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스카이아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스카이아는 스페인 바스크 자치 지방에 위치한 주로, '낮은 언덕'을 의미하는 바스크어에서 유래했다.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있으며, 로마 시대에는 카리스티족과 아우트리고네스족이 거주했다. 9세기 말부터 비스카이아라는 이름이 등장하며, 중세 시대에는 카스티야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16세기부터 빌바오 항구의 중요성이 커졌고, 산업 혁명 이후에는 철광석 발견으로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스페인 내전과 프랑코 독재 시기를 거쳐, 1978년 헌법과 1979년 게르니카 헌장을 통해 바스크 자치 공동체를 형성했다. 비스카이아는 칸타브리아 해와 접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를 가진다. 현재 7개의 코마르카로 나뉘며, 빌바오를 중심으로 한 대(大) 빌바오가 주요 지역이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도로, 공항, 철도, 지하철 등이 있으며,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게르니카의 집회소, 비스카이아 다리 등이 주요 관광 명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스카이아도 - 지멘스 가메사
    지멘스 가메사는 풍력 터빈 제조 및 풍력 발전소 개발에 주력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지멘스와 가메사의 합병으로 2017년 설립되어 2022년 지멘스가 완전 소유하게 되었으며, 해상 및 육상 풍력 터빈을 생산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제공을 위해 노력한다.
비스카이아도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비스카이아 문장
비스카이아 문장
공식 명칭비스카이아 역사적 영토
현지 명칭 (바스크어)Bizkaiko Lurralde Historikoa
현지 명칭 (스페인어)Territorio Histórico de Vizkaia
별칭비스카이
기본 정보
국가스페인
자치 지방바스크 지방
수도빌바오
면적2,217 km²
인구 (2023년)1,153,282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순위스페인 내 9위
인구 비율2.47%
주민비스카이아인, 비스카야인, bizkaitar(ra) (바스크어), vizcaíno/a (스페인어)
공식 언어바스크어, 스페인어
우편 번호48
ISO 3166-2ES-BI
의회후안타스 헤네랄레스
하원 의석수8
상원 의석수4
비스카이아 의회 의석수51
웹사이트비스카이아 지방 의회
정치
도의회 의장엘릭사베테 엣사노베
소속 정당PNV
지리
스페인 내 비스카이아 위치
스페인 내 비스카이아 위치

2. 어원 및 표기

콜도 미첼레나와 같은 언어학자들은 비스카이아가 '낮은 언덕' 또는 '돌출부'를 의미하는 ''bizkar''(아키텐비스카로스 참조)와 어원이 같다고 본다. 이 두 지명 변형은 바스크 지역 전체와 그 밖의 지역에서 잘 나타난다.[3] 1141년에 산세바스티안의 이겔도 산에 대해 언급된 ''Iheldo bizchaya''가 이를 뒷받침한다.[4]

비스카이아(Bizkaia)는 공식 명칭이며, 공식 문서와 국가 언론에서 사용된다. 또한 스페인 헌법의 바스크어 버전과 바스크 자치구 자치 규약에서도 사용되는 이름이다. 도 의회와 스페인 법률에 의해 역사적 영토에 대해 승인된 스페인어 또는 바스크어의 유일한 공식 명칭이다.

비스카이아는 스페인어화된 이름의 변형으로, 왕립 스페인어 학술원이 권장하는 바에 따라 비공식 문서에서 사용된다. 또한 스페인어 버전의 헌법과 바스크 자치 지역 자치 규약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이기도 하다.

바스크어에서는 Bizkaia(비스카이아)로 표기된다. 에우스칼차인디아(바스크어 학술원)는 이 표기를 권장하며, 일반적으로 바스크어 공문서에 사용된다. 스페인어 문서에도 사용되며, 스페인령 바스크의 미디어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기이다. 스페인 1978년 헌법의 바스크어판과 Euskal Autonomia Erkidegoko Estatutua|바스크 자치 헌장eu(게르니카 헌장)의 바스크어판에도 사용되는 표기이다. 또한, 비스카야 도 의회에 따르면 역사적인 지역으로서의 비스카야를 나타낼 때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공식 표기이다.

스페인어에서는 Vizcaya(비스카야)로 표기된다. 레알 아카데미아 에스파뇰라(스페인 왕립 학술원)는 이 표기를 권장하며, 공식적이지 않은 많은 문서에 사용되는 것 외에, 많은 스페인어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스페인 헌법의 스페인어판과 바스크 자치 헌장의 스페인어판에도 사용되는 표기이다.

