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세보 해군 기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세보 해군 기지는 1883년 일본 제국 해군 기지로 시작하여, 1905년 쓰시마 해전에서 러시아 발트 함대를 격파한 일본 함대의 출항지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조선소와 함께 함선, 잠수함, 항공기 정비 시설로 활용되었으며, 종전 후 미 해병대와 해군이 주둔하며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과 미군의 주요 출항 기지로 사용되었다. 이후 자위대가 창설되면서 해상자위대 함정이 모항으로 삼았고, 미국 해군은 제7함대 함정을 지원했다. 현재는 미군과 자위대가 함께 사용하는 시설들이 있으며, 제11상륙함대와 제7기뢰전대 등 여러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일 미국 해군의 기지 - 요코스카 해군 시설
    요코스카 해군 시설은 도쿠가와 막부 시대 조선소에서 출발하여 일본 제국 해군의 주요 기지로 성장,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 해군에 접수되어 현재 제7함대의 주요 기지로 운영되고 있으며, 다양한 시설과 지역 사회 교류를 포함하지만 핵추진 항공모함 배치 등 논란도 있다.
  • 주일 미국 해군의 기지 - 디에고가르시아 해군지원시설
    디에고가르시아 해군지원시설은 인도양에 위치한 미국 해군의 전략적 군사 기지로, 냉전 시대부터 주요 분쟁에서 미군의 거점 역할을 수행했으나, 기지 건설 과정에서 차고스인들의 강제 이주 문제가 발생하여 인권 침해 논란이 있다.
  • 사세보시의 건축물 - 하우스텐보스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하우스텐보스는 네덜란드의 하위스 텐 보쉬 궁전을 재현한 복합 리조트 시설로, 다양한 테마존과 시설을 갖춘 규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며, 경영난 이후 H.I.S.의 인수 및 경영 재건을 거쳐 현재는 홍콩계 투자 회사 PAG에 매각되었다.
  • 사세보시의 건축물 - 사세보항
    사세보항은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항구로, 남만 무역 거점 및 해군 기지로서의 역사와 함께 현재는 무역항, 군사적 요충지, 해상 교통 중심지, 그리고 국제 크루즈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해상자위대의 기지 - 아쓰기 해군 비행장
    아쓰기 해군 비행장은 가나가와현 아쓰기시 인근에 위치한 군사 비행장으로, 일본 해군이 건설하여 태평양 전쟁 당시 운용 후 미군 기지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미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며 소음, 환경 문제, 기지 이전 계획 등으로 논란이 있다.
  • 해상자위대의 기지 - 마이즈루 기지
    마이즈루 기지는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있는 해상자위대의 주요 기지로, 마이즈루 지방대, 제3호위대군, 제23항공대 등 여러 부대와 시설을 갖추고 일본해 방위 및 재해 대응 임무를 수행하며 환경 및 지역 안보에 대한 우려가 있다.
사세보 해군 기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국 해군 사세보 기지 휘장
유형해군 기지
위치나가사키현 사세보시
소유
현재 지휘관마이클 폰테인 대령
역사
사용(1870년~1945년)
(1945년 ~ 현재)
기타
관련 기지사세보 기지 (해상자위대)
부대 정보

2. 역사

미국 해군 사세보 기지 정문에 표시된 로고


사세보 해군 기지는 일본 제국 해군 시기부터 미군정 시기, 한국 전쟁과 냉전 시기를 거쳐 21세기 현재까지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수행해왔다.

한국 전쟁 이후 자위대가 창설되면서 해상자위대 함정이 사세보를 모항으로 삼기 시작했고(''사세보 지방대''), 미국 해군 기지는 미국 제7함대 함정을 계속 지원했다.[1]

1970년대 중반, 사세보 해군 기지는 '''사세보 해군 병기 시설'''로 바뀌면서 함대 방문이 감소했으나, 1980년 7월 4일 다시 제7함대 함정이 전진 배치되면서 이러한 추세는 반전되었다.

