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 시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도 시몬은 신약성경의 사도 명단에 등장하며, 베드로와 구별하기 위해 '열심당원' 또는 '가나나이오스'로 불린다. '열심당원'이라는 칭호의 의미와 관련하여 열심당 당원이었는지, 율법에 열심인 자였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시몬에 대한 기록은 마르코 복음서가 가장 오래되었으며, 다른 복음서들은 이를 참고했다. 시몬은 성경 외 전승에서 이집트, 페르시아, 아르메니아, 조지아, 브리튼 등 다양한 지역에서 선교 활동을 하거나 순교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는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등에서 성인으로 숭배받으며, 예술 작품에서 톱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콥트 정교회 성인 - 베레나
3세기 로마 제국 출신 성녀 베레나는 테반 군단 간호사로 파견 후 스위스에서 은둔하며 병자를 돌봤고, 중세 시대 스위스에서 존경받는 성인 중 한 명으로 가난한 이와 나병 환자를 돌보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그녀의 이름과 관련된 지명이 스위스에 남아있다. - 콥트 정교회 성인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로서 기독교와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기독교에서는 '하느님의 어머니' 등으로 공경받고 동정녀 잉태의 믿음이 있으며, 이슬람에서는 마르얌으로 불리며 존경받는 여성으로, 그녀의 생애는 성경과 외경, 전승, 예술 작품의 주요 모티프로 전해진다. - 사도 - 필립보
필립보는 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며,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나타나엘을 예수에게 인도하였으며, 오병이어 기적, 헬라인들과의 만남 주선, 아버지에 대한 질문 등으로 복음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외경과 유물, 그리고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사도 - 마티아
마티아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나오는 인물로, 가룟 유다를 대신하여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순간부터 예수의 승천까지 함께 한 제자로서 제비뽑기를 통해 선출되었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성인 축일 - 필립보
필립보는 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며,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나타나엘을 예수에게 인도하였으며, 오병이어 기적, 헬라인들과의 만남 주선, 아버지에 대한 질문 등으로 복음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외경과 유물, 그리고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성인 축일 - 마티아
마티아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나오는 인물로, 가룟 유다를 대신하여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순간부터 예수의 승천까지 함께 한 제자로서 제비뽑기를 통해 선출되었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사도 시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 |
이름 | 시몬 젤로테스 |
출생 시기 | 1세기 |
사망 시기 | ~65년 |
기념일 | 10월 28일 (서방 기독교) 5월 10일 (비잔틴 기독교) 파숀 15일 (콥트 정교회) ግንቦት 15일 (에티오피아 기독교) 7월 1일 (중세 히스파닉 전례) |
공경하는 교파 | 성인을 공경하는 모든 기독교 교파 |
출생지 | 가나, 갈릴래아, 유대 속주, 로마 제국 |
사망지 | 브리타니아 속주, 로마 제국 (다양한 설) |
칭호 | 사도, 설교자, 순교자 |
상징물 | 배 십자가와 톱 물고기 (또는 물고기 두 마리) 창 몸이 세로로 톱질당하는 남자 노 |
수호 성인 | 혁대 제조업자 재단사 무두장이 |
주요 성지 | 툴루즈 (유해 안치 주장) 성 베드로 대성전 |
인물 정보 | |
다른 이름 | 시몬 가나나이테스 (그리스어: Σίμων ὁ Κανανίτης) 시몬 피-카나네오스 (콥트어: ⲥⲓⲙⲱⲛ ⲡⲓ-ⲕⲁⲛⲁⲛⲉⲟⲥ) ܫܡܥܘܢ ܩܢܢܝܐ (시리아어) |
성경 | |
사도행전 1장 13절 | 사도행전 1:13 (표준새번역) |
루카 복음 6장 15절 | 루카 복음 6:15 (표준새번역) |
마태오 복음 10장 4절 | 마태오 복음 10:4 (표준새번역) |
마르코 복음 3장 18절 | 마르코 복음 3:18 (표준새번역) |
2. 성경에서의 시몬
시몬은 공관 복음서와 사도행전에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성서 기록에 따르면 그는 가나안 출신으로 여겨진다(마태 10,4).
