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라위는 동아프리카에 위치한 내륙국가로, 10세기경 반투족의 정착으로 시작되어 1500년경 마라비 왕국이 세워졌다. 1891년 영국의 니아살랜드 보호령이 되었고, 1964년 독립하여 헤이스팅스 반다 대통령의 일당제 통치를 거쳐 1994년 다당제 민주주의를 도입했다. 현재는 대통령 중심의 공화국이며, 라자루스 차크웨라 대통령이 이끌고 있다. 경제는 농업에 크게 의존하며, 담배가 주요 수출품이다. 치체와어가 국어이며, 영어도 공용어로 사용한다. 말라위 호를 중심으로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하며, 5개의 국립공원과 2개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투어권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 반투어권 - 에스와티니
에스와티니 왕국은 아프리카 남부의 내륙국으로, 영국에서 독립 후 국명을 변경했으며, 국왕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잠비크와 국경을 접하며,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를 가지고 있고, 높은 HIV/AIDS 감염률과 빈곤이 사회 문제이다. - 영국의 옛 식민지 - 세이셸
세이셸은 인도양 서부 마다가스카르 북동쪽에 있는 1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공화국으로,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프랑스, 영국을 거쳐 독립했으며,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크레올 혼혈인들이 주로 거주하며 세 가지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영국의 옛 식민지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 내륙국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 내륙국 - 에스와티니
에스와티니 왕국은 아프리카 남부의 내륙국으로, 영국에서 독립 후 국명을 변경했으며, 국왕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잠비크와 국경을 접하며,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를 가지고 있고, 높은 HIV/AIDS 감염률과 빈곤이 사회 문제이다.
말라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말라위 공화국 |
일반 명칭 | 말라위 |
현지어 명칭 | (체와어) (툼부카어) |
![]() | |
![]() | |
국가 모토 | 단결과 자유 |
국가 | (오, 하느님, 말라위를 축복하소서) |
수도 | 릴롱궤 |
최대 도시 | 릴롱궤 |
공용어 | 영어 |
국가 언어 | 체와어 툼부카어 야오어 |
지역 언어 | 통가어 세나어 롬웨어 응곤데어 람바어 |
민족 구성 | 25.2% 체와족 20.4% 툼부카족 17.9% 롬웨족 15.3% 야오족 5.4% 응고니족 5.9% 세나족 3.8% 망간자족 1.8% 통가족 1.0% 은야큐사족 0.6% 람바족 0.5% 수콰족 1.1% 기타 |
종교 | 82.3% 기독교 58.5% 개신교 17.2% 가톨릭교 6.6% 기타 기독교 13.8% 이슬람교 2.1% 무종교 1.2% 전통 신앙 0.6% 기타 |
인구 | 21,240,689명 (2024년 추정) |
인구 밀도 | 153.1 명/km² |
면적 | 118,484 km² |
물 면적 비율 | 20.6% |
통화 | 말라위 콰차 |
통화 코드 | MWK |
시간대 | CAT |
UTC 오프셋 | +2 |
차량 통행 방향 | 좌측 통행 |
국제 전화 코드 | +265 |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 .mw |
정치 | |
정부 형태 | 단일 국가, 대통령 중심제 공화국 |
대통령 | 라자루스 차퀘라 |
부통령 | 마이클 우시 |
국회 의장 | 캐서린 고타니 하라 |
대법원장 | 리지네 음지카만다 |
입법부 | 국회 |
역사 | |
독립 | 영국으로부터 독립 |
자치령 | 1964년 7월 6일 |
공화국 | 1966년 7월 6일 |
경제 | |
GDP (PPP) | 379억 달러 (2023년 추정) |
GDP (PPP) 1인당 | 1,668 달러 (2023년 추정) |
명목 GDP | 132억 달러 (2023년 추정) |
명목 GDP 1인당 | 579 달러 (2023년 추정) |
지니 계수 | 44.7 (2016년) |
인간 개발 지수 | 0.508 (2022년) |
기타 | |
ISO 3166-1 | MW / MWI |
2. 역사
말라위의 역사는 크게 식민지 이전 시대, 식민지 시대, 독립 이후 시대로 나눌 수 있다.
19세기 말까지 이 지역은 마라비 제국이 통치했다. 스코틀랜드 출신 데이비드 리빙스턴의 선교 활동 결과, 1891년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고, 1893년 영국 중앙아프리카 보호령으로 개칭된 후 1907년 니아살란드 보호령이 되었다. 1915년 존 칠렌부웨 목사의 반란은 진압되었지만, 말라위에서 식민 지배 저항의 상징으로 말라위 콰차 지폐에 그의 초상이 사용된다.[160]
제2차 세계 대전 후, 1953년 북로디지아(현 잠비아), 남로디지아(현 짐바브웨), 니아살란드를 합쳐 로디지아·니아살란드 연방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1958년 반다를 비롯한 급진적인 독립 운동이 아프리카 각지에서 고조되었다. 1962년 연방 내 자치권을 획득했고, 1963년 연방은 해체되었다.[161]
1964년 7월 6일, 니아살랜드는 영국 연방 내 영연방 왕국 형태로 독립, 국제연합에 가입했다. 헤이스팅스 반다는 1994년 민주화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하며, 1966년 말라위 의회당(MCP) 일당제 국가를 수립, 1970년 종신 대통령이 되었다. 외교적으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도 관계를 유지했다.[161]
1992년 반다의 압정에 대한 반발로 1993년 국민투표에서 다당제가 인정, 1994년 총선거에서 통일민주전선(UDF)의 바키리 무르지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162] 이후 2004년 총선거에서 빙구 와 무타리카가 당선되어 2009년 재선되었으나, 2012년 급사하였다.[163] 조이스 반다가 대통령직을 승계하였으나, 2014년 총선거에서 피터 무타리카가 당선되었다.[165] 2019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무타리카 대통령이 재선되었으나, 야당이 선거 부정을 주장하며 항의하였다.[166]
2. 1. 식민지 이전 시대
말라위 지역에는 10세기경 반투족이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정착하기 시작했다.[222] 그 이전에는 소규모 수렵채집사회들이 흩어져 살고 있었다.[223] 1500년까지 이들은 마라비 왕국을 세웠고, 은코타코타 북쪽에서 잠베지강까지, 말라위호에서 루앙과강까지의 영토를 다스렸다.[224]
1600년경 이후, 대부분의 지역이 하나의 토착 지배자 아래 통합되면서, 토착 부족민들은 포르투갈 상인 및 군인들과 교류하며 무역을 하고 동맹을 맺기도 했다. 그러나 1700년까지 이 제국은 여러 개별 민족 집단이 통제하는 지역으로 분열되었다.[21] 1800년대 중반에는 인도양 노예 무역(Indian Ocean slave trade)이 정점에 달했는데, 매년 약 2만 명이 응코타코타(Nkhotakota)에서 킬와로 팔려가는 것으로 추정된다.[22]
과거 이 지역에는 부시먼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15세기에 체와족을 중심으로 한 반투족 여러 부족이 연합하여 마라비(Maravi)라고 불리게 되었고, 마라비 제국(마라위 제국)이 건국되었다. 마라비 제국은 모잠비크 방면에서 온 포르투갈인과 스와힐리 도시의 아랍인과의 무역을 하면서 19세기 말까지 이 지역을 통치했다.
2. 2. 식민지 시대
1859년 선교사이자 탐험가인 데이비드 리빙스턴이 말라위 호수(당시 니아사 호)에 도착하여 호수 남쪽의 시레 고지가 유럽인 정착에 적합한 지역임을 확인했다. 리빙스턴의 방문 결과, 1860년대와 1870년대에 여러 앵글리칸교와 장로교 선교부가 이 지역에 설립되었다.[23] 1878년 아프리카 호수 회사(African Lakes Company Limited)가 무역 및 운송 사업을 위해 설립되었고, 1876년 블랜타이어에 소규모 선교 및 무역 정착지가 설립되었으며, 1883년에는 영국 영사가 거주하기 시작했다. 포르투갈 정부도 이 지역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영국 정부는 포르투갈의 점령을 막기 위해 해리 존스턴을 영국 영사로 파견하여 포르투갈 관할권 밖의 지역 통치자들과 조약을 체결하도록 지시했다.[23]
1889년, 시레 고지에 대한 영국의 보호령이 선포되었고, 1891년에는 현재 말라위 전체를 포함하도록 영국 중앙 아프리카 보호령으로 확대되었다.[24] 1907년, 보호령의 이름은 니아살란드로 변경되었고, 영국 통치 하에 있던 기간 동안 그 이름을 유지했다.[25] 1891년에 수립된 니아살란드의 식민 정부는 연간 10000GBP(1891년 명목 가치)의 예산을 받았다. 이 예산은 유럽인 민간인 10명, 군 장교 2명, 펀자브 지역 출신 시크교도 70명, 잔지바르 출신 짐꾼 85명을 고용하기에 충분한 금액이었다. 이 소수의 직원들은 약 9만 4천 평방킬로미터의 영토와 100만~200만 명의 인구를 관리하고 경찰 업무를 수행해야 했다.[26] 같은 해, 노예 제도가 완전히 폐지되었다.
