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생태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생태계는 생물과 그들이 상호작용하는 비생물적 요소로 구성된 역동적인 체계이다. 생태계는 생물 간의 상호작용과 에너지 흐름을 통해 유지되며, 육상, 수생 등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한다. 생태계는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구성되며, 에너지 흐름, 물질 순환, 분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인간은 생태계에 의존하여 재화와 서비스를 얻지만, 인간 활동은 생태계를 파괴하고 쇠퇴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생태계 관리는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를 목표로 하며, 다양한 생태계 연구 접근법과 분류 방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개체 - 가이아 이론
    가이아 이론은 지구를 생물권, 대기권, 수권, 지권이 상호작용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 하나의 거대한 자기조절 시스템으로 보는 이론으로, 지구 시스템 과학의 연구 대상이자 환경 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초개체 - 생물권
    생물권은 지구 표면의 생명체 서식 영역을 의미하며, 지구의 지권, 수권, 대기권과 함께 생태권을 구성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생명체가 존재하며, 인공 생물권과 외계 생물권, 그림자 생물권 등의 개념도 존재한다.
  • 생태계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 생태계 - 생태 피라미드
    생태 피라미드는 생태계의 각 영양 단계에 있는 생물의 양을 나타내는 도구이며, 에너지, 생물량, 개체 수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생태계의 건강과 먹이 사슬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 공생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공생 - 망둑어과
    망둑어과는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좌우 배지느러미가 합쳐진 흡반과 독특한 번식 전략이 특징인 농어목의 저서어류로, 식용이나 관상어로 이용되기도 하며 일부 종은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생태계
지도 정보
개요
정의생물 공동체와 비생물 환경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복합적인 시스템
구성 요소생물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비생물 (기후, 토양, 물 등)
상호 작용생물과 환경 요소 간의 에너지, 물질, 정보 교환
분류
서식 환경육상 생태계
해양 생태계
담수 생태계
규모미생물 생태계
지역 생태계
지구 생태계
생태계 기능
에너지 흐름태양 에너지를 기반으로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전달
물질 순환탄소, 질소, 등 물질의 순환
생물 다양성생태계 내 다양한 생물 종의 존재
생태계 서비스식량 생산, 정화, 기후 조절 등 인간에게 유용한 서비스 제공
생태계의 위협
파괴 요인환경 오염
기후 변화
서식지 파괴
외래종 유입
영향생물 다양성 감소, 생태계 기능 저하
주요 생태계
육상 생태계삼림 생태계
초원 생태계
사막 생태계
툰드라 생태계
해양 생태계산호초 생태계
해양성 생태계
심해 생태계
담수 생태계호수 생태계
하천 생태계
습지 생태계
생태계 보전
노력보호 구역 설정
생태 복원 사업
지속 가능한 개발 추구
중요성생물 다양성 보전, 인류 생존과 직결
추가 정보
[[산호초]]는 매우 생산적인 [[해양 생태계]]이다.
좌: 산호초 생태계는 매우 생산적인 해양 시스템이다.
[[온대 우림]], [[육상 생태계]].
우: 온대 우림, 육상 생태계.

2. 생태계의 정의

생태계는 특정 지역의 모든 생물(생물적 요소)과 그들이 상호 작용하는 비생물적 요소(물리적 환경)를 합쳐 구성된 하나의 계이다.[2][6][25][56] 생물적 요소와 비생물적 요소는 영양 순환과 에너지 흐름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3] 이러한 상호작용은 살아있는 유기체 간의 역동적이고 복잡한 관계를 형성한다.[60]

생태계 내에서는 에너지와 물질이 이동하는데, 이를 생태계 과정이라고 부른다.[25] 이 과정은 다양한 규모에서 일어나므로, 연구 목적에 따라 적절한 규모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6] 생태계의 핵심 개념은 모든 자연환경에서 작은 미생물부터 거대한 동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물이 그물처럼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역시 이러한 생태학적 개념의 일부로 이해할 수 있다.

생태계의 예로는 크게 육상 생태계, 연안 생태계, 육지 생태계 등이 있다.

2. 1. 용어의 기원과 발전

'생태계'(Ecosystem)라는 용어는 1930년 아서 로이 클래팜(Arthur Roy Clapham)이 처음 만들었으며,[4][57] 1935년 영국의 생태학자 아서 탠슬리(Arthur Tansley)가 자신의 저서에서 사용하여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60][4][57] 탠슬리는 생물과 주변 환경 사이의 물질 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이 개념을 도입했으며,[6] 생태계를 "생물 복합체뿐만 아니라 우리가 환경이라고 부르는 모든 물리적 요소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으로 정의했다.[2] 그는 생태계를 단순히 자연에 존재하는 단위가 아니라 연구를 위한 "정신적 분리체"로 보았고,[2] 이후 생태계가 차지하는 공간적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생태적 서식지"(ecotope)라는 용어를 사용했다.[5]

생태계 개념은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발전했다. 탠슬리와 동시대 학자인 G. 에블린 허친슨(G. Evelyn Hutchinson)은 호소학자로서, 찰스 설랜드 엘턴(Charles Sutherland Elton)의 영양 단계 개념과 러시아의 지구화학자 블라디미르 베르나츠키(Vladimir Vernadsky)의 아이디어를 결합했다. 허친슨은 호수 내 무기 영양소의 양이 조류 대발생을 제한하고, 이는 다시 조류를 먹는 동물의 수를 제한한다고 주장했다. 레이먼드 린드먼(Raymond Lindeman)은 허친슨의 아이디어를 더 발전시켜, 호수 안에서의 에너지 흐름이 생태계를 움직이는 핵심적인 힘이라고 보았다. 허친슨의 제자인 하워드 T. 오덤(Howard T. Odum)과 유진 P. 오덤(Eugene P. Odum) 형제는 생태계 연구에 "시스템 접근법"을 도입하여 생태계 내 에너지와 물질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6]

기본적으로 생태계는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생물들과 그들을 둘러싼 비생물적 환경 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하나의 계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56] 이는 살아있는 유기체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역동적이고 복잡한 체계이며,[60] 작은 미생물에서부터 거대한 동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물이 그물처럼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3. 생태계의 구성 요소

