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불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불상은 소, 사슴, 당나귀, 말의 특징을 모두 갖춘 다비드사슴을 가리키는 말로, 중국 고전 소설 봉신연의에서 강태공의 탈것으로 등장하며, 1866년 프랑스 선교사 아르망 다비드에 의해 서구에 처음 알려졌다. 사불상은 멸종 위기에 놓였으나, 영국의 베드포드 공작의 노력으로 개체 수가 보존되었고, 1985년부터 중국에 재도입되어 현재는 53개의 무리가 존재한다. IUCN 적색 목록에서는 야생 절멸 종으로 분류되었으나, 개체 수 증가 추세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슴족 - 다마사슴속
    다마사슴속은 사슴과에 속하는 속으로, 다마사슴과 페르시아다마사슴 두 종이 현존하며, 유럽과 중동 지역에 분포하고 사슴족에 속한다.
  • 사슴족 - 엘드사슴
    엘드사슴은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며 한때 늪사슴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엘드사슴속으로 분류되고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인해 위기종으로 분류되는 사슴의 일종이다.
  • 중국의 고유종 동물 - 바이지
    바이지, 즉 양쯔강돌고래는 인간 활동으로 멸종된 최초의 고래목 동물로 추정되지만, 멸종 선언 이후에도 목격담이 보고되어 IUCN 레드 리스트에서 절멸위급종으로 분류되어 소수 개체의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중국의 고유종 동물 - 황금들창코원숭이
    황금들창코원숭이는 중국 특정 지역의 산악 온대림에 서식하는 멸종 위기 영장류로, 사회적 행동, 독특한 식습관,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손오공의 모델로 여겨지는 문화적 상징성을 지닌다.
  • 1866년 기재된 포유류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1866년 기재된 포유류 - 이라와디돌고래
    이라와디돌고래는 짧은 부리와 둥근 머리, 작은 삼각형 등지느러미가 특징인 참돌고래과의 돌고래로 동남아시아 하천 하구와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가 시급하다.
사불상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워번 사파리 공원에서 사육되는 사불상
상태EW (야생 절멸)
학명Elaphurus davidianus
명명자A. 밀른에드워즈, 1866년
다른 이름미록(병음:mílù)
영어 이름Pere David's deer
일본어 이름시후조우 (シフゾウ)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경우제목
사슴과
아과사슴아과
사슴족
사불상속 (Elaphurus)
형태 및 생태
화석 기록후기 플라이오세 ~ 홀로세
서식지중국
보존 상태
IUCN야생 절멸
기타
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유입주의

2. 명칭 및 어원

이 사슴 종은 1866년 중국에서 활동하던 프랑스 선교사 아르망 다비드(Père David)에 의해 서구 과학에 처음 알려졌다. 그는 성체 수컷, 성체 암컷 및 어린 수컷의 가죽과 사체를 입수하여 파리로 보냈고, 이 종은 프랑스 생물학자 알퐁스 밀네에드워드에 의해 "다비드 사슴"으로 명명되었다.[1][8]

페르 데이비드 사슴의 삽화, ''자연사 박물관의 새로운 기록'', 1866년


이 종은 비공식적으로 "사불상"(四不像|쓰부샹중국어; 일본어: ''시푸조'')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사불상"은 명나라 시대에 쓰여진 중국 고전 소설인 ''봉신연의''에서 강태공의 탈것으로 등장하며 중국 신화에 등장한다.

중국 전설에 따르면, 3,000년도 더 전에 폭군 상나라 주왕이 통치했을 때, 말, 당나귀, 소, 사슴이 숲 속 동굴로 들어가 명상을 했다. 주왕이 그의 신하 비간을 처형한 날, 동물들은 명상에서 깨어나 인간으로 변했다.[32] 그들은 사회에 들어가 왕의 끔찍한 행동을 알게 되었고, 강력한 왕에게 복수하려 했다.[32] 그래서 그들은 말의 속도, 소의 힘, 당나귀의 뛰어난 방향 감각, 사슴의 민첩성을 결합한 하나의 존재로 변신했다.[32] 이 새로운 동물은 곤륜산으로 달려가 원시천존의 조언을 구했다. 천존은 사슴의 뿔, 소의 발굽, 말의 얼굴, 당나귀의 꼬리를 가진 생물을 보고 놀랐다. "이것은 어떤 네 동물과도 다르구나!"라고 그는 외쳤다. 동물이 온 이유를 알게 된 천존은 축복을 내려, 그 생물을 왕과 싸우고 있던 그의 제자 강태공에게 보냈다.[32] 강태공은 그 생물을 타고 왕을 물리치고 주나라를 세우는 데 기여했다. 맹세를 이룬 후, ''사불상''은 양쯔강 하류에 정착했다.[32] 이 동물은 행운의 상징이 되었고, ''사불상''의 고기를 먹으면 영원한 삶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 후대 황제들이 찾았다.[32]

