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는 소련의 KGB 의장이자, 정치적으로 강경한 보수파였다. 1924년 출생하여 소련 공산당에서 경력을 시작했으며, 외무성, KGB 등을 거치며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1988년 KGB 의장에 임명되었고, 1989년에는 소련 공산당 정치국원이 되었다. 1991년 8월 쿠데타를 주도했으나 실패하여 체포되었고, 이후 석방되어 저술 활동을 하다가 2007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스탈린주의자 - 겐나디 주가노프
    겐나디 안드레예비치 주가노프는 1993년부터 러시아 연방 공산당 의장을 맡고 있으며, 소련 공산당 시절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정책을 비판했고,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연방 공산당을 재건하여 당 의장이 되었으며,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 여러 번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2001년부터 소련 공산당 연합 의장직도 맡고 있다.
  • 10월 혁명 훈장 수훈자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에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10월 혁명 훈장 수훈자 - 니콜라이 세묘노프
    니콜라이 세묘노프는 연쇄 반응 이론을 발전시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소련의 물리화학자로, 소련 과학 아카데미 물리화학 연구소 설립과 공산당 지지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업적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 소련 육군대장 - 파벨 그라초프
    파벨 그라초프는 소련군 공수부대에서 복무하며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고 러시아 연방 국방장관을 역임했으며, 체첸 전쟁에서의 부실한 지휘로 해임된 군인이다.
  • 소련 육군대장 - 이반 체르냐홉스키
    이반 체르냐홉스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뛰어난 지휘 능력을 발휘하여 벨라루스 해방과 동프로이센 공세에서 독일군 격파에 기여했으나, 1945년 동프로이센 전선에서 포격으로 사망한 소련의 군인이다.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0년의 크류치코프
국적소비에트 연방/러시아
출생일1924년 2월 29일
출생지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차리친 (현재의 러시아 볼고그라드)
사망일2007년 11월 23일
사망지모스크바, 러시아
직책
직책제7대 국가보안위원회 (KGB) 의장
임기 시작1988년 10월 1일
임기 종료1991년 8월 28일
총리니콜라이 리시코프/발렌틴 파블로프
전임자빅토르 체브리코프
후임자바딤 바카틴
정당
소속 정당소련 공산당 (1944년–1991년)
정치 경력
직책정치국 정회원
임기 시작1989년 9월 20일
임기 종료1990년 7월 14일
군사 경력
계급상급 대장

2. 초기 생애 및 경력

크류치코프는 1924년 2월 차리친(나중에는 스탈린그라드, 현재의 볼고그라드)에서[2]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요제프 스탈린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그의 아버지 알렉산드르 예피모비치 크류치코프, 어머니 마리아 표도로브나 크류치코바, 할머니 리디야 야코블레브나 크류치코바는 독일계러시아인이다. 그는 1944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하여 공산주의 청년 동맹 (콤소몰)의 전임 직원이 되었다. 1945년 사라토프 법률 전문학교에 입학했으며, 이듬해 전연방 통신법학 대학으로 옮겨 1949년에 졸업했다. 법학 학위를 취득한 후, 1946년 스탈린그라드 콤소몰 시 위원회 제2 서기를 지냈고, 이후 소련 법무부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고향인 스탈린그라드의 검찰청에서 수사관으로 일했다.[3]

1951년, 외무성 고등 외교 학교 (Высшая Дипломатическая Школа|비스샤야 디플로마티체스카야 시콜라ru, ВДШ) 에 입학하여 1954년 졸업 후 외무성에 배속되었다. 1955년 10월, 주 부다페스트 대사관에 3등 서기관으로 배속되었는데, 당시 주 헝가리 소련 대사는 훗날 KGB 의장이 되는 유리 안드로포프였다. 크류치코프는 헝가리에서 반소 항쟁이 일어난 시기를 포함하여 1959년 8월까지 그곳에서 근무했다. 귀국 후에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로 옮겨 사회주의 국가들의 노동당 및 공산당과의 관계 조정 부서에서 8년간 근무했다.

