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병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병합은 국제법상 국가가 다른 국가 또는 그 일부의 영토를 강제적으로 합치는 행위를 의미한다. 20세기 초반부터 무력 사용을 금지하는 국제법 규정이 발전해 왔으며, 유엔 헌장은 영토 보전과 정치적 독립에 대한 무력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무력 사용에 의한 병합은 침략 범죄로 간주되며, 국제 형사 재판소 로마 규정에 따른다. 불법적으로 병합된 영토는 점령 상태로 간주되며, 국제 인도법이 적용된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들이 영토 병합을 시도했으며, 그 사례는 전쟁과 정치적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스라엘, 모로코, 러시아 등이 영토 병합 시도를 하여 국제적인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병합 이후 철회되거나 합법화된 사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병합 - 안슐루스
    안슐루스는 1938년 나치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무력으로 병합한 사건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던 오스트리아가 독일과 합병을 지지하는 세력의 증가로 인해 발생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의 일부로 참전했다가 전쟁 후 독립을 회복했다.
  • 병합 - 하와이 합병
    하와이 합병은 1898년 미국이 하와이 왕국을 합병하여 하와이 준주로 편입시킨 사건으로, 미국의 경제적, 군사적 이해관계와 하와이 내 미국인들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 그리고 릴리우오칼라니 여왕과 원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뉴랜즈 결의안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후 하와이는 미국의 중요 기지 역할을 수행하다 1959년 미국의 50번째 주가 되었다.
  • 주권 - 탈식민지화
    탈식민지화는 식민지 지배로부터의 해방과 독립을 쟁취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60년 결의안을 통해 식민지화된 국가들에게 자결권을 부여하였다.
  • 주권 - 독립기념일
    독립기념일은 한 국가가 다른 국가로부터 정치적 독립을 쟁취한 것을 기념하는 날로, 이 문서는 전 세계 국가들의 독립 연도, 날짜, 이전 지배 국가 등의 정보를 대륙별 표로 정리하여 제공하며, 일부 국가의 역사적 배경 설명과 독립기념일이 없는 국가 목록도 포함한다.
  • 정치지리학 - 해외
    해외는 대한민국 이외의 지역을 의미하며, 각 국가 및 문화권에 따라 범위가 다르게 인식되고, 역사적으로 대륙 간 이동 수단 발달과 현대 비행기 발달로 해외여행이 보편화되었다.
  • 정치지리학 - 유럽 대륙
    유럽 대륙은 지리적 경계가 불명확하여 맥락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며, 유럽 본토, 주변 섬과 반도, 유럽 연합 회원국 등을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여 사용에 주의가 필요한 용어이다.
병합

2. 국제법적 관점

20세기 이후 국제법은 무력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영토 병합은 불법으로 간주된다. 정복권 참고.

무력 사용 금지 원칙과 점령과 병합의 구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 1. 무력 사용 금지 원칙

20세기에 들어 국제법상 국가의 무력 사용에 관한 규정이 크게 발전했다. 1907년 포터 협약, 1920년 국제 연맹 규약, 1928년 켈로그-브리앙 조약이 주요 협약이며, 이는 오늘날 효력을 발휘하는 유엔 헌장 제2조 4항으로 정점을 이루었다. "모든 회원국은 국제 관계에서 다른 국가의 영토 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에 대한 위협이나 무력 사용을 삼가야 하며, 그 밖에 국제 연합의 목적과 양립하지 않는 방식으로도 삼가야 한다."

이러한 원칙들은 1970년 우호 관계 선언에서 재확인되었다. 영토 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에 대한 무력 사용은 불법이므로, 그러한 상황에서 소유권이나 주권이 이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법적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무력 사용에 의한 다른 국가 또는 그 일부 영토의 병합'은 국제 형사 재판소 로마 규정에 따른 침략 범죄에 해당한다.

