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원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원제는 한 국가에 세 개의 의회를 두는 제도로, 현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하에 인종별로 의회를 구성했던 사례가 유일하다. 삼원제는 상원, 중원, 하원으로 나뉠 수 있지만, 실제로 중원 의원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법안 통과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역사적으로는 프랑스 삼부회, 중화민국, 1983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이슬란드 의회 등에서 유사한 형태가 나타났으며, 맨 섬의 틴월드, 인도네시아 국민협의회 등도 삼원제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원제 입법부 - 삼부회
    삼부회는 프랑스에서 성직자, 귀족, 평민 대표로 구성된 신분제 의회로, 국왕의 과세 동의 기능을 수행하며 왕권 강화에 기여했으나, 프랑스 혁명 직전 소집 후 의결 방식 갈등으로 국민 의회 결성되어 해체되고 프랑스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 명수 3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 명수 3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삼원제
개요
삼원제
삼원제를 나타내는 그림
유형정부 형태
설명입법, 사법, 행정의 세 가지 별도 기관으로 나뉜 정부
추가 정보
관련 용어다원주의

2. 삼원제의 특성

1국가 1의회를 유지하는 단원제나 1국가 2의회를 유지하는 양원제와는 다르게 1국가 3의회를 유지하는 제도이지만 현재 지구상 국가 중에서는 삼원제를 시행하는 국가가 없으며 기본적으로 상원, 중원, 하원으로 나뉠 수 있겠지만 실질적으로 중원 의원은 원래부터 존재하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세계 유일의 삼원제 국가였지만 이 나라는 상원, 중원, 하원식이 아닌 백, 흑, 황인 및 인도인 등의 다인종으로 구성된 의회를 가졌으며 아파르트헤이트의 잔재로 알려져서 1994년 해당 정책의 폐지로 양원제로 전환되었다.

단원제나 양원제와는 다르게 삼원제는 상원, 중원, 하원으로 나뉠 수 있기 때문에 양원제에 비해서 표결까지 결정되는 기간이 다소 걸릴 수 있다는 점이 있는데 단원제의 경우 단일의회의 특성상 단일의원들의 표결에 따라 즉시 법이 제정되고 양원제의 경우 상원과 하원 2개의 의회에서 모두 표결을 지을 때까지는 법이 제정되지 않고 상원에서 최종적으로 표결에 붙이는 여부에 따라 이후부터 법이 제정되지만 삼원제는 상원과 중원을 거쳐서 하원까지 표결을 붙이는 방식이라 기간도 걸릴 수 있고 법 제정이 늦어질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지구상의 국가 중에서는 인종다원제로 구성했던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제외하면 아직까지 상중하원으로 구성된 사례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논쟁의 여지가 있는 삼원제 유형 중 하나는 두 개의 입법 기구가 있으며, 각각 선출되거나 임명되고, 세 번째 기구는 두 기구의 모든 구성원으로 구성되어 함께 회의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가 삼원제로 간주되는 경우, 예를 들어 맨 섬의 틴왈드, 인도네시아의 인민협의회, 그리고 아이슬란드의 알팅 (1874년부터 1991년까지)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통합된 의회에 대한 명시적이고 일상적인 역할이 있으며, 이는 두 기구의 합동 회의가 교착 상태를 해결하거나 특별 회기를 위해 사용되는 양원제 시스템과는 구별된다. 호주, 스위스, 인도 등 여러 의회에서 이러한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삼원제를 이러한 경우까지 포함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은 주로 의미론적인 문제이다.

세 개의 기구가 각각 별도로 선출되고 별도로 회의하고 토론하는 덜 모호한 예도 존재해 왔다. 이 단어는 때때로 합동 회의를 가졌기 때문에 유사한 의미론적 주장이 적용되는 앙시앵 레짐 시대의 프랑스 삼부회를 설명할 수 있다.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의 1983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에 따라 설립된 남아프리카 공화국 의회는 삼원제였으며, 중국의 1947년 헌법과 시몬 볼리바르의 모델 국가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기구의 공통된 특징은, 이름의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는데, 세 개의 입법부 중 하나가 주로 입법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재 삼원제 방식으로 구성된 국가 정부는 없다.

