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고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수염고래의 일종으로, 몸길이 12~20m, 몸무게 20~45t까지 자란다. 울산 지역에서 보리 수확 시기에 나타나 보리고래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노르웨이어로 대구를 뜻하는 "sei"에서 유래된 영문명 "sei"를 사용하기도 한다. 북방보리고래와 남방보리고래 두 아종이 있으며, 전 세계 대양에 분포하지만, 극지방과 열대 해역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20세기 상업적 포경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며, 현재 약 54,000마리가 생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왕고래속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대왕고래속 - 브라이드고래
브라이드고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수염고래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 두 종이 존재하며, 낫돌고래, 뿔돌고래, 라이스고래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분류학적 논쟁이 있으며, 밍크고래와 외형적 유사성을 보이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 북극해의 고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북극해의 고래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국제포경위원회 지정 포획금지종 - 혹등고래
혹등고래는 긴수염고래과의 수염고래로, 큰 가슴지느러미와 등에 있는 혹으로 구별되며,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고 회유하는 동물로, 과거 포경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현재는 회복 중이지만, 일부 개체군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인위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 국제포경위원회 지정 포획금지종 - 브라이드고래
브라이드고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수염고래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 두 종이 존재하며, 낫돌고래, 뿔돌고래, 라이스고래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분류학적 논쟁이 있으며, 밍크고래와 외형적 유사성을 보이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보리고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학명 | Balaenoptera borealis |
명명자 | Lesson, 1828 |
일반명 | 보리고래 |
영어 이름 | sei whale |
노르웨이어 이름 | seihval |
일본어 이름 | 이와시쿠지라 (イワシクジラ) |
로마자 표기 | 발라에노프테라 보레알리스 |
분류 |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경우제목 경하마형아목 고래하목 수염고래소목 수염고래과 대왕고래속 |
![]() | |
![]() | |
생식 | 임신 기간: 약 11개월 |
평균 길이 | 19.5 미터 |
평균 무게 | 28 톤 |
최대 속도 | 50 km/h |
서식 범위 | 전 세계 해양 |
아종 | |
아종 목록 | 북방보리고래 (Balaenoptera borealis borealis) 남방보리고래 (Balaenoptera borealis schleglii) |
보존 상태 | |
IUCN | 멸종 위기 (EN) |
CITES | 부속서 I |
미국 멸종 위기종 법 | 멸종 위기 (E) |
기타 | |
참고 | 지중해, 세인트로렌스만, 일본해, 오호츠크해, 북인도양 등에서도 발견됨 |
2. 분류
르네프림베르 레송이 1828년에 처음 기술하였으며, 칼 루돌피가 추가 설명을 제공하여 '''루돌피수염고래'''라고도 불린다.[8][9][10] 영문 이름 "sei"는 노르웨이어로 대구를 뜻하며, 둘이 플랑크톤을 먹을 때 같이 나타난다고 붙은 이름이다.[171] 일본에서는 정어리와 같이 나타난다고 하여 "이와시쿠지라"(イワシクジラ일본어, '''정어리고래''')라고도 한다.[174] 보리고래라는 이름은 울산지역에서 보리를 수확할 즈음에 나타난다고 붙은 이름이다.[175]
"보리고래"는 울산 지역에서 보리 수확 시기에 나타난다는 데서 유래했다. 영문 이름 "sei"는 노르웨이어로 대구를 뜻하는 ''seihval''에서 유래되었는데,[5] 이는 대구와 보리고래가 플랑크톤을 먹기 위해 같은 시기에 노르웨이 연안에 나타나기 때문이다.[6]
보리고래는 대왕고래속에서 대왕고래와 큰고래 다음으로 큰 종이다.[167] 성체의 몸길이는 보통 12~20m이며,[170] 몸무게는 20~45t 정도이다.[170][178] 남방아종이 북방아종보다 크고,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169] 갓 태어난 새끼의 몸길이는 4~5m 정도이다.[170]
보리고래의 사회 구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혼자 또는 최대 여섯 마리까지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먹이가 풍부한 곳에서는 더 큰 무리가 모일 수 있다.[39][24] 1986년 중반 메인 만 남부 해역 유입 시기에 최소 세 마리의 보리고래가 네 차례에 걸쳐 "군집 행동"(제자리에서 무작위로 이동하고, 몸을 뒤집고, 10분 이상 수면에 머무르는 행동)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활동 중이나 직후에 항상 한 마리가 무리를 떠났다.[24]
아열대부터 아한대의 바다에 서식한다.
보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수염고래의 일종이다.[16] 긴수염고래과는 혹등고래, 대왕고래, 브라이드고래, 긴수염고래, 쇠정어리고래 등을 포함한다. 수염고래는 중신세에 다른 수염고래아목 종과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176]
전장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에 따르면 참고래와 대왕고래는 근연 관계이고, 귀신고래는 자매군이다. 이 연구에서는 밍크고래와 대왕고래 및 참고래 조상 사이에 상당한 유전자 흐름이 있었음도 밝혀냈다.[15]
아종으로는 '''북방보리고래'''(''Balaenoptera borealis borealis'')와 '''남방보리고래'''(''Balaenoptera borealis schleglii'') 두 가지가 확인되었다.[177] 두 아종은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서로 섞이지 않는다.[12][13][19][115]
3. 어원
일본에서는 정어리와 함께 나타난다고 하여 "이와시쿠지라"(イワシクジラ일본어, '''정어리고래''')라고 불리며, 이 명칭이 한국에서도 종종 사용된다. 태평양에서는 "긴수염고래"가 수염고래과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였기 때문에 '''일본긴수염고래'''라고 불렸으며,[7] 참고래와 다소 유사하여 '''작은 참고래'''라고도 불렸다.[7]
4. 외관 및 특징
몸 색깔은 어두운 쇠색이며, 복부에는 불규칙적인 연회색 또는 흰색 점이 있다.[169] 목에는 32~60개의 주름이 있어 먹이를 먹을 때 입을 크게 팽창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171] 주둥이는 뾰족하고, 가슴지느러미는 몸길이의 9~10% 정도로 짧고 뾰족하다.[171] 주둥이 끝에서 숨구멍까지 이어지는 줄무늬는 수염고래의 공통적인 특징이다.[171]
피부에는 요각류,[179] 칠성장어,[180] 작은 상어[181] 같은 기생체에 의한 구멍이나 상처가 있을 수 있으며, 치유 후에는 희게 변한다.[182] 등지느러미는 낫 모양이며 높이는 25~61cm이다.[182] 보리고래 개체 확인에는 등지느러미 모양, 몸색깔, 흉터들이 쓰인다.[182] 꼬리는 두껍고, 꼬리지느러미는 몸 크기에 비해 작다.[171]
고래수염은 양쪽에 각각 300~380개가 있으며, 길이는 최대 80cm이다.[170] 수염판은 케라틴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끝부분에는 고운 털이 있다.[170] 보리고래의 매우 가는 수염털(약 0.1mm)은 다른 수염고래와 구별되는 특징이다.[183]
