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봉수 (통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수는 연기나 불빛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고대 통신 수단이다. 고대 중국에서 만리장성을 따라 적의 침입을 알리는 데 사용되었으며, 캔디 왕국, 아메리카 원주민, 일본 등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봉수 제도가 정비되어 국가 통신망으로 활용되었으며, 횃불의 개수로 위급 상황을 알렸다. 봉수는 몽골 제국, 호주 원주민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일부 지역에서 유사한 형태로 사용되거나 스포츠 경기 등에서 비유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군사 - 둔전
    둔전은 군량 확보를 위해 군인이나 백성에게 토지를 경작하게 하는 제도로, 중국에서 기원하여 한국에서는 백제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군량 확보와 지방 재정 보충에 기여했으나 폐단도 있었다.
  • 고려의 군사 - 고려군
    고려군은 고려 시대의 군사력으로,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우며 국토를 지켜냈고 중앙군과 지방군 체제를 갖추었으며 각궁과 화약 무기, 궁술과 해전 능력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고려의 군사 - 진주성
    진주성은 고려 시대부터 왜구 방어의 요충지였고 임진왜란 당시 격전지였던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한 석성으로,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인 제1차 진주성 전투와 많은 민관군이 순절한 제2차 진주성 전투의 역사를 지니며 현재 사적 제118호로 지정되어 촉석루, 의기사, 영남포정사 등 다양한 문화재와 유적을 포함하여 관리되고 있다.
봉수 (통신)
통신 방법
정의연기 신호는 장거리 통신의 한 형태로,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불을 피워 연기를 만들어 정보를 전달한다.
역사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되었다.
사용 목적위험 경고
뉴스 전달
신호 전송
다양한 문화권의 연기 신호
고대 중국병법에 연기 신호 사용법 기록됨
만리장성에서 주요 군사적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
고대 그리스기원전 2세기경, 폴리비오스가 연기 신호 체계 고안
알파벳을 부호화하여 다양한 메시지 전달
북아메리카 원주민연기 신호를 광범위하게 사용
평원 인디언은 언덕에서 불을 피워 신호 보냄
연기의 양과 패턴으로 메시지 전달
현대적 사용
긴급 상황조난 신호로 사용 (예: 연기탄)
철도철도 신호 시스템의 초기 형태
연기 신호의 단점
날씨 의존성날씨 조건 (특히 바람)에 의해 신호가 왜곡되거나 가려질 수 있음
가시 거리 제한먼 거리에서는 신호가 보이지 않을 수 있음
관련 용어
봉화 (狼煙)한국과 일본에서 사용된 유사한 통신 방법
봉수 (烽燧)횃불과 연기를 이용한 군사 통신 시스템
추가 정보
참고 문헌다양한 역사적 기록과 연구에서 연기 신호에 대한 정보 확인 가능

2. 역사

봉수는 멀리 떨어진 곳에 빠르게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수단이었다. 사람이나 편지를 운반하는 것보다 훨씬 빨랐으며, 릴레이 방식을 통해 먼 거리까지 전달할 수 있었다.[17] 그러나 날씨에 영향을 많이 받고, 연기의 유무만으로는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적다는 단점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기의 색깔을 바꾸거나[1], 태우는 순서를 달리하여 다양한 의미를 전달하는 방법이 활용되기도 했다.

봉수는 옛날부터 적의 공격을 알리는 등 전쟁과 관련된 신호로 자주 사용되었다. 봉화를 올리기 위해 특별히 만든 시설을 봉화대라고 불렀으며, 중국만리장성 등에서 그 유적을 찾아볼 수 있다. 당나라의 단성식이 지은 『유양잡조』에는 "늑대 똥의 연기를 곧게 올리고, 봉화에 사용했다"라는 기록이 있으며, "봉화가 사방에서 일어남"을 뜻하는 "낭연사기(狼煙四起)"라는 성어도 있다.[18]

18세기 말에는 멀리 있는 신호기가 나타내는 문자 코드를 망원경으로 읽는 "광학 전신(optical telegraphy)"이 등장하기도 했다.[19] 그러나 19세기 중엽 이후, 전기적인 통신 수단이 발달하면서 봉수는 실용적인 통신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점차 잃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8세기 초에 성립된 『일본서기』와 『비젠국 풍토기』에 봉수를 뜻하는 "토부히(烽)"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일본의 봉수는 이나 등을 구멍에 넣고 태우는 방식으로, 대 위에서 물건을 태우는 중국식 봉화와는 다른 형태였다. 도치기현 우츠노미야시의 토비야마성터에서 출토된 9세기 중반의 토기 조각에는 "봉가(烽家)"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봉화와 관련된 공적 시설을 의미한다.