2. 1. 구성

삼원제는 1국가 3의회를 유지하는 제도이다. 현재 지구상에 삼원제를 시행하는 국가는 없다. 단원제나 양원제와는 다르게 상원, 중원, 하원으로 나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중원 의원은 원래부터 존재하지 않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세계 유일의 삼원제 국가였지만, 상원, 중원, 하원식이 아닌 백인, 흑인, 황인 및 인도인 등 다인종으로 구성된 의회를 가졌으며 아파르트헤이트의 잔재로 알려졌다.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폐지되면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양원제로 전환되었다.

단원제는 단일 의회의 특성상 단일 의원들의 표결에 따라 즉시 법이 제정되고, 양원제는 상원과 하원 두 의회에서 모두 표결을 지을 때까지 법이 제정되지 않고 상원에서 최종적으로 표결에 붙이는 여부에 따라 법이 제정된다. 하지만 삼원제는 상원과 중원을 거쳐서 하원까지 표결을 붙이는 방식이라 표결까지 결정되는 기간이 다소 걸릴 수 있고 법 제정이 늦어질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지구상의 국가 중에서는 인종다원제로 구성했던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제외하면 아직까지 상, 중, 하원으로 구성된 사례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2. 2. 장점

삼원제는 단원제나 양원제와 달리 상원, 중원, 하원의 세 의회로 구성되어 법 제정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는 의사 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신중한 검토를 가능하게 하여, 성급한 법 제정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2. 3. 단점

삼원제는 1국가 3의회를 유지하는 제도이다. 현재 지구상에서 삼원제를 시행하는 국가는 없다. 상원, 중원, 하원으로 나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중원 의원은 원래부터 존재하지 않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세계 유일의 삼원제 국가였지만, 백인, 흑인, 황인 및 인도인 등 다인종으로 구성된 의회를 가졌으며 아파르트헤이트의 잔재로 알려져 1994년 해당 정책 폐지와 함께 양원제로 전환되었다.

단원제나 양원제와 비교하면, 삼원제는 법 제정이 늦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단원제는 단일 의회의 표결에 따라 즉시 법이 제정되고, 양원제는 상원과 하원 두 의회에서 모두 표결을 거쳐야 한다. 반면 삼원제는 상원, 중원을 거쳐 하원까지 표결을 거쳐야 하므로 기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다. 현재는 인종다원제로 삼원제를 구성했던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제외하면 상원, 중원, 하원으로 구성된 삼원제 국가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3. 역사적 사례

1983년, 아파르트헤이트 시기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인종별로 의회를 분리하였다. 11월 2일 백인들만의 국민투표로 70% 이상의 지지를 얻어 삼원제가 도입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삼원 의회는 세 개의 인종 기반 의회로 구성되었다.


  • '''의회''' — 백인 전용 178명
  • '''대표 의회''' — 유색인 또는 혼혈인 전용 85명
  • '''대표자 의회''' — 인도인 전용 45명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흑인 남아프리카인들은 반투스탄의 시민으로 간주되어 대표성을 전혀 얻지 못했다.

삼원 의회는 두 가지 측면에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많은 백인 보수주의자들은 비백인들이 의회에 참여하는 것 자체를 싫어했고, 이는 국민당에서 분리된 보수당 창설의 요인이 되었다. 유색인과 인도인들은 자신들에게 할당된 의회가 무력하다며 이 제도를 가짜라고 거부했다.

삼원 의회는 그다지 강력하지 않았다. 1983년 헌법은 의회의 권한을 크게 약화시키고 총리 직책을 폐지했다. 대부분의 권한은 국가 대통령에게 이양되었으며, 내각 임명 권한도 포함되었다. 이는 유색인과 인도인의 권력을 제한하려는 시도로 여겨졌다. 비백인 의회가 백인 의회보다 덜 강력했을 뿐만 아니라, 의회 자체도 백인인 국가 대통령에게 종속되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앙시앵 레짐 시기의 삼부회를 삼원제의 일종으로 보기도 한다. 삼부회는 국왕의 자문 그룹으로 점차 발전했으며, 제1신분(성직자), 제2신분(귀족), 제3신분(평민)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삼부회는 공식적인 입법 권한이 없었고, 삼자 구획이 일관성 있게 적용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삼원 의회로 간주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프랑스 혁명 시기 프랑스 집정정부는 삼원제를 도입했다. 프랑스 제1제정 시기에는 다음과 같은 세 의회로 구성된 삼원제 입법부를 갖추고 있었다.