3. 역사

비스카이아는 중기 구석기 시대부터 네안데르탈인이 거주했던 지역으로, 무스티에 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18] 호모 사피엔스오리냐크 문화를 시작으로 여러 문화를 거치며 정착했다.[18] 로마 제국의 영향은 거의 미치지 못했고,[5] 바스크어와 전통은 오늘날까지 살아남았다.

825년경 바이킹은 문다카에 상업 기지를 두었으나, 이후 추방되었다.[6] 비스카이라는 이름은 9세기 말 알폰소 3세 연대기에 처음 등장하며,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알폰소 1세의 명령에 따라 재정착된 지역 중 하나로 언급된다. 10세기 로다 코덱스에는 산초 1세 (팜플로나)의 딸과 알라바 백작의 결혼 이야기에 비스카이가 다시 등장한다. 1070년에는 문다카 리아에 위치한 ''비카가 수도원''에 대한 기증 행위에 기록되어 있다.[7]

이 시기에 비스카이는 나바라 왕국의 통치를 받았다고 여겨진다.[8] 이후 자치 영토가 되었고, 비스카이 영주국으로서 카스티야 왕관의 일부가 되었다.

근세에 이 지역은 주요 상업 및 산업 지역이 되었다. 빌바오 항구는 유럽으로 가는 주요 카스티야 관문이 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양질의 철광석과 농노제가 없어서 급속한 산업화가 이루어졌다.

1575년의 빌바오


카를리즘의 장군 토마스 데 수말라카르기가 부상을 입은 집과 빌바오 포위전 이후 1835년의 베고냐 대성당


로마 시대의 지리학자들은 현재 비스카이로 알려진 지역에 ''카리스티족''과 ''아우트리고네스족''이 존재한다고 기록했다. 이들은 바스크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9] 로마의 점령에 대한 저항은 후기 봉건 시대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게르니카 근처 포루아 유적지에서 로마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Forua의 로마 시대 유적


후기 로마 시대에 비스카이는 바스크 지방의 다른 지역과 함께 로마의 지배와 봉건주의에 반기를 들었다. 초기 중세 시대 비스카이의 역사는 바스크 지방 전체의 역사와 분리될 수 없었다. 이 지역은 서고트족과 프랑크 왕국이 지배력을 행사하려 했지만, 사실상 독립 상태였다.

11세기와 12세기에 카스티야 왕국나바라 왕국 사이의 갈등에서, 카스티야인들은 하로 가문의 지원을 받았다. 이들은 결국 새롭게 창설된 비스카이의 지배권을 받았다. 이니고 로페스가 1043년에 최초의 비스카이 영주였다는 전통이 있다. 영주는 푸에로를 옹호하고 유지할 것을 맹세했는데, 푸에로는 영주의 주권을 가진 자는 비스카이인이며, 영주를 거부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21] 영주와 왕들은 게르니카의 참나무 앞에서 서약을 했다.

포르투갈레테에 있는 로페 가르시아 데 살라자르(1399-1476)의 탑 가옥 맞은편 기념비


현대 시대에 들어서면서 상업은 큰 중요성을 갖게 되었고, 특히 빌바오 항구의 중요성이 커졌다. 1628년에는 두랑고가 비스카이에 편입되었다. 같은 세기에 비스케이 서쪽의 자치단체들도 편입되어 엔카르타시오네스 (Enkarterriak)가 되었다. 해안 마을들은 어업과 무역에 종사했으며, 비스케이 만에서 북대서양 참고래의 멸종과 뉴펀들랜드에 유럽인들의 정착에 기여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비스케이는 스페인 코르테스에 의해 자치권을 삭감될 위협을 받았다. 카를리스트 전쟁은 이러한 자치권 유지에 대한 열망에 기여했다. 비스케이 정부는 카를로스 5세를 지지했지만, 빌바오는 마드리드의 자유주의 정부와 연대했다. 결국 전쟁은 광범위한 자치권의 삭감으로 이어졌다.

1850년대에 비스케이에 광범위한 최고 품질의 철광석 광산이 발견되어 산업화가 가속화되었다. 산업 혁명과 함께, 중요한 부르주아 가문들이 성장했다. 거대한 산업 및 금융 그룹이 창설되었다.

바스크 기관의 상징인 역사적인 게르니카의 참나무


스페인 제2공화국 시대에 바스크 민족주의당(PNV)이 비스카이아를 통치했다. 스페인 내전 발발 후, 비스카이아는 공화파를 지지했다. 최초의 바스크 자치 공동체는 비스카이아와 몇몇 인근 마을에만 권한을 행사했다. 빌바오 주변에 철의 벨트라고 불리는 방어 시설이 건설되었지만, 기술자의 귀순으로 미완성된 채 함락되었다. 1937년, 게르니카가 파괴되고 빌바오가 함락되었다.