보리고래는 머리의 등줄기 유무 여부로 브라이드고래와 구분될 수 있다. 큰 보리고래는 큰고래와 혼동될 수 있지만, 큰고래의 비대칭적 머리 채색과 흰 밑턱, 회색인 왼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옆에서 보면 보리고래의 머리에는 주둥이와 눈 사이에 작은 아치 모양이 있으며, 큰고래의 경우는 대체로 평평하다.[169]
5. 행동 방식
보리고래는 가장 빠른 고래류 중 하나이다. 미국의 동물학자 로이 채프먼 앤드루스는 보리고래를 치타에 비유했는데, 수백 야드 정도는 매우 빠른 속도로 헤엄칠 수 있지만, "추격이 길어지면 금방 지치며", "더 큰 친척들처럼 강인함과 지구력이 없다"고 했다.[40] 짧은 거리에서는 최대 50km/h의 속도에 도달할 수 있다.[25] 하지만 뛰어난 잠수 능력은 없으며, 비교적 얕은 수심에서 5~15분 동안 잠수한다. 잠수 사이에는 몇 분 동안 수면에 떠 있으며, 맑고 고요한 바다에서는 시야에 잘 띄고, 약 60초(45~90초) 간격으로 숨을 쉰다. 잠수하려 할 때 보리고래는 보통 그냥 수면 아래로 가라앉고, 숨구멍과 등지느러미만 보인다. 보통 다른 고래류보다 수면에서 활동적이지 않으며, 꼬리치기 행동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28]
6. 생태
== 먹이 ==
보리고래는 해수면 가까이에서 먹이를 먹으며, 하루 평균 900kg의 먹이를 섭취한다.[170][25] 육중한 무게와 크기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먹이인 동물성 플랑크톤과 작은 물고기가 주로 먹이사슬의 하위 단계에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186][187] 이들이 동물성 플랑크톤을 선호하는 것은 내장 내용물 분석 결과와 먹이를 머금는 장면 관찰,[186][187] 옅은 갈색 구름과 같은 변 채집을 통해 밝혀졌다.[188] 망에 변을 모아 수중에 있는 유전 물질과 분리해 알려져 있는 종의 것들과 비교되었다.[188] 정어리류, 돌묵상어, 긴수염고래와 먹이를 놓고 경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5]
북대서양에서는 주로 ''Calanus finmarchicus''라는 종의 동물성 플랑크톤을 주로 먹고, 크릴을 부차적으로 섭취한다.[189][190] 북태평양에서는 ''Calanus cristatus'', ''Calanus plumchrus'', ''Calanus pacificus'', ''Euphausia pacifica'', ''Thysanoessa inermis'', ''Thysanoessa longipes'', ''Thysanoessa spinifera'' 등의 플랑크톤과 일본오징어(`Todarodes pacificus pacificus`)[48], 오징어, 멸치, 고등어 등을 먹는다.[191][189][192] 캘리포니아 중부에서는 6~8월에 멸치, 9~10월에 크릴을 먹는다.[180] 남반구에서는 ''Calanus tonsus'', ''Calanus simillimus'', ''Drepanopus pectinatus'', ''Euphausia superba'', ''Euphausia vallentini'' 등을 먹는다.[189]
식성은 육식성으로, 갑각류, 어류 등을 먹는다. 무리를 지어 있는 먹이를 입을 크게 벌려 바닷물과 함께 삼킨 후 수염으로 먹이만 걸러 먹거나, 수면에서 입을 벌리고 헤엄치면서 먹이를 걸러내다 어느 정도 양이 쌓이면 한꺼번에 삼킨다. 스킴 피딩(skim feeding, 훑어 먹이 섭취)이라고 불리는 섭취 형태를 취하는데, 이는 긴수염고래과에서는 드문 사례이다. 섭취 방법의 관계상 밍크고래속과 공통점이 많아 섭취 장소를 공유하기도 하지만, 경쟁적인 행동은 보이지 않는다.[131]
== 번식 ==
짝짓기는 온대 및 아열대지방에서 겨울에 하며, 임신 기간은 10 3/4개월,[193] 11 1/4 개월,[194] 1년,[195]으로 다양하게 추정된다. 이러한 차이는 태아의 성장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다양한 모형 때문이며, 임신기간 동안 관찰이 어려운 점도 영향을 미친다. 상업적 고래잡이 업자들에게서 나온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여러 태아의 크기와 특징을 갓 태어난 새끼와 비교해 수태기를 측정한다.
번식 방식은 태생이다. 겨울에 교미하고, 임신 기간은 약 11개월이다. 2~3년에 한 번, 새끼 한 마리를 낳는다. 수유 기간은 약 6개월이다.
갓 태어난 새끼는 몸길이 4~5m이며, 6~9개월 후 젖을 뗀다.[193] 젖떼기는 북방지에서 여름이나 가을에 일어난다. 암컷은 2~3년마다 한 번씩 번식하며,[193] 보통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70] 성적으로 성숙하기까지는 8~10년이 걸리며,[193] 성장 완료 후 수컷의 몸길이는 12m, 암컷의 경우는 13m이다.[171] 보리고래의 최대 수명은 65년이다.[196] 생후 2~3년에 성적으로 성숙하며(이전에는 약 11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고 여겨졌다), 수명은 최장 74년이다.
== 소리 ==
다른 고래들처럼 보리고래 또한 길고, 음량이 큰 주파수의 낮은 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197] 2003년에 남극반도에서 보리고래가 만든 "짖는 소리", "휙 소리"같은 신호가 관측된 바가 있다.[197] 많은 신호는 각 부분 사이에 주파수가 달랐다. 이러한 조합은 보리고래의 신호를 다른 고래의 것에서부터 구분할 수 있는 특징이다. 대부분의 신호는 0.5초 동안 지속되며, 주파수는 인간이 대부분 들을 수 있는 240-635HZ였다. 기록된 것들 중 가장 큰 음향을 지닌 것은 1미터 거리에서 156dB로 측정되었다.[197]
외양성이 강하다는 점도 더해져, 아조레스 제도 등 일부 해역을 제외하고는 활발한 고래 관찰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적고, 브리칭(영어판)과 같은 활발한 행동을 보이는 것도 매우 드물다. 하지만, 고래가 편안해하는 한 배나 요트에 적극적으로 접근하여 함께 헤엄치기도 한다.[132]
6. 1. 먹이
보리고래는 해수면 가까이에서 먹이를 먹으며, 하루 평균 900kg의 먹이를 섭취한다.[170][25] 육중한 무게와 크기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먹이인 동물성 플랑크톤과 작은 물고기가 주로 먹이사슬의 하위 단계에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186][187] 이들이 동물성 플랑크톤을 선호하는 것은 내장 내용물 분석 결과와 먹이를 머금는 장면 관찰,[186][187] 옅은 갈색 구름과 같은 변 채집을 통해 밝혀졌다.[188] 망에 변을 모아 수중에 있는 유전 물질과 분리해 알려져 있는 종의 것들과 비교되었다.[188] 정어리류, 돌묵상어, 긴수염고래와 먹이를 놓고 경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5]
|thumb|left|먹이를 먹는 모습]]
북대서양에서는 주로 ''Calanus finmarchicus''라는 종의 동물성 플랑크톤을 주로 먹고, 크릴을 부차적으로 섭취한다.[189][190] 북태평양에서는 ''Calanus cristatus'', ''Calanus plumchrus'', ''Calanus pacificus'', ''Euphausia pacifica'', ''Thysanoessa inermis'', ''Thysanoessa longipes'', ''Thysanoessa spinifera'' 등의 플랑크톤과 일본오징어(''Todarodes pacificus pacificus'')[48], 오징어, 멸치, 고등어 등을 먹는다.[191][189][192] 캘리포니아 중부에서는 6~8월에 멸치, 9~10월에 크릴을 먹는다.[180] 남반구에서는 ''Calanus tonsus'', ''Calanus simillimus'', ''Drepanopus pectinatus'', ''Euphausia superba'', ''Euphausia vallentini'' 등을 먹는다.[189]
보리고래를 포함한 참고래는 수염고래류로, 입을 벌려 먹이가 포함된 많은 양의 물을 삼키거나 훑어낸 다음, 수염판을 통해 물을 걸러내고 입 안에 먹이를 가두는 방식으로 먹이를 얻는 여과섭식 동물이다.[41] 스킴 피딩(skim feeding, 훑어 먹이 섭취)이라고 불리는 섭취 형태를 취하는데, 이는 긴수염고래과에서는 드문 사례이다. 섭취 방법의 관계상 밍크고래속과 공통점이 많아 섭취 장소를 공유하기도 하지만, 경쟁적인 행동은 보이지 않는다.[131]
6. 2. 번식
짝짓기는 온대 및 아열대지방에서 겨울에 하며, 임신 기간은 10 3/4개월,[193] 11 1/4 개월,[194] 1년,[195]으로 다양하게 추정된다. 이러한 차이는 태아의 성장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다양한 모형 때문이며, 임신기간 동안 관찰이 어려운 점도 영향을 미친다. 상업적 고래잡이 업자들에게서 나온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여러 태아의 크기와 특징을 갓 태어난 새끼와 비교해 수태기를 측정한다.