  • Sénat conservateur]]/
  • Corps législatif]]/
  • Tribunat]]/


하지만 원로원프랑스어은 시에예스에 의해 행정, 입법, 사법을 넘어서는 '보수' 권력으로 묘사되었기에 입법부의 일부로 보기에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사실상 나폴레옹은 원로원프랑스어을 자신의 권력을 뒷받침하는 정치 엘리트로 만들었고, 다른 두 의회는 굴복하게 되었으며, 1807년에는 '호민원'이 폐지되었다.

1957년 중화민국 사법원국민대회, 입법원, 감찰원이 타국의 국회에 해당한다는 헌법 해석을 내렸다.[1] 이 해석에 따르면 1948년부터 1993년까지 중화민국의 의회 제도는 삼원제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감찰원은 법제 기능이 없어 의회로 보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

1947년 중화민국 헌법은 쑨원이 제안하고 중국 국민당이 지지하는 틀을 따르며, 삼권 분립은 장쥔마이가 설계하였다.[1] 중국 공산당의 연방주의 의견도 통합되었다.

  • '''국민대회'''는 국민 전체를 대표하며 총통 선출 및 헌법 수정 권한을 가졌다.
  • '''입법원'''은 주요 상설 입법 기관이다.
  • '''감찰원'''은 정부 성과 감사 기관이다.


국공 내전에서 패배 후 중화민국 정부대만으로 후퇴했다. 공산 반란에 대한 임시 조항으로 총통 권한이 강화되고 삼원 의회 기능은 제한되었다. 1990년대 헌법 개정으로 입법원단원제 의회가 되었고, 2005년 국민대회가 폐지되면서 감찰원은 정부 부서로 분리되었다.

1844년 국왕 칙령에 의해 아이슬란드 의회가 복원된 후, 1845년부터 1874년까지 단원제로 운영되었으며, 이후에는 ''통합 의회''로 알려진 세 번째 의회와 함께 양원제로 운영되었다. 세 번째 의회는 다른 두 의회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단일 기구로 심의했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이를 양원제 시스템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세 번째 의회는 다른 두 의회의 의장과는 별개의 자체 의장을 가지고 있었다.

  • Neðri deildis (하원): 상원과 동등한 지위를 가졌으며, 의원들은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었다.
  • Efri deildis (상원): 하원과 동등한 지위를 가졌다. 원래 상원의 절반은 덴마크 국왕이 임명했으며, 1915년 모든 의원이 민주적으로 선출될 때까지 거부권을 행사했다.
  • Sameinað Alþingiis (통합 의회): 의원은 하원과 상원의 의원들이었다. 세 번째 의회는 원래 논쟁적인 문제만 다루었지만 곧 자체 상임위원회를 설치했으며, 1934년부터는 연례 예산안 수정 및 통과에 대한 독점적인 역할을 했다. 수십 년이 지나면서 세 번째 의회는 하원과 상원의 많은 책임을 인수했다.


아이슬란드 의회는 덴마크와 스웨덴의 입법부를 따라 1991년에 다시 단원제가 되었다.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 효력이 발생한 인도네시아 헌법 개정 이후, 인도네시아 의회는 아이슬란드 및 맨 섬의 삼원제와 유사하게 세 개의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그 중 하나는 다른 두 기관의 구성원으로 구성됨).

  • Dewan Perwakilan Rakyatid(DPR-RI; 문자 그대로 국민 대표 의회; 공식적으로 하원): 대부분의 입법 권한을 행사하는 하원이다.
  • Dewan Perwakilan Daerahid(DPD-RI; 지역 대표 의회): 지역 정부와 관련된 법률에 대한 책임이 있는 상원, 하지만 자체적인 직접적인 입법 권한은 없다.
  • Majelis Permusyawaratan Rakyatid(MPR-RI; 국민협의회): 구성원은 DPR 및 DPD의 구성원이다. 헌법을 개정하고, 대통령 및 부통령의 취임을 선서하며, 대통령과 부통령을 탄핵하고, 선거 사이에 대통령 및 부통령의 공석을 채우는 것이 유일한 책임이다.


아이슬란드 통합 의회와 마찬가지로, 인도네시아 국민협의회는 DPR 및 DPD와 별개의 자체 의장 및 부의장을 가지고 있다.