1967년, 안드로포프가 중앙위원회에서 KGB 의장으로 임명되자 그를 따라 KGB로 옮겨 안드로포프의 보좌관이 되었다. 1971년에는 해외 첩보를 담당하는 제1총국의 차장이 되었고, 1974년에는 제1총국장으로 승진했다. 1978년에는 KGB 부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며, 1988년 10월에는 빅토르 체브리코프의 후임으로 KGB 의장에 취임함과 동시에 장군 계급에 올랐다. 이듬해인 1989년부터 1990년까지는 당 정치국원으로 활동했다.

3. 외교 및 정보 분야 경력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는 소련 외무부에서 외교관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헝가리 인민 공화국 주재 소련 대사관에서 근무했다. 이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를 거쳐, 1967년 유리 안드로포프를 따라 KGB로 이동하며 본격적인 정보 분야 경력을 쌓았다. KGB 내에서 그는 해외 첩보를 담당하는 제1총국 국장과 부의장을 역임했으며, 1988년에는 소련군 육군 대장 계급과 함께 KGB 의장에 임명되었다. 또한, 정치국원으로 활동하며 권력 핵심부에 있었다. 그의 경력은 냉전 시대 소련의 외교 및 정보 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강경 보수 성향은 8월 쿠데타를 주도하는 등 그의 정치적 행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3. 1. 헝가리 근무

크류치코프는 소련 외무부에서 첫 경력을 시작했으며, 반소 항쟁이 있었던 시기를 포함해 1959년까지 헝가리 인민 공화국에서 근무했다.

3. 2.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크류치코프는 소련 외무부에서 외교관으로 첫 경력을 시작했으며, 헝가리 인민 공화국에서 1959년까지 근무했다. 이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로 자리를 옮겨 8년 동안 일했다. 1967년에는 당시 그의 후원자였던 유리 안드로포프를 따라 KGB로 합류했다.[4]

3. 3. KGB 활동

1967년, 당시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에 있던 유리 안드로포프가 KGB 의장으로 임명되자, 크류치코프도 안드로포프를 따라 KGB로 자리를 옮겨 그의 보좌관이 되었다.[4] 그는 안드로포프의 지시에 따라 1971년 여름, 해외 첩보를 담당하는 소련 국가보안위원회 제1총국 국장으로 임명되었으며,[4] 1978년에는 부의장으로 승진했다.[4] 같은 해 6월, 그는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으로 파견되었고, 7월에는 카불에서 KGB 레지던트가 되어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시작이 된 정부 전복 작전에 깊이 관여했다.[4]

크류치코프는 정치적으로 강경파에 속했으며, 1983년 NATO의 군사 훈련인 에이블 아처 83을 소련에 대한 선제 핵 공격의 준비 단계로 오판하기도 했다. 이 사건은 쿠바 미사일 위기와 더불어 냉전 시대에 우발적 핵전쟁 발발 직전까지 갔던 위험한 순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988년 10월,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의 개혁 정책인 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에 반대하며 고르바초프의 경쟁자 예고르 리가초프를 지지했던 빅토르 체브리코프의 뒤를 이어 KGB 의장으로 임명되었고,[5] 동시에 육군 대장 계급으로 승진했다.[20] 크류치코프 역시 고르바초프의 개혁에 반대했으며, 자신의 자서전에서 스탈린주의를 옹호하고 니키타 흐루쇼프 이후 소련의 정치 개혁 대부분을 비판했다. 그럼에도 고르바초프가 그를 임명한 것은 크류치코프가 국내 문제보다는 해외 정보 분야에 더 전문성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며, 고르바초프의 전임자이자 정치적 후원자였던 안드로포프와 개혁파 동료 알렉산드르 야코블레프의 추천도 영향을 미쳤다.[6] 1989년부터 1990년까지는 정치국원으로 활동하며 권력 핵심부에 있었다.

