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W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국지W는 삼국지 인물들을 등용하고 아이템을 수집하는 웹게임으로, 카드 형태의 TCG 요소를 포함한다. 2009년 출시 이후 한동안 높은 순위를 유지하며 장수 웹게임으로 평가받았으며, 여러 에피소드를 통해 삼국지 시대를 배경으로 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했다. 게임은 삼국지연의를 기반으로 하지만, 일부 정사 내용을 반영하며, 2016년에는 아이템 강화 콘텐츠 관련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실시간 전략 게임 - 웹삼국지
웹삼국지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2009년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여 현재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실시간 전략 게임 - 클래시 오브 클랜
클래시 오브 클랜은 슈퍼셀에서 개발한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게임으로, 클랜을 формирует하고 군대를 훈련시켜 다른 플레이어를 공격하여 자원을 얻고, 자신의 마을을 건설하고 발전시켜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삼국지 게임 - 삼국지 11
삼국지 11은 코에이에서 개발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3D 맵 도입, 군주제 회귀, 시설 배치 방식 및 장수 특기 시스템의 차별화가 특징이며, 파워업키트에서는 장수 육성, 신규 시나리오, 편집기능 등이 추가되었다. - 삼국지 게임 - 웹삼국지
웹삼국지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2009년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여 현재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 브라우저 게임 - 워들
워들은 6번의 시도 안에 5글자 영어 단어를 맞히는 웹 기반 단어 추측 게임으로, 정답 단어와 일치하는 글자와 위치에 따라 색깔로 표시되며, 조시 워들이 개발하여 뉴욕 타임스에 인수되었다. - 브라우저 게임 - 두들 챔피언 아일랜드 게임
두들 챔피언 아일랜드 게임은 롤플레잉과 스포츠 게임을 결합하여 고양이 캐릭터 루키로 일본을 모티브로 한 섬들을 탐험하며 미니 게임 대결을 통해 챔피언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삼국지W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삼국지W (Samkukji W) |
원제목 | 삼국지W (Samkukji W) |
장르 | MMORTS |
모드 | 멀티 플레이 |
개발 및 출시 | |
개발사 | snapThinking |
배급사 | 동양온라인 넥슨 |
출시 | 2009년 9월 2010년 8월 |
기타 정보 | |
언어 | 다국어 |
이용가 등급 | GRB: 12세 이용가 |
미디어 | 어도비 플래시 |
요구사양 |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10.0 인터넷 접속 |
입력장치 | 키보드, 마우스 |
2. 특징
삼국지의 인물 수백명을 등용하여 성장시킬 수 있으며 실제 존재했던 인물들이 사용하던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인물과 아이템 모두 TCG에서 보던 카드로 구성되어 수집에 대한 재미 또한 느낄 수 있다. 플레이어는 한 지역의 호족이 되어 각 종 관직을 노리거나 다른 호족의 영토를 공격할 수 있으며 연합 시스템을 통해 공성전을 벌이고 성을 차지할 수 있다.
2009년 출시 이후 2년간 게임 전체 순위 100위권(www.gamenote.com 기준)을 유지했으며, 현존하는 국내 웹게임 중 장수 게임으로 손꼽힌다. 2013년에는 순위 100위권 밖으로 밀려났지만, 여전히 장수하는 웹게임으로 평가받는다.