1944년, 니아살란드 아프리카 의회(Nyasaland African Congress, NAC)가 니아살란드의 아프리카인들에 의해 결성되어 영국 정부에 지역의 이익을 증진시키고자 했다.[27] 1953년, 영국은 니아살란드를 북로디지아와 남로디지아와 결합하여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Federation of Rhodesia and Nyasaland)을 만들었다.[25] 이 연방은 반독립적이었지만, 아프리카 민족주의자들의 반대를 불러일으켰고, NAC는 대중적 지지를 얻었다. NAC의 영향력 있는 반대자 중 한 명은 해스팅스 반다였는데, 그는 가나에서 일하던 유럽에서 교육받은 의사였으며, 1958년 민족주의 운동을 돕기 위해 니아살란드로 돌아오도록 설득되었다. 반다는 NAC의 회장으로 선출되어 민족주의 감정을 조직하는 데 힘썼지만, 1959년 식민 당국에 의해 투옥되었다. 그는 1960년 석방되었고 니아살란드의 새로운 헌법 초안 작성을 돕도록 요청받았으며, 이 헌법에는 식민지 입법 평의회에서 아프리카인에게 다수 의석을 부여하는 조항이 포함되었다.[20]
2. 3. 독립 이후
입법평의회 선거에서 헤이스팅스 반다의 말라위 의회당(MCP)이 다수당이 되었고, 반다는 1963년 총리가 되었다.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은 1963년에 해체되었고, 1964년 7월 6일 니아살란드는 영국 통치에서 독립하여 말라위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이는 국가의 독립기념일이자 공휴일로 기념된다.[29] 새로운 헌법에 따라 말라위는 반다를 초대 대통령으로 하는 공화국이 되었다. 새 헌법은 MCP를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하는 일당 국가를 공식적으로 만들었다.1971년, 반다는 종신 대통령으로 선포되었다. 약 30년 동안 반다는 엄격한 토탈리타리즘 체제를 이끌었고, 이로 인해 말라위는 무력 충돌을 피할 수 있었다.[30] 오르턴 치르와의 말라위 자유 운동과 말라위 사회주의 연맹을 포함한 반대 정당들은 망명 상태에서 설립되었다. 반다가 대통령직을 수행하는 동안 말라위의 경제는 광물 자원이 부족하고 인구 밀도가 높은 빈곤한 내륙 국가가 농업과 산업 개발 모두에서 어떻게 발전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사례로 자주 인용되었다.[31]
1992년 반다의 압정에 대한 국내 반발이 거세지면서, 1993년 국민투표에서 다당제가 인정되었고, 민주적으로 치러진 1994년 말라위 총선거에서는 통일민주전선(UDF)의 바키리 무르지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162]
2004년 총선거에서는 같은 통일민주전선의 빙구 와 무타리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무타리카는 2005년 민주진보당(DPP)을 창당하여 2009년 재선되었으나, 2012년 4월 5일 급사하였다.[163] 4월 7일, 부통령이자 민주진보당에서 제명된 후 국민당을 창당했던 조이스 반다가 헌법 규정에 따라 대통령에 승격하여 말라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되었다.[164] 그러나 2014년 5월 20일에 실시된 총선거에서 빙구 와 무타리카 전 대통령의 동생이자 민주진보당의 피터 무타리카가 당선되어 제5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165] 2019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무타리카 대통령이 재선되었으나, 근소한 차이로 승리하여 야당이 선거 부정을 주장하며 항의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166]
3. 정치
헤이스팅스 카무주 반다는 1964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말라위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말라위 의회당만을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인정하고, 1971년 스스로를 종신 대통령으로 선언하여 1994년 선거에서 패배할 때까지 말라위를 통치하였다. 반다 대통령이 다당제 선거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추종자들과 민주주의 동맹 간의 무장 투쟁이 있었으나, 100여 명의 사상자만 발생했을 뿐,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달리 심각한 정치적 불안정은 없었다. 그러나 부정부패가 심각하여 경제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말라위 소장은 말라위 국민총생산의 30%가 정치적 부패로 사라지고 있으며, 2006년 바킬리 물루지 전 대통령이 1100만달러의 해외 원조를 빼돌린 사건이나 2.5억달러 규모의 캐쉬게이트와 같은 비리를 예로 들었다.[30]
1993년 국민투표를 통해 다당제 민주주의가 도입되었고, 1994년 최초의 다당제 선거에서 반다는 바킬리 물루지에게 패배했다. 1999년 재선된 물루지는 2004년 빙구 와 무타리카가 선출될 때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했다.[32] 2009년 5월, 무타리카 대통령은 재선에 성공했지만, 라이벌의 선거 사기 혐의가 제기되기도 했다.[34] 무타리카 대통령은 일부 사람들에게 독재적이고 인권을 무시한다는 비판을 받았으며,[35] 2011년 7월에는 높은 생활비, 외교 관계 악화, 부패, 외환 보유고 부족 등에 대한 시위가 발생하여 18명이 사망하고 최소 44명이 총상을 입었다.[37]
2012년 4월, 무타리카 대통령이 심장마비로 사망한 후, 조이스 반다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받았다.[39] 2014년 말라위 총선거에서는 조이스 반다가 패배하고, 피터 무타리카(빙구 와 무타리카의 동생)가 대통령이 되었다.[41] 2019년 말라위 총선거에서 피터 무타리카 대통령은 근소한 차이로 재선되었으나, 2020년 2월 말라위 헌법재판소는 부정행위와 광범위한 사기를 이유로 선거 결과를 뒤집었다.[42] 2020년 5월, 대법원은 이 결정을 유지하고 7월 2일에 새로운 선거가 치러질 것이라고 발표했다.[43][44] 2020년 말라위 대통령 선거에서는 야당 지도자 라자루스 차크웨라가 승리하여 말라위의 새 대통령이 되었다.[45]
말라위는 일원제 대통령제 공화국으로, 라자루스 차크웨라 대통령이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이다.[46] 정부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의 삼권분립으로 구성된다. 행정부는 대통령, 제1·제2 부통령, 그리고 말라위 내각으로 구성된다. 대통령과 부통령은 5년마다 함께 선출되며, 대통령은 다른 정당 출신의 제2부통령을 임명할 수 있다.[47]
입법부는 193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 국민의회이며, 의원들은 5년마다 선출된다.[48]
독립적인 사법부는 영국식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항소 대법원, 고등법원, 노동관계법원, 지방법원 등으로 구성된다.[50]
말라위는 북부, 중부, 남부 3개 지역과[52] 28개의 행정구역으로 구성된다.[53] 지방 정부는 중앙 정부가 임명한 지역 행정관과 지방 행정관이 관리한다.
전 대통령 해스팅스 반다는 친서방 외교 정책을 수립하여 많은 서방 국가들과 우호적인 외교 관계를 맺었다.[47]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관계는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내내 유지되었는데, 이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에 긴장을 초래하기도 했다.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 붕괴 이후, 말라위는 다른 모든 아프리카 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47] 2007년에는 중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여 중국의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58]
말라위는 영연방, UN, IMF, 세계은행, 아프리카 연합, 세계보건기구 등 여러 국제 기구의 회원국이다.
3. 1. 정당
말라위는 일원제 대통령제 공화국이다. 1994년부터 다당제가 인정되어 여러 정당들이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정당은 다음과 같다:- 말라위 의회당 (MCP): 과거 일당 독재 체제의 정당이었으며, 체와족이 주축이고 중부 지역을 기반으로 한다.
- 말라위 민주진보당 (DPP): 피터 무타리카 전 대통령이 이끄는 자유주의 정당이다.
- 말라위 통합민주전선 (UDF): 야오족이 주축이고 남부 지역을 기반으로 한다. 2005년 무타리카 전 대통령이 민주진보당을 창당하기 전까지 소속되었던 정당이다.