생태계는 기본적으로 살아있는 유기체 간의 상호작용과 이들을 둘러싼 환경으로 구성된 체계이다.[60] 생태계를 이루는 요소는 크게 생물적 요소와 비생물적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생물적 요소는 생태계 내에 존재하는 모든 살아있는 유기체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스스로 양분을 만드는 생산자(주로 식물), 다른 생물을 먹이로 삼는 소비자(동물 등), 그리고 생물의 사체나 배설물을 분해하는 분해자(미생물 등)가 포함된다.[58] 이 생물들은 포식-피식, 경쟁, 공생 등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계는 복잡한 먹이그물을 형성한다.[59]
비생물적 요소는 생물이 살아가는 데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을 말한다. 여기에는 기후(온도, 강수량 등), , , 공기, 토양(모재, 무기염류 등), 지형 등이 포함된다.[6][12][7][8] 이러한 비생물적 요소들은 생물의 종류와 분포, 그리고 생태계 전체의 에너지양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생태계 내에서는 생물적 요소와 비생물적 요소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에너지 흐름과 물질순환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생산자는 비생물적 요소인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만들고, 이는 소비자와 분해자를 거치며 에너지가 전달되고 물질이 순환하는 기초가 된다.

3. 1. 생물적 구성 요소

토양 생태계에서의 먹이그물(부식 먹이그물이 우세함)


생태계의 생물 부분은 크게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구분된다. 식물(생산자)은 태양광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동물 등이 이용한다(소비자)[58]. 생물의 사체와 배설물 등은 주로 미생물에 의해 이용되며, 이 미생물을 먹는 생물도 존재한다(분해자).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산자가 흡수한 에너지는 소비되고, 생물체를 구성했던 물질은 무기물로 분해된다. 분해된 물질은 다시 식물이나 미생물을 통해 먹이사슬에 흡수되는데, 이를 물질순환이라고 한다.

생물들 사이에는 포식, 피식, 경쟁, 공생, 기생 등 다양한 관계가 존재한다. 포식-피식 관계와 같이 생물 간 에너지 흐름을 먹이사슬이라고 부르지만, 최근에는 그 복잡성을 고려하여 먹이그물[59]이라는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된다.

먹이그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생식 먹이그물''' (grazing food web): 식물, 이를 먹는 초식동물, 그리고 초식동물을 먹는 육식동물과 같이 살아있는 생물을 기점으로 하는 먹이그물이다.
  • '''부식 먹이그물''' (detrital food web): 생물의 사체나 배설물을 기점으로 미생물이 이를 이용하고, 다시 그 미생물을 다른 생물이 이용하는 먹이그물이다.


실제 생태계에서는 이 두 먹이그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완전히 독립적이지는 않다.

어떤 먹이그물이든 식물광합성을 시작으로 에너지가 여러 단계의 생물을 거쳐 전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영양단계 (trophic level)라고 부르며, 생산자, 1차 소비자, 2차 소비자 또는 1차 분해자, 2차 분해자 등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영양 단계가 높아질수록(고차 소비자) 생물의 수는 줄어든다.

다른 생물을 잡아먹어 에너지를 얻는 포식자(종속영양생물)는 여러 영양 단계를 동시에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사람은 소고기(2차 또는 3차 소비자)도 먹고 샐러드(1차 소비자)도 먹는다. 따라서 영양 단계 순서가 반드시 생물의 포식, 피식 관계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3. 2. 비생물적 구성 요소

생태계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되는데, 크게 외부 요인과 내부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비생물적 구성 요소는 주로 외부 요인에 해당하며, 생태계의 전반적인 구조와 작동 방식을 제어하지만 생태계 자체의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가장 중요한 비생물적 요인 중 하나는 기후이다. 넓은 지역에서 기후는 생태계의 과정과 구조를 결정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작용하며[6], 특정 지역의 생물군계 유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강우량 패턴이나 계절별 온도 변화는 광합성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생태계 전체가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을 결정한다.[12]

지질학적 요소인 모재는 토양의 기본적인 성질을 결정하고, 식물 등이 필요로 하는 무기 영양분의 공급에 영향을 미친다. 지형 역시 중요한 비생물적 요인이다. 지형은 국소적인 미기후를 형성하고, 토양 발달 과정이나 생태계 내 물의 흐름에 영향을 주어 생태계 과정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움푹 파인 곳에 형성된 생태계는 바로 옆의 가파른 언덕에 있는 생태계와는 다른 특징을 보일 수 있다.[7][8]

이 외에도 시간이나 특정 지역에 정착 가능한 생물군집의 잠재력 등도 외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환경 조건이 비슷하더라도 어떤 종류의 생물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생태계의 기능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9] 특히 외래종의 유입은 기존 생태계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10]

한편, 내부 요인은 생태계 과정을 제어하는 동시에 그 과정 자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6] 예를 들어, 자원의 공급 자체는 기후나 모재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생태계 내에서 생물들이 실제로 이 자원을 얼마나 이용할 수 있는지는 분해 속도, 식물 간의 뿌리 경쟁, 또는 햇빛을 가리는 정도(그늘)와 같은 내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11] 교란이나 천이 과정, 그리고 특정 생물 종의 존재 유무 등도 내부 요인에 해당한다.

4. 생태계의 기능

열대우림 생태계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다. 이것은 세네갈의 니오콜로코바 국립공원(Niokolo-Koba National Park)에 있는 감비아강(Gambia River)이다.


플로라(Flora)는 바하 캘리포니아 사막(Baja California desert), 카타비냐(Cataviña) 지역, 멕시코이다.


생태계는 그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과정을 통해 유지된다. 주요 기능은 에너지 흐름물질 순환이다.

생태계의 생물 요소는 크게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나눌 수 있다.

  • 생산자: 주로 식물과 같이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만드는 생물이다. 이들은 태양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하여 생태계 전체 에너지의 근원을 제공한다.[13]
  • 소비자: 다른 생물을 먹이로 삼아 에너지를 얻는 생물이다. 식물을 먹는 초식동물(1차 소비자), 초식동물을 먹는 육식동물(2차 소비자) 등이 있다.[14][58]
  • 분해자: 주로 미생물(세균, 균류)로, 죽은 생물체나 배설물 등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무기물로 되돌려 보내는 역할을 한다.