성경에서 시몬을 지칭하는 표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여겨지는 《마르코 복음서》[25]와 이를 참조한 것으로 보이는 《마태오 복음서》[26]에서는 그를 "카나나이오스"(Καναναῖοςel) 시몬이라고 부른다. 이 그리스어 용어(καναναιοςel)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하는데, 로마에 저항하던 정치 집단인 열심당을 가리키거나 단순히 율법 (토라)에 열심인 자를 의미할 수도 있다는 견해가 있다.
반면, 《루가 복음서》[27]와 《사도행전》에서는 그를 명확히 "열심당원"을 뜻하는 그리스어 "젤로테스"(ζηλωτήςel)라고 기록한다.[28] 이는 시몬이 과거 열심당의 일원이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루가의 기록 역시 마르코 복음서의 기술을 바탕으로 한 것이기에, 시몬을 열심당원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외경 중 일부 문서에도 시몬에 대한 언급이 있으나, 이는 후대의 창작으로 여겨진다.
2. 1. 명칭과 정체성
사도 시몬의 이름은 모든 공관 복음서와 사도행전의 사도 명단에 등장한다.[5] 시몬 베드로와 구별하기 위해, 공관 복음서에서는 그를 언급할 때 별칭이 붙는다.누가와 사도행전에서는 시몬을 "열심당원"(그리스어: ζηλωτής|젤로테스el)이라고 부른다(누가 복음서 6:15, 사도행전 1:13). 이는 시몬이 과거 열심당의 일원이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열심당은 로마 제국의 지배에 반대하며 유대인의 해방을 주장했던 민족주의적 정치 집단으로, 마카베오의 후계자를 자처하며 로마인과 그에 동조하는 유대인들에 대한 공격도 서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마태오와 마르코에서는 비잔틴 다수 본문에서 "가나나이트"(Κανανίτης|카나니테스el)로, 알렉산드리아 사본과 Textus Receptus에서는 "가나나이오스"(Καναναῖος|카나나이오스el)라고 불린다(마태오 복음서 10:4, 마르코 복음서 3:18). "가나나이오스"와 "가나나이트"는 모두 '열심 있는'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קנאי(קנאי|카나이he)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두 용어를 '열심당원'과 같은 의미로 해석한다.
그러나 제롬이나 베다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가나나이오스" 또는 "가나나이트"가 시몬이 갈릴리의 가나 출신임을 나타내는 지명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6] 만약 그렇다면 그의 별칭은 "카나이오스"가 되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존 P. 메이어는 열심당 운동이 복음서 사건 이후 30~40년 뒤에야 조직화되었기 때문에, 복음서의 맥락에서 '열심당원'이라는 번역은 시대착오적이며, 단순히 '율법에 열심인' 또는 '종교적으로 열심인' 사람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8] 하지만 브랜든[9]과 헹겔[10] 등은 이러한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
로버트 아이젠먼은 탈무드에서 열심당원을 지칭하는 '칸나임'(קנאים|칸나임he)이 "성전에서 복수하는 제사장들"을 의미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단순한 정치 집단 이상의 성격을 가졌을 가능성을 제시했다.[7] 아이젠먼의 더 넓은 결론, 즉 사도 그룹의 열심당원 요소가 동화적인 바울 신학에 의해 희석되었다는 주장은 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시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인 《마르코 복음서》[25]는 "카나나이오스"(καναναιος|카나나이오스el) 시몬으로 기록한다. 《마태오 복음서》[26] 역시 이 용어를 사용한다. 