전국 시대에는 전국 다이묘들이 봉수를 통신 수단으로 활용했다. 『고요군감』에 따르면, 가이국다케다 신겐은 봉화를 통해 한쪽 국경에서 전투가 벌어지더라도 다른 국경에 빠르게 소식을 전달할 수 있었다고 한다. 가미이즈미 노부츠나 전의 『군열집』에는 공격해 오는 적군의 규모에 따라 봉화의 수를 달리했다는 기록이 있다.

몽골칭기즈 칸 제국에서도 봉화를 이용한 정보 통신이 발달했다. 봉화의 전달 속도는 시속 140km에 달했으며, 연기의 재료로는 의 똥이나 땅에서 스며나온 석유 (네프트자그) 등이 사용되었다. 몽골 유목민들의 뛰어난 시력 또한 봉화를 이용한 통신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2. 1. 고대

고대 중국에서는 만리장성을 따라 주둔한 병사들이 봉화를 사용하여 적의 침입을 서로에게 알리는 연기 신호를 보냈다.[1][2] 연기의 색깔은 침략군의 규모를 전달했다.[1] 봉화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각 탑에 병사를 배치함으로써 7300km에 달하는 장성 전체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었다.[1] 연기 신호는 또한 내부 성에 침입을 경고하여 방어 및 주둔 지원 부대를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2]

주나라 주 유왕은 첩 포사를 즐겁게 하기 위해 가짜 경고 봉화를 사용하여 제후들을 속이는 버릇이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연기 신호의 오용은 전통적으로 기원전 8세기에 서주의 멸망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4]

아메리카 원주민 또한 연기 신호를 통해 소통했다. 각 부족은 자체 신호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신호수는 일반적으로 젖은 풀을 사용하여 고지대에서 불을 피웠고, 이는 연기 기둥을 발생시켰다. 풀이 마르면 제거하고 다른 묶음을 불에 넣었다. 연기의 위치가 경사면을 따라 의미를 전달한다고 한다. 언덕 중간에서 발생하면 모든 것이 괜찮다는 신호였지만, 언덕 꼭대기에서 발생하면 위험을 의미했다.[5]

2. 2. 한국

한국의 봉수는 삼국시대부터 이미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되나, 실제로 제도화되어 운영된 것은 고려 시대부터였다.

1149년(의종 3년) 고려 서북면병마사 조진약이 봉수 제도를 정식으로 법제화할 것을 건의하여,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전달했다. 평상시에는 한 번, 긴급 정도에 따라 2급에는 두 번, 3급에는 세 번, 4급에는 네 번씩 신호를 올렸다.[1] 봉수대에는 방정 2명, 백정 30명을 배치하고, 이들에게 각각 평전 1결을 지급하도록 규정하였다.[1] 봉졸은 천역에 속했으며, 국가 관리가 죄를 범했을 때 봉졸로 배치되는 경우도 있었다.[1]

조선 세종 때에는 평상시에는 횃불을 1개, 적이 나타나면 2개, 적이 국경에 접근하면 3개, 국경을 넘어오면 4개, 적과 전투가 벌어지면 5개를 올리는 방식으로 봉수 제도를 정비하였다.[4]

2. 2. 1. 고려

1149년(의종 3년), 고려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 조진약(曺晋若)이 봉수 제도를 정식으로 법제화할 것을 건의하였다.[1] 이에 따라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전달했으며, 평상시에는 한 번, 긴급 정도에 따라 2급(二急)에는 두 번, 3급(三急)에는 세 번, 4급(四急)에는 네 번씩 신호를 올렸다.[1] 봉수대에는 방정(防丁) 2명, 백정(白丁) 30명을 배치하고, 이들에게 각각 평전(平田) 1결(一結)을 지급하도록 규정하였다.[1] 봉졸(烽卒 : 봉군)은 천역(賤役)에 속했으며, 국가 관리가 죄를 범했을 때 봉졸로 배치되는 경우도 있었다.[1]

2. 2. 2. 조선

조선 세종 때에 정식으로 봉수 제도를 마련하였는데, 평상시에는 횃불을 1개, 적이 나타나면 2개, 적이 국경에 접근하면 3개, 국경을 넘어오면 4개, 적과 전투가 벌어지면 5개를 올렸다. 구름이 끼거나 바람이 불어 연락할 수 없을 때는 봉졸들이 차례로 달려 보고하였다. 서울에서는 오원(五員)이 병조에 보고하고 지방에서는 오장(伍長)이 관할 진장(鎭將)에게 보고하였다.[4]

