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색계는 불교의 우주관에서 욕계 위에 있는 세계로, 청정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행의 깊이에 따라 초선천, 제2선천, 제3선천, 제4선천의 4가지 선(禪)으로 나뉜다. 색계는 경전에 따라 17, 18, 21, 22개의 하늘로 구성된다고 설명하며, 《구사론》에서는 17천, 《장아함경》에서는 22천을 제시하는 등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색계 - 광음천
광음천은 불교 우주론의 삼계 중 색계에 속하는 하늘로, 위치와 구성에 대해서는 설일체유부, 천태종, 가습미라국 논사 등 다양한 해석이 있다. - 색계 - 오정거천
오정거천은 불교에서 욕계의 탐욕을 벗어난 수행자들이 도달하는 색계의 다섯 청정한 하늘로, 아나함과 같은 수행자들이 윤회를 벗어나 열반에 들기 위해 태어나는 곳이며, 무번천, 무열천, 선현천, 선견천, 색구경천으로 구성되어 25유 체계 내에서 열반으로 향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 불교 우주론 - 사천왕
사천왕은 불교에서 수미산의 네 방위를 지키는 제석천의 부하인 지국천왕, 증장천왕, 광목천왕, 다문천왕으로 구성된 불법 수호신이다. - 불교 우주론 - 로카
로카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인도 종교에서 우주 또는 세계의 영역을 의미하며, 각 종교는 로카의 개념을 통해 고유한 우주론과 윤회 사상을 설명한다.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색계 | |
---|---|
불교의 세계관 | |
구분 | 삼계 중 하나 |
해당 욕계 | 욕계 초월, 색의 향유 |
특징 | 선정 수행 결과로 도달 가능 |
거주자 | 범천 등의 천인 |
색계의 단계 | |
구분 | 사선정의 단계에 따라 구분 |
특징 | 무색계와 달리 물질적 요소 존재 |
세부 단계 | 초선천 (梵衆天, 梵輔天, 大梵天) 이선천 (少光天, 無量光天, 極光淨天) 삼선천 (少淨天, 無量淨天, 遍淨天) 사선천 (無雲天, 福生天, 廣果天, 無煩天, 無熱天, 善見天, 善現天, 色究竟天) |
색계 (色界) | |
산스크리트어 | 루파다투 (rūpa-dhātu), 루파-아바카라(rūpā-vacara), 루파-로카 (rūpa-loka) |
팔리어 | 루파-로카 (rūpa-loka) |
한자 | 색계 (色界) |
로마자 표기 | saekgye |
영어 | form realm |
기타 언어 | 티베트어: gzugs kyi khams |
2. 3계9지와 색계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에서 3계 또는 3유는 6도(六道) 28천(二十八天) 등으로 나뉘지만, 수행론과 번뇌론에서는 흔히 9지(九地)로 나뉜다. 9지 중 색계 또는 색유에 해당하는 것은 제2지인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부터 제5지인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까지의 4가지 지(地)이다.
이들 4지(四地)의 각각을 순서대로 초선(初禪)
3계9지(三界九地)와 색계(色界) |
---|
색계는 욕계 위에 있는 세계로,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에서는 색계에 열일곱 하늘[天]이 있다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있고, 상좌부와 대승불교에서는 색계에 열여덟 하늘[天]이 있다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하고 있다. 이 두 견해의 차이는 제4선천(第四禪天)에 속한 무상천(無想天)을 광과천(廣果天)에 속한 특정한 영역으로 보느냐, 아니면 광과천(廣果天) 위에 존재하는 별도의 하늘[天]로 보는가에 따른 것이다. 전자의 입장에서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후자의 입장에서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한다.
3. 색계의 구조
경전과 논서에 따라 색계를 구성하는 하늘[天]의 개수에는 차이가 있다. 그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색계의 구조 경전과 논서 색계 21천(色界二十一天) 색계 18천(色界十八天) 색계 17천(色界十七天) 색계 16천(色界十六天)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대비바사론》·《아비달마구사론》·《아비달마순정리론》·《아비달마장현종론》 등과 초기불교 경전인 《중아함경》 등에 기술된 비바사사의 견해에 따르면, 색계는 총 16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6천'''(十六天) 또는 '''16처'''(十六處), 즉 '''열여섯 하늘'''[十六天] 또는 즉 '''열여섯 처소'''[十六處]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색계 16천'''(色界十六天) 또는 '''색계 16처'''(色界十六處)라고 한다.