에너지는 생산자가 광합성을 통해 생태계로 유입시킨 후[13], 소비자들이 먹이 활동을 통해 단계적으로 전달받는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는 각 생물의 생명 활동에 사용되고 일부는 열에너지로 손실되므로, 상위 영양 단계로 갈수록 이용 가능한 에너지양은 줄어든다. 에너지는 물질처럼 순환하지 않고 한 방향으로 흐르며, 생태계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물질은 생태계 내에서 끊임없이 순환한다. 생산자가 무기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만들면, 이 유기물은 소비자를 거쳐 이동한다. 생물이 죽거나 배설물을 만들면, 분해자는 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다시 생산자가 이용할 수 있는 무기물 형태로 되돌려 놓는다. 예를 들어, 탄소, 질소, 등의 원소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물과 비생물 환경 사이를 계속 순환하며 재활용된다. 이를 물질 순환이라고 한다.

이처럼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은 생태계 내 생물들이 서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며 생태계 전체를 유지하는 핵심적인 기능이다.

4. 1. 에너지 흐름

1997년 9월부터 2000년 8월까지의 전 세계 해양 및 육상 광합성 생물체 풍부도. 독립영양생물 생물량의 추정치로서, 일차 생산 잠재력의 대략적인 지표일 뿐 실제 추정치는 아니다.


생태계의 에너지탄소는 주로 광합성을 통해 유입된다. 광합성은 무기 탄소원으로부터 유기물을 생산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에너지는 지구상의 생명을 유지하는 근간이 되며, 탄소는 생물 및 사체, 토양 탄소, 화석 연료 등 유기물의 주요 구성 요소가 된다.[13]
일차 생산일차 생산은 대부분 광합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식물은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탄수화물산소를 만들어낸다. 생태계 내 모든 식물이 수행하는 총 광합성량을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on, GPP)이라고 한다.[12] GPP의 약 절반은 식물 자신의 성장과 유지 활동(호흡)에 사용된다.[13] 식물 호흡에 사용되고 남은 에너지 양을 순일차생산량(Net Primary Production, NPP)이라고 하며, 이 NPP가 다른 생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량이 된다.[13] 총 광합성량은 이용 가능한 빛의 양, 식물의 면적(다른 식물에 의한 그늘짐은 광합성의 주요 제한 요인이다), 엽록체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속도, 물의 이용 가능성, 그리고 광합성에 적합한 온도 등 다양한 환경 요인에 의해 제한된다.[12]
에너지의 이동광합성을 통해 식물 조직에 저장된 에너지(NPP)는 다른 생물체로 전달된다. 살아있는 식물을 먹는 초식동물(1차 소비자 또는 이차 생산자)에게 에너지가 전달되고, 초식동물을 먹는 육식동물(2차 소비자)에게 다시 에너지가 전달되는 과정을 거친다. 식물이나 동물이 죽으면 그 유기물은 부식물이 되어 분해자(주로 미생물)에게 전달된다.[14] 이러한 에너지 전달 단계를 영양 단계(trophic level)라고 부른다.[14] 일반적으로 상위 영양 단계로 갈수록 에너지 양과 생물 수가 줄어든다.

  •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식물 → 초식동물 → 육식동물과 같이 에너지가 전달되는 단순한 경로를 먹이 사슬이라고 한다. 하지만 실제 생태계에서는 대부분의 생물이 여러 종류의 먹이를 먹고 여러 영양 단계에 속하기 때문에, 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먹이 그물 형태를 띤다.[17][59] 실제 먹이 그물은 무작위적이지 않은 특정 네트워크 구조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17]
  • 생식 먹이그물과 부식 먹이그물: 살아있는 식물에서 시작하는 에너지 흐름을 생식 먹이그물(grazing food web), 죽은 유기물이나 배설물에서 시작하여 분해자를 거치는 에너지 흐름을 부식 먹이그물(detrital food web)이라고 한다. 부식 먹이그물에서는 미생물(박테리아, 균류)이 유기물을 분해하고, 이 미생물을 미소동물(microbivore) 등이 먹으면서 에너지가 전달된다. 육상 생태계에서는 순 생산량의 대부분이 분해자를 통해 부식 먹이그물로 유입되며[14], 수생 시스템에서는 초식동물이 식물 바이오매스를 소비하는 비율(생식 먹이그물)이 육상보다 훨씬 높다.[14] 실제로는 두 먹이그물이 서로 연결되어 기능한다.

생태계 에너지 총량생태계 전체 생물(식물, 동물, 분해자)의 호흡 총량을 생태계 호흡이라고 한다.[15] 순 생태계 생산량(Net Ecosystem Production, NEP)은 총일차생산량(GPP)에서 생태계 호흡량을 뺀 값으로, 교란이 없는 경우 생태계의 순 탄소 축적량과 같다.[16] 에너지는 호흡 외에도 산불과 같은 교란이나 침식을 통해 생태계 밖으로 방출되거나 다른 생태계(예: 숲에서 하천으로)로 이동하기도 한다.

생태계 내에서 물질은 순환하는 반면, 에너지는 한 방향으로 흐른다. 즉, 태양 에너지가 생산자(식물)에게 흡수된 후, 여러 영양 단계를 거치면서 생명 활동에 사용되고 호흡을 통해 열에너지 형태로 점차 소실되어 최종적으로는 우주 공간으로 방출된다.

4. 2. 물질 순환

생물학적 질소 순환


생태계는 외부 환경과 끊임없이 에너지와 탄소를 주고받지만, 무기 영양소는 대부분 생태계 내부의 식물, 동물, 미생물, 그리고 토양 사이를 순환한다. 대부분의 질소는 생물학적 질소 고정 과정을 통해 생태계로 들어오며, 이 외에도 강수, 먼지, 기체를 통한 침착이나 비료 사용을 통해서도 유입된다.[18] 대부분의 육상 생태계는 단기적으로 질소 공급이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질소 순환은 생태계 전체의 생산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18] 장기적으로는 의 이용 가능성도 생태계 생산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27]

식물이 다량으로 필요로 하는 영양소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28]

구분원소특징
주요 다량 영양소질소(N), 인(P), 칼륨(K)가장 많은 양이 필요하며, 부족할 경우 생장을 가장 크게 제한함.
2차 다량 영양소칼슘(Ca), 마그네슘(Mg), 황(S)주요 영양소보다는 덜하지만 비교적 많은 양이 필요함.
미량 영양소붕소(B), 염소(Cl), 구리(Cu), 철(Fe), 망간(Mn), 몰리브덴(Mo), 아연(Zn)소량이지만 필수적으로 필요함.
유익한 영양소알루미늄(Al), 코발트(Co), 요오드(I), 니켈(Ni), 셀레늄(Se), 실리콘(Si), 나트륨(Na), 바나듐(V)특정 식물이나 특정 환경 조건에서 필요할 수 있음.