프랑코 독재 하에서 비스카이아는 "반역 지방"으로 선포되어 자치권을 박탈당했다. 1975년 프랑코 사후 민주주의가 회복되었다. 1978년 헌법은 바스크 법률(푸에로)을 인정했고, 1979년 게르니카 헌장이 승인되어 바스크 자치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최근에는 포랄법이 우르두냐 시와 마을에까지 확대 적용되도록 개정되었다.

3. 1. 선사 시대

비스카이아는 구석기 시대 중기부터 네안데르탈인이 거주했던 지역으로, 무스티에 문화 유물이 벤타 라페라, 쿠르치아, 무루아 등지에서 발견되었다. 샤텔페론 문화 유물은 산티마미녜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호모 사피엔스오리냐크 문화, 그라베트 문화, 솔루트레 문화, 마들렌 문화를 거치며 정착했다. 벤타 라페라 동굴에는 동굴 벽화가 있으며, 아레나자와 산티마미녜에는 들소, 말, 염소, 사슴 등이 그려진 벽화가 남아있다.[18]

중석기 시대에는 아질 문화가 주를 이루었고, 도구는 더 작고 정교해졌다. 어업과 해산물 채집, 야생 과일 소비가 증가했다. 산티마미녜 외에도 아레나차, 아체타, 루멘차 등지에 유적이 있다.

신석기 시대에는 거석 문화가 등장하여 돌멘이 일반적인 매장 형태로 자리 잡았다. 농작물 재배와 가축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아레나자, 산티마미녜, 코베아가 등에서 관련 유물이 발견되었다.[18]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에는 야외 정착지가 늘어났지만, 여전히 동굴과 자연 은신처도 사용되었다. 사냥의 비중은 줄고 가축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으며, 금속 도구와 석기가 함께 사용되었다. 비커 문화의 영향으로 장식 없는 도자기가 나타났다. 이 시기 유적은 비스카이아 전역에 분포하며, 일부 동굴에서는 여전히 사람이 살았다.[18]

3. 1. 1. 구석기 시대

비스카이아에서는 네안데르탈인의 거주 흔적이 중기 구석기 시대부터 나타난다. 무스티에 문화 유물은 벤타 라페라(카란차), 쿠르치아(게초), 무루아(두랑고알데아) 세 곳에서 발견되었다. 산티마미녜 동굴(코르테주비)에서는 샤텔페론 문화 (주로 네안데르탈인과 연관됨) 유물이 발견되었다.[18]

호모 사피엔스의 주요 정착지는 다음과 같다:

  • 오리냐크 문화: 벤타 라페라, 쿠르치아, 루멘차(레케이티오)
  • 그라베트 문화: 산티마미녜, 볼린코바(두랑고알데아), 아추라(마르키나)
  • 솔루트레 문화: 산티마미녜, 볼린코바
  • 마들렌 문화: 산티마미녜, 루멘차


구석기 예술 또한 존재한다. 벤타 라페라 동굴에는 가장 오래된 동굴 벽화가 있으며, 오리냐크 문화 또는 솔루트레 문화 시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들소이 추상적인 기호와 함께 그려져 있다. 아레나자(갈다메스)와 산티마미녜의 벽화는 후기(마들렌 문화)에 제작되었다. 아레나자에서는 암사슴이 주로 그려졌고, 산티마미녜에는 들소, 말, 염소, 사슴이 등장한다.[18]

부스투리알데아의 산티마미녜 동굴 입구

3. 1. 2. 중석기 시대

이 시기(때로는 중석기 시대라고도 함)는 비스케이에서 아질 문화가 지배적이었다. 도구는 더 작고 정교해졌으며, 사냥이 여전히 존재했지만, 어업과 해산물 채집이 더 중요해졌다. 야생 과일의 소비에 대한 증거도 있다. 산티마미녜는 이 시기의 가장 중요한 유적지 중 하나이다. 다른 유적지로는 아레나차, 아체타 (산티마미녜에서 멀지 않음), 루멘차 및 인근 우르티아가와 산타 카탈리나, 볼린코바와 인접한 실리브란카가 있다.

3. 1. 3. 신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기술과 함께 거석 문화도 등장한다. 이는 가장 일반적인 매장 형태(단순한 돌멘)가 된다.[5] 바스크 지방에서 신석기 시대 접촉의 최초 증거는 기원전 4천년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이 지역이 농작물 재배와 양의 가축화 발전을 점진적으로, 급격한 변화 없이 받아들인 것은 기원전 3천년기가 시작될 무렵이었다. 비스카이아는 이러한 변화의 영향을 특별히 받지 않았으며, 이 시기에 아레나자, 산티마미네, 코베아가(Ea) 세 곳의 유적지만 언급할 수 있고, 초기에 채택된 발전은 양, 가축화된 염소, 매우 희귀한 도기에 국한된 것으로 보인다.