설일체유부와 경량부 등에서는 색계에 흔히 17천이 있다고 말하는데, 16천이 있다는 것이 설일체유부의 정통파인 비바사사의 견해이다. 《구사론》에 따르면, 색계에 17천이 아니라 16천이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인용문4
|1=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의 여러 위대한 논사들은 모두 색계의 처소에는 단지 열여섯 곳이 있을 뿐이라고 하였다. 즉 그들은 말하기를, "범보천(梵輔天) 처소에 높은 누각이 있어 이를 대범천(大梵天)이라 이름하지만 한 주인이 머무는 곳으로 별도의 장소[地]가 아니니, 마치 세존께서 앉으신 자리를 '4중(四衆)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곳'이라고 하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4=《구사론》 제8권.}}
《중아함경》 제9권과 《현종론》 제12권의 색계 16천은 다음과 같다.
중아함경의 색계 16천 | 현종론의 색계 16천 |
---|---|
| |
《아비달마대비바사론》에 따르면, 욕계로부터 색계 16천을 거쳐 무색계까지 순서대로 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색계는 크게 나누어 4가지의 선[禪] 즉 4가지의 선정(禪定) 또는 정려(靜慮)의 경지에 해당한다. 이를 4선천(四禪天) 또는 4정려처(四靜慮處)라고 한다.
4선천(四禪天)은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초선천(初禪天) · 제2선천(第二禪天) · 제3선천(第三禪天) · 제4선천(第四禪天)이라고 한다.
초선천(初禪天)에는 범중천 (Brahma-pāriṣadya) · 범보천 (Brahma-purohita) · 대범천 (Mahābrahmā)의 3가지 하늘[天]이 있다.
제2선천(第二禪天)에는 소광천 (Parīttābha) · 무량광천 (Apramāṇābha) · 극광정천 (Ābhāsvara, 광음천(光音天))의 3가지 하늘[天]이 있다.
제3선천(第三禪天)에는 소정천 (Parīttaśubha) · 무량정천 (Apramāṇaśubha) · 변정천 (Śubhakṛtsna)의 3가지 하늘[天]이 있다.
제4선천(第四禪天)에는 무운천 (Anabhraka) · 복생천 (Puṇyaprasava) · 광과천 (Bṛhatphala)의 3가지 하늘[天]과 5정거천(五淨居天)이 있다.
5정거천(五淨居天)은 무번천 (Avṛha) · 무열천(無熱天) (Atapa) · 선현천(善現天) (Sudṛśa) · 선견천(善見天) (Sudarśana) · 색구경천 (Akaniṣṭha)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들은 성자들만이 거주하는 하늘이다.
설일체유부에서는 무상천(無想天)을 광과천(廣果天)에 속한 것으로 보아 제4선천(第四禪天)에 8가지 하늘[天]이 있다고 보며, 경량부 등에서는 무상천(無想天)을 광과천(廣果天)과는 별도의 하늘[天]로 보아 제4선천(第四禪天)에 9가지 하늘[天]이 있다고 본다.
상좌부 불교와 대승불교에서는 대범천(大梵天)을 범보천(梵輔天)과는 별도의 하늘[天]로 보아 초선천(初禪天)에 4가지 하늘[天]이 있으며, 따라서 색계에는 총 17가지 또는 18가지의 하늘[天]이 있다고 본다.
