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료는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물질을 의미하며, 인류는 불을 사용하면서부터 다양한 연료를 활용해왔다. 연료는 물리적 상태, 생성 과정, 기원에 따라 고체, 액체, 기체, 바이오 연료, 화석 연료 등으로 분류된다. 화석 연료는 석탄, 석유 등 과거 생물에서 기원하며, 바이오 연료는 식물 등에서 얻는다. 핵연료는 핵분열 또는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물질이며, 로켓 연료는 연료와 산화제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화석 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바이오 연료 등 대체 연료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인터넷 상에서는 논쟁을 격화시키는 소재를 비유적으로 '연료'라고 부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너지 개발 - 에너지 산업
    에너지 산업은 석탄, 전기, 가스, 석유, 원자력, 신재생 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다루며, 사회의 필수 조건인 에너지 자원의 개발과 관리를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모색한다.
  • 에너지 개발 - 무선 전력 전송
    무선 전력 전송은 전선 없이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기술로, 전자기 유도, 자기 공진, 전자기파 등의 방식을 활용하여 전동 칫솔, 전기 자동차, 무선 통신 기기 충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장거리 전송 연구가 진행 중이나 효율성과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다.
  • 연료 - 주유소
    주유소는 자동차 연료를 공급하는 시설로, 1888년 독일에서 시작되어 자동차 대중화와 함께 발전했으며, 현재는 연료 외 다양한 서비스와 편의시설을 제공하지만 전기차 보급 및 환경 규제로 인해 감소 추세에 있다.
  • 연료 - 헥사메틸렌테트라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은 포름알데히드와 암모니아 반응으로 생성되는 유기 화합물로, 페놀 수지 경화제, 요로 방부제, 폭약 제조 원료, 고체 연료, 유기 합성 시약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식품 첨가물 사용은 국가별로 다르며 환경 및 건강에 대한 우려도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연료

2. 역사

인류는 약 200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장작연소시켜 불을 사용하면서 연료를 사용하기 시작했다.[2] 고대에는 나무, 숯, 동물성 지방 등이 주요 연료였다. 기원전 6000년경부터 을 이용해 금속을 제련했다.[2] 18세기 유럽에서 산림이 고갈되면서 석탄을 이용한 코크스가 숯을 대체했다.

고대 페르시아에서는 원유를 증류하여 등유 등을 생산했다.[2] 무함마드 이븐 자카리야 라지는 저서 ''Kitab al-Asrar''(비밀의 책)에서 원유를 등유 및 기타 탄화수소 화합물로 증류하는 과정을 설명했다.[3] 9세기 바그다드 도로는 석유에서 추출한 타르로 포장되었다.

18세기 증기기관 발명으로 석탄이 주요 동력원이 되었다.[5] 19세기에는 석탄 가스가 가로등 연료로 사용되었다. 20세기 이후, 석탄은 전기 생산용 발전 연료로 널리 사용된다.[6]

산업 혁명 이후 화석 연료 사용이 급증했으나, 지구 온난화로 인해 점차 재생 가능 에너지로 전환되는 추세이다.[7]

2. 1. 한국의 연료 역사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나무, 숯 등을 난방 및 취사용 연료로 사용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석탄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해방 이후에도 석탄은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었다. 1970년대 이후 석유화학 공업이 발전하면서 석유 소비량이 급증하였다. 1990년대 이후 천연가스 도입이 확대되면서 난방 및 발전용 연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 정책이 추진되면서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등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탄소 중립 정책의 일환으로 수소 에너지 생산 및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다.

3. 연료의 종류

연료는 물리적 상태, 생성 과정, 그리고 기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화학 연료는 주변 물질과 반응하여 에너지를 방출하는 물질로, 특히 연소 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한다. 화학 연료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첫째는 물리적 특성에 따라 고체 연료, 액체 연료, 연료 가스로 분류하는 것이다. 둘째는 생성 과정에 따라 1차 (천연 연료)와 2차 (인공 연료)로 나누는 것이다.

화석 연료는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며, 주로 고대 식물과 동물의 화석화된 잔해가 지각 내에서 수억 년에 걸쳐 고온과 압력을 받아 형성된다. 석탄, 석유(액체 석유 또는 천연 가스)가 대표적이다.[10] 타르 샌드와 같이 생물학적 기원이 아닌 천연 자원도 화석 연료에 포함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자원은 엄밀히 말하면 ''광물 연료''로 불린다.