1990년 소련 헌법 개정 이후, 크류치코프는 보리스 푸고 내무장관, 발렌틴 파블로프 총리, 겐나디 야나예프 부통령 등 다른 강경파 관료들과 협력하여 고르바초프의 권력을 약화시키려 시도했다. 이들 8명의 각료 그룹은 훗날 국가비상사태위원회(GKChP)의 핵심이 되었다. 고르바초프는 KGB의 권한을 확대하는 대통령령을 통해 크류치코프를 달래려 했고, 반공주의 성향의 러시아 공화국 대통령 보리스 옐친과 반체제 인사 안드레이 사하로프에 대한 감시를 지시하기도 했다.[7][8][9] 크류치코프가 제공한 정보가 고르바초프의 판단에 영향을 미쳐, 그가 자신에 대한 위험을 과소평가하고 강경파를 지지하며 기존의 개혁 동료들과 거리를 두게 만들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전직 정보 장교 세르게이 트레티야코프에 따르면, 크류치코프는 소련 해체 직전 약 500억달러 상당의 공산당 자금을 비밀리에 해외로 빼돌렸다고 한다.[10]

1991년 8월, 크류치코프는 겐나디 야나예프 부통령, 보리스 푸고 내무장관, 드미트리 야조프 국방장관 등과 함께 국가비상사태위원회의 중심 멤버로서 8월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들은 기존의 공산당 중심 연방 체제를 유지하고 고르바초프의 새로운 연방 구상을 저지하려 했으나, 시민들의 저항과 군부의 비협조로 쿠데타는 실패로 돌아갔다. 크류치코프는 8월 21일 크림반도의 포로스에서 모스크바로 돌아오는 즉시 공항에서 체포되었으며,[21] 10월 4일 공식적으로 KGB에서 해임되었다.

4. 8월 쿠데타와 몰락

빅토르 체브리코프 KGB 의장이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의 경쟁자인 예고르 리가초프 편을 들어 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에 반대하자, 1988년 10월 크류치코프가 그를 대신하여 KGB 의장으로 임명되었다.[5] 그러나 크류치코프 역시 고르바초프의 개혁에 반대하는 보수파였으며, 자서전에서 스탈린주의를 옹호하고 니키타 흐루쇼프 통치 이후의 소련 정치 체제에 대한 대부분의 개혁을 비난했다.[6] 그럼에도 고르바초프가 그를 임명한 것은 크류치코프가 주로 해외 정보 분야에 경력을 쌓아왔고, 고르바초프의 멘토였던 유리 안드로포프와 개혁 동료 알렉산드르 야코블레프의 추천이 있었기 때문이었다.[6]

1990년 소련 헌법 개혁 이후, 크류치코프는 보리스 푸고 내무장관, 발렌틴 파블로프 총리, 겐나디 야나예프 부통령 등 새로운 대통령 내각의 다른 강경파 관리들과 협력하여 고르바초프의 통치를 약화시키려 했다. 이들은 결국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GKChP)의 핵심 구성원이 되었다. 고르바초프는 KGB의 권한을 확대하는 대통령령으로 크류치코프를 달래려 했고, 반공주의 성향의 보리스 옐친 러시아 공화국 최고회의 의장과 반체제 지도자 안드레이 사하로프를 감시하도록 명령하기도 했다.[7][8][9] 크류치코프가 제공한 정보는 고르바초프가 자신의 통치에 대한 위험을 과소평가하고 강경파를 선호하게 만들어 개혁 동료들로부터 멀어지게 했을 가능성이 있다.