갓 태어난 새끼는 몸길이 4~5m이며, 6~9개월 후 젖을 뗀다.[193] 젖떼기는 북방지에서 여름이나 가을에 일어난다. 암컷은 2~3년마다 한 번씩 번식하며,[193] 보통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70] 성적으로 성숙하기까지는 8~10년이 걸리며,[193] 성장 완료 후 수컷의 몸길이는 12m, 암컷의 경우는 13m이다.[171] 보리고래의 최대 수명은 65년이다.[196]
6. 3. 소리 (Vocalization)
다른 고래들처럼 보리고래 또한 길고, 음량이 큰 주파수의 낮은 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197] 2003년에 남극반도에서 보리고래가 만든 "짖는 소리", "휙 소리"같은 신호가 관측된 바가 있다.[197] 많은 신호는 각 부분 사이에 주파수가 달랐다. 이러한 조합은 보리고래의 신호를 다른 고래의 것에서부터 구분할 수 있는 특징이다. 대부분의 신호는 0.5초 동안 지속되며, 주파수는 인간이 대부분 들을 수 있는 240-635HZ였다. 기록된 것들 중 가장 큰 음향을 지닌 것은 1미터 거리에서 156dB로 측정되었다.[197]
7. 분포 및 회유 경로
보리고래는 전 세계의 대양에서 서식하지만, 극지방과 열대 바다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는다.[28] 브라이드고래나 가끔 큰고래와 혼동되어 분포 범위와 개체수 측정에 혼란을 주기도 한다.[62][63]
북대서양에서 보리고래는 남유럽에서 노르웨이까지, 미국 남부에서 그린란드까지 서식한다.[64] 멕시코 만, 세인트로렌스 만, 허드슨 만, 북해, 지중해 등 육지로 둘러싸인 바다는 피하는 경향이 있다.[169] 주로 대륙붕 사면,[198] 해저 분지,[199] 해저 계곡과 같은 깊은 바다에 서식한다.[200]
북태평양에서 보리고래는 겨울에는 북위 20~23도, 여름에는 북위 35~50도 해역에 서식한다.[65] 북태평양 보리고래의 약 75%는 날짜 변경선 동쪽에 서식한다.[66] 캘리포니아주에서 추적 장치를 부착한 두 개체는 워싱턴주와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 발견되었다.[68]
남반구에서는 여름에 남위 40~50도 해역에 서식하며, 겨울 서식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89] 칠레 전 해안에서 비글 해협까지 서부에서 남부 라틴 아메리카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75][76]
보리고래는 여름에는 한대 및 극지방 인근 지역에서, 겨울에는 온대 및 아열대 지방으로 이동한다.[28] 정확한 회유 경로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매년 무리가 어디에 나타날지 예측하기 어렵다.[79][33] 그린란드 서쪽에서 나타나는 보리고래와 따뜻한 북대서양 해류와의 관계가 주목받고 있다.[80] 여러 개체에 추적 장치를 부착한 결과 이들은 해마다 아이슬란드에 돌아오는 것으로 밝혀졌다.[81]
8. 인간과의 관계
다른 고래류와 마찬가지로, 최근 보리고래가 인류로부터 받는 주된 위협은 상업 포경, 밀렵, 혼획 및 이를 이용한 의도적인 포획[140], 선박과의 충돌[141], 환경 오염 등이다. 보호 대상인 남반구의 이빨고래 고기가 흰긴수염고래 등 다른 보호 대상 종과 함께 일본 시장에서 발견된 적도 있다[142].
보리고래는 헤엄이 빠르고, 위에서 언급한 대로 남아메리카[120]나 포클랜드 제도[123]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외양성이 강하며, 개체 수가 크게 감소하거나 회유 경로가 불분명한 점이 많은 특징을 가진다. 고래 관찰 중 우연히 관찰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주요 관찰 대상으로 삼는 지역은 적다[143]. 비교적 투어 중 관찰 빈도가 높은 지역은 아소르스 제도, 갈라파고스 제도, 칠레 연안 등이 해당된다.
본 종은 "본 조약"의 보호 대상 종으로 지정되어 있다[144]. 하지만, 일본은 2024년 현재도 포획 대상으로 하고 있다.
참고로, 일본 열도에서도 고래류와 인간의 관계는 포경뿐만 아니라, 고래를 신성시하여 포경을 금지하는 풍조도 강했다고 여겨진다.