시몬 볼리바르남아메리카의 혁명 지도자는 모범적인 정부 모델에 대한 제안의 일환으로 삼원 의회를 포함시켰다. 볼리바르는 세 개의 의회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호민관 의회''': 정부 재정, 외교, 전쟁과 관련된 권한을 가졌다. 호민관은 다른 두 의회와 달리 민중 투표로 선출되었다.
  • '''상원''': 법률을 제정하고, 사법부를 감독하며, 지역 관리들을 임명하는 권한을 가진 비정치적 기구였다. 볼리바르는 상원이 세습되어야 한다고 믿었으며, 이것이 상원의 중립성을 보장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볼리바르의 상원은 영국귀족원과 같은 다른 의회와 유사한 점이 있다.
  • '''감찰관''': 다른 두 의회의 권한에 대한 견제 역할을 하는 그룹이었다. 볼리바르는 그들을 "헌법과 민중의 권리를 옹호하는 정부에 대한 검사"라고 묘사했다. 그는 또한 그들이 행정부가 만족스럽게 기능하도록 보장해야 하며, 탄핵 권한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볼리바르는 자신의 정부 모델이 의원 내각제로 기능하도록 의도했으며, 따라서 삼원 의회는 의회에 책임을 지는 내각 장관들의 적극적인 행정을 통해 통치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볼리바르는 특히 앙고스투라 의회에 보낸 메시지에서 자신의 제안된 시스템이 영국의 의원 내각제가 작동하는 방식을 어떻게 반영하는지에 대해 많은 글에서 명확하게 밝혔다. 감찰관에 대한 그의 제안은 그들이 입법자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옴부즈만과 유사한 사무실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감찰관이 진정한 입법자가 아니었고, 오히려 별도의 정부 부처를 대표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그의 시스템이 실제로 삼원 의회로 분류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

볼리바르는 남아메리카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의 어떤 나라도 그의 삼원 의회를 채택하지 않았다. 볼리비아와 같은 모델을 구현하려는 초기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당시의 혼란이 이러한 결과의 요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볼리바르의 영국에서 영감을 받은 의원 내각제를 채택하지 않은 결과로, 고 후안 린츠와 같은 수많은 저명한 정치학자들은 많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정부 시스템을 미국의 대통령제를 모델로 삼은 결정이 정치적 불안정과 그에 따른 독재 또는 혼란으로 이어진 수많은 사례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로마 공화정의 로마 공화국 헌법의 견제와 균형을 보여주는 도표.


로마 공화국은 원로원과 함께 활동하는 세 개의 입법 회의를 가지고 있었는데, 원로원은 귀족 계급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백인회 (군인)
  • 평민회 (평민)
  • 부족회 (귀족과 평민)


원로원과 회의는 집정관을 임명하고, 법을 제정하며, 영토 문제에 대해 협력했다.[3]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다른 모든 연방 구성국은 1974년 헌법에 따라 ''Sabor Socijalističke republike Hrvatske'' (현재의 크로아티아 사보르)의 세 개의 의회를 갖추고 있었다. 즉, 사회정치 위원회(''Društveno-političko vijeće''), 지방 자치 위원회(''Vijeće općina''), 그리고 연합 노동 위원회(''Vijeće udruženog rada'')가 그것이다.

이것은 1990년 새 헌법에 의해 폐지되었으며, 크로아티아는 독립을 쟁취했다.

맨 섬 의 의회인 틴월드는 삼원제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이 설명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 틴월드는 하원과 입법 평의회의 두 개의 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 번째 기구인 틴월드 법정은 두 분원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아이슬란드와 인도네시아의 시스템과 유사하다.

아이슬란드와 인도네시아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틴월드 법정을 독립적인 세 번째 의회로 분류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법정은 하원 또는 입법 평의회의 구성원이 아닌 회원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법정이 통합된 기구가 아닌 독립적인 기구로서의 지위는 모호할 수 있다. 그러나 맨 섬 정부는 틴월드가 실제로 삼원제라고 주장한다.[4] 틴월드를 수용하는 건물 자체는 문자 그대로 "삼원제"이며, 회의를 위한 세 개의 별도 의회실을 포함하고 있다.

잉글랜드 성공회의 총회는 때때로 삼원제로 묘사된다. 이는 주교 의회, 성직자 의회, 평신도 의회로 나뉜다.

잉글랜드 성공회는 국교이므로 영국 의회는 총회에 교회를 위한 법을 제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거부권 유보).

15세기에, 각 교구의 세속 성직자들은 두 명의 대리인을 아일랜드 의회에 보냈으며, 이들은 아일랜드 하원과 아일랜드 상원과 별도로 만났다. 1537년, 그들은 아일랜드 종교 개혁에 반대하여 회원 자격이 박탈되었다.