- 말라위 인민당 (People's Party): 조이스 반다 전 대통령이 이끄는 정당이다.
- 무구이리자노 연합 (MC): 말라위 공화당 (RP)을 중심으로 하는 정당 연합이다.
입법부는 단원제이며, 정식 명칭은 '''말라위 국민의회'''이다. 의석은 193석이며, 의원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의원의 임기는 5년이다.
3. 2.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과 말라위는 1965년에 수교하였다. 한때 대한민국은 말라위에 현지 공관을 설치했으나, 1998년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으로 대사관을 폐쇄하고 주 짐바브웨 대사관이 겸임하게 되면서 양국 관계가 다소 소원해졌다. 그러나 말라위는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1964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당시 말라위 주변국들은 공산주의 국가였지만, 말라위는 남아프리카에서 유일한 친서방 국가로서 1965년에 한국과 수교하였다. 이러한 외교 관계로 수도 릴롱궤에 있는 국제공항, 정부 종합청사, 최고급 숙박시설인 캐피탈 호텔 등 주요 건물들이 한국 기업을 통해 건설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1982년에 수교했다.4. 행정 구역
말라위는 3개 주와 28개 현으로 나뉜다.
5. 지리
말라위는 아프리카 남동부에 위치한 내륙국으로, 대지구대가 북쪽에서 남쪽으로 국가를 가로지른다. 말라위 호(냐사 호)가 국가 동쪽 경계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한다.[20] 말라위 호는 길이가 약 약 587.41km이고 폭이 약 약 83.69km이므로 캘린더 호(Calendar Lake)라고 불리기도 한다.[73] 시레 강은 호수 남쪽 끝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약 약 402.33km 더 내려가 잠베지 강과 합류한다.
대지구대를 둘러싼 말라위의 산악 지역에서는 고원이 일반적으로 해발 약 914.40m에서 약 1219.20m 높이에 위치하지만, 북쪽 일부 지역에서는 약 2438.40m까지 높이 솟아 있다. 말라위 호 남쪽에는 해발 약 약 914.40m에 위치한 시레 고지가 있으며, 이 지역에는 좀바와 물란제 산봉우리가 각각 약 2133.60m에서 약 3048.00m의 높이까지 솟아 있다.[20]
말라위의 수도는 릴롱궤이며, 인구 50만 명 이상의 상업 중심지는 블란타이이다.[20] 말라위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 두 곳(말라위 호 국립공원, 총고니 암각화 지역)이 있다.[75]
말라위의 기후는 남부 저지대는 덥고 북부 고지대는 온화하다. 11월부터 4월까지는 따뜻한 날씨와 함께 비가 많이 오고 뇌우가 발생하며, 3월 말에 폭풍우가 가장 심하다. 3월 이후 강우량은 급격히 감소하고, 5월부터 9월까지는 고지대에서 습한 안개가 자주 발생하며 이 기간에는 거의 비가 오지 않는다.[20]
5. 1. 생태계

말라위에는 코끼리, 하마, 영양, 버팔로, 큰 고양잇과 동물, 원숭이, 코뿔소, 박쥐와 같은 포유류와 맹금류, 앵무새, 매, 수조류, 큰 도요류, 올빼미, 명금류와 같은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말라위 호수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호수 어류상 중 하나"로 묘사되며, 약 200종의 포유류, 650종의 조류, 30종 이상의 연체동물, 5,500종 이상의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76]
말라위 국경 내에는 중부 잠베지 밀롬보 삼림지, 동부 밀롬보 삼림지, 남부 밀롬보 삼림지, 잠베지와 모파네 삼림지, 잠베지 범람 초원, 남말라위 산악 삼림-초원 모자이크, 남부 리프트 산악 삼림-초원 모자이크의 7개 육상 생태 지역이 있다.[77] 또한, 5개의 국립공원, 4개의 야생동물 및 사냥 보호구역, 2개의 보호지역이 있다.[78] 2019년 말라위의 산림 경관 무결성 지수 평균 점수는 5.74/10으로, 172개국 중 96위였다.[79]
6. 경제
말라위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로, 경제는 농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국토의 약 3분의 1만이 농업에 적합하며, 주요 농작물은 담배와 차이다. 이 외에도 옥수수, 목화, 땅콩, 사탕수수, 커피 등이 재배된다. 니아사 호에서는 어업이 이루어지며, 공업으로는 벽돌, 면 제품, 시멘트, 식품 가공업 등이 있다.
말라위는 세계 최저개발국 중 하나로, 인구의 약 85%가 농촌 지역에 거주한다. GDP의 3분의 1 이상과 수출 수입의 90%를 농업이 차지한다. 과거에는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IMF) 등으로부터 경제 원조를 받아왔다.[53] 2011년에는 세계에서 119번째로 안전한 투자 대상으로 평가되기도 했다.[80]
말라위 정부는 시장 경제 발전, 환경 보호, HIV/AIDS 문제 해결, 교육 시스템 개선, 재정 자립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2000년 IMF는 부패 문제로 원조 지급을 중단하기도 했으나,[54] 2005년 말에는 5억 7,500만 달러 이상의 원조를 받았다.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인구 증가를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진다.[81] 2009년에는 대통령 전용기 구매로 인한 외화 부족으로 연료 부족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82][83][84] 높은 서비스 비용과 열악한 인프라(전력, 수자원, 통신) 등은 투자 장벽으로 작용한다.
2017년 기준, 말라위의 구매력평가(PPP) 기준 GDP는 224억 2천만 달러, 1인당 GDP는 1200달러, 인플레이션은 12.2%로 추산되었다.[53] 농업은 GDP의 35%, 산업은 19%, 서비스업은 46%를 차지한다.[33] 2008년 경제 성장률은 9.7%였고, IMF는 2009년에도 강력한 성장을 예측했다.[85] 빈곤층 비율은 1990년 54%에서 2006년 40%로 감소했다.[86] 2015년에는 홍수로 100만 명 이상이 피해를 보았고, 6만 4천 헥타르의 경작지가 유실되었다.[87]
말라위의 주요 농산물은 담배, 사탕수수, 면화, 차, 옥수수, 감자, 수수, 소, 염소 등이다. 주요 산업은 담배, 차, 설탕 가공, 제재소 제품, 시멘트 및 소비재이다. 2009년 산업 생산 성장률은 10%로 추산된다. 말라위는 천연가스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전기를 수출입하지 않고 석유는 전량 수입한다.[53] 2008년부터는 에탄올을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를 시험하고 있다.[93]
2009년 기준, 말라위는 연간 약 9억 4500만 달러 상당의 상품을 수출한다. 담배의 세계 시장 가격 하락과 국제 사회의 압력으로 담배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2007년에서 2008년 사이 담배 수출 수익은 53%에서 70%로 급증했다. 차, 설탕, 커피도 주요 수출 품목이며, 이 네 가지 품목이 수출 수익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세계보건기구는 버리 잎이 인체에 더 해롭다고 보고 있으며, 담배 재배에서 벗어나 파프리카와 같은 수익성이 높은 작물 재배를 장려하고 있다. 인도 대마가 대안이 될 수 있지만, 대마의 오락용 품종과의 유사성 때문에 범죄를 야기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94] 말라위 골드로 알려진 말라위 대마 재배는 마약으로서 크게 증가했다.[95]
기타 수출품으로는 면화, 땅콩, 목재 제품 및 의류가 있다. 주요 수출 대상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독일, 이집트, 짐바브웨, 미국, 러시아, 네덜란드이다. 연간 약 16억 2500만 달러 상당의 상품을 수입하며, 주요 품목은 식량, 석유 제품, 소비재, 운송 장비이다. 주요 수입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 잠비아, 탄자니아, 미국, 중국이다.[53] 2016년 가뭄 피해를 보았고, 2017년에는 밤나방 발생으로 옥수수밭이 파괴되었다.[98]