== 고래잡이 ==
19세기 말 폭발성 고래 작살과 증기선의 발명으로 상업적 고래잡이가 가능해졌다.[207][84] 초기에는 빠른 속도와 적은 고래 기름 때문에 선호되지 않았지만,[207][84] 다른 대형 고래들이 고갈되면서 1950~1970년대에 주요 포획 대상이 되었다.[167][27]
북대서양에서는 1885~1984년에 14,295마리가 포획되었다.[172][66] 노르웨이, 스코틀랜드 연안에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주로 잡혔으며,[204][79] 아이슬란드에서는 1948~1985년 사이에 2,574마리가 처리되었다.[207]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1920년대, 캐나다 노바스코샤에서는 1960~1970년대, 그린란드 서부에서는 1920~1950년대에 포획이 이루어졌다.[210][87][203][78][205][80]
북태평양에서는 1910~1975년에 72,215마리가 포획되었다.[172][66] 일본과 한국에서는 1911~1955년 사이에 연간 300~600마리가 처리되었고, 1959년 일본의 최대 포획량은 1,340마리였다. 1960년대 초 북태평양 대양에서의 남획으로 1963~1974년 사이 연간 평균 3,643마리가 포획되었고,[212][89] 1971년 일본 연안에서 희귀해져 1975년 상업적 고래잡이가 중지되었다.[189][213][46][90] 북아메리카에서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해안에서 1950~1960년대, 캘리포니아에서 1957~1971년 사이에 포획되었으며, 1971년 동북태평양에서 상업적 포획이 중지되었다.[167][27][214][91][180][50]
남반구에서는 1910~1979년에 152,233마리가 포획되었다.[172][66] 남극해에서는 혹등고래를 대신하여 큰고래, 대왕고래와 함께 주요 포획 대상이 되었다. 1964년 20,000마리 이상이 포획되었으나 1976년 2,000마리 이하로 급감하여 1977년 상업적 포획이 종료되었다.[167][27][189][46]
20세기까지 전 세계적인 남획과, 특히 일본과 소련에 의한 대규모 규약 위반 및 밀렵으로 인해 보전 상태가 저해되었다고 여겨진다.[145][146][147] 2019년 7월 일본의 상업 포경 재개에 따라 민부리고래가 포획 대상이 되었고, 수산청은 연간 포획량을 25마리로 설정했다.[152]
== 국제적 보호 조치 ==
1970년 국제포경위원회(IWC)에서 북태평양 개체군에 대한 연간 포획량 제한이 처음으로 설정되었다. 연간 포획량이 정해지기 전까지는 고래잡이 업자들이 보리고래를 찾는 즉시 잡아도 문제가 없었다.[215] 1976년 북태평양, 1977년 북대서양에서 보리고래가 보호되기 시작했으며,[169] 1979년에는 남반구 개체군에 대한 포획이 금지되었다. 다른 고래들이 멸종 위기를 맞고 있다는 총의 하에 국제포경위원회는 1986년에 상업적 고래잡이 중지를 결의하였다.[169]
1970년대 말에는 동부 북대서양에서 불법으로 보리고래가 잡히기도 하였다.[216] 소련이 포획량을 과소 보고한 적이 있어,[217] 실제 포획량은 이보다 많을 수도 있다는 의혹이 있다.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의 레드리스트에 보리고래는 멸종위기종으로 올라 있다.[163] 북반구 개체군은 국제 야생동식물 멸종위기종 거래에 관한 조약(CITES)의 부속서 II에 올라와 있으며, 남반구 개체군은 이보다 더 심각하여 부속서 I에 올라와 있다. 이는 남반구에서 보리고래에 대한 무역이 중지되지 않으면 멸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170]
== 현재 포획 상황 ==
국제포경위원회가 상업적 고래잡이 중지를 선언한 이후에도 아이슬란드와 일본은 "연구 목적"이라는 명분으로 소수의 보리고래를 포획했다.[218] 아이슬란드는 1986년과 1989년 사이에 연구 목적의 고래잡이를 실시해 연간 40마리를 잡았다.[218][93][94][157]
일본의 고래잡이 업자들도 같은 목적으로 연간 보리고래 50마리를 잡는다.[219][161] 이 연구는 도쿄의 민간단체인 고래연구기관에서 이루어진다.[95][96] 연구 목적은 보리고래가 무엇을 먹는가를 알아내 고래와 어부들이 얼마나 경쟁하는가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95][96][219] 기관의 관계자인 오스미 세이지는 "고래는 인간이 잡는 수산자원의 3에서 5배를 소비하며, 고래 연구는 해양자원 관리에 필요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라고 하였다.[219][158][159] 그는 이후에 "서북태평양에서 보리고래는 2번째로 풍부한 종이며, 28,000마리 이상이 있다. 그들은 확실히 멸종 위기에 놓여 있지 않다"라고 덧붙여 말했다.[220][160]
세계 자연보호 기금 등의 환경단체는 고래는 인간이 먹지 않는 오징어나 플랑크톤을 먹는다며 이러한 연구를 비판했다.[173][98] 그들은 또한 연구를 "고래잡이 어선을 돌아가게 하는 원동력의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며, 고래에게 인간의 죄를 뒤집어 씌우고 있다"고 하였다.[173] 연구는 과학적 의의가 전혀 없다고 비판받아 왔으며,[221] 2001년 국제포경위원회 총의에서 과학자 32명은 일본의 연구 목적 고래잡이는 과학적 측면이 부족하고 학술심사의 최소 기준에도 못 미친다고 지적하였다.[99][221]
2009년 6월 국제포경위원회 연례 회의에서 당시 일본 정부 대표 대리(모리시타 조지 수산청 참사관)가 고래류에 의한 어업 피해(해충론)를 '''철회'''했다.[162]
8. 1. 고래잡이
19세기 말 폭발성 고래 작살과 증기선의 발명으로 상업적 고래잡이가 가능해졌다.[207][84] 초기에는 빠른 속도와 적은 고래 기름 때문에 선호되지 않았지만,[207][84] 다른 대형 고래들이 고갈되면서 1950~1970년대에 주요 포획 대상이 되었다.[167][27]북대서양에서는 1885~1984년에 14,295마리가 포획되었다.[172][66] 노르웨이, 스코틀랜드 연안에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주로 잡혔으며,[204][79] 아이슬란드에서는 1948~1985년 사이에 2,574마리가 처리되었다.[207]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1920년대, 캐나다 노바스코샤에서는 1960~1970년대, 그린란드 서부에서는 1920~1950년대에 포획이 이루어졌다.[210][87][203][78][205][80]
북태평양에서는 1910~1975년에 72,215마리가 포획되었다.[172][66] 일본과 한국에서는 1911~1955년 사이에 연간 300~600마리가 처리되었고, 1959년 일본의 최대 포획량은 1,340마리였다. 1960년대 초 북태평양 대양에서의 남획으로 1963~1974년 사이 연간 평균 3,643마리가 포획되었고,[212][89] 1971년 일본 연안에서 희귀해져 1975년 상업적 고래잡이가 중지되었다.[189][213][46][90] 북아메리카에서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해안에서 1950~1960년대, 캘리포니아에서 1957~1971년 사이에 포획되었으며, 1971년 동북태평양에서 상업적 포획이 중지되었다.[167][27][214][91][180][50]
남반구에서는 1910~1979년에 152,233마리가 포획되었다.[172][66] 남극해에서는 혹등고래를 대신하여 큰고래, 대왕고래와 함께 주요 포획 대상이 되었다. 1964년 20,000마리 이상이 포획되었으나 1976년 2,000마리 이하로 급감하여 1977년 상업적 포획이 종료되었다.[167][27][189][46]
20세기까지 전 세계적인 남획과, 특히 일본과 소련에 의한 대규모 규약 위반 및 밀렵으로 인해 보전 상태가 저해되었다고 여겨진다.[145][146][147] 2019년 7월 일본의 상업 포경 재개에 따라 민부리고래가 포획 대상이 되었고, 수산청은 연간 포획량을 25마리로 설정했다.[152]
8. 2. 국제적 보호 조치
1970년 국제포경위원회(IWC)에서 북태평양 개체군에 대한 연간 포획량 제한이 처음으로 설정되었다. 연간 포획량이 정해지기 전까지는 고래잡이 업자들이 보리고래를 찾는 즉시 잡아도 문제가 없었다.[215] 1976년 북태평양, 1977년 북대서양에서 보리고래가 보호되기 시작했으며,[169] 1979년에는 남반구 개체군에 대한 포획이 금지되었다. 다른 고래들이 멸종 위기를 맞고 있다는 총의 하에 국제포경위원회는 1986년에 상업적 고래잡이 중지를 결의하였다.[169]1970년대 말에는 동부 북대서양에서 불법으로 보리고래가 잡히기도 하였다.[216] 소련이 포획량을 과소 보고한 적이 있어,[217] 실제 포획량은 이보다 많을 수도 있다는 의혹이 있다.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의 레드리스트에 보리고래는 멸종위기종으로 올라 있다.[163] 북반구 개체군은 국제 야생동식물 멸종위기종 거래에 관한 조약(CITES)의 부속서 II에 올라와 있으며, 남반구 개체군은 이보다 더 심각하여 부속서 I에 올라와 있다. 이는 남반구에서 보리고래에 대한 무역이 중지되지 않으면 멸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170]
8. 3. 현재 포획 상황