다음은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136권에 나타난, 욕계에서 색계 16천을 거쳐 무색계까지 순서대로 배열한 것이다. 이 논서에서, 무상천(無想天)은 광과천(廣果天)에 속하며 따라서 제4선천(第四禪天)에는 8가지 하늘[天]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색구경천
#선견천
#선현천
#무열천
#무번천
#광과천
#무상천
#복생천
#무운천
#변정천
#무량정천
#소정천
#극광정천
#무량광천
#소광천
#범보천
#범중천
- 참조 레퍼런스
{{참고|ko=
- 3계
- 4선천
- 색계 16천
- 색계 17천
- 색계 17천
- 색계 16천
}}
- 레퍼런스
{{참고문헌|ko=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 《불교 사전》.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6, T.1562). 《아비달마순정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7,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
{{각주|refs=
{{sfn|불타발타라 한역|K.79|loc=제1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9n0278_p0480c26 T09n0278_p0480c26 - T09n0278_p0481a15]. 색계 21천(色界二十一天) 5|ps=
"百萬億梵身天布身敬禮;百萬億梵輔天恭敬頂禮;百萬億梵眷屬天圍遶侍衛;百萬億大梵王讚歎稱揚無量功德;百萬億光天五體投地;百萬億少光天宣揚、讚歎佛世難值;百萬億無量光天讚歎禮拜;百萬億光音天讚歎如來難遇、難見;百萬億淨天恭敬禮拜;百萬億少淨天恭敬禮拜;百萬億無量淨天樂見佛故,於虛空中
3. 1. 색계 16천 (설일체유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대비바사론》·《아비달마구사론》·《아비달마순정리론》·《아비달마장현종론》 등과 초기불교 경전인 《중아함경》 등에 기술된 비바사사의 견해에 따르면, 색계는 총 16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6천'''(十六天) 또는 '''16처'''(十六處), 즉 '''열여섯 하늘'''[十六天] 또는 즉 '''열여섯 처소'''[十六處]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색계 16천'''(色界十六天) 또는 '''색계 16처'''(色界十六處)라고 한다.설일체유부와 경량부 등에서는 색계에 흔히 17천이 있다고 말하는데, 16천이 있다는 것이 설일체유부의 정통파인 비바사사의 견해이다. 《구사론》에 따르면, 색계에 17천이 아니라 16천이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인용문4
|1=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의 여러 위대한 논사들은 모두 색계의 처소에는 단지 열여섯 곳이 있을 뿐이라고 하였다. 즉 그들은 말하기를, "범보천(梵輔天) 처소에 높은 누각이 있어 이를 대범천(大梵天)이라 이름하지만 한 주인이 머무는 곳으로 별도의 장소[地]가 아니니, 마치 세존께서 앉으신 자리를 '4중(四衆)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곳'이라고 하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4=《구사론》 제8권.}}
《중아함경》 제9권과 《현종론》 제12권의 색계 16천은 다음과 같다.
중아함경의 색계 16천 | 현종론의 색계 16천 |
---|---|
| |
《아비달마대비바사론》에 따르면, 욕계로부터 색계 16천을 거쳐 무색계까지 순서대로 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색구경천
#선견천
#선현천
#무열천
#무번천
#광과천
#무상천
#복생천
#무운천
#변정천
#무량정천
#소정천
#극광정천
#무량광천
#소광천
#범보천
#범중천
4. 색계와 관련된 불교 용어
《구사론》의 색계 17천,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 그리고 《장아함경》의 색계 22천을 중심으로 색계의 하늘들에 대한 용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순서 | 구사론 천태사교의 장아함경 | 산스크리트어 | 음역어 | 의역어 | 영어 |
---|---|---|---|---|---|
1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1) 범신천(梵身天) | Brahmakāyika | retinue of Brahma | ||