과거에는 질소 고정이 생태계 질소 공급의 주요 경로였다. 질소 고정 박테리아는 식물과 공생 관계를 맺거나 토양 속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간다. 질소 고정 공생체를 가진 식물은 상당한 에너지를 소모하는데, 이는 총 일차 생산량의 약 25%에 달할 수 있다. 콩과 식물의 다수가 질소 고정 공생체를 가지고 있다. 일부 시아노박테리아 역시 질소를 고정할 수 있는데, 이들은 광영양 생물로서 광합성을 수행하며 독립적으로 살거나 식물과 공생하기도 한다.[24] 현대에는 화석 연료 연소로 인한 산성비, 농경지에서 비료 사용 후 증발하는 암모니아 가스, 그리고 먼지 등도 질소의 공급원이 된다.[18] 특히 인간 활동에 의한 질소 유입량은 현재 생태계 전체 질소 흐름의 약 80%를 차지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18]

식물 조직이 죽거나 동물에게 먹히면, 그 안의 질소는 동물이나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미생물은 죽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질소 화합물을 토양으로 방출하고, 식물, 균류, 박테리아는 이 질소를 얻기 위해 경쟁한다. 일부 토양 박테리아는 유기 질소 화합물을 탄소원으로 사용하면서 암모늄(NH₄⁺) 이온을 토양에 내놓는데, 이 과정을 질소 무기화(ammonification)라고 한다. 다른 종류의 박테리아는 암모늄 이온을 아질산염(NO₂⁻)과 질산염(NO₃⁻) 이온으로 전환하는데, 이를 질산화(nitrification)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일산화질소(NO)와 아산화질소(N₂O) 같은 기체도 생성된다.[18] 질소가 풍부하고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는 질산염과 아질산염이 다시 질소 가스(N₂)로 전환되어 대기로 돌아가는데, 이 과정을 탈질(denitrification)이라고 한다.[18]

식물 뿌리와 공생하는 균근 균류는 식물로부터 탄수화물을 공급받는 대신, 토양 속 인과 질소 화합물을 흡수하여 식물 뿌리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29][30] 이는 죽은 유기물에 있던 질소가 다시 식물에게 흡수되는 중요한 경로이며, 전 지구적으로 연간 70Tg 이상의 식물 질소 흡수에 기여하며 영양 순환과 생태계 기능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30]

은 주로 암석의 풍화 작용을 통해 생태계로 유입된다. 따라서 생태계가 오래될수록 풍화로 인한 인 공급이 줄어들어, 특히 열대 지역처럼 오래된 토양 환경에서는 인 부족이 생태계를 제한하는 주요 요인이 되기도 한다.[18] 칼슘 역시 풍화 작용으로 생성되지만, 산성비는 많은 생태계에서 황의 중요한 공급원이 되기도 한다. 마그네슘과 망간은 풍화 작용 외에도 토양 유기물과 살아있는 세포 사이의 교환을 통해 순환하는 양이 상당하다. 칼륨은 주로 살아있는 세포와 토양 유기물 사이를 순환한다.[18]

생태계의 생물 구성원은 크게 생산자(주로 식물), 소비자(동물 등), 분해자(미생물 등)로 나눌 수 있다. 생산자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고, 소비자는 이를 섭취하여 에너지를 얻는다.[58] 생물의 사체나 배설물 등은 주로 분해자에 의해 분해되고, 이 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물질이나 분해자 자체를 다른 생물이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산자가 고정한 에너지는 여러 생물 단계를 거치며 소비되고, 생물체를 구성했던 물질은 다시 무기물 형태로 돌아가 식물이나 미생물에 의해 재흡수된다. 이것을 물질 순환이라고 한다.

생물들 사이의 포식-피식 관계, 경쟁, 공생, 기생 등 다양한 상호작용은 복잡한 그물 구조를 이루는데, 이를 먹이그물이라고 부른다.[59] 먹이그물은 크게 살아있는 식물을 시작점으로 하는 생식 먹이그물(grazing food web)과 생물의 사체나 배설물을 시작점으로 하는 부식 먹이그물(detrital food web)로 나눌 수 있다. 부식 먹이그물에서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고, 다른 생물들이 이 미생물이나 분해 산물을 이용한다. 실제 생태계에서는 이 두 먹이그물이 서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한다.

먹이그물 내에서 에너지가 전달되는 단계를 영양단계(trophic level)라고 한다. 생산자(식물)가 1차 영양단계, 초식동물이 2차 영양단계(1차 소비자), 육식동물이 3차 이상의 영양단계(2차 이상 소비자)를 차지한다. 분해자 역시 유기물을 분해하며 영양단계에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영양단계가 높아질수록 개체 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많은 종속 영양 생물은 여러 영양 단계를 거친다. 예를 들어, 인간은 쇠고기도 먹고 샐러드도 먹는다. 영양 단계 순서에 따라 생물의 포식, 피식 관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각 원소의 순환 경로를 살펴보면, 탄소광합성을 통해 유기물로 고정된 후 먹이사슬을 따라 이동하고, 생물의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 형태로 대기나 물로 돌아간다. 또한 사체나 배설물 속 탄소는 분해자를 통해 순환한다. 이것들을 탄소 순환이라고 한다.