3. 기록
6개의 주 에피소드와 10개의 스페셜 에피소드, 그리고 삼국 비사록 에피소드가 출시되었다. 주 에피소드는 삼국지 시대별 주요 사건을 배경으로 하며, 각 에피소드는 2~4개의 세부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해당 시대의 인물들을 재평가한다. 스페셜 에피소드는 특정 인물이나 테마에 초점을 맞추며, 유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주 에피소드에서 다루지 못한 장수를 등장시키거나 재구성하기도 한다. 웹게임의 고정성을 탈피하고 온라인 게임 형태의 가변성을 추구하는 시도가 있었다. 주 에피소드 간 누락된 내용은 '삼국 비사록' 에피소드로 출시되었으나, 기존 에피소드의 장수들과 능력치 편차가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본적으로 삼국지연의를 기반으로 정사의 평가를 일부 도입하였으나, 연의나 정사 양쪽에 모두 등장하는 장수나, 연의에 등장하는 장수 중에서도 등장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2009년 7월 2일 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CBT)를 시작하여 7월 8일 종료했고, 2009년 7월 24일 2차 CBT를 시작하여 8월 18일 종료했다. 2009년 9월 21일 카포게임즈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9년 12월 15일 두 번째 서버 '게임하마'가 오픈되었고, 2010년 10월 7일 세 번째 서버 '청룡'이 게임하마에서 오픈되었다. 2011년에는 7월 12일 네 번째 서버 '백호', 8월 16일 다섯 번째 서버 '주작'이 게임하마에서 오픈되었다. 이후 '하마' 서버 이름 변경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유야무야되었다. 2012년 1월 31일 카포게임즈에서 여섯 번째 서버 '混'이 오픈되었고, 기존 서버는 '本'으로 이름이 정해졌다.
2013년 6월 4일, 게임하마는 서버 한계와 계열사 운영의 어려움으로 서버를 통합했고, 2013년 7월 8일 게임하마 서비스 종료에 따라 통합된 서버는 '秦' 서버로 이름을 변경하고 카포게임즈에서 서비스하게 되었다. 이는 사실상 게임하마가 카포게임즈에 병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015년 5월 28일 다음게임즈에서 일곱 번째 서버 '緣'이 오픈되었다.
2016년 2월, 게임사의 성급한 아이템 강화 콘텐츠 업데이트 시도로 인해 유저들의 무과금 운동 선언이 있었고, 2016년 3월 5일 선릉에서 유저 간담회가 개최되어 해당 콘텐츠는 철회되었다.
4. 역사
2009년 7월 2일에 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CBT)를 시작했고 7월 8일 종료했다. 2009년 7월 24일에 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CBT)를 시작했고 8월 18일 종료했다. 2009년 9월 21일에 카포게임즈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09년 12월 15일 게임하마에서 두 번째 서버가 열렸다. 2010년 10월 7일에는 게임하마에서 '청룡' 서버가, 2011년 7월 12일에는 '백호' 서버, 2011년 8월 16일에는 '주작' 서버가 각각 게임하마에서 추가로 열렸다. 이후 기존 서버인 '하마'의 이름을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으나 흐지부지되었다. 2012년 1월 31일에는 카포게임즈에서 여섯 번째 서버인 '混' 서버를 열면서, 기존 서버의 이름을 '本'으로 변경하였다.
2013년 6월 4일 게임하마에서 유저들의 요청과 서버 한계, 계열사 운영의 한계에 따라 서버를 조정하여 임의로 통합했다. 2013년 7월 8일 게임하마 서비스 종료에 따라 통합된 서버는 '秦' 서버로 이름을 바꾸고 카포게임즈에서 서비스하게 되었다. 이는 사실상 게임하마가 카포게임즈에 병합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2015년 5월 28일에는 다음게임즈에서 일곱번째 서버인 '緣' 서버를 오픈하였다.
2016년 2월, 게임사의 아이템 강화 콘텐츠 업데이트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유저들의 무과금 운동 선언 발표를 불러 일으켰다. 이에 2016년 3월 5일, 선릉에서 유저 간담회가 개최되었고, 결국 아이템 강화 콘텐츠는 철회되었다.