3. 1. 4. 청동기 및 철기 시대

인구가 증가하면서 야외 정착지가 일반화되기 시작했지만, 비스카이아에서는 구리 시대와 청동기 시대에도 여전히 동굴과 자연 은신처를 사용했다. 사냥은 양, 염소, 일부 소과 가축에 의존하게 되면서 단백질의 덜 중요한 공급원이 되었다. 금속 도구가 더욱 흔해졌지만, 석기도 사용되었다.[5]

도자기 종류는 벨 비커가 등장할 때까지 장식이 없는 상태로 큰 연속성을 보였다. 이 시대의 유적은 현재 비스카이아 전체 지역을 포괄하며, 많은 곳이 야외 정착지이지만, 구석기 시대의 가장 중요한 동굴도 여전히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 대한 유적지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동굴은 대부분 버려졌지만, 여전히 몇몇 유물이 발견된다. 선사 시대의 주요 동굴(아레나차, 산티마미네, 루멘차)에는 여전히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5]

3. 2. 고대 로마 시대



로마 시대의 지리학자들은 현재 비스카이로 알려진 지역에 카리스티족과 아우트리고네스족이라는 두 부족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카리스티족은 빌바오 만 동쪽의 핵심 비스카이에 거주했으며, 북부 아라바와 기푸스코아의 데바 강까지 뻗어 있었다. 아우트리고네스족은 비스카이와 아라바의 가장 서쪽 지역에 거주했으며, 칸타브리아, 부르고스, 라리오하 주로 확장되었다. 지명, 역사적,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 부족들은 바스크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9] 바스크어의 비스카이 방언의 경계는 카리스티족의 영토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며, 고대 언어를 잃어버린 지역은 예외이다.

로마의 점령에 대한 저항의 징후는 바스크 지역 전체(아키텐 제외)에서 후기 봉건 시대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로마 자료는 이 지역에 플라비오브리가와 포르투스 아마누스 등 여러 도시를 언급하지만, 그 위치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게르니카 근처 포루아 유적지에서 로마의 흔적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다.

3. 3. 중세 시대

서고트족과 프랑크 왕국이 수시로 지배력을 행사하려 했지만, 비스카이는 사실상 독립 상태였다.[21] 서고트족은 이민족의 침입과 바스크족의 북부 해안 지역으로부터의 이주에 대응하기 위해, 이후 비토리아-가스테이츠가 되는 지역에 전초 기지를 세웠다.[21]

905년, 레온 연대기에서는 처음으로 팜플로나 왕국이 서부 바스크 자치 지방 전체와 리오하 지역을 포함한다고 정의했다. 이후 비스카이를 구성하게 될 영토는 이 국가에 포함되었다.[21]

11세기와 12세기에 새로 주권을 얻은 카스티야 왕국과 팜플로나/나바라 왕국 사이의 갈등에서, 카스티야인들은 카스티야 봉건법 하에서 소유권을 공고히 하려는 라 리오하의 많은 지주들의 지원을 받았다. 이러한 친카스티야 영주들은 하로 가문이 이끌었는데, 이들은 결국 새롭게 창설된 비스카이의 지배권을 받았다. 비스카이는 처음에는 우리베, 부스투리아, 마르키나, 소르노차, 아라티아의 계곡과 여러 도시, 오르두냐를 포함했다. 전통에 따르면 이니고 로페스가 1043년에 최초의 비스카이 영주였다고 한다.

영주직은 이니고 로페스의 후손에게 상속되었으며, 상속을 통해 1370년 카스티야의 후안 1세에게 넘어갔다. 이는 카스티야 왕의 칭호 중 하나가 되었다. 그 이후 비스카이는 왕관과 연결되었으며, 처음에는 카스티야 왕관, 그리고 카를 1세 이후에는 카스티야 왕관의 통치자로서의 "스페인" 왕관과 연결되었다. 영주는 푸에로 (나바라 및 바스크 관습법에서 파생된 비스카이 법)를 옹호하고 유지할 것을 맹세하는 것을 조건으로 했는데, 푸에로는 영주의 주권을 가진 자는 비스카이인이며,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영주를 거부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21]

영주, 그리고 나중에는 왕들은 게르니카의 참나무 앞에서 서약을 했는데, 이곳에서 영지의 회의가 열린다.[21]

3. 4. 근대 시대

근세에 이 지역은 주요 상업 및 산업 지역이 되었다. 특히 빌바오 항구는 1511년 스페인 제국 항구와의 교역 특권을 부여받아 유럽으로 가는 주요 카스티야 관문이 되었다.[5] 빌바오는 양모를 플랑드르로 수출하고 다른 상품들을 수입하는 주요 항구였다.