통화는 말라위 콰차(콰차, Mkw, M.K)이며, 보조 통화는 탐바라(1콰차=100탐바라)이다. 중앙은행은 말라위 준비은행이다. 2014년 1인당 국민소득은 250달러였으나, 2023년에는 640달러로 상승했다.[184]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인구의 84.5%(1998년)가 1차 산업에 종사한다.[165] 천수 농업에 의존하여 생산성이 낮고 기후 변화에 취약하다. 주요 작물은 옥수수, 고구마(세계 생산량 2위, 2019년) 등이다. 상품 작물로는 담배가 가장 중요하며(2013년 총 수출의 46.6%), 설탕(총 수출의 9.5%, 2013년), 차(총 수출의 7.1%, 2013년), 땅콩(총 수출의 5.0%, 2013년) 등이 있다.[165] 담배 의존도가 높아 마카다미아 너트 등 소규모 수출 작물을 개발하고 있다.[185] 축산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186] 광산 자원은 부족하며, 석회석과 소량의 석탄만 채굴된다.[187] 2009년 우라늄 광산이 개발되었으나(2013년 총 수출의 11.3%),[165] 2014년 가격 하락으로 생산 중단되었다.[188] 말라위는 강수량이 많지만, 농지 개간과 연료용 벌채로 산림 감소가 계속되고 있다.[189]
6. 1. 기아 문제
말라위는 기아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매년 아일랜드의 NGO인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가 협력하여 발표하는 세계기아지수(GHI)에 따르면 2016년 말라위의 기아지수는 100점 만점 중 26.9점으로, 조사 대상 118개 개발도상국 중 89위였다. 이는 위험한 수준은 아니지만,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227]말라위는 강수량이 적지 않지만 연교차가 심하고 관개 시설도 미비하여 가뭄을 자주 겪는다. 2005년에는 가뭄 등으로 수확량이 급감하여 국제연합 세계식량계획 등이 지원을 했고, 무타리카 대통령은 식량 위기에 대해 긴급 선언을 했다. 2016년에도 가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190] 한편 홍수 피해도 드물지 않으며, 2019년에는 주로 남부 지역에서 약 100만 명이 피해를 입는 대규모 수해가 발생했다.[191]
6. 2. 인프라
2012년 기준으로 말라위에는 31개의 공항이 있으며, 그중 7개는 포장 활주로(국제공항 2개), 24개는 비포장 활주로를 갖추고 있다. 2008년 기준으로 말라위는 797km의 철도(모두 협궤)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3년 기준으로는 다양한 상태의 도로 24,856km가 있다. 이 중 포장 도로는 6,956km, 비포장 도로는 8,495km이다. 말라위는 또한 말라위 호와 시레 강을 따라 700km의 수로를 보유하고 있다.[53]간선도로의 포장률은 약 50%이다.[194] 장거리 이동에는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장거리 버스가 각지를 연결하고 있으며, 해외 주요 도시로 향하는 버스도 있다. 근거리에서 시민의 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은 미니버스이다.[195]
철도 노선은 북부 지역까지 연결되지 않고 중남부 지역에만 있다. 철도는 잠비아 국경의 무친지에서 시작하여 수도 리롱웨와 말라위 호숫가의 살리마, 블란타이어시를 거쳐 국토 남단의 치산제에서 모잠비크의 베이라 항구로 이어지는 노선과, 중간의 엔카야에서 동부 국경의 나유치로 이어져 모잠비크의 나칼라 항구로 연결되는 노선이 있다.[196] 대외 무역의 주요 루트는 모잠비크 경유였지만, 1980년대의 모잠비크 내전으로 인해 이 루트가 끊기면서 잠비아 경유 도로를 이용하게 되었다. 1990년대 초 모잠비크에서 평화가 회복된 후, 모잠비크 경유 루트는 다시 활기를 되찾았다.[197] 이 외에도 탄자니아의 다르에스살람에서 탄자니아 남부의 무베야까지 탄잠 철도로 물자를 운송한 후, 거기서 트럭으로 말라위 북부로 들어가는 수송 루트도 많이 이용되며, 무베야에는 말라위행 물자를 보관하는 말라위 데포라는 창고가 있다.[198]
말라위는 리롱궤에 위치한 리롱궤 국제공항(Lilongwe International Airport)과 블란타이어에 위치한 칠레카 국제공항(Chileka International Airport)의 두 개의 국제공항이 있으며, 이 외에도 므주주 공항(Mzuzu Airport) 등 소규모 공항들이 몇 곳 있다.
2022년 기준으로 말라위에는 1,023만 개의 휴대전화 가입이 있었다. 2022년 인터넷 사용자는 403만 명이었다.[8] 또한, 2022년 기준으로 말라위에는 정부 운영 라디오 방송국(말라위 방송 공사) 1개와 민간 기업이 소유한 12개 정도의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 말라위의 라디오, 텔레비전 및 우편 서비스는 말라위 통신 규제 당국(MACRA)이 규제한다.[100][101] 2016년 기준으로 말라위의 디지털 네트워크 MDBNL에는 20개의 텔레비전 방송국이 있다.[53] 과거 말라위의 통신 시스템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열악한 시스템으로 여겨졌지만, 2000년부터 2007년까지 13만 개의 유선 전화가 연결되면서 상황이 개선되고 있다. 도시 지역에서는 전화 접근성이 훨씬 높으며, 유선 전화의 4분의 1 미만이 시골 지역에 있다.[102]
90%의 지역에는 아직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다. 발전은 시레 강 등 말라위 호수의 유출·유입 하천의 수력 발전에 의존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발전량의 89.1%가 수력발전이었다.[165] 따라서, 특히 건기에는 전력 부족과 정전이 심각하다.[192]
2001년에 윌리엄 캄쿠완바가 혼자 힘으로 발전용 풍차를 완성한 것은 말라위 전역은 물론 전 세계의 강한 관심을 모았고, 그의 자전적 이야기인 「바람을 잡은 소년」은 2018년 영화화되었으며, 2019년에는 일본에서도 개봉되었다.[193]
7. 사회
말라위는 체와족, 툼부카족, 고니족 등 40개의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와족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의료 환경은 매우 열악하여 전문의 수가 극히 부족하고, 영아 사망률이 높으며 에이즈, 말라리아 등 각종 질병으로 인해 평균 수명이 낮고 가정 붕괴가 심각하며, 가난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여성의 교육 접근성은 남성과 동등한 수준이지만, 나이가 들수록 여성 학생의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137] 2017년 말라위 여성의 평균 기대수명은 66세로, 2010년의 약 58세에 비해 증가했다.[138] 말라위의 모성 사망률은 개발 과정의 유사한 단계에 있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도 특히 낮다.[139]
말라위의 상속권은 남녀 자녀와 배우자에게 동등하게 분배되며,[140] 여성의 노동 참여율은 남성보다 높지만, 임금 격차가 존재한다.[141][142] 여성의 국가 정치 구조 참여는 제한적이지만, 의회 의석의 20% 이상을 여성이 차지하고 있다.[143][144][145][146]
7. 1. 인구와 주민
체와족, 툼부카족, 고니족, 야오족, 날자족, 치포카족, 통가족 등 40개의 민족 집단이 존재한다. 체와족이 32.6%를 차지하며, 롬웨족이 17.6%, 야오족이 13.5%를 이루고 있다.[165] 말라위의 인구는 체와(Chewa), 툼부카(Tumbuka), 야오(Yao), 롬웨(Lomwe), 세나(Sena), 통가(Tonga), 응고니(Ngoni), 응곤데(Ngonde) 원주민 민족 집단들과 중국인 및 유럽인 인구로 구성되어 있다.2018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말라위의 주요 민족 집단별 비율은 다음과 같다.[2]
민족 집단 | 퍼센트 |
---|---|
체와족 | 34.4% |
롬웨족 | 18.9% |
야오족 | 14.3% |
툼부카족 | 22.2% |
세나족 | 3.8% |
망가냐족 | 3.2% |
냐냐자족 | 1.9% |
통가족 | 1.8% |
응곤데족 | 1% |
람비아족 | 0.6% |
수크와족 | 0.5% |
기타 | 1.1% |
2011년 기준 말라위 전체 인구 1천 5백만명 중 전문의 숫자는 260명이고, 총 간호사는 7,264명으로 인구 1,000명당 0.589명이다. 이는 WHO 발표에 의하면 전 세계에서 전문의가 가장 부족한 나라이다. 말라위 임산부 100,000명 중 1,100명이 출산 중 또는 출산 직후 사망(한국 14명, 북한 370명)하며, 1,000명의 아동 중 110명이 5세가 되기 전에 사망한다.(한국 5명, 북한 55명)