2. 1. 어원과 관련된 동물

이 사슴 종은 비공식적으로 "사불상"(四不像|sì bú xiàng중국어; 일본어: ''shifuzō'')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이는 글자 그대로 "네 가지가 같지 않다"는 뜻으로, "네 가지 다른 것" 또는 "네 가지 중 어느 것과도 같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네 가지는 소, 사슴, 당나귀, 말 (또는) 낙타이며, 이 표현은 다음과 같이 자세히 설명된다.[9]

  • "소의 발굽이지만 소는 아니고, 낙타의 목이지만 낙타는 아니고, 사슴의 뿔이지만 사슴은 아니고, 당나귀의 꼬리이지만 당나귀는 아니다."
  • "소의 코이지만 소는 아니고, 사슴의 뿔이지만 사슴은 아니고, 당나귀의 몸이지만 당나귀는 아니고, 말의 꼬리이지만 말은 아니다."
  • "당나귀의 꼬리, 말의 머리, 소의 발굽, 사슴의 뿔"
  • "낙타의 목, 소의 발굽, 당나귀의 꼬리, 사슴의 뿔"
  • "사슴의 뿔, 말의 머리, 소의 몸"

3. 형태

사불상은 몸통은 당나귀, 발굽은 , 머리는 , 뿔은 사슴과 유사하지만 전체적으로 이 네 가지 동물과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3. 1. 성체의 특징

성체의 몸무게는 150kg에서 200kg 정도이며, 수명은 최대 23년이다. 몸통은 당나귀, 발굽은 , 머리는 , 뿔은 사슴과 유사하지만 전체적으로 이 네 가지 동물과 다르다.[10][11] 중국 명나라의 이야기인 《봉신연의》에서는 신수(神獸)로 묘사되어있다.

고베 오지 동물원(고베)에 있는 사불상(수컷)의 골격


다비드사슴 성체의 머리와 몸 길이는 1.9m에서 2.2m이고, 어깨 높이는 약 1.2m이다.[10] 꼬리는 사슴치고는 비교적 길어 곧게 폈을 때 50cm에서 66cm에 이른다. 머리는 길고 가늘며 눈이 크고, 눈물구덩이가 매우 크며, 코 패드는 털이 없고, 귀는 작고 뾰족하다.[11]

가지진 은 긴 가지가 뒤로 향하고, 주요 뿔대가 거의 똑바로 위로 뻗는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1년에 두 쌍이 있을 수 있는데, 여름 뿔이 더 크며 여름 발정기 이후인 11월에 떨어진다. 두 번째 뿔 세트가 나타난다면 1월까지 완전히 자라며, 몇 주 후에 떨어진다.[11]

털은 여름에는 붉은 황갈색을 띠다가 겨울에는 칙칙한 회색으로 변한다. 일년 내내 길고 물결치는 털이 존재하며, 겨울에는 털이 더 부드러워진다. 목과 목구멍에 갈기가 있으며, 목등뼈를 따라 검은 등쪽 줄무늬가 있다. 꼬리 길이는 약 50cm이며, 끝에는 검은 털 뭉치가 있다. 발굽은 크고 퍼지며, 동물이 움직일 때 딸깍거리는 소리가 난다(순록의 경우와 같이).[11]

반수생 동물인 다비드사슴은 수영을 잘하며, 어깨까지 물에 잠긴 채로 오랫동안 서서 지낸다. 주로 풀을 뜯어먹지만, 여름에는 풀 외에 수생 식물로 식단을 보충한다.