2. 2. 점령과 병합의 구분

국제법상 불법적으로 병합된 영토는 여전히 점령지로 간주되며, 국제 인도법 규정이 계속 적용된다. 정확하게는 이러한 영토를 "점령 및 불법 병합"으로 부를 수 있다. 유엔 총회에 제출된 보고서에서 마이클 린크는 법률상(de jure) 병합을 국가가 영토에 대한 영구적 주권을 주장하는 공식 선언[9]으로, 사실상(de facto) 병합을 공식 선언 없이[2] 미래 주권 주장의 전 단계로 사실을 확립하려는 국가를 설명하는 용어로 구분했다.[14]

1949년의 제4차 제네바 협약(GCIV)은 민간인 보호와 관련하여 1899년 및 1907년 헤이그 협약을 보강했으며,[15] 권리 침해 불가에 관한 규칙은 "절대적 성격"을 가지며,[16] 병합을 통해 국가가 국제법을 우회하는 것을 훨씬 더 어렵게 만들었다.[16]

3. 역사적 사례

역사적으로 다양한 병합 사례가 존재한다.

국가병합 대상사건시기
모로코서사하라마드리드 협정 이후 서사하라를 공식적으로 병합. 폴리사리오 전선은 이에 반발하여 게릴라 전쟁을 벌였고, 1979년 모리타니는 철수함.1976년
러시아크림반도국민투표 이후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국가를 러시아 연방에 가입시킴. 러시아는 이를 "재통일"로 간주하나,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함.2014년 3월
러시아우크라이나 남동부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주민투표를 거쳐 우크라이나 남부 및 동부 지역 병합 선언.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루한스크 인민 공화국, 자포리자, 헤르손 주를 연방 주체로 인정.2022년 9월 30일



모로코는 1976년에 서사하라를 공식적으로 병합했다.


크림반도 관광객들이 러시아 국기를 들고 있다. 러시아의 병합 이후 (2015년 6월 14일)


러시아가 병합한 우크라이나 지역, 2022년 9월 30일 러시아의 실제 통제 지역을 나타내는 붉은 선

3. 1.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3.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4. 현대적 분쟁 사례

현대에는 다음과 같은 분쟁 사례들이 존재한다.


  • 이스라엘은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동예루살렘을 병합했지만, 국제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 모로코는 1976년 서사하라를 공식적으로 병합했다.
  • 2014년 3월, 러시아크림반도를 병합했으며, 이 지역을 크림 공화국과 세바스토폴로 행정 관리하고 있다.[35]
  • 2022년 9월 30일, 러시아는 주민투표를 거쳐 우크라이나 남부 및 동부 지역 병합을 선언했다.

4. 1. 이스라엘의 영토 병합

6일 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점령한 영토.


이스라엘은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동예루살렘을 병합했으나, 국제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4. 2. 모로코의 서사하라 병합



1975년 모리타니, 모로코, 스페인 간의 마드리드 협정 이후, 마지막 스페인 군대가 서사하라에서 철수하고 행정권을 모리타니와 모로코에 이양했다. 이는 폴리사리오 전선에 의해 이의가 제기되었고, 폴리사리오 전선은 모리타니와 모로코를 상대로 게릴라 전쟁을 벌였다. 1979년 군사적 쿠데타 이후, 모리타니는 영토에서 철수했고, 영토는 모로코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1991년 국제 연합 평화 프로세스가 시작되었지만, 교착 상태에 빠졌고, 2012년 중반 현재 유엔은 분쟁 해결을 위해 모로코와 폴리사리오 전선 간의 직접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은 1976년부터 이 지역 전체를 주장해 온 부분적으로 인정받는 국가이다.

