터플라이 나이프를 불법 공격 무기로 규정한다.
  • 영국에서는 1989년부터 발리송을 공격 무기로 분류하여 규제하고 있다.[21]
  • 프랑스에서는 18세 이상이면 발리송 소지가 허용되지만, 허가 없이 휴대하는 것은 불법이다.
  • 이탈리아에서는 양날이 없는 발리송은 소지가 합법이지만, 정당한 이유 없이 휴대하는 것은 불법이다.
  • 스위스에서는 발리송의 휴대, 증여, 대여, 구매, 거래를 금지한다.
  • 필리핀에서는 범죄에 자주 사용되어 신분증이나 허가 없이는 마닐라 거리에서 발리송 휴대가 불법이다. 칼날 길이가 손바닥 길이를 초과하지 않고 한 손으로 열 수 없어야 합법적인 도구로 간주된다.
  • 러시아에서는 칼날 길이가 90mm를 넘지 않는 경우에만 발리송이 합법이다.
  • 스웨덴에서는 발리송의 휴대, 수입, 거래는 불법이지만 소지 및 수집은 합법이다.


미국에서는 주마다 법률이 다르다.

  •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칼날 길이가 약 5.08cm를 넘지 않는 발리송은 합법이지만, 초과하는 경우 공공장소에서 소지, 구매, 판매, 양도가 불법이다.[22]
  • 플로리다주에서는 버터플라이 나이프가 합법이지만, 칼날 길이가 4인치를 초과하는 경우 은폐 휴대 라이센스가 필요하다.
  • 하와이주에서는 2023년 8월까지 발리송이 불법이었으나, 법원 판결로 금지령이 해제되었다.[23][24]
  • 캔자스주에서는 2013년부터 모든 종류의 날붙이 무기 휴대가 합법화되었다.[26]
  • 일리노이주, 인디애나주, 켄터키주, 메인주, 미시간주에서는 발리송 소지 및 휴대가 합법이다.
  • 시카고에서는 칼날 길이가 약 6.35cm를 초과하는 칼의 은폐 휴대가 불법이며, 자동 나이프와 중력 나이프도 금지된다.
  • 뉴저지주에서는 발리송의 합법성이 불분명하다.
  • 뉴멕시코주에서는 버터플라이 나이프를 스위치블레이드로 간주하여 소지를 금지한다.[30][31]
  • 뉴욕주에서는 과거 발리송을 중력 나이프로 간주하여 금지했으나, 2019년 관련 법이 위헌 판결을 받으면서 소지가 비범죄화되었다.
  • 노스캐롤라이나주, 노스다코타주, 오하이오주, 오클라호마주에서는 발리송을 공개적으로 휴대하는 것은 합법이지만, 은폐 휴대는 불법이다.
  • 오리건주에서는 발리송 은폐 휴대가 불법이다.[34]
  • 테네시주에서는 발리송 휴대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휴대 의도가 중요하게 고려된다.[35][36]
  • 텍사스주에서는 2013년부터 스위치블레이드가 합법화되었다.[37]
  • 유타주버지니아주에서는 발리송 소지 및 휴대가 합법이다.[38]
  • 워싱턴주에서는 발리송을 스프링 블레이드 나이프로 분류하여 제작, 판매, 소지를 금지한다.[40]


체코, 헝가리, 리투아니아, 폴란드에서는 발리송을 일반적인 나이프와 같이 취급하여 특별한 규제를 적용하지 않는다.