화석 연료는 높은 비율의 탄소를 함유하며, 메탄과 같이 탄소:수소 비율이 낮은 휘발성 물질에서부터 액체 석유, 그리고 거의 순수한 탄소로 구성된 비휘발성 물질(무연탄)까지 다양하다. 메탄은 탄화수소 유전에서 단독으로, 석유와 연관되어, 또는 메탄 클라트레이트 형태로 발견될 수 있다. 화석 연료는 수백만 년에 걸쳐 지구 지각 내에서 열과 압력에 노출되어 죽은 식물의 화석화된 잔해로부터 형성되었다는 생물 기원설은 1556년 독일 학자 게오르그 아그리콜라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고, 18세기에는 미하일 로모노소프에 의해 소개되었다.

연소 연료로서의 나무


최초의 연료 사용은 약 200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가 장작연소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인류 역사의 대부분 동안 식물 또는 동물성 지방에서 파생된 연료만 사용되었다. 나무의 파생물인 목탄은 적어도 기원전 6,000년부터 금속을 녹이는 데 사용되었다. 18세기경 유럽의 숲이 고갈되기 시작하면서 석탄에서 파생된 코크스로 대체되었다.

원유는 페르시아 화학자들에 의해 증류되었으며, 무함마드 이븐 자카리야 라지의 저서 ''Kitab al-Asrar''(비밀의 책)에서 원유/석유를 등유 및 기타 탄화수소 화합물로 증류하는 과정이 설명되었다.[2] 바그다드의 거리는 이 지역의 자연 유전에서 접근할 수 있게 된 석유에서 파생된 타르로 포장되었다.

석유 추출


1769년 영국에서 증기 기관이 개발되면서 석탄의 사용이 더욱 보편화되었고, 석탄 연소는 물을 증기로 바꿀 수 있는 화학 에너지를 방출한다.[5] 19세기에는 석탄에서 추출한 가스가 런던의 가로등에 사용되었다. 20세기와 21세기에 석탄의 주요 용도는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며, 2005년에는 세계 전력 공급량의 40%를 차지했다.[6]

산업 혁명 동안 화석 연료는 물의 힘과 같은 기존 에너지원보다 더 집중적이고 유연했기 때문에 빠르게 채택되었다. 그러나 화석 연료 연소로 인한 지구 온난화 및 관련 영향으로 인해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다.[7] 현재 추세는 알코올과 같은 바이오 연료와 같은 재생 가능 연료로 향하고 있다.

화학 연료는 발생 기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화석 연료: 고대 생물의 유해가 오랜 시간 동안 지열과 압력을 받아 생성된 연료
  • 바이오 연료: 식물, 동물, 미생물 등 생물체(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만든 연료
  • 핵연료: 핵분열 또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물질


화학 연료의 일반적인 종류
scope="col" |1차 (천연)2차 (인공)
고체 연료나무, 석탄, 이탄, 코크스, 목탄
액체 연료석유경유, 휘발유, 등유, LPG, 콜타르, 나프타, 에탄올
기체 연료천연 가스수소, 프로판, 메탄, 석탄 가스, 수성 가스, 고로 가스, 코크스 오븐 가스, CNG


3. 1. 물리적 상태에 따른 분류

물리적 상태에 따른 연료의 분류
종류설명예시
고체 연료연소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난방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고체 물질이다. 취급이 간편하다.나무, 목탄, 이탄, 석탄, 헥사민 연료 정제, 우드 펠릿, 옥수수, , 호밀, 곡물, 연탄, 오가탄, , 폐기물 고형 연료(RDF), 장작
액체 연료가연성 또는 에너지 생성 분자로, 기계적 에너지를 생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유체을 통해 흐르게 할 수 있고, 그 양을 조절하기 쉬워 응용 범위가 넓다.석유, 경유, 휘발유, 등유, 액화 석유 가스(LPG), 콜타르, 나프타, 에탄올, 경질유, 중질유, 아스팔트, 유채씨 기름, 폐식용유, 송근유, 알코올류 (메탄올, 에탄올 등), 에멀젼 연료
기체 연료일반적인 조건에서 가스 형태를 띄는 다양한 연료이다. 잠재적인 열 에너지 또는 빛 에너지의 공급원이며, 발생 지점에서 소비 장소까지 파이프를 통해 쉽게 전송하고 분배할 수 있다.천연 가스, 수소, 프로판, 메탄, 석탄 가스, 수성 가스, 고로 가스, 코크스 오븐 가스, 압축 천연 가스(CNG), 다이메틸 에테르


3. 2. 생성 과정에 따른 분류

화학 연료는 그 발생에 따라 1차(천연 연료)와 2차(인공 연료)로 나뉜다.