2. 3. 기타 국가

고대 중국에서는 만리장성을 따라 7,300킬로미터에 걸쳐 봉화를 배치하여 적의 침입을 알렸다. 연기의 색깔은 침략군의 규모를 나타냈고, 내부 성에 경고하여 방어 및 지원 부대를 조정할 수 있게 했다.[1][2] 캔디 왕국 시대에는 산꼭대기에 주둔한 병사들이 봉수를 통해 왕에게 적의 공격을 알렸다.[3]

서주 시대에는 주 유왕이 첩 포사를 즐겁게 하기 위해 가짜 봉화를 올려 제후들을 속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4]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은 각자 고유한 신호 체계를 가지고 연기 신호를 사용했다. 젖은 풀을 태워 연기 기둥을 만들었고, 연기의 위치에 따라 의미를 전달했다.[5]

오늘날에도 추기경단은 교황 선출 회의에서 새 교황 선출을 알리기 위해 연기 신호를 사용한다. 검은 연기는 투표 실패, 흰 연기는 선출 성공을 의미한다. 군대에서는 색깔 있는 연막탄을 사용하여 위치를 표시한다.

야마나족은 남아메리카에서 고래가 해안으로 밀려왔을 때 연기 신호로 알렸다.[9] 티에라델푸에고("불의 땅")라는 지명은 마젤란이 본 연기 신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11][12] 케이프타운 정오 포는 연기를 사용하여 항해용 크로노미터를 설정했다.

호주 원주민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연기 신호를 사용했다.[15][16][13][14] 다른 사람에게 존재를 알리거나, 메시지를 보내는 가장 빠른 방법으로 사용되었다.[14] 연기의 색깔과 모양으로 정보를 전달했으며, 정교한 메시징 시스템을 구축했다.[13]

봉수(통신)는 말이 편지를 운반하는 것보다 원거리에 정보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날씨의 영향을 받고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적다는 단점이 있다.

18세기 말에는 망원경으로 신호기의 문자 코드를 읽는 "optical telegraphy"(광학 전신)가 등장했고,[19] 19세기 중엽 이후 전기 통신 수단의 발달로 실용적 사용은 줄었다.

일본에서는 8세기 초 『일본서기』와 『비젠국 풍토기』에 "'''烽'''(토부히)"로 기록되어 있다. 이나 등을 구멍에서 태우는 방식으로, 중국식 봉화와는 형식이 달랐다.

도치기현우츠노미야시 토비야마성터에서 출토된 9세기 중반 토기 조각에는 "'''烽家'''"라고 쓰여 있다.

전국 시대 다케다 신겐은 봉화를 통신 수단으로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가미이즈미 노부츠나 전의 『군열집』에는 적군 규모에 따라 봉화 수를 달리했다는 기록이 있다.

칭기즈 칸 제국에서도 봉화 연계를 통한 정보 통신이 이루어졌으며, 시속 140km의 전달 속도를 보였다. 의 똥이나 석유 등이 연기 재료로 사용되었고, 유목민의 뛰어난 시력도 통신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3. 절차 및 운영

고려 1149년(의종 3년) 서북면병마사 조진약의 상주로 봉수가 법제화되었다.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전달했으며, 평상시 1회, 위급 정도에 따라 2~4회 올렸다. 봉수대에는 방정 2명, 백정 30명을 배치하고 평전 1결을 지급했다. 봉졸은 천역으로, 죄를 지은 국가 관리가 배치되기도 했다.[1]

조선 세종 때 봉수제가 정식으로 마련되었다. 횃불 수(1~5개)로 적의 출현, 접근, 국경 침범, 전투 발생 상황을 알렸다. 기상 악화 시 봉졸이 직접 보고했다. 서울은 오원이 병조에, 지방은 오장이 진장에게 보고했다.[1]

봉수 간선은 직봉, 보조선은 간봉이라 했다. 직봉은 동북 경흥, 동남 동래, 서북 내륙 강계와 해안 의주, 서남 순천에서 서울 목멱산(남산)을 연결했다. 간봉은 장거리 연락용과 국경 초소 보고용으로 나뉘었다. 봉화는 병조를 거쳐 승정원에 보고되어 임금에게 전달되었고, 급할 때는 즉시 보고했다.[1]

남산 봉수대는 군사 4명과 오원 2명, 연해 및 변경 지방은 군사 10명과 오장 2명, 내륙은 군사 6명과 오장 2명이 배치되었다. 봉수대 근처 거주자였던 봉군은 다른 군역 없이 망보는 일만 했다.[1]