1990–91년 사막의 방패 작전/사막의 폭풍 작전 기간 동안 사세보 해군 기지는 페르시아만 작전 지역의 함정과 해병대를 위한 탄약 및 연료 공급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

1950년부터 1978년까지 사세보역과 아카자키 저유소를 잇는 미군 전용 인입선인 조스코선(4.6km)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사세보 중공업 (SSK) 부지 내에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사세보 기지는 "오카자키・라스크 교환 공문"[9][10]을 근거로 하며, 미국 해군 태평양 함대 제7함대의 일부가 주둔하는 기지이다. 미군 조직상으로는 '''사세보 함대 기지'''(FAS)와 '''요코스카 보급 센터'''(FISCY) 사세보 지소의 2개 조직으로 크게 나뉜다. 토지 총 면적은 461.1ha이다. (나가사키현 공식 웹사이트 내 "미 해군 사세보 기지"에서 데이터 인용).

2. 1. 초기 (일본 제국 해군 시기)

도고 헤이하치로 소령은 1883년에 작은 어촌이었던 사세보를 일본 제국 해군 기지로 만들 것을 제안했고, 이후 사세보는 해군 기지 역할을 해왔다. 1905년, 도고 제독 휘하의 일본 해군 함대는 사세보에서 출항하여 러시아 러시아 발트 함대와 쓰시마 해전을 벌여 승리했다.

일본 제국 해군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조선소와 관련 해군 기지에서 약 6만 명의 인원을 동원하여 함선, 잠수함 및 항공기를 정비했다. 사세보는 해군 장병들에게 인기 있는 육상 휴가 항구였다.[1]

2. 2. 미군정 시기 (1945년 ~ 1952년)

대니 케이가 1945년 10월 25일 사세보에서 미군 장병들을 위해 공연하고 있다.


1945년 9월 22일, 미국 해병대 제5해병사단이 사세보에 상륙하여 진수부를 접수하였고,[1] 1946년 6월에는 미국 해군 사세보 기지가 설립되었다.[1]

한국 전쟁 발발 후, 사세보는 유엔군과 미군의 주요 출항 기지가 되었다.[1] 수백만 톤의 탄약, 연료, 탱크, 트럭 및 보급품이 사세보를 거쳐 한국의 유엔군으로 향했으며,[1] 사세보 주둔 미군 수는 약 2만 명으로 증가, 하루 100척의 군함과 화물선이 드나들며 외국인 수도 늘었다.[1]

2. 3. 한국 전쟁과 냉전 시기 (1950년 ~ 1991년)

한국 전쟁 휴전 이후, 수백 톤의 탄약, 연료, 전차, 화물차, 보급품 등이 사세보를 거쳐 주한 유엔군으로 전달되었다. 이 기지는 일시적으로 2만 명까지 수용하기도 했다.[1] 일본 정부는 자위대를 창설하면서 사세보를 해상자위대의 주요 모항 중 하나로 지정하고 함정을 배치했다(사세보 지방대).[1]

1980년 7월 4일, 제7함대 함정이 사세보 해군 기지에 전진 배치되었다. USS 본험 리처드, USS 애쉬랜드, USS 저먼타운, USS 그린 베이, USS 워리어, USS 패트리어트, USS 파이오니어, USS 치프 등 군함과 함께 5,900명의 군인 및 가족들이 기지에 들어왔다.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사막 방패 작전 및 사막 폭풍 작전 기간 동안, 사세보 해군 기지는 해병대의 페르시아만 작전, 병참, 함정 급유 등을 지원하는 중요한 보급 거점 역할을 수행했다.