두동장(체장)은 183cm에서 216cm이다.[35][37] 꼬리 길이는 22cm에서 35.5cm이다.[35] 어깨 높이는 122cm에서 137cm이다.[35] 체중은 수컷 214kg, 암컷 159kg이다.[35] 꼬리는 길고, 끝의 체모는 털 뭉치 모양으로 뻗어있다.[35] 속명 ''Elaphurus''는 '꼬리가 있는 사슴'을 의미한다.[36] 목 부위의 체모는 길게 뻗어 갈기 모양이 된다.[35]

머리는 가늘고 길다.[35] 눈은 크다.[35] 콧구멍 주변의 체모로 덮이지 않은 노출부(비경)는 크고, 알파벳 'V'자 모양이다.[35] 사지는 길고, 발굽도 크다.[35] 눈 아래에는 냄새샘(안하선)이 발달한다.[35]

3. 2. 새끼의 특징

임신 기간은 약 9개월(대략 280일)이며, 보통 한 마리의 새끼가 태어난다. 쌍둥이는 드물다. 사불상의 임신 기간은 노루를 제외한 다른 사슴보다 훨씬 길다. 사불상은 계절 번식 동물로 여겨지는데, 유럽 사육 개체군의 경우 4마리 중 3마리가 4월에 새끼를 낳는다. 번식기는 160일이며 짝짓기는 보통 6월과 7월 사이에 이루어진다. 로빈스와 로빈스 방정식으로 계산한 새끼의 체중은 11.3~13.2kg 정도이다. 새끼(사슴 '새끼' 또는 '송아지'라고 함)는 대부분의 사슴 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반점 무늬 털을 가지고 있으며, 태어난 후 매우 빠르게 발달한다. 약 14개월이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11] 사불상의 평균 수명은 최대 18년이다.

4. 생태

사불상은 중국 고유종으로, 플라이스토세에 처음 나타나 만주 전역에서 발견되었으나, 홀로세에는 중국 남부 습지에서만 발견되었다.[6][7] 1939년에 마지막 야생 개체가 총에 맞아 죽으면서 야생에서는 멸종되었다.[7]

Sharkarosa Ranch (2014)에 있는 수컷 사불상


사불상(수컷)의 특징적인 큰 눈물샘, 검은 등 줄기, 크고 넓은 발굽


다비드사슴 성체의 머리와 몸길이는 1.9m 에서 2.2m, 어깨 높이는 약 1.2m이다.[10] 꼬리는 50cm 에서 66cm로 길다. 몸무게는 135kg 에서 200kg 사이이다. 머리는 길고 가늘며 눈이 크고, 눈물구덩이가 매우 크며, 귀는 작고 뾰족하다.[11]

가지진 은 긴 가지가 뒤로 향하고, 주요 뿔대가 거의 똑바로 위로 뻗는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1년에 두 쌍의 뿔이 있을 수 있는데, 여름 뿔이 더 크며 11월에 떨어진다. 두 번째 뿔은 1월에 자라고 몇 주 후에 떨어진다.[11]

털은 여름에는 붉은 황갈색을 띠다가 겨울에는 칙칙한 회색으로 변한다. 목과 목구멍에 갈기가 있으며, 목등뼈를 따라 검은 등쪽 줄무늬가 있다. 꼬리 끝에는 검은 털 뭉치가 있다. 발굽은 크고 퍼지며, 움직일 때 딸깍거리는 소리가 난다.[11]

반수생 동물인 다비드사슴은 수영을 잘하며, 어깨까지 물에 잠긴 채로 오랫동안 서 있기도 한다. 주로 풀을 뜯어먹지만, 여름에는 수생 식물도 먹는다.[37]

사불상은 온대 위도에 사는 다른 사슴 종과 유사한 생식 생리적 기전을 가지고 있으며, 수컷의 발정 행동에는 소변 냄새 맡기, 몸 뒹굴기, 뿔 장식, 소변 뿌리기 등이 있다. 암컷은 잦은 배뇨, 수용성, 수컷의 교미 허용 등의 행동을 보인다.[12]

임신 기간은 약 9개월(280일~288일)이며,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드물게 쌍둥이를 낳기도 한다.[35] 새끼는 반점 무늬 털을 가지고 있으며, 태어난 후 매우 빠르게 발달한다. 약 14개월에서 생후 2년 3개월이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11][35] 사불상의 평균 수명은 최대 18년에서 23년 3개월이다.[11][35]

5. 보존 상태

사불상은 19세기에 서방세계에 알려졌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야생에서 멸종되었다. 의화단 운동 이후에는 목격되지 않았으며, 그 이전에 불법으로 유럽 여러 나라에 유출되어 사육되었다. 이후 주로 영국에서 보호를 위해 사육되었으며, 살아남은 무리를 통해 중국에 야생 개체를 복원하려는 계획이 진행 중이다.[16]

신석기 시대에 사불상의 서식지는 중국 본토의 상당 지역에 걸쳐 있었다. 고고학자들은 북쪽의 랴오허, 장쑤성, 저장성에서부터 황허와 양쯔강 유역의 산시성후난성에 이르는 정착지에서 사불상의 뿔을 발견했다.[16]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내 전체 사불상 개체 수는 8,000마리를 넘어섰으며, 중국에서 1급 국가 보호를 받고 있다.[17]

사불상(암컷).