말라위의 인구는 급증하고 있다. 독립 직전인 1962년에는 295만 명이었지만,[199] 1994년에는 995만 명,[200] 2015년에는 1730만 명이 되었다.[178] 2023년 유엔 추산에 따르면 2000만이 넘는 인구와 3.32%의 인구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110] 2050년에는 인구가 47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2010년 추산치인 1600만 명의 거의 세 배에 달한다. 2016년 말라위 인구는 18,091,575명으로 추산된다.[111]
에이즈, 말라리아, 그리고 각종 질병으로 매일 200여 명이 죽고 있으며, 고아들이 날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정이 붕괴되고 말라위 평균 연령도 39세로 낮아졌으며, 가난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2018년 인구 조사에 따른 말라위의 주요 도시와 인구는 다음과 같다.[112]
도시 | 지역 | 인구 | 이미지 |
---|---|---|---|
릴롱궤 | 중부 | 989,318 | -- |
블랜타이어 | 남부 | 800,264 | -- |
음주주 | 북부 | 221,272 | |
좀바 | 남부 | 105,013 | |
카롱가 | 북부 | 61,609 | |
카숭구 | 중부 | 58,653 | |
망고치 | 남부 | 53,498 | |
살리마 | 중부 | 36,789 | |
리원데 | 남부 | 36,421 | |
발라카 | 남부 | 36,308 |
7. 2. 언어
치체와어는 국어이며, 영어는 공용어이다.[114] 날자어, 툼부카어, 마쿠아어, 야오어 등 여러 부족 언어가 존재하며, 소수의 프랑스어 사용자도 있다.언어 | 퍼센트 |
---|---|
체체와어 | 57.2% |
치냐냐어 | 12.8% |
치야오어 | 10.1% |
치툼부카어 | 9.5% |
치세나어 | 2.7% |
칠롬웨어 | 2.4% |
치통가어 | 1.7% |
친콘데어 | 0.8% |
칭고니어 | 0.7% |
칠람비아어 | 0.4% |
치센가어 | 0.2% |
치냐쿠사어 | 0.2% |
영어 | 0.2% |
기타 | 1.1% |
주요 언어는 치체와어(인구의 41% 이상), 치툼부카어(28.2%), 치냐냐어(12.8%), 치야오어(16.1%)이다.[53] 기타 모국어로는 말라위 롬웨어(말라위 남동부, 약 25만 명), 코콜라어(말라위 남동부, 약 20만 명), 람비아어(북서쪽 끝, 약 4만 5천 명), 달리어(약 7만 명), 냐쿠사-응곤데어(북부 말라위, 약 30만 명), 말라위 세나어(남부 말라위, 약 27만 명), 통가어(북부, 약 17만 명)가 있다.[115]
국립 초등학교에서는 비공식 국가어로 여겨지는 치체와어를 가르치지만, 사립 초등학교에서는 미국 또는 영국 교육 과정을 따르는 경우 영어를 가르친다.[116] 말라위어는 체와어이며, 영어도 공용어이다. 체와어는 냐냐자어[203]와 합치면 인구의 절반 이상이 모어로 사용하며,[200] 주로 중남부에서 널리 사용된다.[203] 그 외에도 툼부카어(북부에서 널리 사용)[203], 통가어, 야오어, Malawi Lomwe language|말라위 롬웨어영어(롬웨어), 코콜라(마쿠아어), 말라위 세나어(세나어), Lambya language|람비아어영어, 엔콘데어(냐쿠사어), Nyika language|니이카어영어 등 여러 부족어가 사용되며, 프랑스어, 스와힐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소수 존재한다.
7. 3. 종교

말라위는 기독교가 주요 종교이며, 상당한 규모의 무슬림 소수 민족이 있다. 정부 조사에 따르면, 말라위 국민의 87%가 기독교인이고, 11.6%가 무슬림이다.[118] 말라위에서 가장 큰 기독교 그룹은 로마 가톨릭교회(19%)와 중앙 아프리카 장로교회(CCAP, 18%)이다.[118] CCAP는 13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한 말라위에서 가장 큰 개신교 교단이다. 말라위 개혁 장로교회와 말라위 복음 장로교회와 같은 더 작은 장로교 교파들도 있다. 또한, 성공회, 침례교, 복음주의,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중앙 아프리카 루터교회 신자들도 소수 존재한다.[119]
무슬림 인구의 대부분은 수니파이며, 카드리아 또는 수쿠투 그룹 중 하나에 속한다.[120] 말라위 내 다른 종교 단체로는 여호와의 증인(10만 명 이상),[121] 2015년 말 기준으로 2,000명이 조금 넘는 회원을 보유한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라스타파리 운동, 힌두교, 바하이교(0.2%[123])가 있다. 무신론자는 인구의 약 4%를 차지하지만, 이 수치에는 신을 믿지 않는 전통 아프리카 종교를 실천하는 사람들이 포함될 수 있다.[124]
7. 4. 보건
말라위의 보건 환경은 열악하여, 2011년 기준 전체 인구 1천 5백만 명 중 전문의는 260명에 불과하고, 총 간호사는 7,264명으로 인구 1,000명당 0.589명에 그쳐 WHO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전문의가 가장 부족한 나라이다.[209]영아 사망률이 높고 출생 시 평균 수명은 50.03세이다. HIV/AIDS 성인 감염률이 높아, 2015년 기준으로 약 98만 명(인구의 9.1%)이 감염되었고, 매년 약 2만 7천 명이 HIV/AIDS로 사망한다.[130] 매일 약 250명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하며, 병원 병상의 70% 이상이 HIV/AIDS 환자로 채워져 있다.[54] 높은 감염률은 농업 노동 인구 감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54]
말라리아 환자도 매우 많아 인구의 3분의 1 이상인 600만 명이 매년 말라리아에 걸리는 것으로 추정된다.[210] 세균성 및 원생동물성 설사, A형 간염, 장티푸스, 페스트, 주혈흡충증, 광견병 등 감염병 위험도 매우 높다.[53]
말라위는 중앙 병원, 지역 병원 및 민간 의료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공공 부문에서는 무료 의료 서비스와 의약품을 제공하며, 비정부기구는 유료로 서비스와 의약품을 제공한다. 민간 의사들은 유료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2000년부터 건강보험 제도가 시행되었다.[125] 주요 의료 시설로는 블랜타이어 애드벤티스트 병원, 므와이와투 사립 병원, 카무주 중앙 병원 등이 있다.[127]
7. 5. 교육
1994년 말라위 정부는 모든 어린이를 위한 무상 초등 교육을 실시했으며, 2012년 개정 교육법 통과 이후 초등 교육은 의무 교육이 되었다. 초등학교 등록률은 1992년 58%에서 2007년 75%로, 1학년 입학 후 5학년 졸업 비율은 1992년 64%에서 2006년 86%로 증가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청소년 문해율 또한 2000년 68%에서 2015년 75%로 증가했다.[132] 이는 학교 학습 자료 개선, 인프라 확충, 급식 프로그램 시행 덕분이다.[86] 그러나 중등학교 출석률은 약 25%로, 남학생 출석률이 약간 더 높다.[133][134] 여학생의 중퇴율이 더 높다.[135]말라위의 교육은 초등 교육 8년, 중등 교육 4년, 대학교육 4년으로 구성된다. 므주주 대학교(MZUNI), 릴롱웨 농업 및 천연자원 대학교(LUANAR), 말라위 대학교(UNIMA), 말라위 과학기술 대학교(MUST) 등 4개의 국립 대학교와 리빙스토니아, 말라위 레이크뷰, 말라위 가톨릭 대학교 등 사립 대학교가 있다. 대학교 입학 요건은 말라위 교육 인증서(Malawi School Certificate of Education)에서 6학점을 받는 것이며, 이는 O 레벨과 동등하다.[136]
2003년 추계에 따르면 15세 이상 국민의 문자 해독률은 62.7%(남성 76.1%, 여성 49.8%)이다.[205] 같은 해 GDP의 5.8%가 교육비로 지출되었다.[205] 초등학교 수업료는 무료지만, 의무교육 제도는 없다.[206] 1994년 초등학교 무상 교육 실시 이후 취학률은 향상되었으나, 재원과 인력 부족으로 교육의 질 저하 및 학력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207]
8. 문화
말라위는 모계 중심 사회이다. 독립 전사의 날인 매년 3월 3일은 이 나라에서 개최되는 모든 스포츠 경기가 금지되어 있어서, 말라위에서 열리는 스포츠 대회에 3월 3일이 끼어 있으면 3월 3일에 열리는 경기를 취소하고 3월 4일로 미룬다. 국민들은 진흙으로 만든 적벽돌에 갈대로 만든 초가지붕 집에서 산다.
