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환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환운수는 1992년 설립된 인천광역시의 버스 운송 회사이다. 1992년 마을버스 노선 개통을 시작으로, 시내버스 노선 인수 및 계열사 출범, 전국 최초 중형버스 도입 등 사업을 확장해왔다. 2001년 신효운수, 태형운수, 도화운수와 통합하여 통합 삼환운수로 변경되었으며, 2009년 삼환여객이 분리되었다. 현재 지선버스 노선과 마을버스를 운행하며, 2023년 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최초로 중형전기저상버스를 도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성남시내버스 (기업)
성남시내버스는 1992년 창업하여 성남시에서 시내버스 운행을 시작한 기업으로, 2002년 경기교통 부도 당시 일부 노선을 인수했으며, 2021년 1월 기준 29개 노선과 367대의 차량을 운영하며 현대 그린시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등의 차종으로 직행좌석 버스와 도시형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 199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인천스마트
인천스마트는 1992년 용현운수로 설립되어 2018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회사로, 5번, 5-1번, 20번, 21번, 27번, 38번 등의 노선을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으로 운행한다. - 인천광역시의 버스 기업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1923년 개인 택시에서 시작하여 1949년 최초 노선이 개통되었고, 교통카드 시스템 도입, 수도권 통합요금제 편입, 준공영제 시행 등 변화를 거쳐 현재 간선, 지선, 광역, 좌석, 급행 버스로 운행되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버스 기업 - 신강교통
신강교통은 2012년 7월 설립된 인천광역시 버스 운송 업체로, 광역버스와 광역급행버스 M6457번을 운행하며 현대 유니버스 모델을 보유하고 있고, 과거에는 790번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강인여객
강인여객은 1979년에 설립되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좌석버스 사업 확장과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따른 노선 운행으로 성장하여 현재 간선, 급행 간선, 영종도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삼환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삼환운수 주식회사 |
![]() | |
그림 크기 | 300px |
그림 설명 | 532번 버스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방산로 136, 103호 (서창동) |
사업 지역 | 구월지점: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판로63번길 17, 201호 (만수동) 송현지점: 인천광역시 동구 방축로9번길 56 (송현동) 부평지점: 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 150 (산곡동) |
창립 | 1992년 7월 22일 |
인물 | 김석운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자본금 | 600,000,000원 (2018.8) |
제품 | 시내버스 |
2. 주요 연혁
- 1992년 7월 22일: 삼환운수 주식회사로 회사 설립하여 남동구 2번 마을버스 노선을 개통하였다.[1]
- 1996년 11월 : 인천시 최초로 대형급 중형버스인 BM090 2대[2]를 출고하여 운행하였다.
- 1997년 10월 20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1071번지로 이전.
- 1997년 11월 5일: 인천시내버스 적자노선이자 폐선된 14번, 23번, 62번 시내버스노선을 인수하였다.[3]
- 1998년 2월 2일: 삼환교통[4]을 계열사로 출범과 14, 23, 62번 시내버스 노선이 재개통되었다.
- 2001년 11월 22일: 삼환운수는 마을버스를 시내버스로의 변경과 더불어 신효운수[5], 태형운수[6], 도화운수[7]와 연합하여 통합 삼환운수로 탄생하여 동시에 본사를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 1102번지로 이전하였으며, 만수동 1-301번지에 만수지점 설치.
- 2002년 8월 12일: 전국최초로 현대자동차 중형버스인 글로벌900 디젤모델[8]을 출고하였다.
- 2009년 2월 9일: 구월지점을 현 위치인 남동구 만수동 841-4번지로 이전.
- 2009년 9월 30일: 삼환운수에서 분리되어 삼환여객이 설립과 533번과 534번[9]을 동사에서 분리되었다
- 2009년 10월 9일: 만수지점을 폐쇄하고 부평구 산곡동 369-265번지에 부평지점 설치.[10]
- 2014년 4월 16일: 본사를 남동구 서창남로 16-34 (서창동)로 이전.
- 2017년 6월 1일: 본사를 남동구 서창방산로 136 (서창동)으로 이전.
- 2018년 8월 17일: 자본금을 600,000,000원으로 증액.
- 2023년 6월 2일: 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최초로 중형전기저상버스인 현대자동차 일렉시티타운을 출고하여 510번에 운행하고 있다.
2. 1. 회사 설립 및 성장 (1992년 ~ 2001년)
1992년 7월 22일, 삼환운수 주식회사로 회사를 설립하여 남동구 2번 마을버스 노선을 개통하였다.[1] 1996년 11월에는 인천시 최초로 대형급 중형버스인 BM090 2대[2]를 출고하여 운행하였다. 1997년 10월 20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1071번지로 이전하였고, 11월 5일에는 인천시내버스 적자노선이자 폐선된 14번, 23번, 62번 시내버스 노선을 인수하였다.[3] 1998년 2월 2일, 삼환교통[4]을 계열사로 출범시키면서 14, 23, 62번 시내버스 노선이 재개통되었다.2001년 11월 22일, 삼환운수는 마을버스를 시내버스로 변경하고 신효운수[5], 태형운수[6], 도화운수[7]와 연합하여 통합 삼환운수로 탄생하였다. 동시에 본사를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 1102번지로 이전하였으며, 만수동 1-301번지에 만수지점을 설치하였다.
2. 2. 혁신 및 변화 (2002년 ~ 현재)
2002년 8월 12일 전국 최초로 현대자동차 중형버스인 글로벌900 디젤 모델을 출고하였다. 2009년 2월 9일 구월지점을 현 위치인 남동구 만수동 841-4번지로 이전하였다. 같은 해 9월 30일 삼환운수에서 삼환여객이 분리되어 533번과 534번 노선이 동사에서 분리되었다. 2009년 10월 9일 만수지점을 폐쇄하고 부평구 산곡동 369-265번지에 부평지점을 설치하였다. 2014년 4월 16일 본사를 남동구 서창남로 16-34 (서창동)로 이전하였고, 2017년 6월 1일 다시 본사를 남동구 서창방산로 136 (서창동)으로 이전하였다. 2018년 8월 17일 자본금을 600,000,000원으로 증액하였다. 2023년 6월 2일 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최초로 중형전기저상버스인 현대자동차 일렉시티타운을 출고하여 510번에 운행하고 있다.3. 운행 노선
(분)
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