쓰스어우 미루 국가 자연 보호구

5. 1. 보존 노력의 역사

19세기 말, 세계에서 유일하게 남은 사불상 무리는 중국 동치제 황제의 소유였으며, 베이징 근처 난하이쯔에 있는 난위안 왕립 사냥 정원에서 관리되었다.[18] 1895년, 용정강의 홍수로 사냥 정원의 벽이 파괴되면서 사슴 대부분이 탈출했고, 일부는 굶주린 농민들에게 죽임을 당했다.[19] 정원에 남은 30마리 미만의 사불상은 1900년 의화단 운동독일 제국 군대에 의해 모두 사살되어 먹히면서 중국에서 멸종되었다.[19][1][20]

다행히 일부 사불상은 베이징 주재 프랑스 및 영국 선교 단체에 의해 합법적으로[21] 유럽으로 옮겨져 번식되었다. 1900년 중국 내 개체군이 멸종된 후, 영국 귀족 허브랜드 러셀, 제11대 베드포드 공작은 유럽 동물원에 남아있던 사불상을 워번 수도원으로 데려와 번식시켜 멸종 위기에서 구해냈다.[22] 두 차례의 세계 대전으로 다시 위협받았지만, 베드포드 공작과 그의 아들 헤이스팅스 러셀, 제12대 베드포드 공작의 노력으로 살아남았다. 현재 전 세계 동물원의 사불상은 워번 수도원 무리에서 유래되었다.[22]

1985년, 세계자연기금(WWF)의 후원으로 워번 수도원의 사불상 20마리(수컷 5마리, 암컷 15마리)가 중국으로 돌아왔다. 1987년에는 암컷 18마리가 추가로 도입되었다.[23] 이들은 베이징 남부 교외 난위안(난하이쯔[24]) 왕실 사냥 정원 유적지에 재도입되었고, 베이징 미루 공원이 조성되었다.[1] 2005년, 베이징 당국은 미루 재도입 20주년을 기념하여 난하이쯔에 제14대 베드포드 공작(로빈 러셀(제14대 베드포드 공작))의 동상을 세웠다.[23]

1986년에는 영국 5개 동물원에서 36마리의 사불상이 다펑 미루 국가 자연 보호구에 도입되었다.[1] 1993년에는 톈어저우 미루 국가 자연 보호구(쓰스어우 미루 국가 자연 보호구)에 30마리가 방사되었고,[26] 2002년에는 위안양 황허 자연 보호구에 50마리가 방사되었다.[1]

IUCN 적색 목록은 1996년 사불상을 "위급"으로 분류했다가,[27] 2008년에는 "야생 절멸"로 지정했다.[28] 2016년, 재도입된 개체군이 장기적으로 생존 가능성을 입증할 때까지 "야생 절멸" 상태를 유지한다고 밝혔다.[28] 현재 중국에는 53개의 사불상 무리가 있으며, 이 중 9개 무리는 25마리 이하, 나머지는 10마리 미만이다.[29] 적은 개체 수에도 불구하고, 사불상은 유전적 병목 현상으로 인한 문제는 겪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

사불상은 재도입 후 여러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사육으로 인해 적응적 포식자 방어 행동이 약화되었을 수 있고, 기생충 방어 행동을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32] 또한, 호랑이와 같은 포식자에 대한 경계심이 부족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사불상은 호랑이 울음소리에 주의를 기울이는 등 이전 포식자에 대한 기억을 유지하고 있다.[15]

5. 2. 현재 상황

의화단 사건 이후에는 야생에서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이전에 불법으로 유럽 여러 나라에 유출되어 사육되었다.[19][1][20] 1900년 중국 개체군이 멸종된 후, 영국 귀족 허브랜드 러셀, 제11대 베드포드 공작은 유럽 동물원으로부터 남아있는 몇 마리의 사슴을 구입하여 워번 수도원에서 번식시켜 이 종을 보존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22]

1985년, 워번 수도원의 사불상 20마리(수컷 5마리, 암컷 15마리)를 시작으로 중국에 재도입이 시작되었고, 1987년에는 암컷 18마리가 추가로 도입되었다.[23] 이들은 WWF의 후원을 받아 베이징 남부 교외의 베이징 미루 공원에 방사되었다.[1] 2005년에는 재도입 20주년을 기념하여 로빈 러셀(태비스톡 후작)의 동상이 세워졌다.[23]