국제포경위원회가 상업적 고래잡이 중지를 선언한 이후에도 아이슬란드와 일본은 "연구 목적"이라는 명분으로 소수의 보리고래를 포획했다.[218] 아이슬란드는 1986년과 1989년 사이에 연구 목적의 고래잡이를 실시해 연간 40마리를 잡았다.[218][93][94][157]일본의 고래잡이 업자들도 같은 목적으로 연간 보리고래 50마리를 잡는다.[219][161] 이 연구는 도쿄의 민간단체인 고래연구기관에서 이루어진다.[95][96] 연구 목적은 보리고래가 무엇을 먹는가를 알아내 고래와 어부들이 얼마나 경쟁하는가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95][96][219] 기관의 관계자인 오스미 세이지는 "고래는 인간이 잡는 수산자원의 3에서 5배를 소비하며, 고래 연구는 해양자원 관리에 필요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라고 하였다.[219][158][159] 그는 이후에 "서북태평양에서 보리고래는 2번째로 풍부한 종이며, 28,000마리 이상이 있다. 그들은 확실히 멸종 위기에 놓여 있지 않다"라고 덧붙여 말했다.[220][160]
세계 자연보호 기금 등의 환경단체는 고래는 인간이 먹지 않는 오징어나 플랑크톤을 먹는다며 이러한 연구를 비판했다.[173][98] 그들은 또한 연구를 "고래잡이 어선을 돌아가게 하는 원동력의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며, 고래에게 인간의 죄를 뒤집어 씌우고 있다"고 하였다.[173] 연구는 과학적 의의가 전혀 없다고 비판받아 왔으며,[221] 2001년 국제포경위원회 총의에서 과학자 32명은 일본의 연구 목적 고래잡이는 과학적 측면이 부족하고 학술심사의 최소 기준에도 못 미친다고 지적하였다.[99][221]
2009년 6월 국제포경위원회 연례 회의에서 당시 일본 정부 대표 대리(모리시타 조지 수산청 참사관)가 고래류에 의한 어업 피해(해충론)를 '''철회'''했다.[162]
9. 보존 상태 및 위협
현재 전 세계 보리고래 개체 수는 약 54,000마리로 추정되며, 이는 상업적 고래잡이 개시 이전의 20% 수준이다.[171][133] 북대서양 개체 수는 1991년 측정 결과 약 4,000마리로 추정되었으나,[222] 이 측정 방법은 과학계에서 비판을 받아 정확한 측정 방법으로 여겨지지 않는다.[223][134]
노르웨이 북부에서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보리고래가 드물었지만, 19세기 말에서 제2차 세계대전까지 많이 포획되었다.[224] 이러한 급감은 남획,[224] 보리고래의 주식인 요각류 감소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225] 덴마크 해협에서 1987년과 1989년에 각각 1,290마리, 1,590마리가 확인되었다.[225][135] 노바스코샤 인근 개체 수는 1,393마리에서 2,248마리, 최소 870마리로 추정된다.[203][136]
1977년 연구에서는 태평양 전체 개체 수를 9,110마리로 추정했으나,[89][137] 이 수치는 오래되었고, 2002년 북서태평양 개체 수는 2만 8천 마리가 넘는다는 일본 측 주장이 있었지만,[96][138] 과학계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98] 캘리포니아 해역에서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항공 및 선박 조사에서 확인된 개체가 1마리에 불과했고, 5마리 정도가 추가로 확인 가능성이 있었다.[108][109][138]
상업 포경 이전 북태평양에는 약 4만 2천 마리가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포경이 끝날 무렵에는 7,260마리에서 1만 2,620마리로 감소했다.[89][137] 남반구의 개체 수는 어획 기록과 CPUE를 바탕으로 9,800마리에서 1만 2,000마리로 추정된다.[110][139] 국제포경위원회(IWC)는 1978년부터 1988년까지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9,718마리로 추정했다.[111]
최근에는 남획 외에도 요각류 감소와 같은 환경 변화가 보리고래 분포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25] 기후 변화, 해양 오염, 선박과의 충돌, 혼획 등 새로운 위협 요인이 대두되고 있다.
10. 한국과 보리고래
한국에서는 보리고래를 "이와시쿠지라"(정어리고래)라고도 부른다. 울산 지역에서는 보리 수확 시기에 나타난다고 하여 "보리고래"라는 이름이 붙었다. 과거 대한민국 해역에도 보리고래가 많이 서식했지만, 남획으로 인해 현재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다른 고래류와 마찬가지로 보리고래는 상업 포경, 밀렵, 혼획 및 이를 이용한 의도적인 포획, 선박과의 충돌, 환경 오염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140][141] 보호 대상인 남반구의 이빨고래 고기가 흰긴수염고래 등 다른 보호 대상 종과 함께 일본 시장에서 발견된 적도 있다.[142]
보리고래는 헤엄이 빠르고, 남아메리카나 포클랜드 제도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외양성이 강하며, 개체 수가 크게 감소하거나 회유 경로가 불분명한 점이 많다.[120][123][143] 고래 관찰 중 우연히 관찰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주요 관찰 대상으로 삼는 지역은 적다.[143]
본 종은 "본 조약"의 보호 대상 종으로 지정되어 있다.[144] 하지만, 일본은 2024년 현재도 포획 대상으로 하고 있다.
참조
[1]
데이터베이스
[2]
IUCN
Balaenoptera borealis
2021-05-04
[3]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4]
사전
sei whale
[5]
사전
sei whale
[6]
웹사이트
Sei Whale & Bryde's Whale Balaenoptera borealis & Balaenoptera edeni
http://www.acsonline[...]
American Cetacean Society
2004-03-01
[7]
서적
Whalebone Whales of New England
https://books.google[...]
2009-06-24
[8]
학술지
Balaenoptera borealis Lesson, 1828: rediscovery of a holotype
https://www.degruyte[...]
2019-07-01
[9]
서적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Lesson, 1828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12-31
[10]
서적
Histoire naturelle générale et particulière des mammifères et des oiseaux découverts depuis 1788 jusqu'à nos jours: Cétacés
https://books.google[...]
Baudouin
1828
[11]
서적
On the cetaceous animals
E. W. Jansen
[12]
학술지
Notes on the skeletons of whales in the principal museums of Holland and Belgium, with descriptions of two species apparently new to science
[13]
보고서
Review of the evidence used in the description of currently recognized cetacean subspecies
NOAA Technical Memorandum NMFS
2009-12-01
[14]
학술지
On the existence of a fourth species of the genus Balaenoptera
[15]
학술지
Whole-genome sequencing of the blue whale and other rorquals finds signatures for introgressive gene flow
2018
[16]
웹사이트
Etymology of mammal names
http://www.iberianat[...]
IberiaNature – Natural history facts and trivia
2006-12-07
[17]
서적
McGraw-Hill Yearbook of Science & Technology
The McGraw Hill Companies
[18]
학술지
The chronology of mysticete diversification (Mammalia, Cetacea, Mysticeti): Body size, morphological evolution and global change
https://www.scienced[...]
2023-04-01
[19]
데이터베이스
2006-11-10
[20]
학술지
On the feeding mechanism of the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21]
웹사이트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 MarLIN – The Marine Life Information Network
https://www.marlin.a[...]
[22]
학술지
Application of white scars to the study of the location and migrations of sei whale populations in Area III of the Antarctic
[23]
학술지
The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24]
학술지
Behavior of individually identified sei whales Balaenoptera borealis during an episodic influx into the southern Gulf of Maine in 1986
https://secure2.nni.[...]