질소을 중심으로 생각했을 경우, 탄소와는 약간 다른 순환 경로를 보인다. 특히 질소는 단백질 등 생체 분자의 필수 구성 원소이다. 동물은 질소 동화 능력이 낮아 식물이 합성한 유기 질소 화합물에 의존하며, 사용 후에는 무기 질소 형태로 배출한다. 식물은 토양의 무기 질소를 흡수하여 유기 질소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대기 중에는 질소 가스(N₂)가 풍부하지만 대부분의 생물은 이를 직접 이용할 수 없으며, 낙뢰질소 고정 능력이 있는 미생물의 활동을 통해 암모니아(NH₃) 등 이용 가능한 형태로 전환되어야 생태계 내로 들어올 수 있다.

이처럼 물질은 생태계 내에서 순환하지만, 에너지는 한 방향으로 흐른다. 생명 활동에 사용된 에너지는 궁극적으로 태양 에너지(광합성)나 화학 에너지(화학 합성)에서 유래한다. 각 영양단계를 거치면서 에너지는 열에너지 형태로 소실되어 최종적으로 우주 공간으로 방출된다. 즉, 물질은 재활용되지만 에너지는 계속해서 외부에서 공급되어야 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다.

4. 3. 분해

시간에 따른 돼지 사체 분해 과정


토양 유기물(dead organic matter) 속 탄소와 영양분은 분해(decomposition)라고 알려진 일련의 과정을 통해 분해된다. 이 과정을 통해 영양분이 방출되어 식물미생물의 생산에 재활용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는 대기(또는 물)로 되돌아가 광합성에 사용될 수 있다. 분해가 없다면, 죽은 유기물은 생태계에 축적될 것이고, 영양분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는 고갈될 것이다.[19]

분해 과정은 크게 세 가지—용탈(leaching), 단편화(fragmentation), 죽은 물질의 화학적 변화—로 나눌 수 있다.

  • 용탈: 물이 죽은 유기물을 통과하면서, 물에 녹는 성분들을 용해시켜 운반한다. 이러한 성분들은 토양 속 생물체에 흡수되거나, 광물질 토양과 반응하거나, 생태계 밖으로 이동하여 손실될 수 있다.[18] 새로 떨어진 잎이나 죽은 동물은 설탕, 아미노산, 무기 영양소 등 물에 잘 녹는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용탈은 습한 환경에서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8]
  • 단편화: 유기물을 더 작은 조각으로 부수어 미생물이 활동할 새로운 표면을 만드는 과정이다. 낙엽은 큐티클이나 나무껍질, 세포벽 등으로 보호되어 내부 물질 접근이 어려울 수 있고, 죽은 동물은 외골격으로 덮여 있을 수 있다. 단편화는 이러한 보호층을 파괴하여 미생물 분해 속도를 높인다.[19] 동물들이 먹이를 찾거나 소화하는 과정, 동결-융해 순환이나 습윤-건조 반복 역시 죽은 물질을 분해하는 데 기여한다.[19]
  • 화학적 변화: 주로 세균과 균류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균류의 균사는 죽은 식물체의 단단한 외피를 분해하는 효소를 만들며, 리그닌 분해 효소를 통해 세포 내용물과 리그닌 속 질소에 접근한다. 균류는 균사망을 통해 탄소와 질소를 옮길 수 있어 특정 지역의 자원에만 의존하지 않는다.[19]


분해 속도는 생태계마다 다르며,[20]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주요 요인으로는 물리적 환경(온도, 수분, 토양 특성), 분해될 물질의 양과 질, 그리고 미생물 군집 자체의 특성을 들 수 있다.[19]

  • 온도: 미생물의 호흡 속도에 영향을 주어 온도가 높을수록 분해가 빨라진다. 또한 토양 수분량에도 영향을 미쳐 분해 속도를 조절한다. 특히 동결-융해 순환은 토양 미생물을 사멸시켜 용탈의 중요성을 높이며, 봄철 해빙기에 영양분 방출을 촉진할 수 있다.[18]
  • 수분 및 산소: 분해 속도는 매우 습하거나 매우 건조한 조건에서는 느리다. 산소가 충분한 습한 조건에서 가장 빠르다. 습지처럼 매우 습한 토양은 산소가 부족해져 미생물 성장을 억제한다. 건조한 토양에서도 분해는 느리지만, 식물이 살기 어려울 정도로 건조해도 세균은 느린 속도로 활동을 지속할 수 있다.[19]

4. 4. 생태계의 역동성과 회복력

생태계는 역동적인 실체이다. 생태계는 주기적인 교란을 받으며 항상 과거 교란으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에 있다.[24] 섭동이 발생하면 생태계는 초기 상태에서 멀어짐으로써 반응한다. 그러한 교란에도 불구하고 생태계가 평형 상태에 가까이 머무르려는 경향을 저항력이라고 한다. 시스템이 교란을 흡수하고 변화를 겪으면서 재구성하여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조, 정체성 및 피드백을 유지하는 능력을 생태적 회복력이라고 한다.[21][22] 회복력 사고는 인류를 생물권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포함하며, 우리는 생존을 위해 생태계 서비스에 의존하고 충격과 교란을 견딜 수 있는 자연 능력을 구축하고 유지해야 한다.[23] 시간은 넓은 범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맨 바위에서 토양이 서서히 발달하는 것과 교란으로부터 군집이 회복되는 것이 그 예이다.[13]

교란은 생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F. 스튜어트 채핀와 공동 저자들은 교란을 "식물 바이오매스를 제거하는 상대적으로 이산적인 시간적 사건"으로 정의한다.[24] 이것은 초식동물의 급증, 나무 쓰러짐, 화재, 허리케인, 홍수, 빙하의 전진, 화산 폭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교란은 식물, 동물 및 미생물 개체군뿐만 아니라 토양 유기물 함량에도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교란 후에는 "생물학적으로 유도된 자원 공급의 변화로 인한 생태계 구조와 기능의 방향성 변화"인 천이가 뒤따른다.[25]

교란의 빈도와 심각도는 생태계 기능에 미치는 영향 방식을 결정한다. 화산 폭발이나 빙하의 전진과 후퇴와 같은 주요 교란은 식물, 동물 또는 유기물이 없는 토양을 남긴다. 이러한 교란을 경험하는 생태계는 1차 천이를 겪는다. 산불, 허리케인 또는 경작과 같은 덜 심각한 교란은 2차 천이와 더 빠른 회복으로 이어진다.[24] 더 심하고 빈번한 교란은 더 긴 회복 시간으로 이어진다.

