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운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운역은 1984년 11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경인선에 위치하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다. 부평3동, 십정2동 행정복지센터 등이 주변에 있으며, 2022년 기준 일평균 승차 인원은 6,268명, 하차 인원은 6,170명이다. 인접한 역으로는 부평역과 동암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부평구의 전철역 - 부평구청역
    부평구청역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으로, 1999년 1호선 개통 후 2012년 7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2022년부터 인천교통공사가 7호선 구간을 운영하고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부평구청 등 주요 시설과 인접해 있다.
  • 인천 부평구의 전철역 - 부개역
    부개역은 1996년 3월 28일 운전간이역으로 시작하여 같은 해 3월 25일 개업한 경인선 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급행열차는 통과하며, 부개도서관 등 주변 시설과 2개의 출구가 있다.
  • 경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경인선 - 구로역
    구로역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복잡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1974년 보통역으로 승격,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상업시설과 공공기관이 인접해 있다.
  • 1984년 개업한 철도역 - 합정역
    합정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과 6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각 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총 10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 1984년 개업한 철도역 - 아현역
    아현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4년 개통 이후 서울 마포구와 서대문구 경계에 위치하며, 아현고가도로 영향으로 분리된 폐쇄식 승강장과 다양한 주변 시설을 갖추고, 과거 지명인 "클레반타리"의 흔적을 일부 간직한 채 2만 명대의 일평균 승하차 인원을 기록하고 있다.
백운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역 정보
역 이름백운역
로마자 표기Baegun-yeok
한자 표기白雲驛
역 번호153
주소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55번길 14 (십정동 539)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노선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승강장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구조지상역
개업일1984년 11월 20일
역 등급무배치간이역 (위탁역)
관리역부평역 (코레일 수도권광역본부)
노선 거리구로역 기점 16.6km
역 정보 (추가)
이전 역152 부평역
역 간 거리 (이전)1.7km
다음 역동암역 154
역 간 거리 (다음)1.5km
승객 정보
2012년 일평균 승차 인원 (1호선)19,937명
2018년 일평균 승차 인원9,007명
2018년 일평균 승강 인원17,782명
이미지
백운역 전경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2. 역사

1984년 6월 9일에 착공하였으며, 같은 해 11월 20일 한국철도 소속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공사 출범에 따라 한국국철에서 한국철도공사 소속 역으로 변경되었다.

3. 역 구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3. 1. 승강장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다. 출구는 3개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번선노선종별행선
1-- 경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부천·광운대·소요산 방면
2급행상행 열차 통과선 (폐쇄)
3급행하행 열차 통과선 (폐쇄)
4완행주안·동인천·인천 방면


3. 2. 배선도

백운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구간에 위치하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는 바깥쪽 2개 선로(1번, 4번 승강장)만 완행 열차 취급에 사용하고, 가운데 2개 선로(2번, 3번 승강장)는 급행열차의 통과선으로 이용된다.

승강장노선방면
1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완행)부평 · 구로 · 광운대 · 연천 방면
2·3급행열차 통과선
4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완행)동암 · 동인천 · 인천 방면


4. 역 주변

백운쌍굴 (역 인근의 굴다리)


'''출구 정보'''

5. 이용객 변동

최근 1일 평균 이용객 추이는 다음과 같다.

노선구분일평균 인원수 (명/일)출처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
경인선승차14,77516,56917,35117,11312,42411,86310,78611,39311,09510,74311,29011,2839,9949,0059,2729,3509,3509,2429,0078,7615,9835,9466,268[4]
하차11,93214,50515,43318,20311,70911,17211,63510,55810,67510,45511,09111,0649,9439,0059,2249,3119,3119,0338,7758,5895,9165,9026,170


6.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2] 웹사이트 백운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6-01-13
[3] 웹사이트 백운역 http://terms.naver.c[...] KRIC 2016-01-13
[4] 웹사이트 統計資料 – 韓国鉄道公司 https://info.korail.[...]
[5]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