4. 3. 러시아의 영토 병합



2014년 3월, 러시아는 1991년부터 우크라이나에 속해 있던 크림반도를 병합했으며, 이 지역을 두 개의 연방 주체인 크림 공화국과 세바스토폴로 행정 관리하고 있다.[35] 유엔 총회는 러시아가 크림반도와 세바스토폴을 점유한 것을 "병합 시도"로, 러시아 연방을 "점령 세력"으로 간주한다.[36][37]

러시아는 이를 병합으로 보지 않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국민투표 이후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국가의 러시아 연방 가입으로 간주하며, 이를 분리주의미래주의의 결과로 여긴다. 러시아에서는 이러한 사건들을 묘사하기 위해 종종 "재통일"(воссоединени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크림반도가 1783년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고, 1921년부터 1954년까지 러시아 SFSR의 일부였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관점을 인정하는 국가는 거의 없다. 우크라이나는 크림반도와 세바스토폴을 자국 영토로 간주하며, 주권을 회복하기 위한 국제 외교 이니셔티브인 크림 플랫폼을 감독하고 있다.

2022년 9월 30일, 러시아는 주민투표를 거쳐 우크라이나 남부 및 동부 지역 병합을 선언했다. 그 결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주인 루한스크, 도네츠크, 자포리자, 헤르손의 영토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며,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루한스크 인민 공화국, 자포리자, 헤르손 주를 연방 주체로 인정했다.

5. 병합 이후 철회 또는 합법화된 사례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요르단이 점령한 서안 지구는 1950년 팔레스타인 대표단의 요청에 따라 요르단에 합병되었다.[39] 그러나 아랍 연맹은 요르단을 단지 수탁자로 간주했고,[40] 파키스탄영국만이 요르단의 합병을 인정했다.[41] 요르단은 1988년까지 서안 지구에 대한 통치권을 공식적으로 포기하지 않았다.[42]

1952년, 에티오피아 황제 하이레 셀라시에는 에리트레아와의 연방을 해체하고 에리트레아를 합병했으며, 이로 인해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이 발발했다.[38]

1975년 인도네시아동티모르 (티모르레스테)를 침공하여 합병하고 ''티모르 티무르''로 칭하며 자국의 27번째 주로 간주했지만, 국제 연합(UN)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동티모르 사람들은 게릴라전을 통해 저항했고, 1999년 국민투표에서 독립을 선택하여 2002년 독립을 달성했다.

시민과 연합군 군대가 쿠웨이트와 사우디 아라비아 국기를 흔들며 이라크의 쿠웨이트 합병 철회를 축하하고 있다(1991년 2월 28일)


이란-이라크 전쟁 동안 이라크와 동맹 관계였던 쿠웨이트는 1990년 사담 후세인 치하의 이라크에 의해 침공 및 병합되었다. 사담 후세인은 쿠웨이트 영토가 이라크의 지방이라는 주장과 사선 드릴링으로 인한 경제 전쟁에 대한 보복을 명분으로 내세웠다. 병합 후 군주제가 폐지되고 이라크 총독이 임명되었다. 조지 H.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이라크를 비난하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에 따라 34개국 연합군을 이끌고 걸프 전쟁을 통해 쿠웨이트를 해방시켰다.

1951년 중화인민공화국티베트와 17개 조항 협약을 체결하여 티베트 병합을 합법화했다. 이 협약은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체결되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현재 티베트는 국제적으로 중국 영토로 인정받고 있다.[51][52]

1969년 서뉴기니는 자유 선택 행동이라는 주민 투표를 통해 인도네시아에 공식적으로 합병되었다. 유엔 감독하에 진행된 이 투표는 뉴욕 협정(1962년)에 따른 것이었고, 1969년 11월 유엔 총회는 이 결과를 승인하여 서뉴기니는 국제적으로 인도네시아 영토로 인정받게 되었다.[56]

1975년 4월 30일, 북베트남은 군사적 승리를 통해 남베트남을 사실상 병합했다. 사이공 함락으로 남베트남 정부와 군대는 해체되었고,[58] 1년 뒤인 1976년에는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혁명정부와 북베트남이 통합하여 통일 베트남이 수립되었다.