1986년에는 영국 5개 동물원에서 36마리의 사불상이 다펑 미루 국가 자연 보호구에 도입되었고,[1] 1993년에는 톈어저우 미루 국가 자연 보호구에 30마리가 방사되었다.[26] 2002년에는 위안양 황허 자연 보호구에 50마리가 방사되었다.[1]

IUCN 적색 목록 (1996) 평가에서는 사불상이 "위급"으로 분류되었으나,[27] 2008년에는 야생 절멸 종으로 공식 지정되었다.[28] 2016년에는 재도입된 개체군이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을 입증할 때까지 "야생 절멸"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고 명시되었다.[28]

현재 중국에는 53개의 사불상 무리가 있으며, 이 중 9개 무리는 25마리 이하, 나머지는 10마리 미만이다.[29] 적은 개체 수에도 불구하고, 이 동물들은 유전적 병목 현상으로 인한 유전적 문제는 겪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

사육으로 인해 사불상은 적응적 포식자 방어 행동의 손실을 겪을 수 있으며, 기생충 방어 행동을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32] 그러나 호랑이 울음소리에 대한 반응을 통해 이전 포식자인 호랑이에 대한 조상들의 기억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15]

6. 계통 분류

다음은 2012년 핫사닌(Hassani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41]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사슴과

|-

|

{| class="wikitable"

|-

| 노루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말코손바닥사슴족

말코손바닥사슴속

|-

| 노루족



|}

|-

| 흰꼬리사슴족

|-

|

{| class="wikitable"

|-

| 순록속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남방푸두 (푸두속)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팜파스사슴속

|-

|



|}

|-

|

늪사슴속
아마존갈색마자마사슴 (마자마사슴속)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사슴아과

|-

|

{| class="wikitable"

|-

| 문착족



|-

| 사슴족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다마사슴속

|-

|

{| class="wikitable"

|-

|



|-

| 사슴속

|}

|}

|}

|}

|}

|}

|}

7. 인간과의 관계

사불상은 중국에서 유래한 전설적인 동물로, 그 이름은 "네 가지가 같지 않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四不像|쓰부샹중국어이라고도 불리며, 일본어로는 ''시후조''라고 한다. 이 이름은 소, 사슴, 당나귀, 말(또는 낙타)의 특징을 모두 가졌지만, 그 어느 동물과도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는 외모에서 유래했다.[9]

사불상에 대한 묘사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

묘사
소의 발굽, 낙타의 목, 사슴의 뿔, 당나귀의 꼬리
소의 코, 사슴의 뿔, 당나귀의 몸, 말의 꼬리
당나귀의 꼬리, 말의 머리, 소의 발굽, 사슴의 뿔
낙타의 목, 소의 발굽, 당나귀의 꼬리, 사슴의 뿔
사슴의 뿔, 말의 머리, 소의 몸



이러한 독특한 외모 덕분에 사불상은 명나라 시대 소설 ''봉신연의''에서 강태공의 탈것으로 등장하며 중국 신화 속 상상의 동물로 자리 잡았다.[9]

1865년아르망 다비드 신부가 서구에 처음 소개하기 전까지, 사불상은 베이징 황제의 사냥터인 남원의 개체군을 제외하고는 멸종된 상태였다.[35][36] 19세기 말, 남원의 외벽이 홍수로 파괴되면서 남은 개체들마저 사라졌고, 청나라 말기에는 완전히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33][37][36] 그러나 영국의 베드포드 공작이 자신의 영지인 워번 애비로 데려온 개체들과 유럽 동물원들의 노력으로 사육 번식이 이루어졌다.[35][36]

1985년부터는 유럽에서 사육된 개체들을 중국에 재도입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35] WWF의 후원으로 1985년과 1987년에 걸쳐 워번 애비에서 사육된 사불상들이 베이징 남원 지역에 재도입되었다.[1][23][24] 1986년에는 상하이 북부 다펑 미루 자연 보호구에도 영국 동물원에서 온 39마리가 도입되었다.[33][37] 이후 여러 보호구역으로 재도입이 확대되었고, 2016년 기준으로 IUCN 적색 목록에서는 '야생 절멸' 상태이지만, 최근 개체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33]

일본에서는 2006년 2월, 사슴아과의 다른 종이 분포 지역 밖으로 유입되어 정착된 사례가 있어, 일본사슴과의 유전자 오염을 우려하여 사불상을 포함한 사슴아과 구성종이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었다.[39]

