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대학교 박물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대학교 박물관은 부산대학교 내에 위치한 박물관이다. 1956년 로코코 양식 건물로 시작하여 1993년 현재의 건물로 이전했다. 1957년부터 1960년까지 국립중앙박물관의 피난 국보 문화재를 보관했으며, 가야 관련 유물을 포함하여 토기, 도자기, 금속, 옥석 등 3만 3천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김해 수가리 패총,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천 늑도 유적 등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의 유적 발굴 및 조사에 기여했다. 3.1 운동 100주년 기념 특별전, 호주 매씨가족의 부산 소풍이야기 등 특별 전시를 개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대학교 - 마이피누
    마이피누는 부산대학교 학생 자치 단체가 운영한 익명 기반 커뮤니티 사이트로,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학생들에게 큰 영향력을 가졌으나, 여러 사건과 논란을 겪었다.
  • 부산대학교 -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은 한의학의 과학화, 산업화, 세계화를 목표로 2006년에 설립이 결정되어 2008년 개원한 전문대학원이며, 석사, 석·박사 통합,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한의학과와 한의과학과를 운영한다.
  • 1964년 설립된 박물관 - 국립고궁박물원
    국립고궁박물원은 1993년 개관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박물관으로, 궁중 유물을 전시하며 6만 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지만 소유권 분쟁 등의 논란도 존재한다.
  • 1964년 설립된 박물관 - 국립 미국사 박물관
    국립 미국사 박물관은 스미소니언 협회 소속으로 미국의 역사, 사회, 문화를 전시하며, 1964년 개관 후 명칭 변경을 거쳐 미국의 다양한 유산을 탐구하고 모든 미국인의 이야기를 담고자 노력하는 내셔널 몰 소재 박물관이다.
  • 부산광역시의 박물관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오륜대 수도원 설립을 기념하여 1982년 개관, 한국 천주교회사 관련 유물 및 전시를 제공하고 2009년 박물관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박물관 - 부산근대역사관
    부산근대역사관은 일제강점기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된 건물을 활용하여 2003년 7월 3일에 개관한 박물관이며, 부산의 근대 개항부터 일제강점기, 한미 관계 등과 관련된 전시를 제공하고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다.
부산대학교 박물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부산대학교 박물관 입구
부산대학교 박물관 입구
이름부산대학교 박물관
원어 이름釜山大學校博物館
유형대학교 부설 박물관
관리 주체부산대학교
소재지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
개관일1964년 5월
웹사이트부산대학교 박물관 웹사이트

2. 역사

1956년 현재 별관으로 쓰이는 로코코 양식의 건물이 준공되었고, 1959년에는 건축가 김중업이 고딕 양식의 건물을 건축하였다.[2] 한국 전쟁 와중에 부산으로 피난 온 김중업은 부산에서 많은 건축물을 지었으며, 현재 부산대학교 인문관으로 쓰이는 옛 본관도 그의 작품이다.[4] 1993년 부산대학교 옛 음악관으로 박물관 본관이 이전되었고, 원래의 건물은 별관이 되었다. 현재의 본관 건물은 석재와 콘크리트 혼합 양식으로 지붕은 우진각형의 일식 기와를 얹었다.[5]

국립중앙박물관의 피난 국보 문화재를 1957년 3월부터 1960년 3월까지 보관하였다. 개관 이래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의 유적 발굴 및 조사를 꾸준히 진행하여 가야와 관련한 유물이 많다.[5] 대표적인 발굴 사례는 김해 수가리 패총,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천 늑도 유적 등이다.