2. 4. 21세기 (1992년 ~ 현재)

2015년 2월 19일, USS 그린베이 (LPD-20)영어가 사세보 기지에 입항하였다.[18]

2016년 2월 12일, 미국 해군은 2017년 회계연도에 사세보 해군 기지에 줌왈트급 구축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비를 보수하는 비용 1642.0000000000002만달러와 2019년에 배치할 새로운 강습상륙함의 예산안을 미리 편성하였다고 밝혔다. 설비 보수는 2017년 5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약 1년 5개월이 걸렸다.[19]

사세보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 외교 정책의 결과로 확장되었으며, 그곳에 주둔하는 LCAC의 수가 두 배로 증가했다.[2]

2021년 1월 25일, FAC5118 사키베 해군 보조 시설이 전면 반환되어[11] 해상자위대가 부두 등을 정비하였다.[12]

3. 주변 시설

사세보 기지는 오카자키・라스크 교환 공문[9][10]을 근거로 하며, 미국 해군 태평양 함대 제7함대의 일부가 주둔하는 기지이다. 미군 조직상으로는 '''사세보 함대 기지'''(FAS)와 '''요코스카 보급 센터'''(FISCY) 사세보 지소의 2개 조직으로 크게 나뉜다. 토지 총 면적은 461.1ha이다.

배치된 함정 목록은 제7함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부 시설은 해상자위대와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다.

1950년부터 1978년까지 사세보역과 아카자키 저유소를 잇는 조스코선(4.6km)이 미군 전용 인입선으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사세보 중공업 (SSK) 부지 내에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2021년 1월 25일, FAC5118 사키베 해군 보조 시설이 전면 반환되어[11], 해상자위대가 부두 등을 정비하고 있다[12].

사세보만 수역의 약 83%는 미군 사용을 우선하는 제한 수역으로, 해상자위대와 공동 사용되고 있다.[15] 제한 수역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되어 있으며, 민간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수역은 약 17%에 불과하다.[15]


  • '''(A) 제한 수역''' (8.4%): 모든 사용에 허가가 필요한 구역
  • '''(B) 제한 수역''' (19.3%): 항행은 자유로우나, 그 외의 사용은 허가가 필요한 구역
  • '''(C) 제한 수역''' (49.8%): 잠수만 허가가 필요한 구역
  • '''(D) 제한 수역''' (5.7%): 수상기 노선권 구역
  • 비제한 수역 (16.8%)

3. 1. 주요 시설

사세보 해군 기지를 구성하는 구역과 주변 시설
이름코드위치목적
사세보 해군시설FAC5029사세보 시주 기지
사세보 건선거 지구FAC5030사세보 시함정 수리 및 유지보수, 사세보 중공업 소유.
사세보 탄약보급소FAC5033사세보 시탄약창
하리오 탄약 집적소FAC5050하리오 섬 서북부 아쿠노우라, 우시노우라탄약창
하리오 주거지구FAC0505나가사키 시 하우스텐보스 근처영외거주자용 주택지
타테가미 항구FAC5086타테가미 지구함정 수리
사키베 소총 사격장FAC5117사키베사격장, 해상자위대가 관리함.
사키베 LCAC 지원시설FAC5118사키베LCAC 격납
요코스카 함대 및 산업 지원소 (FISC) - 사세보 보지소(保支)
아카사카 급유소FAC5032사세보 항 서쪽 아카사키 지구연료 보관 및 함정 급유
이오리카자키 급유소FAC5036사세보 항 남서쪽 이오리자키연료 보관 및 함정 급유
요코세 급유소FAC5039사이카이 시연료 보관 및 함정 급유



사세보 함대 기지(Fleet Activities Sasebo)가 관리·사용하는 시설은 다음과 같다[14]


  • '''FAC5029''' 사세보 해군 시설(※) 43ha
  • '''FAC5030''' 사세보 드라이독 지구(Drydock)(※) 8.3ha
  • '''FAC5032''' 아카자키 유류 저장소 75.4ha
  • '''FAC5033''' 사세보 탄약 보급소(Maebata Ammo Supply Point; Maebata Ordnance facility) 58.2ha
  • '''FAC5050''' 하리오시마 탄약 집적소(Hario Shima Ammo Storage Area; Hario Shima Ordnance facility) 129.7ha
  • '''FAC5086''' 타테가미 항만 구역(Tategami peninsula) 13.8ha
  • '''FAC5117''' 사키베 소총 사격장(건물만, 공동 사용)
  • '''FAC5050''' 하리오 주택 지구(Hario Housing Area) 34.9ha
  • '''FAC5039''' 요코세 유류 저장소 61.8ha


※ 일부 공동 사용 있음

일미지위협정 제2조 제4항 (b)의 적용에 따라 미군은 다음의 자위대 및 민간 시설의 일부를 이용(공동 사용)하고 있다.