해마다 생태계는 생물적 및 비생물적 환경의 변화를 경험한다. 가뭄, 평소보다 추운 겨울, 해충 발생은 모두 환경 조건의 단기 변동성이다. 동물 개체군은 해마다 변화하며, 자원이 풍부한 시기에 증가하고 먹이 공급을 초과하면 붕괴한다. 장기적인 변화 또한 생태계 과정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북미 동부의 숲은 1850년에 대규모 지역이 숲으로 환원되었을 때 중단된 경작의 유산을 여전히 보여준다.[24] 또 다른 예로는 플라이스토세 동안 축적된 유기물에 의해 제어되는 동부 시베리아 호수의 메탄 생산이 있다.[26]

5. 다양한 생태계

생태계는 광대한 에서 작은 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크기로 존재한다. 지구상에는 육상 생태계, 수생 생태계, 해양 생태계 등 여러 유형의 생태계가 있다.

각 생태계는 종종 사막이나 산지, 바다과 같은 지리적인 장벽이나 외관상의 뚜렷한 차이에 의해 구분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생태계, 하천 생태계, 해양 생태계 등으로 나누어 부른다.

하지만 이러한 경계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생태계가 섞이거나 영향을 주고받기도 한다. 이나 처럼 외형적으로는 명확하게 구분되는 독립된 생태계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많은 물질이 드나들고 여러 생물이 오가는 열린 시스템의 특징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지구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생태계로 볼 수도 있고, 반대로 하나의 호수를 여러 개의 작은 생태계로 나누어 볼 수도 있다.

5. 1. 육상 생태계

육상 생태계는 지구 표면의 땅 위에 형성된 생태계를 의미하며, 다양한 형태와 규모로 존재한다. 이는 광대한 이나 사막처럼 넓은 지역을 포괄하기도 하고, 특정 지역의 작은 처럼 좁은 범위에 한정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육상 생태계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각 생태계는 사막이나 산지 같은 지리적인 장벽에 의해 다른 생태계와 분리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경계가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생태계가 겹치거나 영향을 주고받기도 한다. 예를 들어, 생태계와 초원 생태계가 만나는 지점에서는 두 생태계의 특징이 함께 나타나는 전이 지대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관상 뚜렷하게 구분되는 자연 환경을 기준으로 독립된 생태계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울창한 나무들이 주를 이루는 환경은 생태계로, 강수량이 매우 적고 건조한 환경은 사막 생태계로 구분한다.

5. 2. 수생 생태계

생태계는 광대한 에서 작은 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한다. 수생 생태계 역시 거대한 해양 생태계부터 작은 하천이나 호수, 연못 등 다양한 규모와 형태로 나타난다.

카나리아 제도 그란 카나리아의 민물 생태계. 수생 생태계는 이처럼 다양한 규모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바다과 같은 지리적 환경이나 외관상의 차이에 따라 하천 생태계, 해양 생태계 등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이러한 생태계 간의 경계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서로 섞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하천 생태계는 바다와 만나는 하구에서 해양 생태계와 영향을 주고받는다.

또한, 이나 처럼 윤곽이 명확해 보이는 독립된 생태계라 할지라도, 실제로는 많은 물질이 유입·유출되고 다양한 생물이 드나드는 열린 시스템의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특정 수생 생태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 및 물질과 에너지의 흐름, 생물의 이동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관점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지구 전체의 물 환경을 하나의 거대한 수생 생태계로 볼 수도 있고, 반대로 하나의 호수를 깊이나 위치에 따라 여러 개의 미세 생태계로 나누어 분석할 수도 있다.

6. 생태계 연구 접근법

생태계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는 여러 가지 접근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연구자들은 생태계 생태학의 관점에서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밝히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에는 이론적 모델링, 장기적인 현장 관찰, 여러 생태계 간의 비교 분석, 그리고 환경 요인을 직접 조절해보는 실험적 연구 등이 포함된다.[37] 또한, 실험실 환경에서 생태계를 축소하여 모사하는 미소 우주나 중간 우주와 같은 모델 시스템을 활용하기도 한다.[38] 이러한 다양한 연구 방법들은 생태계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6. 1. 생태계 생태학

심해 열수 분출구는 해저의 독특한 생태계이다. (눈금 막대는 )


생태계 생태학은 "유기체와 환경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합 시스템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25] 생태계의 크기는 암석의 표면층과 같은 미시적인 수준에서부터 지구 전체 표면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그 규모는 최대 10개의 차수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6]

생태계는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연구된다. 이론적 연구, 특정 생태계를 오랜 기간 관찰하는 장기 모니터링 연구, 여러 생태계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작동 원리를 밝히는 연구, 그리고 직접 환경 요인을 조작하여 그 영향을 살펴보는 실험 등이 있다.[37] 연구는 실제 자연 상태의 전체 생태계를 대상으로 하거나, 실험실 환경에서 미소 우주나 중간 우주처럼 생태계를 단순화하여 표현한 모델 시스템을 대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38] 미국의 생태학자 스티븐 R. 카펜터는 미소 우주 실험이 실제 현장 연구와 병행되지 않으면 현실과 동떨어지거나 잘못된 결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경우, 미소 우주 실험만으로는 실제 생태계 수준의 복잡한 변화 과정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다.[39]

허버드 브룩 생태계 연구는 생태계 연구의 중요한 사례 중 하나이다. 1963년 미국 뉴햄프셔 주의 화이트 마운틴 지역에서 시작된 이 연구는 전체 유역을 하나의 생태계 단위로 설정하여 연구하려는 최초의 성공적인 시도였다.[35] 연구진은 하천의 화학적 성분 변화를 측정하여 생태계 전체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활용했으며, 이를 통해 생태계의 물질 순환 등을 설명하는 상세한 생지화학 모델을 개발했다.[35] 이 장기 연구는 1972년 북미 지역에서 산성비 문제를 처음으로 발견하는 중요한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수십 년 동안 연구자들은 산성비의 영향으로 토양 속 양이온(특히 칼슘)이 점차 고갈되는 현상을 기록하고 추적하며 환경 문제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36]

6. 2. 생태계 분류

생물군계는 생태계의 일반적인 종류 또는 범주이다.[6] 그러나 생물군계와 생태계 사이에 명확한 구분은 없다.[40] 생물군계는 매우 일반적인 수준에서 정의되는 반면, 생태계는 매우 일반적인 수준(이 경우 생물군계와 이름이 같을 수 있음)부터 "습윤 해안 침엽수림"처럼 매우 구체적인 수준까지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다.