이 단어(καναναιος|카나나이오스el)가 구체적으로 로마에 반항하던 정치적 '열심당'을 지칭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율법에 '열심인 자'를 의미하는지는 불분명하다는 해석이 있다. 반면, 《루가 복음서》[27]는 이 용어를 명확히 '열심당원'(ζηλωτής|젤로테스el)으로 바꾸어 기록했는데[28], 이는 마르코 복음서의 내용을 해석하여 적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루가 복음서의 기록만으로 시몬을 즉시 열심당원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2. 2. 예수의 제자로서의 시몬
성서에 따르면, 시몬은 가나안에서 태어나 자랐으며[26], 예수의 사도가 되기 전에는 열심당의 일원이었다. 열심당은 바리새 파 일부가 주축이 되어 형성된 그룹으로, 극단적인 유대 민족주의를 표방하며 로마 제국의 지배에 격렬히 저항했다. 이들은 마카베오의 후계자를 자처하며 무력을 통해서라도 유대인의 해방을 이루려 했고, 로마인뿐 아니라 로마에 순응하는 동족 유대인들에게도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며 공격을 가하기도 했다. 또한 열심당은 메시아가 나타나 강력한 군대를 이끌고 로마 제국을 몰아내 조국을 해방시킬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이러한 배경을 가진 시몬은 예수의 설교와 기적을 직접 보고 들으면서 깊은 감화를 받았고, 결국 열심당을 떠나 예수의 제자가 되었다. 예수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제자로 받아들였는데, 로마 제국에 순응했던 세리 출신 마태오와 로마에 극렬히 저항했던 열심당원 시몬을 모두 제자로 삼은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서로 다른 정치적, 사회적 배경을 가진 이들 사이의 갈등을 중재하고 화합을 이루려는 예수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신약성경에서 시몬을 지칭하는 표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가장 오래된 기록인 마르코 복음서[25]와 이를 참조한 마태오 복음서[26]는 그를 '카나나이오스'(καναναιοςel)라고 기록한다. 이 단어의 정확한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단순히 '가나안 사람'을 뜻할 수도 있고, '열심'을 의미하는 아람어 '카나나(qanana)'에서 유래하여 '열심당원'을 가리키거나, 율법(토라) 준수에 열성적인 사람을 의미할 수도 있다.
반면, 루가 복음서[27]와 사도행전에서는 명확하게 '열심당원'을 뜻하는 그리스어 '젤로테스'(ζηλωτηςel)라는 표현을 사용한다.[28] 하지만 루가의 기록 역시 마르코 복음서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시몬이 실제로 로마에 저항하던 정치적 의미의 열심당원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외경 중에는 시몬의 행적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는 문서들이 있지만, 이는 역사적 사실보다는 후대에 덧붙여진 이야기로 여겨진다.
3. 성경 외 전승에서의 시몬
성서 외의 여러 전승은 사도 시몬의 생애와 활동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전설에 따르면 시몬은 알패오와 클레오파스의 마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며, 소야고보와 형제라고도 한다.[16][17]