  • FAC5029 사세보 해군 시설 (창고 시설 등을 이용)
  • FAC5117 사키베 소총 사격장 (사격 훈련에 이용)
  • 사세보 중공업(SSK)이 제공하는 FAC5030 사세보 드라이 도크 지구 (선박 수리 등에 이용)


일미지위협정 제2조 제4항 (a)의 적용에 따라 주일 미군에 제공되는 시설 및 구역은 일본국과 자위대·지자체·민간이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해상자위대는 다음의 미군 시설·구역을 이용하고 있지만, 사용 우선권은 미군에 있다.

  • FAC5029 사세보 해군 시설 (창고 시설 등을 이용)
  • FAC5030 사세보 드라이 도크 지구 (선박 수리)
  • FAC5036 이오자키 유류 저장소 (연료 저장)
  • FAC5050 하리노오 섬 탄약 집적소 (탄약 저장)
  • FAC5086 타테가미 항구 (선박 수리)

3. 2. 기타 시설

사세보 해군 기지를 구성하는 구역과 주변 시설들
이름코드위치목적
사세보 해군시설FAC5029사세보시주 기지
사세보 건선거 지구FAC5030사세보시함정 수리 및 유지보수, 사세보 중공업 소유.
사세보 탄약보급소FAC5033사세보시탄약창
하리오 탄약 집적소FAC5050하리오 섬 서북부 아쿠노우라, 우시노우라탄약창
하리오 주거지구FAC0505나가사키시 하우스텐보스 근처영외거주자용 주택지
타테가미 항구FAC5086타테가미 지구함정 수리
사키베 소총 사격장FAC5117사키베사격장, 해상자위대가 관리함.
사키베 LCAC 지원시설FAC5118사키베LCAC 격납
요코스카 함대 및 산업 지원소(FISC) - 사세보 보지소(保支)
아카사카 급유소FAC5032사세보 항 서쪽 아카사키 지구연료 보관 및 함정 급유
이오리카자키 급유소FAC5036사세보 항 남서쪽 이오리자키연료 보관 및 함정 급유
요코세 급유소FAC5039사이카이시연료 보관 및 함정 급유



사세보 함대 기지(Fleet Activities Sasebo)가 관리·사용하는 시설은 다음과 같다.[14]


  • '''FAC5029''' 사세보 해군 시설(※) 43.0ha
  • '''FAC5030''' 사세보 드라이독 지구(Drydock)(※) 8.3ha
  • '''FAC5032''' 아카자키 유류 저장소 75.4ha
  • '''FAC5033''' 사세보 탄약 보급소(Maebata Ammo Supply Point; Maebata Ordnance facility) 58.2ha
  • '''FAC5050''' 하리오시마 탄약 집적소(Hario Shima Ammo Storage Area; Hario Shima Ordnance facility) 129.7ha
  • '''FAC5086''' 타테가미 항만 구역(Tategami peninsula) 13.8ha
  • '''FAC5117''' 사키베 소총 사격장(건물만, 공동 사용)
  • '''FAC5050''' 하리오 주택 지구(Hario Housing Area) 34.9ha
  • '''FAC5039''' 요코세 유류 저장소 61.8ha


※ 일부 공동 사용 있음

일미지위협정 제2조 제4항 (b)에 따라 미군은 다음의 자위대 및 민간 시설의 일부를 이용(공동 사용)하고 있다.