5. 1. 철회된 사례

1952년, 에티오피아 황제 하이레 셀라시에는 에리트레아와의 연방을 조율했다. 그는 1962년에 이를 해체하고 에리트레아를 합병했으며, 이로 인해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이 발발했다.[38]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요르단이 점령한 서안 지구는 1950년 팔레스타인 대표단의 요청에 따라 요르단에 합병되었다.[39] 그러나 그 대표단이 얼마나 대표성이 있는지는 의문시되었으며, 아랍 연맹의 주장에 따라 요르단은 단지 수탁자로 간주되었다.[40] 파키스탄영국만이 요르단의 합병을 인정했다.[41] 요르단은 1988년까지 서안 지구에 대한 통치권을 공식적으로 포기하지 않았다.[42]

1975년 인도네시아의 침공 이후, 동티모르 (티모르레스테)는 인도네시아에 의해 합병되었고, ''티모르 티무르''로 알려졌다. 인도네시아는 이곳을 자국의 27번째 주로 간주했지만, 이는 국제 연합 (UN)에 의해 인정되지 않았다. 동티모르 사람들은 인도네시아군에 대한 장기간의 게릴라전을 통해 저항했다. 1999년 양측 간의 UN 후원 협정에 따라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동티모르 사람들은 인도네시아 내 자치 제공을 거부했다. 동티모르는 2002년에 독립을 달성했으며, 현재 공식적으로 동티모르 (티모르레스테)로 알려져 있다.

이란-이라크 전쟁 동안 이라크와 동맹 관계를 유지했던 쿠웨이트는 1990년 8월 사담 후세인 치하의 이라크에 의해 침공 및 병합되었다. 후세인의 주요 정당화 사유는 쿠웨이트 영토가 사실 이라크의 한 지방이라는 주장과 사선 드릴링을 통해 이라크의 석유 공급을 잠식하는 "경제 전쟁"에 대한 보복이라는 주장이었다. 병합 후 군주제가 폐지되고 이라크 총독이 임명되었다. 미국 대통령 조지 H.W. 부시는 결국 이라크의 행위를 비난하고 이라크군을 몰아내기 위해 움직였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결의안에 따라, 34개국으로 구성된 미국 주도의 연합군은 쿠웨이트 국왕을 복위시키기 위해 걸프 전쟁을 벌였다. 이라크의 침공(및 병합)은 불법으로 간주되었으며, 쿠웨이트는 오늘날 독립 국가로 남아있다.

5. 2. 합법화된 사례

1951년 중화인민공화국티베트와 17개 조항 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병합을 합법화하는 근거가 되었다. 비록 이 협약이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체결되었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지만, 현재 티베트는 국제적으로 중국의 영토로 인정받고 있다.[51][52]

1969년 서뉴기니는 자유 선택 행동이라는 주민 투표를 통해 인도네시아에 공식적으로 합병되었다. 이 투표는 유엔의 감독하에 진행되었으며, 뉴욕 협정(1962년)에 따라 서뉴기니 주민들은 인도네시아와의 통합 여부를 결정했다. 투표 결과, 대다수가 통합에 찬성했고, 1969년 11월 유엔 총회는 이 결과를 승인했다. 이로써 서뉴기니는 국제적으로 인도네시아의 영토로 인정받게 되었다.[56]

1975년 4월 30일, 북베트남은 군사적 승리를 통해 남베트남을 사실상 병합했다. 사이공 함락으로 남베트남 정부와 군대는 해체되었고,[58] 1년 뒤인 1976년에는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혁명정부와 북베트남이 통합하여 통일 베트남이 수립되었다.