3. 1. 남아프리카 공화국

1983년, 아파르트헤이트 시기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인종별로 의회를 분리하였다. 11월 2일 백인들만의 국민투표로 70% 이상의 지지를 얻어 삼원제가 도입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삼원 의회는 세 개의 인종 기반 의회로 구성되었다.

  • '''의회''' — 백인 전용 178명
  • '''대표 의회''' — 유색인 또는 혼혈인 전용 85명
  • '''대표자 의회''' — 인도인 전용 45명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흑인 남아프리카인들은 반투스탄의 시민으로 간주되어 대표성을 전혀 얻지 못했다.

삼원 의회는 두 가지 측면에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많은 백인 보수주의자들은 비백인들이 의회에 참여하는 것 자체를 싫어했고, 이는 국민당에서 분리된 보수당 창설의 요인이 되었다. 유색인과 인도인들은 자신들에게 할당된 의회가 무력하다며 이 제도를 가짜라고 거부했다.

삼원 의회는 그다지 강력하지 않았다. 1983년 헌법은 의회의 권한을 크게 약화시키고 총리 직책을 폐지했다. 대부분의 권한은 국가 대통령에게 이양되었으며, 내각 임명 권한도 포함되었다. 이는 유색인과 인도인의 권력을 제한하려는 시도로 여겨졌다. 비백인 의회가 백인 의회보다 덜 강력했을 뿐만 아니라, 의회 자체도 백인인 국가 대통령에게 종속되었다.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 철폐로 삼원제도 폐지되었다.

3. 2. 프랑스

일부 역사가들은 앙시앵 레짐 시기의 삼부회를 삼원제의 일종으로 보기도 한다. 삼부회는 국왕의 자문 그룹으로 점차 발전했으며, 제1신분(성직자), 제2신분(귀족), 제3신분(평민)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삼부회는 공식적인 입법 권한이 없었고, 삼자 구획이 일관성 있게 적용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삼원 의회로 간주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프랑스 혁명 시기 프랑스 집정정부는 삼원제를 도입했다. 프랑스 제1제정 시기에는 다음과 같은 세 의회로 구성된 삼원제 입법부를 갖추고 있었다.

  • Sénat conservateur]]/
  • Corps législatif]]/
  • Tribunat]]/


하지만 원로원프랑스어은 시에예스에 의해 행정, 입법, 사법을 넘어서는 '보수' 권력으로 묘사되었기에 입법부의 일부로 보기에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사실상 나폴레옹은 원로원프랑스어을 자신의 권력을 뒷받침하는 정치 엘리트로 만들었고, 다른 두 의회는 굴복하게 되었으며, 1807년에는 '호민원'이 폐지되었다.

3. 3. 중화민국

1957년 중화민국 사법원국민대회, 입법원, 감찰원이 타국의 국회에 해당한다는 헌법 해석을 내렸다.[1] 이 해석에 따르면 1948년부터 1993년까지 중화민국의 의회 제도는 삼원제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감찰원은 법제 기능이 없어 의회로 보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

1947년 중화민국 헌법은 쑨원이 제안하고 중국 국민당이 지지하는 틀을 따르며, 삼권 분립은 장쥔마이가 설계하였다.[1] 중국 공산당의 연방주의 의견도 통합되었다.

  • '''국민대회'''는 국민 전체를 대표하며 총통 선출 및 헌법 수정 권한을 가졌다.
  • '''입법원'''은 주요 상설 입법 기관이다.
  • '''감찰원'''은 정부 성과 감사 기관이다.


국공 내전에서 패배 후 중화민국 정부대만으로 후퇴했다. 공산 반란에 대한 임시 조항으로 총통 권한이 강화되고 삼원 의회 기능은 제한되었다. 1990년대 헌법 개정으로 입법원단원제 의회가 되었고, 2005년 국민대회가 폐지되면서 감찰원은 정부 부서로 분리되었다.

3. 4. 기타 사례

1844년 국왕 칙령에 의해 아이슬란드 의회가 복원된 후, 1845년부터 1874년까지 단원제로 운영되었으며, 이후에는 ''통합 의회''로 알려진 세 번째 의회와 함께 양원제로 운영되었다. 세 번째 의회는 다른 두 의회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단일 기구로 심의했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이를 양원제 시스템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세 번째 의회는 다른 두 의회의 의장과는 별개의 자체 의장을 가지고 있었다.