2 | 구사론: (1) 범중천(梵衆天) 사교의: (1) 범중천(梵衆天) 장아함: (3) 범중천(梵衆天) | Brahma-pārisadya Brahma-pāriṣadya Brahmapārṣadya | 범신천(梵身天) | heaven of Brahma followers | |
3 | 구사론: (2) 범보천(梵輔天) 사교의: (2) 범보천(梵輔天) 장아함: (2) 범보천(梵輔天) | Brahma-purohita | 범부루천(梵富樓天) 범부루혜(梵富樓醯) 범선행천(梵先行天) 범전익천(梵前益天) | 정사(淨師) | heaven of Brahma's ministers |
4 | 구사론: (3) 대범천(大梵天) 사교의: (3) 대범천(大梵天) 장아함: (4) 대범천(大梵天) | Mahā-brahman Mahābrahma | 마하범(摩訶梵) 범마삼발(梵摩三鉢) | 대범(大梵) 범동자(梵童子) 범왕(梵王) 범천(梵天) 범천왕(梵天王) 세주천(世主天) | great Brahma heaven |
5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5) 광천(光天) | ||||
6 | 구사론: (4) 소광천(少光天) 사교의: (4) 소광천(少光天) 장아함: (6) 소광천(少光天) | Parīttābha | 바리타(波梨陀) 바율아바(波栗阿婆) 바이답(波利答) | 광요천(光曜天) 소범천(少梵天) 수행천(水行天) | heaven of limited light |
7 | 구사론: (5) 무량광천(無量光天) 사교의: (5) 무량광천(無量光天) 장아함: (7) 무량광천(無量光天) | Apramānābhā Apramāṇābha | 아바마나아바 (阿波摩那阿婆) 아발라마나바발리다바 (阿鉢羅摩那婆鉢利多婆) 압바마나 ([疒@盍]波摩那) | 묘광천(妙光天) 무량광음천(無量光音天) 무량수천(無量水天) 수무량천(水無量天) | heaven of limitless light |
8 | 구사론: (6) 극광정천(極光淨天) 사교의: (6) 광음천(光音天) 장아함: (8) 광음천(光音天) | Ābhāsvara | 아바나천(阿波羅天) 아바최라차천(阿波嘬羅遮天) 아바회(阿波會) 아바회리바(阿波會提婆) 아바회천(阿波會天) 아바호수천(阿波互羞天) 아회호수천(阿會互修天) | 광요천(光曜天) 광음천(光陰天) 광정천(光淨天) 극광천(極光天) 무량수천(無量水天) 변승광천(遍勝光天) 수무량천(水無量天) 황욱천(晃昱天) | heaven of ultimate light and purity |
9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9) 정천(淨天) | Viśuddhi Viśuddha | pure heaven | ||
10 | 구사론: (7) 소정천(少淨天) 사교의: (7) 소정천(少淨天) 장아함: (10) 소정천(少淨天) | Parītta-śubha Pārītta-śubha | 바리다수(波利多首) 바율다수바(波栗多首婆) 바율수하(波栗羞訶) | 약정천(約淨天) | heaven of limited purity |
11 | 구사론: (8) 무량정천(無量淨天) 사교의: (8) 무량정천(無量淨天) 장아함: (11) 무량정천(無量淨天) | Apramāna-śubha Apramāṇā-śubha | 아바라마나(阿波羅摩那) 아바마수(阿波摩羞) 아바마수하(阿波摩首訶) | 무량선천(無量善天) 무량정과천(無量淨果天) | heaven of limitless purity |
12 | 구사론: (9) 변정천(遍淨天) 사교의: (9) 변정천(遍淨天) 장아함: (12) 변정천(遍淨天) | Śubha-krtsna Śubha-kṛtsna Samanta-śubha | 마수(摩首) 수바흘율나(首波訖栗那) 수하기나(首訶既那) 수흘(羞訖) | 광선천(廣善天) 무량정천(無量淨天) 변정천(徧淨天) 정난체천(淨難逮天) | heaven of pervasive purity |
13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13) 엄식천(嚴飾天) | ||||
14 | 구사론: (10) 무운천(無雲天) 사교의: (10) 무운천(無雲天) 장아함: (14) 소엄식천(小嚴飾天) | Anabhraka | 아나바가(阿那婆伽) 아나바가(阿那婆迦) 아나바하(阿那婆訶) | 무괘애천(無罣礙天) 무음천(無陰天) 무음행천(無陰行天) | cloudless heaven |
15 | 구사론: (11) 복생천(福生天) 사교의: (11) 복생천(福生天) 장아함: (15) 무량엄식천(無量嚴飾天) | Punya-prasava Puṇyaprasava | 바율추하(波栗推訶) 유가(維呵) | 광묘(廣妙) 득복(得福) 무량광(無量光) 무량밀신(無量密身) 무량엄식(無量嚴飾) 생복(生福) 수복(受福) 용과(用果) | heaven of blessed birth |