부산대학교 박물관은 토기도자기 11,600여 점, 금속, 옥석, 서화, 목죽 등 22,20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2]

2. 1. 설립과 이전

1956년 현재 별관으로 쓰이는 로코코 양식의 건물이 준공되었다. 이후 1959년에 건축가 김중업이 고딕 양식의 건물을 건축하였다.[2] 김중업은 한국 전쟁 와중에 부산으로 피난하였고 이후 부산에서 많은 건축물을 지었다. 현재 부산대학교 인문관으로 쓰이는 옛 본관도 그의 작품이다.[4]

1993년 부산대학교 옛 음악관으로 박물관 본관이 이전되었다. 원래의 건물은 별관이 되었다. 현재의 본관 건물은 석재와 콘크리트 혼합 양식으로 지붕은 우진각형의 일식 기와를 얹었다.[5]

2. 2. 유물 보관 및 발굴

국립중앙박물관의 피난 국보 문화재를 1957년 3월부터 1960년 3월까지 보관하였다. 개관 이래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의 유적 발굴 및 조사를 꾸준히 진행하여 가야와 관련한 유물이 많다. 대표적인 발굴은 다음과 같다.[5]

부산대학교 박물관은 토기도자기 11,600여 점, 금속, 옥석, 서화, 목죽 등 22,20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2]

3. 소장 유물

부산대학교 박물관은 토기도자기 11,600여 점, 금속, 옥석, 서화, 목죽 등 22,20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2]

4. 특별 전시

부산대학교 박물관은 부산·경남 지역의 역사를 중심으로 한 특별 전시를 꾸준히 열고 있다.

2019년에는 3·1 운동 100주년 기념 특별전 《태극기가 바람에》, 《호주 매씨가족의 부산 소풍이야기》를 개최하였다.[6][7]

4. 1. 3.1 운동 100주년 기념 특별전: 태극기가 바람에

2019년 6월 25일부터 9월 7일까지 3.1 운동 100주년 기념 특별전 《태극기가 바람에》를 개최하였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태극기들을 한 자리에 모았다.[6]

4. 2. 호주 매씨가족의 부산 소풍이야기

2019년 10월 2일부터 2020년 2월 29일까지 《호주 매씨가족의 부산 소풍이야기》가 개최되었다. 이 전시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선교사 제임스 맥켄지(한국명 매견시)가 일제강점기 한센병 환자를 돌보며 찍었던 사진들로 꾸며졌다.[7]

《호주 매씨가족의 부산 소풍이야기》는 경기대학교 소성박물관 특별전을 순회 전시한 것으로,[8]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주관으로 부산대학교 박물관에서 열렸다.[7] 오스트레일리아 선교사 매씨 가족은 부산·경남 지역에서 나환자, 백정, 고아, 여성, 아기 등 소외되고 힘없는 사람들을 보살폈다. 맥켄지 선교사의 딸들은 맥켄지 재단을 설립하여 부산에 일신기독병원을 세웠으며,[9] 이 병원에는 맥켄지 선교사 기념관이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연혁 https://www.pnu-muse[...]
[2] 백과사전 부산대학교 박물관 http://encykorea.aks[...]
[3] 웹사이트 선사 문화와 가야 문화 속으로, 부산대학교 박물관 http://www.traveli.c[...]
[4] 뉴스 '부산대 본관부터 평화의 문까지'…김중업 건축의 모든 것 http://news1.kr/arti[...] 뉴스1 2018-08-29
[5] 웹사이트 부산대학교 박물관 http://busan.grandcu[...]
[6] 웹사이트 태극기가 바람에 … 부산대학교박물관 특별순회전 http://www.busan.go.[...]
[7] 웹사이트 "「호주 매씨가족의 부산 소풍이야기」 개막" https://www.pusan.ac[...]
[8] 웹사이트 경기대학교 소성박물관 - 2019 특별전 호주매씨 가족의 한국소풍이야기2 https://ggmuseum.gg.[...] 2019-12-09
[9] 웹사이트 병원소개 http://www.ilsin.or.[...]
[10] 뉴스 호주 매씨家 두 딸 ‘살아있는’ 한국 사랑 http://cbntv.tv/atc/[...] 기독교방송 2016-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