생물군계는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로 인해 다양하며, 종종 구조에 따라 정의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수준에서는 열대우림, 온대 초원, 북극 툰드라 등이 있다.[6] 생물군계를 구성하는 생태계 유형 간에는 침엽수 북방림이나 습윤 열대림과 같은 하위 범주가 있을 수 있다.

생태계는 일반적으로 구조와 지리적 위치로 분류되지만, 인간의 영향 수준(인위적 생물군계 참조), 사회적 또는 기술적 과정과의 통합, 또는 참신성(예: 신생태계)과 같이 생태계를 분류하는 다른 방법들도 있다. 이러한 분류 체계들은 각각 다른 구조적 또는 기능적 특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41] 이 중 어느 것도 "최고의" 분류라고 할 수는 없다.

생태계 분류는 생태계 정의의 네 가지 요소, 즉 생물적 구성 요소, 비생물적 복합체, 그들 사이와 내부의 상호 작용, 그리고 그것들이 차지하는 물리적 공간을 모두 고려하는 특정 종류의 생태 분류이다.[41] 육상, 담수, 해양 분야에서 서로 다른 생태 분류 접근 방식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다양한 접근 방식의 강점을 통합된 시스템으로 활용하기 위해 기능 기반 유형론이 제안되었다.[42]

7. 인간과 생태계의 상호작용

인간 활동은 거의 모든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은 생태계 내에서 존재하고 활동하며, 생태계는 인간에게 필요한 다양한 재화와 서비스의 원천이 된다.

생태 관광은 자연환경을 보존하면서 인간이 자연 속에서 즐거움을 얻도록 하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예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인간 활동의 누적된 효과는 기후와 같은 지구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만큼 크며, 이는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6]

7. 1. 생태계 재화와 서비스

생태계는 사람들이 의존하는 다양한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한다.[43] 생태계 재화에는 , 식량, 연료, 건축 자재 및 약용 식물과 같이 생태계 과정의 "유형적이고 물질적인 산출물"이 포함된다.[44][45] 여기에는 관광과 레크리에이션과 같이 덜 유형적인 항목과 국내 종을 개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야생 식물과 동물의 유전자도 포함된다.[43]

반면, 생태계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가치 있는 것들의 상태 또는 위치 개선"이다.[45] 여기에는 수문 순환 유지, 대기 및 수질 정화, 대기 중 산소 유지, 작물 수분 심지어 아름다움, 영감 및 연구 기회와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43] 전통적으로 생태계의 재료는 경제적 가치의 기초로 인식되어 왔지만, 생태계 서비스는 당연하게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45]

''밀레니엄 생태계 평가''는 세계 최고의 생물학자 1000명 이상이 참여한 국제적인 종합 연구로, 지구 생태계의 상태를 분석하고 의사 결정자를 위한 요약과 지침을 제공한다. 이 보고서는 생태계 서비스의 네 가지 주요 범주인 공급, 조절, 문화 및 지원 서비스를 확인했다.[46] 이 보고서는 인간 활동이 세계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생태계의 회복력과 생물 용량을 모두 감소시키고 있다고 결론짓는다. 이 보고서는 자연 시스템을 인류의 "생명 유지 시스템"으로 언급하며 필수적인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말한다. 이 평가는 24가지 생태계 서비스를 측정하고 지난 50년 동안 4가지 서비스만 개선되었고, 15가지 서비스는 심각하게 감소했으며, 5가지 서비스는 불안정한 상태에 있다고 결론짓는다.[46]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에 관한 정부간 과학정책 플랫폼(IPBES)은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 문제에 대한 과학과 정책 간의 상호 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 간 기구이다.[47][48] 이 기구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의도되었다.[49]

생태계 서비스는 제한적이며 인간 활동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50] 의사 결정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생태계 서비스에 인위적인 대안으로 대체하는 데 드는 비용을 기준으로 경제적 가치가 부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생물다양성 은행을 통해 자연에 경제적 가치를 부여하는 지속적인 과제는 우리가 환경, 사회적 책임, 사업 기회 및 종으로서의 미래를 인식하고 관리하는 방식에 있어서 학제 간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50]

7. 2. 생태계 파괴와 쇠퇴

인구 증가와 1인당 소비 증가는 생태계에 대한 자원 수요를 늘리고 인간의 생태 발자국 영향을 키우는 주요 원인이다. 천연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며 취약하다. 인위적 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다. 모든 생태계는 환경 오염, 기후 변화, 생물다양성 손실과 같은 공통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51]

육상 생태계는 대기 오염, 토양 퇴화, 산림 벌채와 같은 추가적인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수생태계의 경우, 지속 불가능한 해양 자원 개발(예: 과도한 어업), 해양 오염, 미세 플라스틱 오염, 기후 변화가 해양에 미치는 영향(예: 해수 온도 상승 및 산성화), 그리고 해안 지역 건설 등이 주요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51]

또한 많은 생태계는 토양 유실, 대기 오염, 수질 오염, 서식지 단편화, 물의 전환, 산불 진화 방지, 그리고 도입종 및 침입종과 같은 다양한 인간의 영향으로 인해 퇴화하고 있다.[55]

이러한 위협들은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거나, 생물학적 과정의 점진적인 붕괴 및 생태계의 비생물적 조건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원래의 생태계가 그 고유한 특징을 잃어버리면 '붕괴'되었다고 간주한다. 이는 IUCN 생태계 적색 목록에서도 다루는 개념이다.[52] 생태계 붕괴는 종의 멸종과는 달리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53] IUCN 생태계 적색 목록은 생태계의 보존 상태와 변화 추세를 측정하기 위해 붕괴 위험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제공한다.