  • FAC5029 사세보 해군 시설 (창고 시설 등을 이용)
  • FAC5117 사키베 소총 사격장 (사격 훈련에 이용)
  • 사세보 중공업(SSK)이 제공하는 FAC5030 사세보 드라이 도크 지구 (선박 수리 등에 이용)


일미지위협정 제2조 제4항 (a)에 따라 주일 미군에 제공되는 시설 및 구역은 일본국과 자위대·지자체·민간이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해상자위대는 다음의 미군 시설·구역을 이용하고 있지만, 사용 우선권은 미군에 있다.

  • FAC5029 사세보 해군 시설 (창고 시설 등을 이용)
  • FAC5030 사세보 드라이 도크 지구 (선박 수리)
  • FAC5036 이오자키 유류 저장소 (연료 저장)
  • FAC5050 하리노오 섬 탄약 집적소 (탄약 저장)
  • FAC5086 타테가미 항구 (선박 수리)

3. 3. 사세보 만 제한 수역

사세보만의 수역 약 83%는 미군 사용을 우선하는 제한 수역으로, 해상자위대와 공동 사용되고 있다.[15] 제한 수역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되어 있으며, 민간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수역은 약 17%에 불과하다.[15]

  • '''(A) 제한 수역''' (8.4%): 모든 사용에 허가를 필요로 하는 구역
  • '''(B) 제한 수역''' (19.3%): 항행은 자유로우나, 그 외의 사용은 허가를 필요로 하는 구역
  • '''(C) 제한 수역''' (49.8%): 잠수만 허가를 필요로 하는 구역
  • '''(D) 제한 수역''' (5.7%): 수상기 노선권 구역
  • 비제한 수역 (16.8%)

4. 주둔 부대

사령관 마크 루켄이 2010년 6월 8일 일본 사세보 해군 기지에 배치된 강습상륙함 USS ''Essex'' (LHD-2)에서 해도판에 항로를 표시하고 있다.


사세보 기지는 미국 해군 태평양 함대 제7함대의 일부가 주둔하는 기지로, 제11상륙함대와 제7기뢰전대가 주둔하고 있다.

사세보에 주둔하는 주요 함정은 다음과 같다.

함종함명비고
강습상륙함LHA-6 아메리카
선거형 상륙함LPD-18 뉴올리언스[13]
선거형 상륙함LPD-20 그린베이
선거형 상륙함LSD-47 러시모어
소해함어벤저급 MCM-7 패트리어트, MCM-9 파이어니어, MCM-10 워리어, MCM-14 치프
커터바솔프급 WMSL-750 바솔프


4. 1. 사령부

사세보 해군기지 사령부의 집무건물

  • 미국 국방부
  • * 미국군 네트워크 (AFN) 사세보
  • * 국방병참국, 사세보 지부
  • * 국방군수국, 일본 요코스카 배급원, 사세보 분견대
  • * 국방감찰국, 태평양 사무국, 사세보 사무소
  • * 교육처/학교
  • * 연합 서비스 조직 (USO)
  • 미국 해군
  • * 부상훈련단, 서태평양 사세보 파견대
  • * 주일 해군 지역대 사령부
  • ** 인적자원사무소 - 사세보 분소
  • ** 사세보 지역소방소
  • * 해군지원체계사령부 (NAVSUP) 함대산업지원센터 (FISC), 사세보 분견대
  • * 사세보 해군병원
  • * 해군 극동 컴퓨터화상통신소, 사세보 파견대
  • * 해군범죄수사청 주거국
  • * 해군시설기술사령부 (NAVFAC), 극동 시설기술사령부, 사세보 공사부
  • * 해군 해양학 사세보 기뢰전 구성대
  • * 사세보 해군대학
  • * 사세보 해군매점
  • * 해군 해병대 사세보 Relief Society
  • * 해군 병기사령부 동아시아 부서, 사세보 분견대
  • * 사세보 인사지원분견대
  • * 지역법률지원 사무국, 사세보 사무소
  • * 함정 수리시설 및 일본 지역 정비소 사세보 분견대
  • * 태평양 우주 및 전쟁 시스템시설, 일본 요코스카-사세보 분견대