  • Neðri deildis (하원): 상원과 동등한 지위를 가졌으며, 의원들은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었다.
  • Efri deildis (상원): 하원과 동등한 지위를 가졌다. 원래 상원의 절반은 덴마크 국왕이 임명했으며, 1915년 모든 의원이 민주적으로 선출될 때까지 거부권을 행사했다.
  • Sameinað Alþingiis (통합 의회): 의원은 하원과 상원의 의원들이었다. 세 번째 의회는 원래 논쟁적인 문제만 다루었지만 곧 자체 상임위원회를 설치했으며, 1934년부터는 연례 예산안 수정 및 통과에 대한 독점적인 역할을 했다. 수십 년이 지나면서 세 번째 의회는 하원과 상원의 많은 책임을 인수했다.


아이슬란드 의회는 덴마크와 스웨덴의 입법부를 따라 1991년에 다시 단원제가 되었다.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 효력이 발생한 인도네시아 헌법 개정 이후, 인도네시아 의회는 아이슬란드 및 맨 섬의 삼원제와 유사하게 세 개의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그 중 하나는 다른 두 기관의 구성원으로 구성됨).

  • Dewan Perwakilan Rakyatid(DPR-RI; 문자 그대로 국민 대표 의회; 공식적으로 하원): 대부분의 입법 권한을 행사하는 하원이다.
  • Dewan Perwakilan Daerahid(DPD-RI; 지역 대표 의회): 지역 정부와 관련된 법률에 대한 책임이 있는 상원, 하지만 자체적인 직접적인 입법 권한은 없다.
  • Majelis Permusyawaratan Rakyatid(MPR-RI; 국민협의회): 구성원은 DPR 및 DPD의 구성원이다. 헌법을 개정하고, 대통령 및 부통령의 취임을 선서하며, 대통령과 부통령을 탄핵하고, 선거 사이에 대통령 및 부통령의 공석을 채우는 것이 유일한 책임이다.


아이슬란드 통합 의회와 마찬가지로, 인도네시아 국민협의회는 DPR 및 DPD와 별개의 자체 의장 및 부의장을 가지고 있다.

시몬 볼리바르남아메리카의 혁명 지도자는 모범적인 정부 모델에 대한 제안의 일환으로 삼원 의회를 포함시켰다. 볼리바르는 세 개의 의회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호민관 의회''': 정부 재정, 외교, 전쟁과 관련된 권한을 가졌다. 호민관은 다른 두 의회와 달리 민중 투표로 선출되었다.
  • '''상원''': 법률을 제정하고, 사법부를 감독하며, 지역 관리들을 임명하는 권한을 가진 비정치적 기구였다. 볼리바르는 상원이 세습되어야 한다고 믿었으며, 이것이 상원의 중립성을 보장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볼리바르의 상원은 영국귀족원과 같은 다른 의회와 유사한 점이 있다.
  • '''감찰관''': 다른 두 의회의 권한에 대한 견제 역할을 하는 그룹이었다. 볼리바르는 그들을 "헌법과 민중의 권리를 옹호하는 정부에 대한 검사"라고 묘사했다. 그는 또한 그들이 행정부가 만족스럽게 기능하도록 보장해야 하며, 탄핵 권한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볼리바르는 자신의 정부 모델이 의원 내각제로 기능하도록 의도했으며, 따라서 삼원 의회는 의회에 책임을 지는 내각 장관들의 적극적인 행정을 통해 통치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볼리바르는 특히 앙고스투라 의회에 보낸 메시지에서 자신의 제안된 시스템이 영국의 의원 내각제가 작동하는 방식을 어떻게 반영하는지에 대해 많은 글에서 명확하게 밝혔다. 감찰관에 대한 그의 제안은 그들이 입법자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옴부즈만과 유사한 사무실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감찰관이 진정한 입법자가 아니었고, 오히려 별도의 정부 부처를 대표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그의 시스템이 실제로 삼원 의회로 분류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

