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라시우스관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시우스관박쥐(Rhinolophus blasii)는 보통 크기의 박쥐로, 털은 회색빛 황갈색부터 회갈색을 띠며 최대 15g까지 나간다. 곤충을 먹고, 여름에는 동굴이나 건물 지붕 아래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추운 기간에는 지하에서 겨울잠을 잔다. 1866년 빌헬름 페터스에 의해 처음 기재되었으며,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등지에 분포하며, 4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6년 기재된 포유류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1866년 기재된 포유류 - 이라와디돌고래
    이라와디돌고래는 짧은 부리와 둥근 머리, 작은 삼각형 등지느러미가 특징인 참돌고래과의 돌고래로 동남아시아 하천 하구와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가 시급하다.
  • 관박쥐과 - 달링관박쥐
    달링관박쥐는 1905년 안데르센에 의해 처음 기재되었고 몸길이 4.5~5.5cm의 관박쥐과 박쥐로, 아프리카 남부 지역에 분포하며, 어두운 갈색 등과 연한 갈색 배, 넓은 날개폭을 가진 여러 아종으로 분류되는 종이다.
  • 관박쥐과 - 마엔델레오관박쥐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파카라나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최대 13kg까지 자라며, 식용으로 남획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설치류이다.
블라시우스관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블라시우스관박쥐
블라시우스관박쥐
보전 상태최소 관심 (LC)
학명Rhinolophus blasii
명명자Peters, 1866
블라시우스관박쥐 분포 지역
블라시우스관박쥐의 분포 지역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박쥐목
관박쥐과
관박쥐속
블라시우스관박쥐 (R. blasii)

2. 특징

보통 크기의 박쥐로 몸통 길이는 46.5mm~54mm이고 전완장은 43mm~50mm, 꼬리 길이는 19mm~35mm이다.[6] 발 길이는 8mm~11mm, 귀 길이는 15.8mm~22mm이고 몸무게는 7g~15g이다.[6][3] 등 쪽 털은 회색빛 황갈색부터 회갈색까지 다양하며 라일락색 색조를 띠기도 하지만, 배 쪽은 상당히 밝다. 귀는 비교적 짧고 회갈색을 띤다.[6] 아프리카 관박쥐 종류 중에서는 작은 편에 속한다.[3]

3. 생태

여름에는 분포 지역 남쪽에서는 석회암 동굴이나 인공적인 구멍 속에서 은신하지만, 더 북쪽 지역에서는 큰 건물의 지붕 아래와 같이 주로 따뜻한 환경에서 수십에서 수천 마리씩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최대 300마리까지 암컷으로만 이루어진 보육 집단이 관찰되기도 한다. 추운 기간에는 지하에서 겨울잠을 잔다. 정주성 박쥐이다.

먹이는 주로 곤충이며, 특히 나비목(나비, 나방)과 딱정벌레, 흰개미, 파리 등을 먹는다.[3] 먹이를 사냥할 때는 날아다니는 곤충을 잡는 호킹(hawking) 방식이나, 나뭇잎이나 땅에 붙어 있는 곤충을 떼어내는 글리닝(gleaning) 방식을 사용한다.[3]

주로 가을과 겨울 사이에 짝짓기를 하며, 겨울잠을 자는 동안에는 배아 발달이 지연된다. 암컷은 6월과 7월 사이(지역에 따라서는 8월)에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연간 한 번 번식한다.[3] 새끼는 태어난 지 약 한 달이 지나면 독립하고, 독립한 지 한 달 후에 젖을 뗀다.

사회적 행동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보통 단독으로 또는 소규모 무리를 지어 휴식을 취한다.[3] 말라위에서는 최대 5마리의 개체가 함께 사냥하는 모습이 보고된 바 있다.[3]

4. 분류

블라시우스관박쥐는 1866년 독일의 박물학자 빌헬름 페터스가 새로운 으로 기재하였다. 모식 표본은 이탈리아에서 수집되었다.[3] 종명 "''blasii''"의 어원은 독일 동물학자 요한 하인리히 블라시우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2]

4. 1. 아종

4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5]

아종명명자 (연도)분포 지역
R. b. blasii모로코 동부와 알제리 북부, 튀니지, 오스트리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그리스, 크레타섬, 키프로스, 불가리아, 아나톨리아 해안 서부와 남부, 시리아 서부, 레바논, 이스라엘, 요르단, 예멘 서부, 오만 북동부
R. b. andreiniiSenna (1905)에티오피아 중동부, 소말리아 북부
R. b. empusaAndersen (1904)탄자니아 남서부, 말라위, 잠비아 중남부, 모잠비크 중서부, 짐바브웨 동부, 스와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 북동부
R. b. meyeroehmiFelten (1977)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이란, 투르크메니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북동부


5. 분포 및 서식지

블라시우스관박쥐는 해발 0m에서 2215m 사이의 다양한 고도에서 발견된다.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등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지만, 개체군은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이미 멸종되었으며, 슬로베니아에서도 멸종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서식지는 사막, 사바나, 관목지, 등을 포함한다.[1]

참조

[1] IUCN "''Rhinolophus blasii''" 2016
[2] 학술지 Über einige neue oder weniger bekannte Flederthiere https://www.biodiver[...]
[3] 서적 Mammals of Africa A&C Black 2013
[4] 간행물 Rhinolophus blasi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19515A21972073 https://dx.doi.org/1[...] 2016
[5] MSW3
[6] 서적 Guide des mammiferes d'Europe, d'Afrique du Nord et du Moyen-Orient Delachaux & Niestlé SA, Pari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