7. 3. 생태계 관리

단일 종이 아닌 전체 생태계 차원에서 자원 관리를 적용하는 것을 생태계 관리라고 부른다.[54] 생태계 관리에는 여러 정의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생태계가 제공하는 자원과 혜택을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을 핵심 원칙으로 삼는다.[55] 특히 다음 세대까지 고려하는 지속가능성은 관리를 위한 필수 전제 조건으로 여겨진다.[43]

생태계 관리는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황야 지역의 보전 계획뿐만 아니라, 농업생태계나 자연에 가까운 임업처럼 인간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관리 지역에도 적용될 수 있다.[43]

과거에는 환경 보전과 인간의 생계(지속 가능한 개발) 문제를 별개로 다루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합 보전 개발 사업(ICDPs)은 개발도상국 등에서 이 두 가지 목표를 함께 달성하려는 시도이다.[55]

한편, 생태계를 지속 가능하게 활용하는 방안 중 하나로 생태 관광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자연환경을 보존하면서도 인간이 자연 속에서 즐거움을 얻도록 하는 방식으로, 환경과 인간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전략으로 평가받는다. 케냐와 남아프리카 등 일부 지역에서는 야생동물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경제 활동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야생 생태계 자체를 이용한 상업적 성공 사례는 제한적이다.

8. 생태계 유형

생태계는 서식 환경이나 특정 조건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크게 물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수생 생태계와 육지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육상 생태계로 구분하며, 이 외에도 특정 조건이나 인간 활동의 영향을 받는 다양한 형태의 생태계가 존재한다.

8. 1. 수생 생태계



수생 생태계는 물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생태계를 의미한다. 이는 크게 물의 염분 농도에 따라 민물 생태계와 해양 생태계로 나눌 수 있다.

해양 생태계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산호초가 있으며, 민물 생태계에는 연못 생태계 등이 포함된다.

8. 2. 육상 생태계

8. 3. 조건별 생태계



9. 생태계 사례

세계 특정 지역의 생태계 사례는 다음과 같다.


  • 그레이터 옐로스톤 생태계
  • 르저 생태계
  • 긴잎소나무 생태계
  • 타랑기레 생태계

참조

[1] 논문 Coral reef primary productivity. A hierarchy of pattern and process
[2] 논문 The Use and Abuse of Vegetational Concepts and Terms http://www.ecology15[...] 1935
[3] 서적 Fundamentals of Ecology https://archive.org/[...] Saunders 1971
[4] 논문 The Ecosystem: An Evolving Concept Viewed Historically
[5] 서적 The British Islands and Their Veget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7]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8]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9]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10] 논문 Impacts of biological invasions: what's what and the way forward 2013
[11] 웹사이트 46.1A: Ecosystem Dynamics https://bio.libretex[...] 2018-07-17
[12]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13]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14]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15] 논문 Reconciling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respiration across timescales and ecosystem types 2012
[16] 논문 Is Net Ecosystem Production Equal to Ecosystem Carbon Accumulation? 2006
[17] 논문 Community food webs have scale-invariant structure 1984-01-19
[18]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19]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20] 논문 Ecosystem type and resource quality are more important than global change drivers in regulating early stages of litter decomposition 2019-02
[21] 서적 Principles of ecosystem stewardship: resilience-base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in a changing world Springer 2009
[22] 논문 Resilience, Adaptability and Transformability in Social-ecological Systems http://www.ecologyan[...] 2004
[23] 웹사이트 Applying Resilience Thinking https://whatisresili[...] Stockholm Resilience Centre
[24]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25]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26] 논문 Methane bubbling from Siberian thaw lakes as a positive feedback to climate warming https://web.archive.[...] 2006
[27] 논문 Terrestrial phosphorus limitation: mechanisms, implications, and nitrogen–phosphorus interactions 2010
[28]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29] 논문 A critical review on the role of mycorrhizal fungi in the uptake of phosphorus by plants 1991
[30] 논문 Synergies between mycorrhizal fungi and soil microbial communities increase plant nitrogen acquisition 2019
[31] 논문 The fish community of Loch Lomond, Scotland: its history and rapidly changing status
[32] 서적 Plant Ecology Springer
[33] 서적 The Princeton Guide to Ecolog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34] 논문 Organisms as Ecosystem Engineers 1994
[35] 서적 Effective Ecological Monitoring CSIRO Publishing
[36] 논문 Some perspectives on long-term biogeochemical research from the Hubbard Brook Ecosystem Study http://www.ci.uri.ed[...]
[37] 논문 Evaluating Alternative Explanations in Ecosystem Experiments https://www.research[...]
[38] 논문 Replication versus Realism: The Need for Ecosystem-Scale Experiments
[39] 논문 Microcosm Experiments have Limited Relevance for Community and Ecosystem Ecology
[40] 웹사이트 Differences Between the Grassland & the Tundra https://sciencing.co[...] 2021-07-16
[41] 서적 The IUCN Global Ecosystem Typology 2.0: Descriptive profiles for biomes and ecosystem functional groups IUCN
[42] 논문 A function-based typology for Earth's ecosystems 2022-10-12
[43] 논문 The Report of the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Committee on the Scientific Basis for Ecosystem Management
[44] 웹사이트 Ecosystem Goods and Services https://ec.europa.eu[...]
[45] 논문 Defining, valuing and providing ecosystem goods and services http://lawlibrary.un[...]
[46] 웹사이트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https://www.millenni[...] 2021-11-10
[47] 웹사이트 IPBES https://www.ipbes.ne[...] 2019-06-28
[48] 논문 The IPBES Conceptual Framework — connecting nature and people 2015
[49] 뉴스 Biodiversity crisis is worse than climate change, experts say https://www.scienced[...] 2019-09-11
[50] 논문 Climate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for decision making 2014-06-17
[51] 서적 Encyclopedia of Environmental Science Springer 1999-05-01
[52] 논문 Scientific Foundations for an IUCN Red List of Ecosystems 2013
[53] 논문 Challenging the Scientific Foundations for an IUCN Red List of Ecosystems http://discovery.ucl[...] 2021-01-06
[54] 논문 What is ecosystem management? http://www.pelagicos[...]
[55]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Springer 2011
[56] 서적 ウォーレス現代生物学(下) 東京化学同人
[57] 논문 The Ecosystem: An Evolving Concept Viewed Historically
[58] 서적 ウォーレス現代生物学(下) 東京化学同人
[59] 용어 food web
[60] 논문 The use and abuse of vegetational terms and concept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