봉화대 경계 백보 이내 거짓 봉화나 방화는 병조, 백보 밖은 해당 진영에서 단속했고, 관련자는 대개 사형에 처했다. 봉화대 근처 무당, 토속신 제사는 금지되었다.[1]

3. 1. 조선 시대의 봉수 운영

1149년(의종 3년) 고려 전기에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 조진약(曺晋若)이 상주하여 봉수를 법으로 제정하고 정식으로 실시하였다.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전달했고, 평상시에는 한 번, 2급(二急)에는 두 번, 3급(三急)에는 세 번, 4급(四急)에는 네 번씩 올렸다. 봉수대에는 방정(防丁) 2명, 백정(白丁) 30명을 배치하고 각각 평전(平田) 1결(一結)을 지급했다. 봉수소에 배치되는 봉졸(烽卒: 봉군)은 천역(賤役)에 속했으며, 국가관리가 죄를 범했을 때 봉졸로 배치되기도 했다.

조선 세종 때 봉수제도를 정식으로 마련하였다. 평상시에는 횃불을 1개, 적이 나타나면 2개, 적이 국경에 접근하면 3개, 국경을 넘어오면 4개, 적과 전투가 벌어지면 5개를 올렸다. 구름이 끼거나 바람이 불어 연락이 어려울 때는 봉졸들이 차례로 달려가 보고했다. 서울에서는 오원(五員)이 병조에 보고하고 지방에서는 오장(伍長)이 관할 진장(鎭將)에게 보고하였다.

봉수의 간선(幹線)은 직봉(職烽)이라 하여 동북은 경흥(慶興), 동남은 동래(東萊), 서북은 내륙(內陸)으로는 강계(江界), 해안 지방으로는 의주(義州), 서남은 순천(順川)의 5개 처를 기점으로 하여 서울의 목멱산(木覓山: 남산)을 종점으로 했다. 직봉 외에 간봉(間烽)이라는 보조선이 있어 본봉 사이 중간 지역을 연락하는 장거리 봉수와 국경 방면 전선초소(前線哨所)로부터 본진·본읍으로 보고하는 단거리 봉수가 있었다. 봉화가 서울에 연락되면 병조는 사람을 지정해 다음 날 새벽 승정원에 보고하여 임금에게 보고했고, 급할 때에는 밤중이라도 즉시 보고하게 하였다.

각 봉수대 소속 인원은 남산에는 군사 4인과 오원 2인, 연해와 변경 지방은 군사 10인과 오장 2인, 기타 내륙 지방에는 군사 6인과 오장 2인을 배속하였는데 이들은 봉화대 근처 거주자라야만 했다. 또한 봉화대에 배속되는 봉군은 다른 군역에 종사할 수 없으며 오직 망 보는 일에만 종사하게 했다.

봉화대는 표주(標柱)를 세워 경계를 설정하고 거짓 봉화(烽火)나 단순 방화(放火)를 막론하고 그것이 경계선 백보(百步) 이내에서 일어났을 때는 병조에서 관할, 단속했고 백보 밖에서 일어났을 때는 해당 진영에서 단속하게 했는데 이들은 대개 사형에 처했다. 그리고 봉화대 근처에서는 무당이나 토속에 의한 잡신 제사를 금했다.

4. 현대의 봉수

추기경단은 교황 선출 회의에서 새로운 교황의 선출을 나타내기 위해 연기 신호를 사용한다. 자격을 갖춘 추기경들은 3분의 2 이상의 표를 얻을 때까지 비밀 투표를 실시한다. 각 투표 후 투표 용지가 소각된다. 검은 연기는 투표 실패를, 흰 연기는 새로운 교황이 선출되었음을 의미한다.[1]

색깔이 있는 연막탄은 특히 포병이나 공중 지원 요청 시 군대에서 위치를 표시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연기 신호는 구조 신호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연기 발생 장치를 지칭하기도 한다.[6][7]

일본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지역내용
이시카와현 노토 반도 끝노로시라는 이름의 마을이 있으며, 이 마을 이름은 해상 교통용으로 노로시가 올려진 데에서 유래되었다. 현재는 거의 같은 목적으로 롯코사키 등대가 있다. (롯코자키 참조)
섬 (쇼와 30년대까지, 시마네현 다카시마 등)비교적 본토에 가까운 섬에서는 통신 수단으로 노로시를 사용했다.
도호쿠 지방운동회 당일 아침에 노로시(불꽃놀이)를 울려 결행을 알리는 풍습이 있다.
사키시마 제도국가의 사적인 사키시마 제도 화번성에서는 각 섬을 중계하는 노로시에 의해 선박의 운항 상황을 류큐 왕부에 알렸다.