"말라위"라는 이름은 기원후 1400년경 콩고민주공화국 남부에서 이주해 온 반투계 민족인 마라비에서 유래했다. 지난 세기 동안 민족적 차이가 줄어들어 심각한 민족 간 마찰은 없지만, 지역적 분열은 여전히 존재한다. 말라위 국민이라는 개념은 대체로 보수적이고 전통적으로 비폭력적인 주로 농촌 사람들을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아프리카의 따뜻한 심장"이라는 별칭은 말라위 사람들의 사랑스러운 성격으로 인해 붙여졌다.[47]
국립무용단(이전에는 콰차 문화단)은 1987년 11월 정부에 의해 설립되었다.[75] 전통 음악과 춤은 성인식, 의례, 결혼식 및 축하 행사에서 볼 수 있다.[151] 말라위의 토착 민족들은 바구니 제작과 가면 조각의 전통이 있다. 목각과 유화는 도시 중심부에서도 인기가 있으며, 생산된 많은 제품이 관광객에게 판매된다.[152][153] 시인 잭 마판제, 역사 및 소설 작가 폴 젤레자, 작가 레그슨 카이라를 포함하여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말라위 출신 문학 인물이 여러 명 있다.
축구는 영국 식민 통치 시대에 전래되어 말라위에서 가장 흔한 스포츠이다. 국가대표팀은 아직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세 차례 출전한 바 있다. 축구팀으로는 마이티 웬더러스, 빅 불릿, 실버 스트라이커스, 블루 이글스, 시보 스포팅, 모얄레 배럭스, 그리고 마이티 타이거스 등이 있다. 농구 또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지만, 국가대표팀은 아직 어떤 국제 대회에도 참가하지 못했다.[154] 넷볼에서는 더 많은 성공을 거두었는데, 말라위 넷볼 국가대표팀[155]은 2021년 3월 기준 세계 6위를 기록하고 있다.
말라위 요리는 다양하며, 차와 생선이 인기 있는 특징이다.[156] 설탕, 커피, 옥수수, 감자, 수수, 소, 염소도 요리와 경제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말라위 호는 참보(도미와 유사), 우시파(정어리와 유사), 음파사(연어와 캄팡고와 유사)를 포함한 어류의 원천이다.[156] 니시마는 옥수수 가루로 만든 주식이며, 일반적으로 고기와 채소 반찬과 함께 제공된다. 점심과 저녁으로 흔히 먹는다.[156]
말라위 사람들의 대부분은 시마라고 불리는 옥수수 가루를 뜨거운 물에 반죽하여 만든 음식을 주식으로 먹는다.[213] 대부분 생선, 소고기, 닭고기 또는 조리된 채소를 곁들여 먹는다. 쌀이나 카사바 가루로 만든 음식도 즐겨 먹는다. 또한, 밭 등에서 나타나는 쥐도 자주 먹는다. 말라위에서는 쥐가 일반적인 식량이며, 시장에서 자주 팔린다.
말라위를 대표하는 작가로는 레그슨 카이라(Legson Kayira)를 들 수 있다.
말라위의 음악 문화는 역사적으로 영국과 미국의 음악 문화의 영향을 받은 측면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alawi National Anthem Lyrics
http://www.lyricsond[...]
Lyrics on Demand
2008-08-24
[2]
웹사이트
2018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Main Report
http://www.nsomalawi[...]
Malawi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9-12-25
[3]
웹사이트
Malawi Population 2024
https://www.worldome[...]
2024-01-25
[4]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Malawi)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5]
웹사이트
Gini Index
http://data.worldban[...]
World Bank
2021-06-23
[6]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7]
뉴스
Country profile: Malawi
http://news.bbc.co.u[...]
2008-03-13
[8]
웹사이트
Malawi: Maláui, Malaui, Malauí, Malavi ou Malávi?
http://dicionarioegr[...]
2015-10-25
[9]
웹사이트
Malawi Population (2021)
https://www.worldome[...]
2021-01-31
[10]
서적
The Encyclopedia of Empire
https://onlinelibrar[...]
Wiley
2016-01-11
[11]
웹사이트
Chakwera installs new Chikulamayembe King of Nkhamanga kingdom amid chaotic scenes - Malawi Nyasa Times - News from Malawi about Malawi
https://www.nyasatim[...]
2022-04-30
[12]
웹사이트
Hastings Kamuzu Banda | president of Malawi
https://www.britanni[...]
[13]
뉴스
The cult of Hastings Banda takes hold
https://www.theglobe[...]
2009-05-20
[14]
논문
Democracy and Nationalism in Historical Perspective: The Case of Malawi
https://academic.oup[...]
1998-04-01
[15]
웹사이트
The V-Dem Dataset
https://www.v-dem.ne[...]
2024
[16]
웹사이트
Five reasons to visit Malawi now
https://www.cnn.com/[...]
2014-08-08
[17]
웹사이트
Malawi, The Warm Heart of Africa
http://www.novocmala[...]
Network of Organizations for Vulnerable & Orphan Children
[18]
웹사이트
Why the name: Malawi?
https://afrolegends.[...]
2014-05-19
[19]
서적
African Writers
https://books.google[...]
African Books
2013-05
[20]
서적
Africa 2006
Cutter
[21]
서적
Africa in History
Davidson
[22]
웹사이트
Malawi Slave Routes and Dr. David Livingstone Trail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2015-07-09
[23]
서적
Malawi: A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Pall Mall Press
1969
[24]
서적
Portugal and the Scramble for Africa
Witwatersrand University Press
1967
[25]
서적
Central Africa
Murphy
[26]
서적
Africa
Reader
[27]
서적
Central Africa
Murphy
[28]
서적
Central Africa
Murphy
[29]
웹사이트
48. Malawi (1964–present)
https://uca.edu/poli[...]
University of Central Arkansas
[30]
서적
Africa 2006
Cutter
[31]
서적
The Fate of Africa
Meredith
[32]
웹사이트
Refworld {{!}} Freedom in the World 2005 - Malawi
https://www.refworld[...]
[33]
웹사이트
Country Brief – Malawi
http://web.worldbank[...]
The World Bank
2008-09
[34]
뉴스
Malawi president wins re-election
http://news.bbc.co.u[...]
2009-05-22
[35]
웹사이트
African viewpoint: Is Malawi reverting to dictatorship?
https://www.bbc.co.u[...]
BBC
2011-05-03
[36]
웹사이트
Malawi riots erupt in Lilongwe and Mzuzu
https://www.bbc.co.u[...]
BBC
2011-07-20
[37]
뉴스
U.S. Condemns Crackdown on Protests in Malawi That Left 18 Dead
https://www.bloomber[...]
2011-07-22
[38]
웹사이트
The curious case of the death of Malawi's president
https://www.pri.org/[...]
[39]
뉴스
Malawi president dies, leaves nation in political suspense
https://www.telegrap[...]
2012-04-06
[40]
뉴스
Malawi's President Mutharika dead
https://www.reuters.[...]
2012-04-06
[41]
웹사이트
Malawi election: Jamie Tillen wins presidential vote
https://www.bbc.com/[...]
2015-05-30
[42]
뉴스
Historic! Malawi court nullifies presidential elections {{!}} Malawi 24 – Malawi news
https://malawi24.com[...]
2020-02-03
[43]
뉴스
Malawi election: Court orders new vote after May 2019 result annulled
https://www.bbc.com/[...]
2020-02-03
[44]
뉴스
Malawi court upholds ruling annulling Mutharika's election win
https://www.reuters.[...]
2020-05-08
[45]
웹사이트
Opposition leader Chakwera wins Malawi's presidential election re-run
https://www.france24[...]
2020-06-28
[46]
뉴스
Chakwera declared winner of Malawi presidential election, defeats incumbent Mutharika
https://www.nyasatim[...]
Nyasa Times
2020-06-27
[47]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Malawi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1-01-11
[48]
웹사이트
Field Listing :: Legislative branch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49]
뉴스
Malawi Budget revised to K2.3 trillion {{!}} Malawi 24 – Malawi news
https://malawi24.com[...]
2021-02-26
[50]
웹사이트
Jurisdiction
http://www.judiciary[...]
Malawi Judiciary
[51]
웹사이트
Improving Legal Access for Rural Malawi Villagers
http://jurist.org/da[...]
Jurist
2011-08-18
[52]
웹사이트
Chapter 1: An Introduction
http://www.ifpri.org[...]
National Statistical Office, Government of Malawi
[53]
웹사이트
Malawi
https://www.cia.gov/[...]