[25]
웹사이트
Balaenoptera borealis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2006-11-04
[26]
학술지
Records of sei and Bryde's whales from the Atlantic coast of the United States, the Gulf of Mexico, and the Caribbean
[27]
학술지
Special Issue: The Great Whales: History and Status of Six Species Listed as Endangered Under the U.S. Endangered Species Act of 1973
http://spo.nwr.noaa.[...]
2011-04-26
[28]
서적
Draft Recovery Plan for the Fin Whale Balaenoptera physalus and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http://www.cresli.or[...]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2006-11-05
[29]
서적
Marine Fisheries Review
https://books.google[...]
NMFS, Scientific Publications Office
1984
[30]
서적
Dolphins, Porpoises and Whales of the World: The IUCN Red Data Book
IUCN
[31]
서적
The Mammals of the Southern African Sub-re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학술지
On whales landed at the Scottish whaling stations, especially during the years 1908–1914—Part VII. The sei-whale
[33]
학술지
The sei whale off western Iceland. I. Size, distribution and abundance
[34]
학술지
Preliminary report on Nova Scotia fishery for sei whales (Balaenoptera borealis)
[35]
학술지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PRN II) in 2005 – Offshore component
[36]
논문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PRN II) in 2006 (part I) – Offshore component
[37]
논문
Body weights of some species of large whales
1976-02-00
[38]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Whales and Dolphins
Facts on File
[39]
논문
Notes on a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Lesson) sighted off Maryland
[40]
서적
Whale hunting with gun and camera; a naturalist's account of the modern shore-whaling industry, of whales and their habits, and of hunting experiences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D. Appleton and Co.
[41]
서적
Endangered Wildlife and Plan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1-00-00
[42]
논문
Aerial observations of feeding behavior in four baleen whales: Eubalaena glacialis, Balaenoptera borealis, Megaptera novaeangliae, and Balaenoptera physalus
[43]
논문
Behavior of sei whales in the southern Gulf of Maine, summer 1986
[44]
웹사이트
New Research Method May Ease Whale Killing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2-02-06
[45]
서적
COSEWIC Assessment and Update Status Report: On the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Pacific Population, Atlantic Population, in Canada
https://wildwhales.o[...]
Committee on the Status of Endangered Wildlife in Canada
2003-00-00
[46]
논문
The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47]
논문
A review of feeding and reproduction in large baleen whales (Mysticeti) and sperm whales Physeter macrocephalus in Norwegian and adjacent waters
[48]
학회발표
Competition for food in the Ocean: Man and other apical predators
http://www.fao.org/t[...]
2001-10-00
[49]
논문
Characteristics of food habits and distribution of baleen whal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bundance of North Pacific sei and Bryde's whales
[50]
논문
Synopsis of biological data on the sei whale and Bryde's whale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51]
논문
Biomechanically distinct filter-feeding behaviors distinguish sei whales as a functional intermediate and ecologically flexible species
2021-05-01
[52]
논문
On the external characters of Rudolphi's rorqual (Balaenoptera borealis)
[53]
논문
The sei whale off western Iceland. II. Age, growth and reproduction
[54]
논문
Some estimates of growth in the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55]
논문
Whales and whale foetuses
[56]
서적
Ec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Central and Northern California Coastal Region: pt.1. Regional characterization. pt.2. Species
https://books.google[...]
Office of Biological Services, Fish and Wildlife Servic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1981-00-00
[57]
논문
Sei whale sounds recorded in the Antarctic
https://escholarship[...]
2005-12-00
[58]
웹사이트
this description
https://web.archive.[...]
[59]
논문
Vocalizations of the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off the Hawaiian Islands
[60]
논문
Low frequency vocalizations attributed to sei whales (Balaenoptera borealis)
[61]
뉴스
South Georgia: The lost whaling station at the end of the world
https://www.bbc.com/[...]
BBC News
2014-06-09
[62]
서적
Whal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988-01-01
[63]
서적
Amending the Atlantic Large Whale Take Reduction Plan, Broad-based Gear Modifications: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https://books.googl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64]
서적
Handbook of Marine Mammals, Vol. 3
Academic Press
[65]
논문
Biological studies on the North Pacific sei whale
[66]
서적
The sei whale: population biology, ecology, and management
Croom Helm Ltd.
[67]
웹사이트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borealis): Eastern North Pacific Stock
https://www.fisherie[...]
2017-02-08
[68]
서적
The Whale Problem: a status report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69]
논문
Recent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sightings in the Gulf of California, Mexico
http://www.aquaticma[...]
2017-02-24
[70]
웹사이트
Сейвал / Balaenoptera borealis
http://www.zoosite.c[...]
[71]
간행물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off Shiretoko
http://www.cho.co.jp[...]
2015-12-16
[72]
논문
Sei Whales in the Adjacent Waters of Japan. II. Further Studies on the External Characters
https://www.icrwhale[...]
1954
[73]
문서
A CATALOGUE OF INDIAN MARINE MAMMAL RECORDS
https://www.cbd.int/[...]
2015
[74]
논문
A review of cetacean occurrence in West African waters from the Gulf of Guinea to Angola
2010
[75]
웹사이트
SEI Whale at Beagle canal, Ushuaia, Argentina
https://www.panorami[...]
[76]
웹사이트
Sei whale
http://ocean-sounds.[...]
[77]
논문
Predicting suitable coastal habitat for sei whales, southern right whales and dolphins around the Falkland or Malvinas Islands
2020-12-23
[78]
논문
Preliminary assessment of stocks of northwest Atlantic sei whales (''Balaenoptera borealis'')
1977
[79]
논문
On the biology of the eastern North Atlantic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Lesson
1977
[80]
논문
On the occurrence of sei whales (''Balenoptera borealis'') in West Greenland waters
1985
[81]
논문
The cruise of the ''Ljósfari'' in the Denmark Strait (June–July 1981) and recent marking and sightings off Iceland
1983
[82]
논문
First satellite-tracked long-distance movement of a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in the North Atlantic
2009
[83]
논문
Migratory destinations and sex composition of sei whales (''Balaenoptera borealis'') transiting through the Azores
2012
[84]
논문
Operational factors of the Icelandic large whale fishery
1988
[85]
논문
The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Lesson)
1916
[86]
서적
Rapports et Procès-verbaux des réunions, Cons. Perm. Int. L'Explor. Mer, Vol. LVI
Høst & Fils
1929
[87]
논문
Preliminary report on Spanish whaling operations
1981
[88]
논문
U.S. Pacific marine mammal stock assessments: 1996
http://swfsc.noaa.go[...]
1997
[89]
논문
Estimates of population size for the North Pacific sei whale
1977
[90]
서적
International whaling statistics
Committee for Whaling Statistics
1942
[91]
논문
Marine mammals of British Columbia
1969
[92]
웹사이트
Overview of Laws and Regulations Protecting Whales
https://www.animalla[...]
2023-12-28
[93]
보도자료
WWF condemns Iceland's announcement to resume whaling
http://www.panda.org[...]
WWF-International
2003-08-07
[94]
웹사이트
Iceland's Whaling Comeback
https://www.humaneso[...]
The Humane Society of the United States
2022-04-15
[95]
보도자료
Japan not catching endangered whales
http://www.icrwhale.[...]
The Institute of Cetacean Research, Tokyo, Japan
2002-03-01
[96]
보도자료
Japan's senior whale scientist responds to New York Times advertisement
http://www.icrwhale.[...]