16 | 구사론: (12) 광과천(廣果天) 사교의: (12) 광과천(廣果天) 장아함: (16) 엄식과실천(嚴飾果實天) | Brhat-phala Bṛhatphala | 비의가파라(鞞疑呵破羅) 비이바라(比伊波羅) 유아발(維阿鉢) 유어번(惟于幡) 유어파라(惟于頗羅) | 과실천(果實天) 광천(廣天) 극묘천(極妙天) 대과천(大果天) 밀과천(密果天) 엄식과실천(嚴飾果實天) | heaven of extensive fruition |
17 | 구사론: 사교의: (13) 무상천(無想天) 장아함: (17) 무상천(無想天) | Asaṃjñika | 무상계(無想界)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 무상중생천(無想眾生天) 무상처(無想處) 복덕천(福德天) 소광천(少廣天) | nonconceptual heaven | |
18 | 구사론: (13) 무번천(無煩天) 사교의: (14) 무번천(無煩天) 장아함: (18) 무조천(無造天) | Avrha Avṛha | 아부하나(阿浮訶那) 아비려사(阿鞞麗舍) 아비바(阿毘波) 아비화(阿卑和) | 무광천(無廣天) 무광천(無誑天) 무대구천(無大求天) 무번천(無繁天) 무소촉천(無所觸天) 무희망천(無希望天) | heaven of no affliction |
19 | 구사론: (14) 무열천(無熱天) 사교의: (15) 무열천(無熱天) 장아함: (19) 무열천(無熱天) | Atapa | 아답바(阿答波) 아답화(阿答和) 아타바(阿陀波) | 무뇌천(無惱天) 무소천(無燒天) 무숙천(無熟天) 불뇌천(不惱天) 불소천(不燒天) 불열천(不熱天) | heaven of no heat |
20 | 구사론: (15) 선현천(善現天) 사교의: (17) 선현천(善現天) 장아함: (20) 선견천(善見天) | Sudrśa Sudṛśa | 수리사(修提舍) 수무(須武) | 선관천(善觀天) 선호견천(善好見天) 묘견천(妙見天) 쾌견천(快見天) 무비천(無比天) 가사천(假使天) | heaven of skillful manifestation |
21 | 구사론: (16) 선견천(善見天) 사교의: (16) 선견천(善見天) 장아함: (21) 대선견천(大善見天) | Sudarśana | 수달리사나(須達梨舍那) 수리사나(修提舍那) 수타시(須陀尸) 수타시니(須陀施尼) | 대선견천(大善見天) 묘견천(妙見天) 선관천(善觀天) 선호견천(善好見天) 쾌견천(快見天) | heaven of skillful vision |
22 | 구사론: (17) 색구경천(色究竟天) 사교의: (18) 색구경천(色究竟天) | Akanistha Akaniṣṭha | 아가니사타(阿迦尼師吒) 아가니슬체(阿迦抳瑟搋) 아가니타(阿迦尼吒) 아가니타(阿迦膩吒) | 무결애천(無結愛天) 무소천(無小天) 애구경천(礙究竟天) 일구경천(一究竟天) 일선천(一善天) 질애구경천(質閡究竟天) | heaven of the most rarefied form |
색계는 '욕계' 위에 위치하며, 청정하고 미세한 물질로 이루어진 세계와 그곳에 사는 중생들을 총칭한다. 이곳의 중생들은 음욕에서 벗어났지만, 미세한 물질에 얽매여 있다. 색계의 중생들은 남녀 구별이 없고, 옷은 자연적으로 생겨나며, 빛으로 음식과 언어를 대신한다.
색계는 수행의 깊이에 따라 네 단계, 즉 사선천(四禪天)으로 나뉜다. 초선천은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이선천은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 삼선천은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사선천은 '사념청정지(捨念清淨地)'라고 불린다.
《구사론》에 따르면, 색계는 총 17개의 하늘로 구성된다. 초선천에는 범중천, 범보천, 대범천, 이선천에는 소광천, 무량광천, 극광정천, 삼선천에는 소정천, 무량정천, 변정천이 있다. 사선천에는 무운천, 복생천, 광과천, 무번천, 무열천, 선현천, 선견천, 색구경천이 있다.
하지만 경론에 따라 색계의 하늘 수에 대한 이견이 존재한다. 《장아함경》은 22천을 제시하며, 《대비바사론》 등은 18천을, 《금광명최승왕경》 등은 17천을 주장한다.
5. 주석
wikitext
참조
[1]
두산백과
창소지론(彰所知論)
https://terms.naver.[...]
2013-06-10
[2]
CBETA
色界十七天
https://www.google.c[...]
2013-06-08
[3]
CBETA
色界 十七天
https://www.google.c[...]
2013-06-08
[4]
CBETA
色界十八天
https://www.google.c[...]
2013-06-10
[5]
CBETA
色界 十八天
https://www.google.c[...]
2013-06-10
[6]
CBETA
色界 二十一天
https://www.google.c[...]
2013-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