  • 조난이나 재해 등의 긴급 상황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노로시를 올리는 경우도 있다.
  • "큰 행동의 계기가 되는 행동을 한다"는 의미로, 스포츠의 역전극 등에서 "반격의 노로시(를 올리다)"라는 말이 사용되기도 한다.
  • "노로시 릴레이"라는 것도 있다.

5.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봉수(노로시)는 한국 사회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다음과 같은 유사한 사례들을 통해 간접적인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 반도 끝에 위치한 '노로시'라는 마을은 해상 교통을 위해 봉화를 올리던 것에서 유래했다. 이는 봉수가 과거 통신 수단으로 중요하게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 일본 섬 지역에서는 1950년대까지 봉수가 통신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통신 기술이 발달하기 전, 봉수가 먼 거리 간의 정보 전달에 유용했음을 시사한다.
  • 일본 도호쿠 지방에서는 운동회 당일 아침에 봉화(불꽃놀이)를 울려 개최를 알리는 풍습이 있다. 이는 봉수가 단순한 통신 수단을 넘어, 특정한 사건이나 행사를 알리는 상징적인 역할도 수행했음을 보여준다.
  • 사키시마 제도 화번성에서는 섬들을 중계하는 봉화를 통해 선박 운항 상황을 류큐 왕부에 알렸다. 이는 봉수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 조난이나 재해 등의 긴급 상황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봉화를 올리는 경우가 있다. 이는 봉수가 현대에도 비상 상황에서 유용한 통신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반격의 노로시(를 올리다)"라는 표현은 스포츠 경기 등에서 역전의 계기가 되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사용된다. 이는 봉수가 특정한 행동이나 사건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인 의미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Coding for Optical Channels. http://worldcat.org/[...] Springer US 2010
[2] 간행물 An exploration of the military defense system of the Ming Great Wall in Qinghai Province from the perspective of castle-based military settlements http://dx.doi.org/10[...] 2021-02-16
[3] 서적 An Historical Relation of the Island Ceylon in the East Indies Together with an Account of the Detaining in Captivity the Author and Divers other Englishmen Now Living There, and of the Author's Miraculous Escape Project Gutenberg
[4]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5] 웹사이트 Smoke Signal https://addpmp.slamj[...] 2022-09-13
[6] Citation Pyrotechnic device https://patents.goog[...] 1964-02-04
[7] Citation Smoke signal https://patents.goog[...] 1967-11-28
[8] 웹사이트 Lewis and Clark Journals, July 20, 1805 http://lewisandclark[...]
[9] 문서 Gusinde 1966
[10] 문서 Itsz 1979
[11] 웹사이트 The Patagonian Canoe http://pages.interlo[...] Pages.interlog.com 2013-02-19
[12] 문서 Extracts from the following book. E. Lucas Bridges: Uttermost Part of the Earth. Indians of Tierra del Fuego. Dover Publications, Inc (New York, 1988) 1949
[13] 서적 The Red Chief ettimprint
[14] 서적 Over the Range ettimprint
[15] 문서 Myers 1986
[16] 웹사이트 Report on Patrol to Lake Mackay Area June/July 1957 http://www.cifhs.com[...]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2014-01-31
[17] 문서 前近代の中国では、緊急度が高い場合、草より狼の糞を用い、より黒く濃い煙(明確に遠方でも見える狼煙)を上げたとされ、燃やす物によって煙色の差を出しており、その状況によって燃やす物を変えていた。また、焚き上げる狼煙の数で敵の数を定めて知らせていた(例、1つなら100人、2つなら500、4つなら5千)。参考・ディスカバリーHVチャンネル『中国の七不思議スペシャル』番組内の説明を一部参考。従って、燃やすものと組み合わせ次第で、複数の意図を伝えた。
[18] 웹사이트 「漢典」の「成語」検索 http://www.zdic.net/[...]
[19] 문서 フランス式の腕木通信機、その他の欧米諸国で用いられたシャッター式通信機がある。日本では江戸時代に相場情報を伝達するため、同様に望遠鏡で信号を読み取る旗振り通信が出現した。
[20] 뉴스 早朝の花火に「やめて」の声 運動会知らせる東北の風習、仙台では見送る学校増加 https://www.kahoku.c[...] 河北新報
[21] 웹사이트 先島諸島火番盛 https://bunka.nii.ac[...] 文化遺産オンライン
[22] 웹사이트 信玄公生誕500年、狼煙で66か所300キロつなぐ記念リレー…2時間半かけ到達 https://www.yomiuri.[...] 読売新聞オンライン 2021-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