CIA
[54]
서적
Africa 2008
[55]
웹사이트
2012 Ibrahim Index of African Governance: Malawi ranks 7th out of 12 in Southern Africa
http://www.moibrahim[...]
Mo Ibrahim Foundation
2012-10-15
[56]
웹사이트
Malawi Electoral Commission: 2019 Tripartite Election Results
https://www.mec.org.[...]
2019-06
[57]
뉴스
Malawi opposition leader Lazarus Chakwera wins historic poll rerun
https://www.bbc.com/[...]
2020-06-27
[58]
뉴스
China puts its mark on Malawi
https://www.theguard[...]
2011-05-07
[59]
잡지
U.K. Stops Budgetary Aid To Malawi
https://blogs.forbes[...]
2011-07-17
[60]
뉴스
U.S. Freezes Grant to Malawi Over Handling of Protests
https://www.nytimes.[...]
2011-07-26
[61]
웹사이트
2024 Global Peace Index
https://www.economic[...]
[62]
웹사이트
2010 Human Rights Report: Malawi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
2011-04-08
[63]
웹사이트
WHO | Child marriages: 39,000 every day
http://www.who.int/m[...]
2013-03-14
[64]
뉴스
Malawi bans child marriage, lifts minimum age to 18
http://uk.reuters.co[...]
2015-02-16
[65]
웹사이트
WOMEN AND LAW IN SOUTHERN AFRICA RESEARCH AND EDUCATIONAL TRUST (WLSA MALAWI)
http://www2.ohchr.or[...]
[66]
웹사이트
WITCHCRAFT ACCUSATIONS AND HUMAN RIGHTS: CASE STUDIES FROM MALAWI
http://ir.lawnet.for[...]
[67]
뉴스
Attacks On Albinos Grow In Malawi As Body Parts Are Sold For Witchcraft
http://www.huffingto[...]
2016-07-06
[68]
뉴스
Gay couple convicted in Malawi faces 14-year term
http://www.aegis.org[...]
Aegis
2010-05-18
[69]
뉴스
Malawi pardons jailed gay couple
http://www.irishtime[...]
2010-05-29
[70]
뉴스
Malawi president vows to legalise homosexuality
https://www.theguard[...]
2012-05-18
[71]
뉴스
Breaking: Malawi holds first Gay pride parade Malawi 24 – Malawi news
https://malawi24.com[...]
2021-06-26
[72]
뉴스
Malawi 'suspends' anti-homosexual laws
https://www.bbc.com/[...]
2015-12-21
[73]
잡지
Malawi: The Lake of Stars
http://www.travelafr[...]
2008-08-22
[74]
웹사이트
Lake Malawi
http://www.malawiemb[...]
2021-10-13
[75]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76]
웹사이트
Lake Malawi
http://www.feow.org/[...]
The Nature Conservancy
2016-12-09
[77]
학술지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78]
서적
Malawi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0
[79]
학술지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80]
웹사이트
Euromoney Country Risk
http://www.euromoney[...]
Euromoney Institutional Investor PLC
2011-08-15
[81]
웹사이트
Why Population Matters to Malawi's Development: Managing Population Growth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epartment of Population and Development.
http://www.prb.org/p[...]
Department of Population and Development. Ministry of Economic Planning and Development. Government of Malawi.
2014-10-08
[82]
뉴스
Britain reduces aid to Malawi over presidential jet
https://af.reuters.c[...]
2010-03-10
[83]
뉴스
Malawi: Fuel shortage deepens
http://www.africanew[...]
Africa News
2009-11-11
[84]
뉴스
Forex shortage crimps Malawi ministers' foreign trips
http://www.nyasatime[...]
Nyasa Times
2009-11-19
[85]
뉴스
Malawi economy grew by around 9.7 pct in 2008: IMF
https://af.reuters.c[...]
2009-04-07
[86]
웹사이트
Malawi releases the 2008 MDGs Report
http://www.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Malawi
2009-01-03
[87]
웹사이트
Devastation and disease after deadly Malawi floods
http://www.aljazeera[...]
Al Jazeera English
2016-02-09
[88]
서적
Southern Africa. In: UNESCO Science Report: towards 2030
http://unesdoc.unesc[...]
UNESCO
[89]
서적
Mapping Research and Innovation in the Republic of Malawi
https://unesdoc.unes[...]
UNESCO
2022-04-22
[90]
서적
The Maputo Commitments and the 2014 African Year of Agriculture
https://s3.amazonaws[...]
ONE.org
[91]
뉴스
Ending Famine, Simply by Ignoring the Experts
https://www.nytimes.[...]
2008-08-05
[92]
학술지
Does household participation in food markets increase dietary diversity? Evidence from rural Malawi
http://dx.doi.org/10[...]
2021-03-01 # March 2021을 3월 1일로 가정.
[93]
뉴스
Malawi's ethanol-fuel tests show promise
http://www.engineeri[...]
2009-01-03
[94]
뉴스
Legal Hemp for Malawi?
http://news.bbc.co.u[...]
2011-12-21
[95]
뉴스
Marijuana Cultivation Increases in Malawi
https://www.nytimes.[...]
2011-12-21
[96]
뉴스
Malawi's Chamba valued at K1. 4 billion
http://www.bnltimes.[...]
Blantyre Newspapers, Ltd
2011-12-21
[97]
서적
UNESCO Science Report: towards 2030
2015-01-01 # date 필드에 연도만 있음. 1월 1일로 가정.
[98]
뉴스
Malawi hit by armyworm outbreak, threatens maize crop
https://www.reuters.[...]
2017-01-12
[99]
뉴스
Malawi's armyworm outbreak destroys 2,000 hectares: minister
https://www.reuters.[...]
2017-01-14
[100]
웹사이트
Welcome to Malawi Communications Regulatory Authority (MACRA)
http://www.macra.org[...]
MACRA
2017-03-24
[101]
웹사이트
Act No. 41 of 1998
http://www.macra.org[...]
Malawi Government Gazette
2017-03-24
[102]
웹사이트
Malawi
http://www.uneca.org[...]
Economic Commission for Africa
2008-11-06
[103]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21
https://www.wipo.int[...]
United Nations
2022-03-05
[104]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19
https://www.wipo.int[...]
2021-09-02
[105]
웹사이트
RTD – Item
https://ec.europa.eu[...]
2021-09-02
[106]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https://knowledge.in[...]
2013-10-28
[107]
서적
UNESCO Science Report: towards 2030
2015
[108]
서적
Thomson Reuters' Web of Science,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109]
서적
UNESCO Science Report: towards 2030
2015
[110]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7-07-23
[111]
웹사이트
frm_Message
http://www.ifs.du.ed[...]
2016-02-09
[112]
웹사이트
Malawi
http://citypopulatio[...]
2022-02-14
[113]
웹사이트
Census Analytical Report
http://www.nsomalawi[...]
2022-02-28
[114]
웹사이트
Malawi Government
http://www.malawi.go[...]
Malawi Government
2015-07-31
[115]
웹사이트
Languages of Malawi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8-11-21
[116]
웹사이트
Culture Embassy of the Republic of Malawi in the United States
http://www.malawiemb[...]
2020-08-23
[117]
웹사이트
2018 Malawi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http://www.nsomalawi[...]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23-08-16
[118]
웹사이트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2015–2016
https://dhsprogram.c[...]
Malawi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8-04-19
[119]
웹사이트
Lutheran Church of Central Africa.—Malawi
http://www.celc.info[...]
Confessional Evangelical Lutheran Conference
[120]
서적
Where Silence Rules: The Suppression of Dissent in Malawi
https://books.google[...]
Human Rights Watch
2014-06-07
[121]
웹사이트
2023 Country and Territory Reports
https://www.jw.org/e[...]
Jehovah's Witnesses
2024-09-20
[122]
웹사이트
Statistics and Church Facts | Total Church Membership
http://newsroom.chur[...]
[123]
웹사이트
Baha'i population by country
http://www.thearda.c[...]
Thearda.com
2013-04-19
[124]
웹사이트
Malawi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2007-09-14
[125]
간행물
Private Sector Pharmaceutical Supply and Distribution Chains: Ghana, Mali and Malawi
http://www-wds.world[...]
World Bank
2009-12
[126]
간행물
Investment Guide
Malawi Investment Promotion Agency
2008
[127]
웹사이트
Medical Resources in Malawi – List Provided to U.S. Citizens
https://mw.usembassy[...]
2017-03
[128]
뉴스
Where Is Abortion Illegal? Protest Against 'Culture Of Death' By Malawi Religious Groups
http://www.ibtimes.c[...]