The Institute of Cetacean Research, Tokyo, Japan
2002-05-20
[97]
논문
Japan's Introduction from the Sea of Sei Whale Meat: the Breaking Point of CITES?
2018-06-22
[98]
보도자료
Japanese Scientific Whaling: Irresponsible Science, Irresponsible Whaling
http://www.panda.org[...]
WWF-International
2005-06-01
[99]
논문
Relevance of JARPN II to management, and a note on scientific standards. Report of the IWC Scientific Committee, Annex Q1
2002
[100]
뉴스
L.A. eatery charged with serving whale meat closes
https://www.reuters.[...]
2010-03-20
[101]
서적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hales
Univ. of Washington Press
1980
[102]
논문
Catches of fin whales in the North Atlantic by the M.V. ''Sierra'' (and associated vessels)
1992
[103]
논문
Validity of whaling data
1994
[104]
문서
Appendix I and Appendix II
http://www.cms.int/d[...]
2009-03-05
[105]
서적
The whale problem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106]
논문
Sei whale abundance in the North Atlantic, estimated from NASS-87 and NASS-89 data
[107]
뉴스
Scientists stumble across endangered whale not seen in Canada in years
https://www.ctvnews.[...]
CTV News
2018-09-26
[108]
논문
Report of a marine mammal survey of the California coast aboard the research vessel "MacArthur" July 28 – 5 November 1991.
http://swfsc.noaa.go[...]
U.S. Dept. Commerce
[109]
논문
Report of two aerial surveys for marine mammals in California coastal waters utilizing a NOAA DeHavilland Twin Otter aircraft: March 9 – 7 April 1991, and February 8 – 6 April 1992
http://swfsc.noaa.go[...]
U.S. Dept. Commerce
[110]
보고서
Endangered whales: Status update
Alaska Fisheries Science Center, Seattle, WA
[111]
논문
Report of the sub-committee on Southern Hemisphere baleen whales, Annex E
[112]
뉴스
337 Whales Beached in Largest Stranding Ever
http://news.national[...]
2015-11-20
[113]
뉴스
Dead whales in Pacific could be fault of the Blob
http://www.cbc.ca/ne[...]
2015-09-14
[114]
문서
지중해, 세인트로렌스만, 일본해, 오호츠크해, 북인도양에서 산발적으로 확인됨.
[115]
웹사이트
Sei whale
https://iwc.int/abou[...]
[116]
서적
니타리쿠지라의 자연사 ―토사만에 사는 일본의 고래―
평범사
2000
[117]
웹사이트
야마구치현 고래류 목록
https://web.archive.[...]
2014
[118]
서적
Marine mammals and sea turtles of the Mediterranean and Black Seas
국제자연보전연맹
2012
[119]
서적
시레토코 주변 해역의 고래류
시레토코 박물관 연구보고(27)
2006
[120]
논문
Occurrence of Sei Whales (Balaenoptera borealis) in the Magellan Strait from 2004-2015, Chile
[121]
문서
포클랜드 제도에서의 남방긴수염고래의 안정적인 귀환도 이 지역에서의 밍크고래 조사 중에 확인되었다.
[122]
웹사이트
The Falkland Islands (Malvinas) as sub-Antarctic foraging, migratory and wintering habitat for southern right whales
https://www.cambridg[...]
2019-11-21
[123]
웹사이트
Falklands confirmed as world's first Sei whale hotspot
https://polarjournal[...]
2021-05-20
[124]
웹사이트
A whale makes a comeback off Argentina's coast 100 years after vanishing
https://www.reuters.[...]
2024-05-11
[125]
웹사이트
San Jorge Gulf IMMA IMMA
https://www.marinema[...]
[126]
웹사이트
337 Whales Beached in Largest Stranding Ever
https://www.national[...]
2015-11-21
[127]
웹사이트
Científicos exploran el lugar más remoto de Chile en busca de crías de ballenas en peligro crítico de extinción
https://es.mongabay.[...]
몽가베이
2021-11-03
[128]
논문
On whales landed at the Scottish whaling stations, especially during the years 1908–1914—Part VII. The sei-whale
[129]
서적
Draft Recovery Plan for the Fin Whale ''Balaenoptera physalus'' and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http://www.cresli.or[...]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1998-07
[130]
서적
고래와 돌고래의 도감
[131]
웹사이트
https://teacheratsea[...]
[132]
Youtube
https://www.youtube.[...]
[133]
문서
2006년 기준으로 전 세계 밍크고래 개체 수는 약 54,000마리로, 포경 이전 개체 수의 5분의 1에 불과합니다.
[134]
논문
U.S. Atlantic and Gulf of Mexico stock assessments
U.S. Dept. of Commerce, NOAA Tech. Memo NMFS-SEFSC-363
[135]
논문
Sei whale abundance in the North Atlantic, estimated from NASS-87 and NASS-89 data
[136]
논문
Preliminary assessment of stocks of northwest Atlantic sei whales (Balaenoptera borealis)
[137]
논문
Estimates of population size for the North Pacific sei whale
[138]
웹사이트
Japan's senior whale scientist responds to New York Times advertisement
http://www.icrwhale.[...]
The Institute of Cetacean Research, Tokyo, Japan
2002-05-20
[139]
문서
Endangered whales: Status update
Alaska Fisheries Science Center, Seattle, WA
[140]
웹사이트
밍크고래
https://www.biodic.g[...]
1998-03
[141]
논문
日本沿岸域における超高速船航路上の鯨類出現状況分析
[142]
웹사이트
Scientists find strong evidence of black market for whale meat
https://www.deseret.[...]
1998-05-16
[143]
웹사이트
Sei Whale
https://wwhandbook.i[...]
[144]
웹사이트
Species
https://www.cms.int/[...]
[145]
논문
The Truth About Soviet Whaling: A Memoir
http://digitalcommon[...]
2023-10-30
[146]
웹사이트
Second Issue of Eco: Japan's Shameful Whaling History
https://savedolphins[...]
International Marine Mammal Project
2016-10-25
[147]
웹사이트
【別紙】
https://web.archive.[...]
内閣府
2023-10-30
[148]
논문
Special Issue: The Great Whales: History and Status of Six Species Listed as Endangered Under the U.S. Endangered Species Act of 1973
http://spo.nwr.noaa.[...]
[149]
논문
Operational factors of the Icelandic large whale fishery
[150]
서적
The sei whale: population biology, ecology, and management
Croom Helm Ltd.
[151]
논문
Estimates of population size for the North Pacific sei whale
[152]
뉴스
2019年7月1日付読売新聞
読売新聞
2019-07-01
[153]
웹사이트
Whales targeted by Japan face extinction threat
https://www.france24[...]
2019-07-01
[154]
간행물
Draft Recovery Plan for the Fin Whale Balaenoptera physalus and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http://www.cresli.or[...]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1998-07
[155]
IUCN
Balaenoptera borealis
2008-10-07
[156]
웹사이트
Balaenoptera borealis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2006-11-04
[157]
보도자료
WWF condemns Iceland’s announcement to resume whaling
http://www.panda.org[...]
WWF-International
2006-11-10
[158]
문서
捕鯨問題に関する記述
[159]
보도자료
Japan not catching endangered whales
http://www.icrwhale.[...]
The Institute of Cetacean Research, Tokyo, Japan
2006-11-10
[160]
보도자료
Japan's senior whale scientist responds to New York Times advertisement
http://www.icrwhale.[...]