일부 지역에서는 훈련용 발리송(날이 무디고 날카롭지 않은 것)은 합법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8. 구매 방법

버터플라이 나이프는 서울풍물시장에서 구매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서울풍물시장 건물 2층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으며, 인터넷 구매도 가능하다. 발리송을 처음 접하거나 서울풍물시장에 가기 어려운 경우에는 인터넷 구매를 추천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alisong and Butterfly knife tricks and techniques for beginners https://web.archive.[...] 2019-10-25
[2] 웹사이트 legal possession http://www.butterfly[...] 2019-10-25
[3] 웹사이트 BATANGAS Balisong: Few Things About this Famous Knife from Taal https://www.pinoytra[...] 2017-08-27
[4] 서적 The Making of the Batangas (Balisong) Knife
[5] 웹사이트 Balisong http://taal.com.ph/i[...]
[6] 웹사이트 Barangay Specialties https://taal.ph/hist[...] 2024-08-22
[7] 서적 The Balisong Manual Unique Publications
[8] 웹사이트 Balisong Art by Master Ona https://journeyunder[...] 2015-11-15
[9] 웹사이트 Butterfly Knife History https://blademag.com[...] 2018-10-22
[10] 웹사이트 Between myth & reality http://www.balisong.[...]
[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Balisong: What little I know of it http://www.balisongc[...]
[12] 웹사이트 Tsunami - First Production https://squidindustr[...] 2023-11-09
[13] 웹사이트 All You Need to Know About Balisong Pivot Systems https://knifepivotlu[...] 2023-11-09
[14] 웹사이트 Swordfish (Black Blade) https://www.squidind[...] 2023-11-09
[1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justice.i[...]
[16] 웹사이트 electronic Irish Statute Book (eISB) http://www.irishstat[...]
[17] 웹사이트 PeiliĹł civilinÄ—s apyvartos teisinis reglamentavimas http://knives.lt/gsk[...] knives.lt 2010-01-02
[18] 웹사이트 Apie asociacijÄ…, peilius ir viskÄ…, kas su tuo susijÄ™... http://knives.lt/ind[...] knives.lt
[19] 웹사이트 Wet wapens en munitie https://wetten.overh[...]
[20] 웹사이트 Forskrift om skytevåpen, våpendeler og am § 9.Forbud mot våpen eller lignende som ikke faller innenfor våpenloven § 1 https://lovdata.no/d[...]
[21] 웹사이트 UK Offensive Weapons Act 1988 http://www.blades-uk[...]
[22] 웹사이트 California Knife and Balisong Law http://www.knifeup.c[...] 2013-01-07
[23] 뉴스 9th Circuit overturns butterfly knife ban, citing Supreme Court ‘history’ standard on guns https://www.latimes.[...] 2023-08-07
[24] 웹사이트 Deadly weapons and knives http://www.honolulup[...] Honolulu Police Department
[25] 웹사이트 Kansas Knife Laws http://www.knifeup.c[...] knifeup.com 2013-02-19
[26] 웹사이트 Kansas Comprehensive Knife Rights Act http://www.kslegisla[...] 2013-06-05
[27] 웹사이트 Illinois Knife Law - KnifeUp http://www.knifeup.c[...]
[28] 웹사이트 Indiana Knife Laws - KnifeUp http://www.knifeup.c[...] 2019-10-16
[29] 웹사이트 Massachusetts Knife Law KnifeUp http://www.knifeup.c[...]
[30] 판례 State of New Mexico v. Riddall https://www.courtlis[...]
[31] 법규 NMSA 1978, Section 30-7-8 https://law.justia.c[...]
[32] 웹사이트 Casetext https://casetext.com[...]
[33] 웹사이트 Knives and the Right to Bear Arms https://nccriminalla[...] 2015-02-23
[34] 웹사이트 ORS 166.240 – Carrying of concealed weapons – 2011 Oregon Revised Statutes https://www.oregonla[...] Oregonlaws.org 2012-03-25
[35] 웹사이트 Knife Laws in Tennessee (TN) https://hobanco.com/[...]
[36] 웹사이트 Tennessee Knife Laws https://www.akti.org[...] 2014-05-16
[37] 웹사이트 Texas Legislature Online http://www.legis.sta[...]
[38] 웹사이트 Utah Code Section 76-10-503 https://le.utah.gov/[...] 2019-10-25
[39] 판례 Thompson v. Commonwealth https://casetext.com[...]
[40] 웹사이트 RCW 9.41.250 Dangerous weapons—Penalty. http://apps.leg.wa.g[...]
[41] 문서 Netflix에서의 배포 상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