2세기 경 쓰인 위경인 ''사도들의 서신(Epistula Apostolorum)''[14]에서는 영지주의를 반박하며 편지를 쓴 사도들의 명단에 시몬을 '유다 젤로테스'라는 이름으로 포함시킨다. 성 마태오 복음서의 일부 구 라틴어 번역본에서는 마태오 10장 3절의 타대오/레바오 대신 '유다 젤로트'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록 때문에 일부에서는 시몬이 요한 14장 22절에 언급된 "가룟 사람이 아닌 유다"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또한 사도 도마가 '유다 도마'로도 불렸다는 점에서 시몬과 도마를 동일시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바바라 시어링은 시몬을 시몬 마구스와 동일 인물로 보았지만, 이 견해 역시 학계에서 진지하게 다루어지지 않는다. 신약 성경 자체는 이러한 여러 추측 외에 시몬에 대해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위경인 아랍어 유년 복음서에는 시몬이라는 이름의 소년이 뱀에 물렸다가 예수에게 치유받고 제자가 될 것이라는 예언을 듣는 이야기가 나오며, 이 소년이 바로 "복음서에 언급된 가나 사람 시몬"이라고 명시한다.[15] 세비야의 이시도르는 그의 저서 ''De Vita et Morte''에서 시몬에 관한 여러 일화를 수집했다. 13세기에 야코부스 데 보라기네가 편찬한 성인전 모음집인 황금 전설에서는 시몬과 유다 타대오가 작은 야고보의 형제이며, 알패오와 마리아 클레오파스의 아들들이라고 기록하고 있다.[16][17]
후대의 여러 전승에서 시몬은 종종 유다 타대오와 함께 선교 활동을 한 동반자로 묘사된다. 이 때문에 서방 기독교에서는 두 사도의 축일을 10월 28일로 함께 기념한다. 시몬의 선교 활동과 순교에 대해서는 이집트, 페르시아, 아르메니아, 레바논, 조지아, 사마리아, 브리튼 섬 등 다양한 지역과 톱질형, 십자가형 등 여러 방식에 대한 전승이 존재하며, 일부에서는 에데사에서 평화롭게 사망했다고도 한다.[19][20] 또한 그의 칭호인 '열심당원'과 관련하여 제1차 유대-로마 전쟁(서기 66–73년)에 참여했다는 전승도 있다.[2][2] 이러한 다양한 전승들은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1. 선교 활동
전승에 따르면, 시몬은 이집트에서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유다 타대오와 합류하여 페르시아와 아르메니아 지역, 또는 오늘날의 레바논 베이루트 등지에서 복음을 전파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전승은 유다 타대오와 함께 활동하다가 65년경 페르시아에서 순교했다는 것으로,[16][17] 이는 야코부스 데 보라기네의 황금 전설에도 기록된 내용이다. 페르시아에서의 순교 방식은, 예수를 설교한 뒤 현지 신상을 파괴하자 분노한 이교도들에게 붙잡혀, 기둥에 거꾸로 매달려 톱으로 몸이 두 동강 나는 형벌을 받았다고 전해진다.서방 기독교에서는 시몬과 유다 타대오를 같은 선교 동반자로 보아 10월 28일을 공동 축일로 기념한다.
다른 전승에서는 시몬이 예루살렘의 주교로 활동하다 십자가형을 당했다고도 한다. 동방 정교회 전승에 따르면, 시몬은 조지아로 선교 여행을 떠나 압하지야의 니코피아(위치 미상)에서 사망했으며, 그곳에 묻혔다가 후일 아나코피아로 유해가 옮겨졌다고 한다.[18]
또한 시몬이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을 두루 여행하며 선교했다는 전승도 존재한다. 에티오피아 기독교인들은 시몬이 사마리아에서 십자가형으로 순교했다고 주장하며, 유스투스 리프시우스는 페르시아의 수아니르에서 톱질형으로 순교했다고 기록했다.[2] 호렌의 모세는 그가 코카서스 이베리아의 베리오스포라에서 순교했다고 전한다.[2] 반면, 메소포타미아의 에데사에서 평화롭게 사망했다는 상반된 전승도 있다.[19][20]
시몬이 로마 제국 시대의 브리타니아(로마 브리튼)를 방문했다는 전승도 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니케포로스 1세는 시몬이 이집트, 아프리카, 리비아를 거쳐 서쪽 바다 건너 브리타니아 섬까지 가서 복음을 전했다고 기록했다.[2][22] 체사레 바로니우스와 로마의 히폴리투스는 시몬이 44년 로마의 브리튼 정복 시기에 브리튼에 처음 도착했다고 주장한다.[2]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시몬은 60년(보우디카의 반란 시기)에 브리튼에 두 번째 선교 임무로 도착했으며, 이듬해인 61년 5월 10일 로마인 카투스 데키아누스에 의해 현재 잉글랜드 링컨셔의 케이스터에서 십자가형을 당해 순교했다고 한다.[21] 일부에서는 시몬이 브리튼 섬에서 교회를 세웠다고도 보는데, 글래스턴베리 수도원과 연관 짓기도 한다.