4. 2. 부대


  • 미국 해군
  • * 태스크포스 76
  • ** 제11상륙전대
  • ** 제7소해전대
  • ** 사세보 해저감시파견대
  • ** 제5EOD기동부대, 51파견대
  • ** 군사해양수송사령부 함정지원부대, 사세보 분견대
  • ** 제7해군해안부대
  • 미국 육군
  • ** 미국 육군 공병대 일본 지부, 사세보 주거사무국
  • ** 미국 육군 보건사령부 일본 지부
  • 미국 공군
  • **
    제374통신전대


제11상륙함대 사령관 (COMPHIBRON 11)

함종함명배치 시기
강습상륙함LHA-6 아메리카2019년 이후
선거형 상륙함LPD-18 뉴올리언스2019년 이후
선거형 상륙함LPD-20 그린베이2015년 이후
선거형 상륙함LSD-47 러시모어2021년 이후
선거형 상륙함USS San Diego (LPD-22)2024년 이후



제7기뢰전대 사령관 (COMCMRON 7)

함명배치 시기
MCM-7 패트리어트1994년 이후
MCM-9 파이어니어2014년 이후
MCM-10 워리어2014년 이후
MCM-14 치프2014년 이후


  • 커터: 바솔프급 커터: WMSL-750 바솔프

5. 교육

어니스트 J. 킹 중고등학교


미 국방부 교육 활동 (DoDEA) 학교는 다음과 같다.

  • 어니스트 J. 킹 중고등학교[3]
  • 다비 초등학교[4]
  • 사세보 초등학교[5]

참조

[1] 웹사이트 Commander Fleet Activities Sasebo History https://www.cnic.nav[...] 2022-02-25
[2] 웹사이트 Fleet of air cushions vital to safeguarding island chain http://www.menafn.co[...] Stars and Stripes 2013-10-08
[3] 웹사이트 Home https://ejkingmhs.do[...] Ernest J. King Middle High School 2024-10-27
[4] 웹사이트 Home https://darbyes.dode[...] Darby Elementary School 2024-10-27
[5] 웹사이트 Home https://saseboes.dod[...] Sasebo Elementary School 2024-10-27
[6] 웹사이트 管内の防衛施設 https://www.mod.go.j[...] 九州防衛局 2021-06-15
[7] 웹사이트 九州防衛局 https://www.mod.go.j[...]
[8] 문서 米軍用語では、司令官(Commander)の麾下にある部隊を Command と称する。
[9] 웹사이트 日米行政協定に関する交換公文 https://worldjpn.net[...] データベース「世界と日本」
[10] 문서 昭和27年7月26日付「官報号外第73号」 外務省告示第33号 外務省告示第34号
[11] 웹사이트 崎辺海軍補助施設(崎辺東地区)の全部返還について https://www.city.sas[...] 佐世保市 2021-03-12
[12] 뉴스 崎辺地区東側、米軍が返還 国が岸壁整備へ 佐世保 https://www.asahi.co[...] 2021-03-05
[13] 문서 LHA-6のドック能力補完のため追加配備
[14] 웹사이트 米海軍佐世保基地 https://www.pref.nag[...] 長崎県 2021-03-11
[15] 웹사이트 佐世保海上保安部 https://www.kaiho.ml[...] 2015-07-12
[16] 웹인용 管内の防衛施設 http://www.mod.go.jp[...] 규슈방위성 2016-12-02
[17] 뉴스 사세보 미 해군기지 일부시설 일에 반환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1977-02-15
[18] 뉴스 美 해군, 日 사세보 기지에 최신예 도크형 수송양륙함 배치 http://www.47news.jp[...] 교도통신 2015-02-19
[19] 뉴스 美해군, 日사세보 기지에 스텔스 구축함 수리설비 구축 http://www.yonhapnew[...] 2016-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