1628년, 두랑고 지역이 비스카이에 편입되었다. 같은 세기에 비스케이 서쪽의 자치단체들도 편입되어 엔카르타시오네스 (Enkarterriak)가 되었다.

해안 마을들은 어업과 무역에 종사하는 자체 선단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은 기푸스코아와 라부르의 다른 바스크 마을들과 함께 비스케이 만에서 북대서양 참고래의 부분적인 멸종과 뉴펀들랜드에 유럽인들의 최초 정착에 크게 기여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비스케이는 다른 바스크 지방과 함께 스페인 코르테스에 의해 자치권을 삭감될 위협을 받았다. 왕위 계승 분쟁과 함께, 자치권 유지에 대한 열망은 카를리스트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비스케이 정부와 다른 바스크 지방은 전통을 보존할 전제 군주를 대표하는 카를로스 5세를 지지했다.

그러나 빌바오를 포함한 많은 마을들은 마드리드의 자유주의 정부와 연대했다. 결국 반 카를리스트의 승리로 전쟁은 비스케이와 다른 지방이 보유했던 광범위한 자치권의 잇따른 삭감으로 이어졌다.

1850년대에 비스케이에 광범위한 최고 품질의 철광석 광산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주로 영국과 프랑스로부터 많은 외국인 투자를 가져왔다. 이러한 자원 개발은 비스케이를 스페인에서 가장 부유한 지방 중 하나로 만들었다. 산업 혁명과 함께, 이바라, 차바리, 루이스 레사마 레기사몬 사가르미나가와 같은 중요한 부르주아 가문들이 성장했다. 거대한 산업(이베르드롤라, 알토스 호르노스 데 비스카야) 및 금융(BBVA) 그룹이 창설되었다.

3. 5. 20세기 이후

스페인 제2공화국 시대에 바스크 민족주의당(PNV)이 비스카이아를 통치했다. 1936년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비스카이아는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군대에 맞서 공화파를 지지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공화국은 바스크 자치 지역에 자치 법령을 인정했지만, 파시스트의 통제 하에 놓인 지역이 많아, 최초의 단명한 바스크 자치 공동체는 비스카이아와 몇몇 인근 마을에만 권한을 행사했다.

파시스트 군대가 나바라주에서 서쪽으로 진격해 오자, 빌바오 주변에 철의 벨트라고 불리는 방어 시설이 계획되고 건설되었다. 그러나 책임 기술자인 호세 고이코에체아가 민족주의자에게 귀순하여 미완성된 방어 시설은 거의 가치가 없게 되었다. 1937년, 프랑코의 통제 하에 있던 독일 비행기는 역사적인 도시 게르니카를 파괴했다. 몇 달 후 빌바오는 파시스트에게 함락되었다. 바스크 군대(에우스코 구다로스테아)는 비스카이아 경계를 넘어 산토냐로 후퇴했다. 그곳에서 이탈리아군에게 항복했지만(산토냐 협정), 이탈리아군은 프랑코에게 굴복했다. 다른 공화파는 이 항복을 바스크인들의 배신으로 간주했다.

프랑코 독재 하에서 비스카이아와 기푸스코아는 반역을 이유로 "반역 지방"으로 선포되었고, 어떠한 자치권도 박탈당했다. 1975년 프랑코 사후 스페인에 민주주의가 회복되었다. 1978년 헌법은 특정한 바스크 법률(푸에로)을 인정했고, 1979년 게르니카 헌장이 승인되어 비스카이아, 알라바, 기푸스코아가 자체 의회를 갖춘 바스크 자치 공동체를 형성했다. 이 최근 민주주의 시대에 바스크 민족주의당 후보들은 비스카이아에서 꾸준히 선거에서 승리했다. 최근에는 포랄법이 우르두냐 시와 마을에까지 확대 적용되도록 개정되었는데, 이 지역은 이전에는 항상 일반적인 스페인 민법을 사용해 왔다.

4. 지리

베르메오에 위치한 가젤루가체


비스카이아는 서쪽으로 칸타브리아 자치구와 카스티야 이 레온 자치구의 부르고스주와 접하고, 동쪽으로는 기푸스코아주, 남쪽으로는 알라바주와 접하며, 북쪽으로는 칸타브리아 해(비스케이 만)에 접해 있다. 오르두냐는 알라바주와 부르고스주 사이에 위치한 비스카이아의 월경지이다. 비스카이아의 면적은 2,217km2이며, 해안선 길이는 80km이다.