그의 칭호인 '열심당원'에서 유래하여, 제1차 유대-로마 전쟁(66–73년)에 연루되어 순교했다는 설도 존재한다.[2][2]
3. 2. 순교
전승에 따르면, 이집트에서 설교하다가 유다 타대오와 함께 페르시아 지역으로 가서 포교 활동을 벌였다. 그곳에서 예수에 대해 설교한 뒤 현지 신상을 파괴하자, 흥분한 이교도들에게 붙잡혀 순교했다고 한다. 시몬은 기둥에 거꾸로 매달려 사타구니에서부터 머리까지 톱으로 육신이 두 동강 나는 형벌을 당했다고 전해진다.[16][17] 이 이야기는 13세기에 야코부스 데 보라기네가 엮은 성인전 모음집인 황금 전설에도 기록되어 있다. 서방 기독교에서는 시몬과 유다 타대오를 같은 전도 팀으로 보고, 65년에 함께 순교했다고 여기며 10월 28일에 축일을 함께 기념한다.그러나 시몬의 순교에 관해서는 여러 다른 전승들이 존재한다.
- 일부 전승에서는 시몬이 예루살렘의 주교로 활동하다가 십자가형을 당했다고도 한다.
- 동방 교회 전승에 따르면 시몬은 선교 여행 중 조지아로 가서 압하지야에서 사망했으며, 흑해 해안의 니코피아에 묻혔다가 나중에 아나코피아로 유해가 옮겨졌다고 한다.[18]
-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는 그가 사마리아에서 십자가에 못 박혔다고 전한다.
- 유스투스 리프시우스는 시몬이 페르시아의 수아니르에서 톱으로 잘려 순교했다고 기록했으며[2], 호렌의 모세는 코카서스 이베리아의 베리오스포라에서 순교했다고 기록했다.[2]
- 시몬이 브리튼 섬을 방문하여 선교하다가 61년 5월 10일, 보우디카의 반란 시기에 로마인 카투스 데키아누스에 의해 잉글랜드 링컨셔의 케이스터에서 십자가형을 당했다는 전승도 있다.[21] 체사레 바로니우스, 로마의 히폴리투스[2],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니케포로스 1세[2][22] 등도 시몬이 브리튼 섬에서 활동했다고 언급했다.
- 그의 칭호인 '열심당원'에서 유래하여, 제1차 유대-로마 전쟁(서기 66–73년)에 연루되어 순교했다는 설도 존재한다.[2][2]
- 반면, 에데사에서 평화롭게 사망했다는 전승도 있다.[19][20]
4. 시몬에 대한 논란과 다양한 해석
사도 시몬에 대한 그리스어 원문 기록은 해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시몬을 '열심당원'으로 언급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마르코 복음서[25]이며, 신약성경의 다른 관련 기록들은 대부분 마르코 복음서를 참조한 것이다. 마르코 복음서에는 시몬을 "καναναιος|카나나이오스el의 시몬"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작성된 마태오 복음서[26] 역시 문체는 다르지만 "카나나이오스"라는 호칭을 그대로 사용했다. 이 단어 '카나나이오스'는 일반적으로 '열심당원'을 뜻하는 ζηλωτής|젤로테스el와는 다른 단어로,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불분명하다. 로마 제국에 저항했던 정치적 집단인 열심당을 가리킬 수도 있고, 단순히 율법(토라)을 열심히 따르는 사람을 의미할 수도 있다는 해석이 있다.