The Institute of Cetacean Research, Tokyo, Japan
2006-11-10
[161]
문서
IUCN基準に関する記述
[162]
뉴스
クジラが魚食べて漁獲減説を政府が撤回 - 国際捕鯨委員会で森下・政府代表代理が修正発言
https://web.archive.[...]
2009-06-30
[163]
논문
Cetacean Update of the 2008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cmsdata.iucn.[...]
2008-08-21
[164]
웹사이트
Mammals
http://ecos.fws.gov/[...]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8-01-01
[165]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166]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67]
논문
Special Issue: The Great Whales: History and Status of Six Species Listed as Endangered Under the U.S. Endangered Species Act of 1973
http://spo.nwr.noaa.[...]
2008-07-23
[168]
서적
Handbook of Marine Mammals, Vol. 3
Academic Press
1985
[169]
서적
Draft Recovery Plan for the Fin Whale ''Balaenoptera physalus'' and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http://www.cresli.or[...]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2008-07-23
[170]
웹사이트
Balaenoptera borealis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2006-11-04
[171]
웹사이트
Sei Whale & Bryde's Whale ''Balaenoptera borealis'' & ''Balaenoptera edeni''
http://www.acsonline[...]
American Cetacean Society
2006-11-08
[172]
서적
보리고래: 개체상황, 생태, 그리고 관리
Croom Helm Ltd.
1987
[173]
웹사이트
Japanese Scientific Whaling: Irresponsible Science, Irresponsible Whaling
http://www.panda.org[...]
WWF-International
2006-11-10
[174]
논문
Shore Whaling: A World Industry
http://www.edwardtba[...]
2022-05-23
[175]
웹사이트
보리고래
http://www.whalelove[...]
울산 MBC
2008-09-12
[176]
서적
McGraw-Hill Yearbook of Science & Technology
http://www-personal.[...]
The McGraw Hill Companies
2004
[177]
ITIS
2006-11-10
[178]
저널
서아일슬란드에서 포획된 보리고래: 크기, 분포, 현황
1983
[179]
저널
고래의 몸에 남아있는 흰 흉터의 원인
1978
[180]
저널
Synopsis of biological data on the sei whale and Bryde's whale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1977
[181]
저널
Application of white scars to the study of the location and migrations of sei whale populations in Area III of the Antarctic
1977
[182]
저널
Behavior of individually identified sei whales ''Balaenoptera borealis'' during an episodic influx into the southern Gulf of Maine in 1986
http://www.whalecent[...]
2008-03-15
[183]
저널
미국, 멕시코, 카리브 대서양에서의 보리고래와 브라이드고래 기록
1977
[184]
저널
메릴랜드에 발견된 보리고래에 대한 특이점
1984
[185]
웹인용
보리고래 (''Balaenoptera borealis'')
http://www.dolphinsr[...]
The Institute for Marine Mammal Studies
2006-12-07
[186]
저널
4개의 고래종의 먹는 과정의 항공관찰: ''Eubalaena glacialis'', ''Balaenoptera borealis'', ''Megaptera novaeangliae'', ''Balaenoptera physalus''
http://links.jstor.o[...]
1979
[187]
저널
1986년 여름 메인 만에서의 보리고래의 행동방식
1986
[188]
뉴스
고래도살을 줄이는 혁신적인 연구방법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2-02-06
[189]
저널
보리고래, ''Balaenoptera borealis''
1984
[190]
저널
A review of feeding and reproduction in large baleen whales (Mysticeti) and sperm whales Physeter macrocephalus in Norwegian andadjacent waters
1992
[191]
저널
Competition for food in the Ocean: Man and other apical predators
http://www.fisheries[...]
Reykjavik Conference on Responsible Fisheries in the Marine Ecosystem, Reykjavik, Iceland, 1–4 October 2001
2006-12-09
[192]
저널
Characteristics of food habits and distribution of baleen whal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bundance of North Pacific sei and Bryde's whales
1977
[193]
저널
서아이슬란드에서의 보리고래 II: 나이, 성장, 그리고 번식
1983
[194]
저널
보리고래(''Balaenoptera borealis'' )의 성장률에 대한 약간의 자료
1977
[195]
저널
고래와 이들의 태아
1928
[196]
웹인용
보리고래
http://www.panda.org[...]
WWF Global Species Programme
2007-06-18
[197]
저널
남극에서 녹음된 보리고래의 소리
http://scitation.aip[...]
2005-12
[198]
저널
Final Report of the Cetacean and Turtle Assessment Program, University of Rhode Island, to Bureau of Land Management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Ref. No. AA551-CT8–48
1982
[199]
서적
Fisheries & Marine Service Technical Report No. 722
1977
[200]
저널
Cetacean biomass densities near submarine canyons compared to adjacent shelf/slope areas
1987
[201]
저널
북태평양보리고래에 대한 생물학적 조사
1976
[202]
서적
The Whale Problem: a status report
하버드 대학 출판
1974
[203]
저널
Preliminary assessment of stocks of northwest Atlantic sei whales (''Balaenoptera borealis'')
1977
[204]
저널
On the biology of the eastern North Atlantic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Lesson
1977
[205]
저널
그린란드 서안에서 보리고래(''Balenoptera borealis'')의 출현에 대해서
1985
[206]
저널
The cruise of the ''Ljósfari'' in the Denmark Strait (June-July 1981) and recent marking and sightings off Iceland
1983
[207]
저널
Operational factors of the Icelandic large whale fishery
1988
[208]
저널
보리고래 (''Balaenoptera borealis'' Lesson)
1916
[209]
서적
Rapports et Procès-verbaux des réunions, Cons. Perm. Int. L’Explor. Mer, Vol. LVI.
Høst & Fils
1929
[210]
저널
스페인 고래잡이에 대한 초기보고서
1981
[211]
저널
U.S. Pacific marine mammal stock assessments: 1996
http://swfsc.noaa.go[...]
NOAA Tech. Mem. NMFS-SWFSC-248
1997
[212]
저널
북태평양보리고래의 개체수 측정
1977
[213]
서적
국제 고래잡이 통계
Committee for Whaling Statistics
1942
[214]
저널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해양포유류
1969
[215]
서적
고래에 대한 보전및 관리 계획
워싱턴 대학 출판
1980
[216]
저널
M.V. ''Sierra''와 인근 선박에 의한 큰고래 포획
1992
[217]
저널
고래 포획량의 신뢰성
1994
[218]
뉴스
WWF가 아이슬란드의 연구목적 고래잡이 실시를 비난하다
http://www.panda.org[...]
WWF-International
2003-08-07
[219]
뉴스
멸종위기인 고래를 잡지 않는 일본
http://www.icrwhale.[...]
고래연구기관
2002-03-01
[220]
뉴스
연구기관의 고위자가 뉴욕타임즈 광고에 반응하다
http://www.icrwhale.[...]
고래연구기관
2002-05-20
[221]
저널
Relevance of JARPN II to management, and a note on scientific standards. Report of the IWC Scientific Committee, Annex Q1
2002
[222]
저널
고래 멸종위기종: 상태 업데이트
Alaska Fisheries Science Center, Seattle, WA
1992
[223]
저널
미국 대서양및 멕시코 만 고래수 평가
U.S. Dept. of Commerce, NOAA Tech. Memo NMFS-SEFSC-363
1995
[224]
서적
고래문제
메사추세추 주 케임브리지
1974
[225]
저널
Sei whale abundance in the North Atlantic, estimated from NASS-87 and NASS-89 data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