4. 1. 기후

해양성 기후로, 연중 강수량이 많고 기온이 온화하여 무성한 초목이 자랄 수 있다. 겨울철에는 비스카이아 내륙의 고지대에서 기온이 더 극심해 눈이 더 흔하게 내린다. 주요 도시 빌바오의 평균 최고 기온은 1월 13°C에서 8월 26°C 사이이다.[10] 비스카이아 현은 서안 해양성 기후(Cfb)이며, 에스파냐 베르데 (녹색 스페인)라고 불리는 지역에 있다. 연중 강수량이 많고 온난하며, 초목이 무성하다.

4. 2. 지형


  • 남쪽의 높은 산맥은 바스크 산맥의 일부로, 해발고도 600m 이상의 고개로 이어져 대서양지중해 분지의 분수계를 형성한다. 이 산맥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오르둔테(살라마, 1390m), 살바다(1100m), 고르베아 (1481m) 및 우르키올라 (안보토, 1331m)로 나뉜다.
  • 중간 지역은 네르비온 강, 이바이사발 강 및 카다구아 강 등 주요 강의 계곡이 차지한다. 카다구아 강은 오르둔테에서 동서 방향으로 흐르고, 네르비온 강은 오르두냐에서 남북 방향으로 흐르며, 이바이사발 강은 우르키올라에서 동서 방향으로 흐른다. 아라티아 강은 고르베아에서 북쪽으로 흘러 이바이사발 강과 합류한다. 각 계곡은 가네코고르타 (998m)와 같은 산으로 구분된다. 오이즈와 같은 다른 산들은 주요 계곡과 북쪽 계곡을 분리한다. 북쪽 강으로는 아르티바이, 레아, 오카 및 부트론이 있다.
  • 해안의 주요 특징으로는 주요 강이 바다와 만나는 빌바오 강 하구와 게르니카 (우르다이바이)의 하구가 있다. 해안은 일반적으로 높고, 절벽과 작은 만 및 해안 동굴이 있다.

엘란초베 동쪽 비스케이 만 해안


바스크 산맥


오이츠 산에 늘어선 풍력 발전기

5. 행정 구역

비스카이아는 역사적으로 메린다데스(merindades, 바스크어로는 'eskualdeak'라고 불림)로 나뉘었으며, 현재는 7개의 ''코마르카''(코마르카) 또는 지역으로 나뉜다. 각 지역은 자체적인 중심 도시, 하위 지역 및 자치구를 가지고 있다.

역사적 구분현대적 구분
|


5. 1. 역사적 구분

역사적으로 비스카이는 메린다데스(바스크어로는 'eskualdeak'라고 불림)로 나뉘었는데, 이는 구성적 메린다데스와 나중에 편입된 메린다데스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구성적 메린다데스는 다음과 같다.

  • 우르비에
  • 부스투리아
  • 마르키나
  • 베디아
  • 아모레비에타 (소르노차라고도 불림)
  • 아라티아


비스카이 지역 또는 "코마르카스" 지도


나중에 편입된 메린다데스는 다음과 같다.

5. 2. 현대적 구분

현재 비스카이아는 7개의 코마르카(지역)로 나뉘며, 각 지역은 자체적인 중심 도시, 하위 지역 및 자치구를 가지고 있다.

비스카이아의 현재 자치구 지도

  • 그란 빌바오 코마르카 - 빌바오, 네르비온강 좌안 지역, 우리베 코스타, 촐리에리, 에고-우리베를 포함한다. 빌바오 도시권의 대부분이 그란 빌바오 코마르카에 포함된다.
  • 코마르카 델 우리베
  • 코마르카 델 엔카르타시오네스
  • 코마르카 델 부스투리아르데아
  • 코마르카 델 두란게사도
  • 코마르카 델 레아-알티바이
  • 코마르카 델 아라티아-네르비온

6. 인구

2010년 스페인 국립 통계 연구소(INE) 인구 조사에 따르면 비스카이아의 인구는 1,155,772명이고 인구 밀도는 519.9명/km2으로,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주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1981년 비스카이아는 인구 기준으로 스페인 주 중 5번째였으며, 민주주의 이행 이후 겪고 있는 심각한 인구 통계 위기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9번째로 인구가 많은 주이다.