참조

[1] 문서
[2] 서적 2013
[3] 서적 The Development of Territorial Norms and the Norm against Conquest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4] 학술지 The Evolution of Territorial Conquest After 1945 and the Limits of the Territorial Integrity Norm https://www.cambridg[...] 2022-03-04
[5] 서적 The Law of Armed Conflict and the Use of Force: The Max Planck Encyclopedia of Public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6] 문서
[7] 간행물
[8] 간행물 Annexatio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4-03-20
[9] 서적 2014
[10] 학술지 Symposium on revisiting Israel's settlements: Israel's creeping annexation https://scholarlyc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3-09
[11] 서적 The Right of Conquest: The Acquisition of Territory by Force in International Law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22-03-09
[12] 학술지 The Ukraine Crisis, Cold War II, and International Law 2015-07-06
[13] 서적 The Crime of Aggression under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14] 보고서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Palestinian territories occupied since 1967 https://www.ohchr.or[...] United Nations 2018-10-22
[15] 웹사이트 Convention (IV) relative to the Protection of Civilian Persons in Time of War. Geneva, 12 August 1949. Commentary - Art. 47. Part III: Status and treatment of protected persons #Section III: Occupied territories https://www.icrc.org[...] 2014-03-20
[16] 웹사이트 Convention (IV) relative to the Protection of Civilian Persons in Time of War. Geneva, 12 August 1949. https://www.icrc.org[...] 2016-04-17
[17] 서적 Jerusalem. Continuum
[18] 서적 Understanding the Holy Land: Answering Questions about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Viking
[19] 웹사이트 A/35/508-S/14207 of 8 October 1980. http://domino.un.org[...] 1980-10-08
[20] 웹사이트 UNSC Resolutions referred to in UNSC res 476 - 252, 267, 271, 298, 465 http://domino.un.org[...] 2011-11-24
[21] 웹사이트 UNSC res 478 http://unispal.un.or[...]
[22] 학술지 Has Israel Annexed East Jerusalem? 1997-01-16
[23] 문서 Jerusalem Embassy Act of 1995 1995-11-08
[24] 웹사이트 US confirms no more presidential waivers for Jerusalem Embassy Act https://www.timesofi[...] 2021-05-23
[25] 서적 The Writing on the Wall: Rethinking the International Law of Occu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ABC of the OPT: A Legal Lexicon of the Israeli Control over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27] 뉴스 UN report: Israel's "creeping annexation" of territory is illegal https://www.csmonito[...] 2022-03-07
[28] 학술지 Symposium on Revisiting Israel's Settlements Israel's Creeping Annexation https://www.cambridg[...] 2022-03-07
[29] 웹사이트 Syria: 'We still feel Syrian,' say Druze of Golan Heights http://www.ansamed.i[...] 2012-12-07
[30] 웹사이트 UN Doc A/67/L.24 http://www.un.org/ga[...]
[31] 뉴스 Trump formally recognises Israeli sovereignty over Golan Height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9-03-25
[32] 뉴스 Trump recognizes Golan Heights as Israeli, boosting Netanyahu and angering Syria https://www.reuters.[...] 2019-03-25
[33] 뉴스 U.N. chief clear that Golan status has not changed: spokesman https://www.reuters.[...] 2020-04-23
[34] 뉴스 Trump's Golan proclamation gathers international condemnation https://www.dw.com/e[...] DW 2020-04-22
[35] 웹사이트 Putin signs laws on reunification of Republic of Crimea and Sevastopol with Russia http://en.itar-tass.[...] ITAR TASS 2014-03-21
[36] 웹사이트 New UN resolution on Crimea confirms Russia is an occupying power, brings 10 important changes for Ukraine https://euromaidanpr[...] 2022-01-02
