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샛돔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샛돔과는 고등어목에 속하는 조기어류과의 하나이다. 검은대구속, 메다이속, 검은메다이속, 이보대속, 미나미나가메다이속, 세리올렐라속, 투비아속 등을 포함한 7개의 현존하는 속으로 분류된다. 샛돔과의 계통 분류는 고등어목 내에서 스콤브롤라브락스과 다음으로 위치하며, 에오세에 Mupus 속, 마이오세에 Hyperoglyphe 속이 생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샛돔과 - 블루노즈 (고등어목 어류)
    블루노즈는 고등어목 샛돔과에 속하는 어류로, 옆줄이 있고, 등쪽은 푸른색, 아랫쪽은 흰색을 띠며, 큰 눈과 청동색 광택이 특징이고, 피낭동물 등을 먹으며, 남부 태평양, 특히 뉴질랜드 일대에 서식하며, 식용으로 사용된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판새류
    판새류는 상어, 가오리, 홍어 등을 포함하는 연골어류 아강으로, 아가미구멍과 여러 열의 이빨을 가지며 기름으로 가득 찬 간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턱 구조의 다양성을 보이는 특징을 지니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전 세계 해역과 일부 담수에 분포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공기호흡메기과
    공기호흡메기과는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상아가미 기관을 통해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메기목 조기어류의 한 과이다.
샛돔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크로아브라이보 다이 (Centrolophus niger)
학명Centrolophidae
명명자Bonaparte, 1846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상목극기상목
고등어목
아목Stromateoidei
샛돔과 (Centrolophidae)

2. 하위 속

샛돔과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10]


  • 검은대구속(Centrolophus) 베르나르 제르맹 드 라세페드/Lacepèdela, 1802
  • 메다이속(Hyperoglyphe) 알베르트 귄터/Güntherla, 1859 - 연어병치(''H. japonica''), 블루노즈 포함.
  • 검은메다이속(Icichthys) 데이비드 스타 조던/Jordan & Gilbertla & 찰스 헨리 길버트, 1880
  • 이보대속(Psenopsis) 테오도어 니콜라스 길/Gillla, 1862 - 샛돔(''P. anomala'') 포함.
  • 미나미나가메다이속(Schedophilus) 아나스타시오 코코/Coccola, 1839
  • 세리올렐라속(Seriolella) 알퐁스 기슈노/Guichenotla, 1848 - 흑점샛돔(''S. punctata''), 와레후(''S. brama'') 포함.
  • 투비아속(Tubbia) 길버트 퍼시 휘틀리/Whitleyla, 1943


다음 속은 샛돔과에 속한다:[4]

  • 샛돔 라세페드, 1802
  • 극점돔 귄터, 1859
  • 이키스 조던 & 길버트, 1880
  • 프세놉시스 길, 1862
  • 스케도필루스 코코, 1839
  • 세리올렐라 기슈노, 1848
  • 투비아 휘틀리, 1943


다음 화석 속도 알려져 있다.

  • ''부티루미키스'' Schrøder, Rasmussen, Møller & Carnevale, 2022[2]
  • ''조르지니아'' Bannikov, 2000[5]

3. 계통 분류

다음은 미야(Miya)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1]

고등어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갈치과

|-

|갈치꼬치과 I

|-

|갈치꼬치과 II

|-

|



|-

|새다래과

|-

|



|-

|



|-

|{| class="wikitable"

|-

|병어과

|-

|



|}

|-

|{| class="wikitable"

|-

|



|-

|고등어과

|}

|}

샛돔과의 속은 다음과 같다:


  • 검은대구이보대속(Centrolophus) Lacepède, 1802
  • 메다이속(Hyperoglyphe) Günther, 1859
  • 검은메다이속(Icichthys) Jordan & Gilbert, 1880
  • 이보대속(Psenopsis) Gill, 1862
  • 미나미나가메다이속(Schedophilus) Cocco, 1839
  • * 뉴질랜드 러프/Schedophilus huttonila(New Zealand ruffe)
  • Seriolellala 속 Guichenot, 1848
  • * 은빛히라스(Seriolella punctata)
  • * 흰히라스(Seriolella caerulea)
  • * 오키히라스(Seriolella brama)
  • Tubbiala 속 Whitley, 1943
  • * 타스마니아 러프/Tubbia tasmanicala(Tasmanian ruffe)
  • * ''Tubbia stewarti''

4. 갤러리

4. 1. 속 생성 시기

에오세에 Mupus 속이, 마이오세에 Hyperoglyphe 속이 각각 생성되었다.[6]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2] 논문 Butyrumichthys henricii gen. et sp. nov.: a new stromateiform fish from the lower Eocene Fur Formation, Denmark https://www.tandfonl[...] 2022-09-30
[3] 논문 Fish otoliths from the Paleocene of Denmark https://geusbulletin[...] 2003-09-08
[4] 간행물
[5] 웹사이트 PBDB Taxon https://paleobiodb.o[...] 2024-10-15
[6] 논문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http://strata.ummp.l[...] 2011-05-19
[7]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Centrolophidae Bonaparte, 1846 https://www.marinesp[...] 2023-04-28
[8] 웹사이트 FAMILY Details for Centrolophidae - Medusafishes https://www.fishbase[...] 2023-04-28
[9] 웹사이트 CENTROLOPHIDAE https://fishesofaust[...] 2023-04-28
[10] 간행물
[11] 논문 Evolutionary Origin of the Scombridae (Tunas and Mackerels): Members of a Paleogene Adaptive Radiation with 14 Other Pelagic Fish Families. http://www.plosone.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