2021년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30.6%가 바스크어를 사용했다.[11]

비스카이아의 인구 변화 및 국가 전체 대비 비율[12][13]
연도1857190019101920193019401950196019701981
인구160,579311,361349,923409,550485,205511,135569,188754,3831,043,3101,181,401
비율1.04%1.67%1.75%1.91%2.05%1.96%2.02%2.47%3.07%3.13%
연도1991199620012006
인구1,156,2451,140,0261,132,6161,139,863
비율2.93%2.87%2.75%2.55%



인구 밀도가 높은 지자체 (2021년)[25]
순위지자체인구
1빌바오346,405
2바라칼도100,907
3헤초77,139
4산투르치46,085
5포르투갈레테45,285
6바사우리40,535
7레이오아32,188
8두랑고29,935
9갈다카오29,404
10세스타오27,342
11에란디오24,489
12아모레비에타-에차노19,576
13문기아17,701
14게르니카-루모17,093
15베르메오16,784


7. 정부 및 포랄 제도

바스크 자치 지방의 역사적 영토인 비스카이아의 정부 및 포랄 기관은 비스카이아 일반 의회(후타스 헤네랄레스)와 비스카이아 포랄 대표부(Foral Diputation)이다.

후타스 헤네랄레스는 비스카이아도의 규범적 권한을 가진 단원제 의회이며, "아포데라도스"라고 불리는 구성원은 4년마다 보통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포랄 디푸테이션은 행정 기능과 규제 권한을 가지며, 훈타스 헤네랄레스에서 선출된 총괄 부서장과 나머지 부서장들로 구성된다. 현재 총괄 부서장은 우나이 레멘테리아 (PNV)이다.[15]

7. 1. 후타스 헤네랄레스

빌바오에 있는 포랄 디푸테이션 건물


비스카이아의 후타스 헤네랄레스는 비스카이아도의 규범적 권한을 가진 단원제 의회이다. "아포데라도스"라고 불리는 구성원은 보통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선거는 4년마다 치러진다.[14]

비스카이아 후타스 헤네랄레스 선거 결과
연도바스크 민족주의당빌두바스크 사회당포데모스국민당
2011년221298
2015년2311764


7. 2. 포랄 디푸테이션

우나이 레멘테리아([15]) (PNV)가 총괄 부서장을 맡고 있으며, 훈타스 헤네랄레스에서 선출된 부서장들로 구성된다. 비스카이아 현 정부는 비스카이아 현의 집행 기능과 행정 권한을 가지고 있다.

비스카이아 현 지사
재임 기간이름출신 정당
제1대1979-1987호세 마리아 마쿠아 사란도냐바스크 민족주의당(PNV)
제2대1987-1995호세 알베르토 프라데라 하우레기
제3대1995-2003호스 베르가라 에체바리아
제4대2003-호세 루이스 빌바오


8. 교통

비스카이아는 도로, 항공, 철도, 지하철 등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빌바오 공항 내부

  • '''도로:''' 칸타브리아 고속도로와 바스크-아라곤 고속도로를 통해 스페인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 '''항공:''' 빌바오 공항은 비스카이아도의 유일한 공항이며, 스페인 북부의 주요 허브 공항 중 하나이다.
  • '''철도:''' 세르카니아스 빌바오, 에우스코 트렌, FEVE 등 다양한 광역 철도 서비스가 제공된다. 빌바오-아반도는 주요 기차역이며, 바스크 Y 고속철도가 건설 중이다.
  • '''지하철:''' 빌바오 지하철빌바오와 주변 지역을 연결한다.


자세한 내용은 각 문서를 참조하라.

8. 1. 도로

비스카이아도는 칸타브리아 고속도로와 바스크-아라곤 고속도로를 통해 스페인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AP-8호선은 빌바오와 스페인-프랑스 국경 근처의 두랑고를 연결하며, 기푸스코아 주의 에이바르, 사라우츠, 산 세바스티안 등을 경유한다. AP-68호선(바스크-아라곤 고속도로)은 빌바오와 아라곤 주의 주도 사라고사를 연결하며, 투데라, 칼라오라, 로그로뇨 등을 경유한다.

칸타브리아 고속도로

8. 2. 항공

빌바오 공항은 비스카이아도의 유일한 공항이며, 스페인 북부에서 가장 중요한 허브 공항이다. 빌바오 공항은 로이우와 손디카에 위치해 있다.

빌바오 공항은 1948년에 개항했으며, 2,000m와 2,600m 길이의 활주로 2개를 갖추고 있다. 스페인 국내 및 유럽 각지로 정기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2000년에는 산티아고 칼라트라바가 설계한 새로운 터미널이 완성되었다. 2011년 여객 수는 4,045,613명이었다. 빌바오 시가지에서는 버스로 접근 가능하며, 앞으로 메트로 빌바오로도 연결될 예정이다.