1991년 8월, 고르바초프가 기존의 공산당 중심 연방 체제를 해체하고 주권 국가 연합을 창설하려 하자, 크류치코프는 자신의 기득권을 잃을 것을 두려워했다. 그는 겐나디 야나예프 부통령, 보리스 푸고 내무장관, 드미트리 야조프 국방장관 등 보수파들과 함께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GKChP)를 결성하고 8월 쿠데타를 일으켰다.[11][12] 위원회는 크리미아의 별장에 머물던 대통령 미하일 고르바초프를 가택 연금하고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권력 장악을 시도했다.

그러나 쿠데타는 보리스 옐친 러시아 공화국 대통령이 이끄는 시민들의 강력한 저항과 군부 일부의 반대로 실패했다. 특히 크류치코프는 KGB 산하 특수부대인 알파 그룹을 동원하여 러시아 의회 건물을 장악하고 옐친을 체포하려 했으나, 최종적인 공격 명령을 내리지 못하는 등 우유부단함을 보였다.[13] 또한 많은 러시아 지역 KGB 요원들이 옐친에 반대하는 투표를 하라는 크류치코프의 명령을 거부하며 새로 선출된 러시아 정부에 대한 충성심을 나타내기도 했다.[14]

쿠데타가 실패로 돌아간 후, 크류치코프는 1991년 8월 21일 모스크바로 돌아오는 비행기에서 다른 공모자들과 함께 체포되었다. 그는 쿠데타 가담 혐의로 투옥되었고, 10월 4일 KGB 의장직에서 공식적으로 해임되었다. 후임 KGB 의장으로는 바딤 바카틴 전 내무장관이 임명되었으며, 그는 소련의 마지막 KGB 의장이 되었다.[15]

크류치코프는 1993년 1월 출국 금지 조건으로 석방되었고,[15] 1994년 국가 두마의 사면 결의로 최종 석방되었다. 석방 후 연금 생활을 하면서도 정치 활동을 계속하여, 이고리 로디오노프 전 국방장관 등 민족주의 성향의 퇴역 군인들과 빅토르 일류킨(Виктор Иванович Илюхинru), 알베르트 마카쇼프 등 러시아 연방 공산당의 보수파 정치인들이 결성한 '군·국방 산업·군사 과학 지원 운동'(Движение в поддержку армииru)에 참여했다.[21] 이 단체는 보리스 옐친 정권 타도와 레프 로흐린(Лев Яковлевич Рохлинru) 중장을 내세워 러시아에서의 군사 독재 정권 수립을 획책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22][23] 크류치코프는 고르바초프 시대를 비판하는 글을 쓰며 공공 활동을 재개했다.[6] 2000년 5월 7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의 첫 취임식에 러시아 대통령 자격으로 참석하기도 했다.[18]

전 미국 대사 잭 F. 매토크 주니어를 포함한 많은 분석가들은 크류치코프가 쿠데타를 일으킴으로써 의도치 않게 공산당의 권위를 파괴하고 소련의 붕괴를 가속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 매토크는 회고록에서 "사람들이 변화를 만들고,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가 큰 변화를 만들었다. 만약 1990년과 1991년에 다른 사람이 KGB를 운영했다면 소련은 오늘날 어떤 형태로든 존재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6]

크류치코프는 2007년 11월 23일 모스크바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5. 소련 붕괴 이후

1991년, 겐나디 야나예프 부통령, 보리스 푸고 내무장관, 드미트리 야조프 국방장관 등 강경파 인사들과 함께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의 핵심 멤버로서 소련 8월 쿠데타를 주도했으나 실패로 끝났다. 크류치코프는 쿠데타 실패 후인 1991년 8월 21일, 크리미아의 포로스 별장에서 미하일 고르바초프 등과 함께 모스크바로 돌아왔으나 비행장에서 즉시 체포되었다. 공식적으로 KGB에서 해고된 것은 10월 4일이었다. 그의 후임 KGB 의장으로는 바딤 바카틴 전 내무장관이 임명되었으며, 바카틴은 마지막 KGB 의장이 되었다.