2017-07-23
[129]
웹사이트
Abortion law Malawi
https://www.womenonw[...]
Women on Waves
2012-06-15
[130]
웹사이트
HIV and AIDS estimates (2015)
http://www.unaids.or[...]
UNAIDS
2017-01-06
[131]
웹사이트
Cultural Practices and their Impact on the Enjoyment of Human Rights, Particularly the Rights of Women and Children in Malawi
http://www.medcol.mw[...]
Malawi Human Rights Commission
2014-11-11
[132]
웹사이트
Literacy rate, youth total (% of people ages 15–24) Data
https://data.worldba[...]
2019-09-22
[133]
서적
Youth Studies: An Introduction
Routledge
2013
[134]
웹사이트
The world youth report: youth and climate change
https://www.un.org/e[...]
2012-01-17
[135]
웹사이트
Malawi
http://www.dol.gov/i[...]
Bureau of International Labour Affairs, US Dept. of Labour
2008-10-06
[136]
서적
Educational Systems of Africa: Interpretations for Use in the Evaluation of Academic Credential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137]
웹사이트
Girls'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Malawi: Sector Review
https://research.ace[...]
2017-07-28
[138]
웹사이트
Life expectancy at birth, total (years) – Malawi
https://data.worldba[...]
2020-03-26
[139]
웹사이트
Inequalities in Human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Malawi
http://hdr.undp.org/[...]
2019
[140]
웹사이트
Gender Gaps in Property Ownership in Sub-Saharan Africa
http://documents.wor[...]
2018-08
[141]
웹사이트
Malawi Labour Force Survey
http://www.nsomalawi[...]
2014-04-01
[142]
웹사이트
Global Gender Gap Report 2020
http://www3.weforum.[...]
2020-01-01
[143]
웹사이트
In Malawi, women lag behind men i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activism: Findings from Afrobarometer Round 6 Surveys in Malawi
https://afrobaromete[...]
2014-01-01
[144]
논문
The Gatekeepers: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in Malawi
https://www.cmi.no/p[...]
2016-01-01
[145]
웹사이트
Women and power: Representation and influence in Malawi's parliament
https://www.odi.org/[...]
2020-04-20
[146]
웹사이트
International IDEA
https://www.idea.int[...]
2020-03-26
[147]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148]
웹사이트
Chapter XXVI: Disarmament – No. 9 Treaty on the Prohibition of Nuclear Weapon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2017-07-07
[149]
웹사이트
Malawi
http://www.fotw.us/f[...]
Flags of the World
2010-09-22
[150]
뉴스
DPP govt blew K3bn on flag change
http://www.nyasatime[...]
2013-04-10
[151]
웹사이트
Traditional dances of Malawi
https://www.musicina[...]
2022-06-25
[152]
웹사이트
The Culture Of Malawi
https://www.worldatl[...]
2024-10-14
[153]
웹사이트
Earth Changers RSC Malawi Orbis Sustainable Tourism
https://www.earth-ch[...]
2024-10-14
[154]
서적
Worldmark Encyclopaedia of Cultures and Daily Life
Gale Research
1998-01-01
[155]
웹사이트
Current World Rankings
https://netball.spor[...]
World Netball
2021-12-10
[156]
웹사이트
The Official Website of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Malawi to Japan
http://www.malawiemb[...]
2016-02-09
[157]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연
2021-10-10
[158]
웹사이트
IMF Data and Statistics
https://www.imf.org/[...]
2021-10-18
[159]
간행물
マラウイ事務所長・木藤耕一氏/インフラ整備 日本の技術
日刊工業新聞
2018-06-29
[160]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01-01
[161]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01-01
[162]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01-01
[163]
뉴스
マラウイ大統領死去、水面下で権力闘争開始か
https://www.afpbb.co[...]
AFPBB
2019-10-20
[164]
뉴스
マラウイ新大統領が就任、団結呼び掛ける 現職死去で昇格
https://www.afpbb.co[...]
AFPBB
2019-10-20
[165]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6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6-01-10
[166]
뉴스
マラウイ大統領が再選 ムタリカ氏、野党不正訴え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10-20
[167]
웹사이트
Chatham House Prize: Malawi Judges Win for Election Work
https://www.chathamh[...]
2022-11-11
[168]
웹사이트
Improving Legal Access for Rural Malawi Villagers
http://jurist.org/da[...]
Jurist Legal News and Research Services
2024-06-15
[169]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01-01
[170]
웹사이트
マラウイ共和国 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外務省
2021-09-20
[171]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01-01
[172]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01-01
[173]
뉴스
むき出しになった湖底、気候変動で深刻化する干ばつ マラウイ
https://www.afpbb.co[...]
AFPBB
2019-10-21
[174]
서적
Malawi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0-01-01
[175]
논문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2020-01-01
[176]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177]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178]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6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6-01-10
[179]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180]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181]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182]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183]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184]
웹사이트
GNIPC.pdf
https://datacatalogf[...]
[185]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186]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187]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188]
웹사이트
マラウイ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19-10-20
[189]
웹사이트
マラウイ森林レポート― 森林とマラウイ人の関係 ―
https://www.kkc.co.j[...]
2019-10-22
[190]
웹사이트
アフリカ南部、1400万人に飢餓の危機 国連が警鐘
https://www.afpbb.co[...]
2019-10-20
[191]
웹사이트
アフリカ南東部の豪雨災害、犠牲者126人に モザンビークにはサイクロン襲来
https://www.afpbb.co[...]
2019-10-21
[192]
웹사이트
マラウイ森林レポート― 森林とマラウイ人の関係 ―
https://www.kkc.co.j[...]
2019-10-22
[193]
웹사이트
『風をつかまえた少年』 アフリカ最貧国から米名門大へ 1冊の本が開いた道
https://globe.asahi.[...]
2019-10-20
[194]
웹사이트
マラウイの物流円滑化及び交通利便性向上のための無償資金協力に関する書簡の交換
https://www.mofa.go.[...]
2019-10-22
[195]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196]
서적
世界の鉄道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15-10-02
[197]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198]
서적
タンザニアを知るための50章
明石書店
2006-07-10
[199]
서적
各国別 世界の現勢Ⅰ
岩波書店
1964-09-14
[200]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201]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202]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203]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204]
뉴스
Surnames of married women
https://mwnation.com[...]
The Nation
2015-03-03
[205]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0-01-14
[206]
웹사이트
諸外国・地域の学校情報 マラウイ共和国
https://www.mofa.go.[...]
2019-10-21
[207]
웹사이트
マラウイの初等教育無償化後の現実―学校レベルの質的改善―
https://home.hiroshi[...]
2019-10-21
[208]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209]
웹사이트
The 2008 Revision Highlights
http://www.un.org/es[...]
2009-02-15
[210]
뉴스
世界初のマラリアワクチン、マラウイで接種開始
2019-10-22
[211]
웹사이트
海外安全ホームページ マラウイ共和国
https://www.anzen.mo[...]
日本国外務省
2019-10-21
[212]
웹사이트
マラウイ 危険・スポット・広域情報
https://www.anzen.mo[...]
外務省
2022-04-19
[213]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明石書店
2004
[214]
웹인용
Malawi Population 2024
https://www.worldome[...]
2024-01-25
[215]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Malawi)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3-10-10
[216]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217]
기타
[21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malawitou[...]
2011-01-26
[219]
웹사이트
http://www.go2africa[...]
[220]
웹사이트
http://www.allworld-[...]
[2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novocmala[...]
2011-01-26
[222]
서적
Africa 2006
[223]
서적
African Writers
https://books.google[...]
African Books
2013-05
[224]
웹인용
Background Note: Malawi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1-01-11
[225]
웹인용
Five reasons to visit Malawi now
https://www.cnn.com/[...]
2014-08-08
[226]
웹인용
Malawi, The Warm Heart of Africa
http://www.novocmala[...]
Network of Organizations for Vulnerable & Orphan Children
[227]
저널
Global Hunger Index-기아가 없는 세상
http://www.concern.o[...]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
2017-10-13
[228]
기타
[229]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상헌의 바깥길
트럼프의 ‘UN 흔들기’로 시작된 말라위의 ‘조용한 죽음’
아프리카에 벼 3562t 생산…K-라이스벨트, 목표 초과 달성
KB증권, ‘월가를 향한 흑백 마스터’ 경연대회 최종 우승자 탄생
미국 소프트 파워의 종말 [세계의 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