참조

[1] 간행물 "''Elaphurus davidianus''" 2020-03-29
[2] 서적 Deer of the World: their Evolution, Behaviour and Ecology Stackpole Books
[3] 논문 Evolution and phylogeny of old world deer http://arts.anu.edu.[...] 2013-04-18
[4] 논문 Mitochondrial and nuclear phylogenies of Cervidae (Mammalia, Ruminantia): Systematics, morphology, and biogeography https://www.research[...] 2006
[5] 논문 Reintroduction, distribution, population dynamics and conservation of a species formerly extinct in the wild: A review of thirty-five years of successful Milu (Elaphurus davidianus) reintroduction in China
[6] 문서 The Milu (Elaphurus davidianus), a recently evolved Chinese ruminant species with a unique morphology pointing a specific ecological adaptation. Beijing Press, Beijing, China
[7] 문서 Chinese Milu's prosperity, decline and protection. Beijing Press, Beijing, China
[8] 논문 Note sure le Mi-Lou ou Sseu-Pou-Siang https://www.biodiver[...] 2023-12-09
[9] 뉴스 China To Return More David's Deer To the Wild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Online 2012-05-21
[10] 서적 Animal: The Definitive Visual Guide to the World's Wildlife DK Adult
[11] 웹사이트 Père David's Deer (''Elaphurus davidianus'') http://www.waza.org/[...] World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ums 2020-03-29
[12] 논문 Seasonal Changes of Reproductive Behavior and Fecal Steroid Concentrations in Pe' re David's Deer 2001-06-12
[13] 논문 Influence of enclosure size and animal density on fecal cortisol concentration and aggression in Père David's deer stags
[14] 논문 Determinants of vigilance in a reintroduced population of Père David's deer
[15] 논문 Do Père David's Deer Lose Memories of Their Ancestral Predators? 2011
[16] 웹사이트 麋鹿与狩猎 http://www.milupark.[...] 2007-12-17
[17] 웹사이트 Chinese court rules hydropower company to protect rare plant - Xinhua {{!}} English.news.cn http://www.xinhuanet[...] 2021-06-24
[18] 서적 The Extinction Club HarperCollins Publishers
[19] 간행물 The Rarest Animals https://archive.org/[...] 1964-12
[20] 논문 首创下午茶的英国公爵家族 同中华文明的情缘
[21] 문서 Nigel Sitwell, Pere David's Deer Return Home https://whispersandf[...]
[22] 서적 Hope for Animals and their World: How Endangered Species are being Rescued from the Brink Grand Central Publishing
[23] 문서 Robin Russell, Marquess of Tavistock, was the son and heir apparent of [[John Russell, 13th Duke of Bedford]] (d.2002) who had become a tax exile in Monaco leaving the Bedford estates in England to be managed by his son
[24] 문서 South China Morning Post announcing the arrival of the first herd of Milu in Beijing Aug. 26, 1985 https://whispersandf[...]
[25] 뉴스 Père David's deer http://www.britannic[...] britannica 2012-11-20
[26] 웹사이트 China Plus http://english.cri.c[...]
[27] 문서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28] 웹사이트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Elaphurus davidianus https://www.iucnredl[...] 2016-03-31
[29] 문서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Père David's deer in China.
[30] 논문 A new gene mapping resource: interspecies hybrids between Père David's deer (Elaphurus davidianus) and red deer (Cervus elaphus)
[31] 논문 Genetic analysis of Père David's× red deer interspecies hybrids
[32] 웹사이트 麋鹿的传说 http://www.dafeng.js[...] 2013-04-25
[33] 간행물 Elaphurus davidianus https://doi.org/10.2[...]
[34] 문서 Order Artiodactyla
[35] 문서 シフゾウ [[講談社]]
[36] 논문 四不像盛衰史 https://doi.org/10.3[...] 山階鳥類研究所 1956
[37] 웹사이트 Elaphurus davidianus http://animaldiversi[...] 2021-01-06
[38] 웹사이트 中国、絶滅危惧種シフゾウ(四不像)の野生個体数が徐々に回復 https://tenbou.nies.[...] 国立環境研究所 2023-03-29
[39] 웹사이트 특정외래생물 등 목록 https://www.env.go.j[...] 환경부 2021-01-06
[40] 웹사이트 사불상 Elaphurus davidianus https://www.nibr.go.[...]
[41] 논문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Cetartiodactyla (Mammalia, Laurasiatheria), as reveal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ome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