한편, 루가 복음서[27]는 마르코 복음서를 참조하면서도 이 단어를 '열심당원'을 뜻하는 ζηλωτής|젤로테스el로 바꾸어 기록했다.[28] 하지만 루가 복음서와 사도행전 모두 시몬에 관한 내용은 마르코 복음서의 기록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루가 복음서의 기록만으로 시몬을 곧바로 열심당원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참고로 일본성서협회의 번역본(구어역, 신공동역 등)에서는 이 호칭들을 모두 "열심당"으로 통일하여 번역하고 있다. 또한, 명백히 후대에 창작된 외경 중 일부에도 열심당원 시몬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
4. 1. 예수의 형제 시몬과의 관계
복음서에서 열심당원 시몬은 마가복음 6장 3절에 언급된 예수의 형제 시몬과 직접적으로 동일인물로 식별되지는 않는다. 해당 구절은 "이는 그 목수가 아닌가? 그 마리아의 아들이며 야고보와 요셉과 유다와 시몬의 형제가 아닌가? 그의 누이들도 우리와 함께 있지 아니한가?"라고 기록하고 있다.''가톨릭 백과사전''은 열심당원 시몬이 예루살렘의 시므온 또는 예수의 형제 시몬과 동일인물이거나, 혹은 둘 다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 경우 시몬은 예수의 사촌이거나, 요셉이 이전 결혼에서 낳은 아들일 수 있다.[11] 다른 전승에서는 그가 갈릴리 출신이며 후에 예루살렘의 두 번째 주교가 된 예루살렘의 시므온이라고도 한다.[12][13]
4. 2. 시몬 마구스와의 동일시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시몬 마구스'와의 동일시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5. 이슬람에서의 시몬
이슬람의 주석과 꾸란 해설에서는 열두 제자를 언급하며, 시몬을 그 제자들 중 한 명으로 포함한다. 무슬림 전통에 따르면, 시몬은 북아프리카 외부의 베르베르족에게 알라의 신앙을 전파하기 위해 파견되었다고 전해진다.
6. 숭배와 예술 작품에서의 묘사
사도 시몬은 다른 사도들과 마찬가지로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를 비롯하여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루터교회, 성공회에서도 성인으로 여겨진다. 잉글랜드 성공회에서는 유다와 함께 축일인 10월 28일에 축일로 기념한다.[23]
예술에서 시몬은 전통에 따르면 톱으로 반으로 썰려 순교했기 때문에 톱이라는 식별 속성을 가지고 있다.[2]
'''시몬을 묘사한 예술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St. Simon the Apostle
http://www.santiebea[...]
Blessed Saints and Witnesses
2005-03-15
[2]
웹사이트
Saint Simon the Apostle
http://saints.sqpn.c[...]
Saints.SQPN.com
2009-01-06
[3]
웹사이트
Saint Simon
https://st-takla.org[...]
[4]
논문
The Chronology of Jerome's Early Years
Classical Association of Canada
1981
[5]
bibleverse
Luke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ecatholi[...]
2023-05-20
[7]
서적
James the Brother of Jesus: The Key to Unlocking the Secrets of Early Christianity and the Dead Sea Scrolls
Viking Penguin
1997
[8]
서적
A Marginal Jew: Rethinking the Historical Jesus Volume 3: Companions and Competitors
Yale University
[9]
서적
Jesus and the Zealots: A Study of the Political Factor in Primitive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Zealots: Investigations into the Jewish Freedom Movement in the Period from Herod I Until 70 A.D.
https://books.google[...]
T. & T. Clark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문서
Appendix to the Works of Hippolytus 49.11
[14]
웹사이트
Epistula Apostolorum
http://www.earlychri[...]
Early Christian Writings
[15]
서적
The Arabic Gospel of the Infancy of the Saviour
http://www.newadvent[...]
[16]
서적
The Golden Legend or Lives Of The Saints
https://sourcebooks.[...]
1275
[17]
서적
Golden Legend: Life of SS. Simon and Jude
http://www.christian[...]
[18]
서적
The Fate of the Apostles: Examining the Martyrdom Accounts of the Closest Followers of Jesus
Routledge
2016
[19]
웹사이트
St. Simon of Zealot
http://www.catholic.[...]
Catholic Online
[20]
웹사이트
St. Jude Thaddeus and St. Simon the Zealot, Apostles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2021-07-29
[21]
서적
The Drama of the Lost Disciples
https://books.google[...]
Covenant Publishing Company
[22]
문서
Cornelius a Lapide, Argumentus Epistoloe St. Pauli di Romanos, ch. 16.
[23]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2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Rowman & Littlefield)
2003
[25]
문서
3章18節
[26]
문서
10章4節
[27]
문서
6章15節
[28]
문서
同じ作者による『使徒行伝』1章13節も参照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