8. 3. 철도

빌바오 광역 철도는 여러 회사가 운영하는 다양한 광역 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렌페가 제공하는 세르카니아스 빌바오는 빌바오와 그 주변 지역을 연결한다. 에우스코 트렌은 비스카이 지방에 세 개의 광역 철도 노선을 운영하며, 모두 빌바오에서 시작하여 두란갈데아, 부스투리알데아, 초리에리 지역을 운행한다. FEVE 또한 대 빌바오 지역과 엔카르테리를 연결하는 광역 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1]

빌바오 중앙역


빌바오-아반도는 비스카이의 주요 기차역으로, 렌페의 정기 열차가 운행된다. FEVE는 칸타브리아, 카스티야 이 레온 자치 지역의 레온주로 가는 장거리 열차도 운행한다.[1]

바스크 Y는 바스크 자치구의 세 도시인 빌바오, 산세바스티안, 비토리아-가스테이즈를 연결하는 고속철도이다.[1]

8. 4. 지하철

빌바오 지하철빌바오 시와 그 광역권인 대(大) 빌바오 지역을 운행하는 지하철 시스템이다. 바사우리, 바라칼도, 산투르치, 게초 등 다른 자치시와 도시를 연결한다.[1]

9. 관광

비스카이아의 수도인 빌바오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과 강 하구로 유명하다. 관광객이 많은 도시로는 현도인 빌바오게르니카 등이 있다.

빌바오는 20세기 말까지 관광객이 적은 공업 도시였지만, 1997년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이 개관하면서 관광객 수가 급증하였다. 2009년에는 615,000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여 산 세바스티안을 넘어 바스크 자치 지방 내에서 가장 관광객이 많은 도시가 되었다.[26] 게르니카는 바스크 지방 자치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

9. 1. 주요 관광지


  •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빌바오에 있는 미술관으로, 강 하구에 위치해 있다.
  • 게르니카의 집회소(Casa de Juntas)와 게르니카 나무(Gernikako Arbola): 게르니카에 위치해 있다.
  • 아벨라네다의 집회소(Casa de Juntas): 엔카르테리 지역에 있다.
  • 포잘라구아 동굴: 발마세다 근처 카란차에 있다.
  • 비스카이아 다리: 포르투갈레테와 게초 마을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 산티마미녜와 오마 숲.
  • 에우스칼두나 회의 센터 및 콘서트 홀: 빌바오에 있다.
  • 가스텔루가체
  • 우르다이바이 생물권 보전 지역
  • 우르키올라 자연 공원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과 강 하구


참조

[1] 웹사이트 Biscay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5-18
[2] 웹사이트 Vizcaya 2019-05-18
[3] 서적 Apellidos Vascos Editorial Txertoa
[4] 뉴스 Toponimia: Bizkaia http://www.noticiasd[...] 2010-05-08
[5] 웹사이트 The Romans influence https://www.eke.eus/[...]
[6] 서적 Los Vikingos en Euskal Herria Bilbao
[7] 학술지 El proceso de poblamiento de la costa vizcaína en la Alta Edad Media y el nacimiento de sus puertos https://core.ac.uk/o[...] 2007
[8] 웹사이트 Bizkaia y el Señorío http://www.bizkaia.n[...] Diputación Foral de Bizkaia 2013-06-23
[9] 웹사이트 Euskalherria.com - GARA - Paperezkoa:20060616 - los textos hallados en Iruña-Veleia están escritos "inequívocamente" en euskara https://web.archive.[...] 2006-10-06
[10] 웹사이트 Standard climate values for Bilbao http://www.aemet.es/[...] Aemet.es 2015-11-29
[11] 웹사이트 The Basque Language Gains Speakers, but No Surge in Usage – Basque Tribune https://basquetribun[...] 2023-12-30
[12] 간행물 INE,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Spain)]].
[13] 웹사이트 http://www.euskadi.n[...]
[14] 웹사이트 M24: Hauteskundeak http://m24hauteskund[...] naiz.info 2015-06-10
[15] 웹사이트 Ahaldun Nagusia - Bizkaia.eus http://web.bizkaia.e[...] 2018-08-21
[16] 뉴스 Toponimia: Bizkaia http://www.noticiasd[...] 2010-05-08
[17] 서적 Apellidos Vascos Editorial Txertoa
[18] 서적 『未知の国スペイン』pp.2-7
[19] 웹사이트 Gara.net http://www.gara.net/[...]
[20] 서적 『未知の国スペイン』pp.7-11
[21] 서적 『未知の国スペイン』pp.11-17
[22] 문서 [[렌다カリ]]という単語は一般にバスク自治州政府首班を指すが、バスク自治州議会議長やビスカヤ県議会議長にも用いられる。
[23] 간행물 出典 : スペイン国立統計局
[24] 웹사이트 http://www.euskadi.n[...]
[25] 웹사이트 スペイン国立統計局(2010年) http://www.ine.es/ja[...]
[26] 웹사이트 Bilbao ya no es sólo una ciudad de paso https://web.archive.[...] 2010-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