[37] 웹사이트 New UNGA resolution: Crimea temporarily occupied by Russia, Russia must release political prisoners & stop repressions https://euromaidanpr[...] 2022-01-02
[38] 뉴스 Eritrea profile – Timeline https://www.bbc.com/[...] 2019-06-12
[39] 웹사이트 http://www.jcpa.org.[...]
[40] 웹사이트 Sessions of the Arab League (1945–1994) https://www.jewishvi[...] 2022-10-05
[41] 서적 Jerusalem: a city and its future https://archive.org/[...] Syracuse University Press
[42]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Jordan The Rosen Publishing Group
[43] 서적 Empire to Nation: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44] 서적 憲法何以中國 https://books.google[...] City University of HK Press
[45] 서적 政治憲法與未來憲制 https://books.google[...] City University of HK Press
[46] 서적 Running From Tenda Gyamar: A Volunteer's Story of Life with the Refugee Children of Tibet Mantra Books
[47] 간행물 Grunfeld, 1996, p256
[48] 뉴스 What's in store for Hong Kong? Look at Tibet https://www.washingt[...] 2020-06-27
[49] 뉴스 Tibet and China 65 Years Later: Tibet was annexed by the Chinese 65 years ago. The struggle for Tibetan independence has continued ever since. https://daily.jstor.[...] 2016-05-23
[50] 간행물 Tibet Through Chinese Eyes https://www.theatlan[...]
[51] 서적 Authenticating Tibet: Answers to China's 100 Ques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2] 서적 One Hundred Thousand Moons: An Advanced Political History of Tibet https://books.google[...] Brill 2009
[53] 웹사이트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S/5033 http://www.un.org/en[...] www.un.org 2017-07-17
[54] 웹사이트 India–Portugal Relations http://www.mea.gov.i[...] Indian ministry of External Affairs 2010-09
[55] 뉴스 Did India have a right to annex Sikkim in 1975? https://www.indiatod[...] 2018-10-07
[56] 간행물 An analysis of the 1969 Act of Free Choice in West Papu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10-25
[57] 웹사이트 Report claims secret genocide in Indonesia – University of Sydney http://www.usyd.edu.[...] 2018-09-16
[58] 웹사이트 The Timeline of the Political History of Vietnam http://www.sjsu.edu/[...] San José State University
[59] 웹사이트 Norge utvider Dronning Maud Land helt frem til Sydpolen http://www.aftenpost[...] Aftenposten.no 2016-08-08
[60] 뉴스 On this day: 21 September 1955: Britain claims Rockall http://news.bbc.co.u[...] BBC 2018-08-15
[61] 웹사이트 併合とは https://kotobank.jp/[...] 2022-02-08
[62] 웹사이트 倉知鉄吉氏述 韓国併合ノ経緯 https://www.jacar.ar[...] 国立公文書館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4-07-10
[63] 뉴스 焦点:米大使館移転で中東緊迫化、「エルサレム問題」とは何か https://jp.reuters.c[...] 2024-05-07
[64] 간행물 防衛年鑑 1960年版 防衛年鑑刊行会 1960-02-22
[65] 간행물 "現代チベットの牧畜社会を対象とした 「家畜慣行の60年史」作成" https://www.mishima-[...]
[66] Britannica Tibetan
[67] 간행물 「陸封された地域の「解放」―インド・アルナーチャル・プラデシュ州とブータン―」 https://www.kyoto-bh[...]
[68] 웹사이트 チベット併合の経済的成功を強調「人権侵害はデマ」] https://news.tv-asah[...] テレ朝 news 2020-07-03
[69] 간행물 国連ナミビア理事会の国際統治 https://kobe-cufs.re[...] 神戸市外国語大学研究所 1976-06
[70] 웹사이트 ナミビア共和国 https://www.mofa.go.[...] 外務省 2024-05-07
[71] 웹사이트 ペッツァモ(ぺっつぁも)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5-07
[72] 웹사이트 ミュンヘン会談(ミュンヘンカイダン)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5-07
[73] 웹사이트 ポーランド史(ぽーらんどし)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9-28
[74] 웹사이트 1939 年秋のポーランド侵攻 https://encyclopedia[...] 2024-09-28
[75] 웹사이트 第二次世界大戦:時系列 https://encyclopedia[...] 2024-05-07
[76] 웹사이트 ビルマ戦争(ビルマセンソウ)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5-07
[77] 웹사이트 ビルマ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5-07
[78] 웹사이트 フランス領インドシナ連邦(ふらんすりょういんどしなれんぽう)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