볼리바르는 남아메리카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의 어떤 나라도 그의 삼원 의회를 채택하지 않았다. 볼리비아와 같은 모델을 구현하려는 초기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당시의 혼란이 이러한 결과의 요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볼리바르의 영국에서 영감을 받은 의원 내각제를 채택하지 않은 결과로, 고 후안 린츠와 같은 수많은 저명한 정치학자들은 많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정부 시스템을 미국의 대통령제를 모델로 삼은 결정이 정치적 불안정과 그에 따른 독재 또는 혼란으로 이어진 수많은 사례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유럽 연합은 때때로 삼원제로 간주되는데, 유럽 의회, 유럽 이사회, 유럽 위원회로 구성된다.[2] 그러나 각 기구의 권한이 다르며, 유럽 위원회는 사실상 행정부 역할을 수행하므로, 이 체제는 이원제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로마 공화국은 원로원과 함께 활동하는 세 개의 입법 회의를 가지고 있었는데, 원로원은 귀족 계급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백인회 (군인)
  • 평민회 (평민)
  • 부족회 (귀족과 평민)


원로원과 회의는 집정관을 임명하고, 법을 제정하며, 영토 문제에 대해 협력했다.[3]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다른 모든 연방 구성국은 1974년 헌법에 따라 ''Sabor Socijalističke republike Hrvatske'' (현재의 크로아티아 사보르)의 세 개의 의회를 갖추고 있었다. 즉, 사회정치 위원회(''Društveno-političko vijeće''), 지방 자치 위원회(''Vijeće općina''), 그리고 연합 노동 위원회(''Vijeće udruženog rada'')가 그것이다.

이것은 1990년 새 헌법에 의해 폐지되었으며, 크로아티아는 독립을 쟁취했다.

맨 섬 의 의회인 틴월드는 삼원제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이 설명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 틴월드는 하원과 입법 평의회의 두 개의 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 번째 기구인 틴월드 법정은 두 분원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아이슬란드와 인도네시아의 시스템과 유사하다.

아이슬란드와 인도네시아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틴월드 법정을 독립적인 세 번째 의회로 분류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법정은 하원 또는 입법 평의회의 구성원이 아닌 회원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법정이 통합된 기구가 아닌 독립적인 기구로서의 지위는 모호할 수 있다. 그러나 맨 섬 정부는 틴월드가 실제로 삼원제라고 주장한다.[4] 틴월드를 수용하는 건물 자체는 문자 그대로 "삼원제"이며, 회의를 위한 세 개의 별도 의회실을 포함하고 있다.

잉글랜드 성공회의 총회는 때때로 삼원제로 묘사된다. 이는 주교 의회, 성직자 의회, 평신도 의회로 나뉜다.

잉글랜드 성공회는 국교이므로 영국 의회는 총회에 교회를 위한 법을 제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거부권 유보).

15세기에, 각 교구의 세속 성직자들은 두 명의 대리인을 아일랜드 의회에 보냈으며, 이들은 아일랜드 하원과 아일랜드 상원과 별도로 만났다. 1537년, 그들은 아일랜드 종교 개혁에 반대하여 회원 자격이 박탈되었다.

삼원제 회의 방식은 일부 조합원이 항상 교대 근무를 하는 노동 조합에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각 교대조는 자체 회의를 갖지만, 한 회의의 결정은 다른 두 회의에서도 채택되어야 한다.[7]

퀸스 대학교의 지배 기구는 기본적으로 양원 구조를 따르며, 주요하게 이사회와 평의회로 나뉘며, 각 기구는 비학술적 및 학술적 문제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워털루 대학교와 같은 다른 여러 캐나다 대학교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퀸스 대학교는 또한 자문 및 의례적 기능을 수행하는 대학 평의회를 두고 있으며, 여기에는 대학 총장 (순전히 의례적인 역할) 임명이 포함된다. 평의회는 실제로 대학을 통치할 권한은 없지만, 자체 구성을 결정하고 구성원을 선택할 수 있는 독점적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이사회 및/또는 평의회에 종속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평의회는 캐나다 의회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따라서 평의회를 해산할 수 있는 유일한 기구이기도 하다.

4. 현대적 의의

참조

[1] 웹사이트 J.Y. Interpretation No. 76 https://cons.judicia[...]
[2] 웹사이트 Types of institutions and bodies https://european-uni[...] 2022-01-12
[3] 백과사전 Roman Republic https://www.national[...]
[4] 웹사이트 Tynwald https://www.gov.im/a[...]
[5] 간행물 The Irish Parliament Rolls of the Fifteenth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1943-10
[6] 서적 Ireland, 1101-1690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2017-06-17
[7] 문서 Meetings of Members Working in Shifts http://www.parliam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