4. 1. 서비스 초기
2009년 7월 2일에 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CBT)를 시작했고 7월 8일 종료했다. 2009년 7월 24일에 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CBT)를 시작했고 8월 18일 종료했다. 2009년 9월 21일에 카포게임즈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4. 2. 서버 확장
2009년 12월 15일 게임하마에서 두 번째 서버가 열렸다. 2010년 10월 7일에는 게임하마에서 '청룡' 서버가, 2011년 7월 12일에는 '백호' 서버, 2011년 8월 16일에는 '주작' 서버가 각각 게임하마에서 추가로 열렸다. 이후 기존 서버인 '하마'의 이름을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으나 흐지부지되었다. 2012년 1월 31일에는 카포게임즈에서 여섯 번째 서버인 '混' 서버를 열면서, 기존 서버의 이름을 '本'으로 변경하였다.4. 3. 서버 통합 및 서비스 이전
2013년 6월 4일 게임하마에서 유저들의 요청과 서버 한계, 계열사 운영의 한계에 따라 서버를 조정하여 임의로 통합했다. 2013년 7월 8일 게임하마 서비스 종료에 따라 통합된 서버는 '秦' 서버로 이름을 바꾸고 카포게임즈에서 서비스하게 되었다. 이는 사실상 게임하마가 카포게임즈에 병합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2015년 5월 28일에는 다음게임즈에서 일곱번째 서버인 '緣' 서버를 오픈하였다.4. 4. 운영 관련 논란
2016년 2월, 게임사의 아이템 강화 콘텐츠 업데이트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유저들의 무과금 운동 선언 발표를 불러 일으켰다. 이에 2016년 3월 5일, 선릉에서 유저 간담회가 개최되었고, 결국 아이템 강화 콘텐츠는 철회되었다.5. 에피소드
三國志중국어W는 수많은 온라인 게임과 웹게임 사이에서 2년째 게임 전체 순위 100위 안에 랭크될 만큼 큰 인기를 얻었다. 2013년에는 게임 전체 순위 100위에서 밀려났지만, 현존하는 웹게임 중에서는 장수 대열에 올라선 국내 유일의 웹게임이다.
현재까지 6개의 주 에피소드와 9개의 스페셜 에피소드가 등장했으며, 주 에피소드는 각기 2~4개의 세부 에피소드로 나뉘어 시기별로 삼국지의 등장인물을 그 시대의 활약상에 맞추어 재평가하고 있다. 주 에피소드에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장수는 스페셜 에피소드를 통해 등장시키거나, 유저들의 평가에 따라 재구성한 모습을 보여준다. 스페셜 에피소드의 한계에 따라, 구 에피소드의 장수들을 자체적으로 재평가를 시도하기도 하여 웹게임의 특성인 고정성을 버리고 온라인 게임 형태의 가변성을 띄려 한 시도가 최근에 있었다. 주 에피소드 간의 누락된 에피소드는 비사록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어 나오고 있으나, 과거 출시된 에피소드에서의 장수들과 많은 편차가 존재한다는 평이 많다.
기본적인 베이스는 삼국지연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정사의 평가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연의나 정사 양쪽 모두에 등장하거나 베이스가 되는 연의에서 등장하는 장수에서도 등장하지 않은 장수가 많은 편이다.
- EP1
- * 194년 난세의 시작
- * 198년 하북의 원소
- * 200년 관도대전
- * 207년 와호기신
- EP2
- * 208년 적벽대전
- * 211년 서량의 폭풍
- * 214년 유비입촉
- * 215년 합비 전투
- EP3
- * 219년 삼국정립
- * 219년 번성 전투
- EP4
- * 222년 이릉 대전
- * 222년 삼로전투
- * 225년 남만전투
- EP5
- * 227년 출사표
- * 228년 가정 전투
- * 228년 석정전투
- EP6
- * 229년 제갈량의 3차 북벌
- SP
- * 1.여인천하
- * 2.호족평론
- * 3.호족쟁명
- * 4.환생난무
- * 5.잠룡집결
- * 6.잠룡집결2
- * 7.여인천하2
- * 8.기인열전
- * 9.이민족봉기
- * 10.재인박명
- 삼국 비사록 에피소드
- * 195년 복양전투
- * 184년 황건의 난
- * 194년 강동정벌
- * 196년 완성전투
- * 203년 하북쟁탈전
- * 209년 남군전투
- * 228년 진창전투
- * 219년 정군산
5. 1. 주 에피소드
三國志중국어W는 수많은 온라인 게임과 웹게임 사이에서 2년째 게임 전체 순위 100위 안에 랭크될 만큼 큰 인기를 얻었다. 2013년에는 게임 전체 순위 100위에서 밀려났지만, 현존하는 웹게임 중에서는 장수 대열에 올라선 국내 유일의 웹게임이다.현재까지 6개의 주 에피소드와 9개의 스페셜 에피소드가 등장했으며, 주 에피소드는 각기 2~4개의 세부 에피소드로 나뉘어 시기별로 삼국지의 등장인물을 그 시대의 활약상에 맞추어 재평가하고 있다. 주 에피소드에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장수는 스페셜 에피소드를 통해 등장시키거나, 유저들의 평가에 따라 재구성한 모습을 보여준다. 스페셜 에피소드의 한계에 따라, 구 에피소드의 장수들을 자체적으로 재평가를 시도하기도 하여 웹게임의 특성인 고정성을 버리고 온라인 게임 형태의 가변성을 띄려 한 시도가 최근에 있었다. 주 에피소드 간의 누락된 에피소드는 비사록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어 나오고 있으나, 과거 출시된 에피소드에서의 장수들과 많은 편차가 존재한다는 평이 많다.