소련 붕괴 이후인 1994년, 크류치코프는 하원 국가 회의의 사면 결의로 석방되었다. 석방 이후 연금 생활을 하면서도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이고리 로디오노프 전 국방장관 등 민족주의 성향의 퇴역 군인들과 빅토르 일류킨, 알베르트 마카쇼프 등 러시아 연방 공산당 내 보수파 정치인들이 결성된 '군·국방 산업·군사 과학 지원 운동'(Движение в поддержку армии|드비제니예 프 포데르주쿠 아르미이rus)에 참여했다.[21] 이 단체는 보리스 옐친 정권 타도와 레프 로흐린 중장을 내세워 러시아에 군사 정권을 수립하려 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22][23]

2007년 11월 23일, 모스크바에서 향년 83세로 사망했다.

6. 사망

2007년 11월 23일 모스크바에서 향년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0] 그의 시신은 모스크바의 트로예쿠로프스코예 묘지에 안장되었다.

7. 가족

크류치코프의 아버지 알렉산드르 예피모비치 크류치코프, 어머니 마리아 표도로브나 크류치코바, 할머니 리디야 야코블레브나 크류치코바는 독일계 러시아인이다. 그의 아들은 1990년대에 스위스에 거주했는데, 이 시기 스위스는 FIMACO 스캔들과 관련하여 막대한 자금이 이동했던 곳이다.[19] 예브게니 프리마코프는 러시아 하원(Duma)의 포노마레프 조사 위원회가 KGB, FCD, 그리고 SVR 문서에 접근하는 것을 막았다.[19]

8. 저서


  • 크류치코프,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1996). ''개인 사업''. 모스크바: 올림푸스. 872쪽.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ussian and Soviet Intelligence
[2] 뉴스 Soviet Union's hawkish KGB chief Kryuchkov dies at 83 https://www.reuters.[...] Reuters 2007-11-25
[3] 간행물 Gale Encyclopedia of Russian History
[4] 서적 Служба внешней разведки https://gigabaza.ru/[...] Eksmo 2004
[5] 서적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1985-1991 Pearson
[6] 웹사이트 Obituary: Vladimir Kryuchkov http://www.theguardi[...] 2007-11-30
[7] 학술지 The 1991 Soviet and 1917 Bolshewk Coups Compared: Causes, Consequences and Legality https://www.schoenin[...] 1991
[8] 문서
[9] 문서
[10] 뉴스 Spy vs. Spy https://www.washingt[...] 2008-01-30
[11] 서적 The rise of Russia and the fall of the Soviet empire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5-23
[12] 서적 The rise of Russia and the fall of the Soviet empire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5-23
[13] 웹사이트 Hardline coup set the stage for Soviet collapse 30 years ago https://apnews.com/a[...] 2021-08-18
[14] 서적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Russian KGB, 1991-1994 https://www.rand.org[...] National Defense Research Institute
[15] 뉴스 Press-konferentsiya po delu GKCHP https://www.kommersa[...] 1993-01-27
[16] 웹사이트 Biografiya Vladimira Kryuchkova: sotrudnichayet s Luzhkovym https://www.temadnya[...] 2021-09-21
[17] 웹사이트 Kryuchkov Vladimir Aleksandrovich https://www.biografi[...] 2021-09-21
[18] 서적 The man without a face : the unlikely rise of Vladimir Putin http://archive.org/d[...] Riverhead Books 2012
[19] 서적 Russian Money Laudering: United States Congressional Hearing (serial number 106–38)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2020-12-15
[20] 뉴스 Vladimir Kryuchkov, 83, Ex-Chief of K.G.B. https://www.nytimes.[...] 2007-11-26
[21] 웹사이트 Движение в поддержку армии http://www.panorama.[...]
[22] 뉴스 «Мы должны были арестовать президента» http://rusrep.ru/art[...] 2011-07-19
[23] 웹사이트 Как военные готовили переворот в России https://versia.ru/k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