기본적인 베이스는 삼국지연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정사의 평가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연의나 정사 양쪽 모두에 등장하거나 베이스가 되는 연의에서 등장하는 장수에서도 등장하지 않은 장수가 많은 편이다.
주 에피소드는 다음과 같다.
- EP1
- * 194년 난세의 시작
- * 198년 하북의 원소
- * 200년 관도대전
- * 207년 와호기신
- EP2
- * 208년 적벽대전
- * 211년 서량의 폭풍
- * 214년 유비입촉
- * 215년 합비 전투
- EP3
- * 219년 삼국정립
- * 219년 번성 전투
- EP4
- * 222년 이릉 대전
- * 222년 삼로전투
- * 225년 남만전투
- EP5
- * 227년 출사표
- * 228년 가정 전투
- * 228년 석정전투
- EP6
- * 229년 제갈량의 3차 북벌
5. 2. 스페셜 에피소드
三國志W중국어는 수많은 온라인 게임과 웹게임 사이에서 2년째 게임 전체 순위 100위 안에 랭크될 만큼 큰 인기를 얻었다. 2013년에는 순위 100위 밖으로 밀려났지만, 현존하는 웹게임 중에서는 장수 게임으로 평가받는 유일한 국내 웹게임이다.현재까지 6개의 주 에피소드와 10개의 스페셜 에피소드가 등장했다. 주 에피소드는 각기 2~4개의 세부 에피소드로 나뉘어 시기별로 삼국지의 등장인물을 그 시대의 활약상에 맞추어 재평가하고 있다. 주 에피소드에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장수는 스페셜 에피소드를 통해 등장시키거나, 유저들의 평가에 따라 재구성한 모습을 보여준다. 스페셜 에피소드의 한계에 따라, 구 에피소드의 장수들을 자체적으로 재평가를 시도하기도 하여 웹게임의 특성인 고정성을 버리고 온라인 게임 형태의 가변성을 띄려한 시도가 있었다. 주 에피소드 간의 누락된 에피소드는 비사록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어 나오고 있으나, 과거 출시된 에피소드에서의 장수들과 많은 편차가 존재한다는 평이 많다.
스페셜 에피소드로는 1. 여인천하, 2. 호족평론, 3. 호족쟁명, 4. 환생난무, 5. 잠룡집결, 6. 잠룡집결2, 7. 여인천하2, 8. 기인열전, 9. 이민족봉기, 10. 재인박명이 있다.
5. 3. 삼국 비사록 에피소드
삼국 비사록/三國悲史錄중국어 에피소드는 주 에피소드에서 다루지 못한 사건들을 다룬다. 비사록 에피소드는 다음과 같다.하지만, 비사록 에피소드는 과거 출시된 에피소드의 장수들과 많은 편차가 존재한다는 평이 많다.
6. 평가
삼국지W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부분 삼국지 연의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있어, 일부 인물들의 능력치가 크게 왜곡되어 반영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 예로 순욱의 조카로 알려진 순유가 그 중 한 명이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일부에서는 몇몇 삼국지 인물들에 대한 평가 및 묘사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