  • 1차 연료 (천연 연료): 자연 상태에서 직접 얻을 수 있는 연료이다.
  • 예: 나무, 석탄, 석유, 천연 가스
  • 2차 연료 (인공 연료): 1차 연료를 가공하여 만든 연료이다.
  • 예: 코크스, 휘발유, 경유, LPG, 수소


화학 연료의 일반적인 종류
scope="col" |1차 (천연)2차 (인공)
고체 연료나무, 석탄, 이탄, 코크스, 목탄
액체 연료석유경유, 휘발유, 등유, LPG, 콜타르, 나프타, 에탄올
기체 연료천연 가스수소, 프로판, 메탄, 석탄 가스, 수성 가스, 고로 가스, 코크스 오븐 가스, CNG


3. 3. 기원에 따른 분류

화학 연료는 물리적 특성에 따라 고체 연료, 액체 연료, 연료 가스로 분류되며, 생성 기원에 따라 천연 연료(1차 연료)와 인공 연료(2차 연료)로 나뉜다.

4. 화학 연료

화학 연료는 주변 물질과의 화학 반응, 특히 연소 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는 물질이다. 연소를 통해 열, 빛, 운동 에너지 등을 얻을 수 있다.

화학 연료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물리적 특성에 따라 고체 연료, 액체 연료, 기체 연료로 나뉜다. 둘째, 발생에 따라 1차 (천연 연료)와 2차 (인공 연료)로 구분된다.

화학 연료의 일반적인 종류
scope="col" |1차 (천연)2차 (인공)
고체 연료나무, 석탄, 이탄, 코크스, 목탄
액체 연료석유경유, 휘발유, 등유, LPG, 콜 타르, 나프타, 에탄올
기체 연료천연 가스수소, 프로판, 메탄, 석탄 가스, 수성 가스, 고로 가스, 코크스 오븐 가스, CNG



최초의 연료 사용은 약 2백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가 장작연소시킨 것이다. 인류는 오랫동안 식물이나 동물성 지방에서 파생된 연료를 사용해왔다. 목탄은 기원전 6,000년부터 금속 제련에 사용되었으며, 18세기경 유럽의 숲이 고갈되면서 코크스로 대체되었다.

원유는 페르시아 화학자들에 의해 증류되었으며, 무함마드 이븐 자카리야 라지는 ''Kitab al-Asrar''(비밀의 책)에서 등유 및 기타 탄화수소 화합물로 증류하는 과정을 설명했다.[2] 바그다드 거리는 석유에서 파생된 타르로 포장되었고, 9세기에는 바쿠 주변 지역에서 유전이 개발되었다.[4]

1769년 증기 기관 발명으로 석탄 사용이 증가했다. 석탄은 기관차와 배의 동력원으로, 그리고 전기 생산에 사용되며, 2005년에는 세계 전력 공급량의 40%를 차지했다.[6]

산업 혁명 동안 화석 연료가 빠르게 채택되었지만, 지구 온난화 문제로 인해 점차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7] 현재는 바이오 연료와 같은 재생 가능 연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4. 1. 고체 연료

나무, 목탄, 이탄, 석탄, 코크스, 연탄, 폐기물 고형 연료(RDF) 등은 비교적 취급이 간편하고 오랫동안 인류가 불을 피우는 데 사용해 온 고체 연료이다. 산업 혁명을 가능하게 한 석탄은 산업용 용광로에 불을 지피는 것부터 증기 기관을 가동하는 데까지 사용되었다. 나무 또한 증기 기관차를 가동하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이탄과 석탄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발전에 사용된다.

석탄은 고체 연료이다.


일부 도시 지역에서는 유해 물질 배출 문제로 인해 석탄과 같은 일부 고체 연료의 사용이 제한되거나 금지된다. 다른 고체 연료인 나무의 사용은 난방 기술과 양질의 연료 가용성이 향상됨에 따라 감소하고 있다.

연소 전 단계에서 고체인 것을 고체 연료라고 하며, 취급이 간편하여 처음 사용되었다.

4. 2. 액체 연료

석유(휘발유, 경유, 등유, 중유), 바이오디젤, 에탄올, LPG 등이 있다. 액체 연료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내연 기관, 보일러 등의 연료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유출 시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1]

주유소


액체 연료는 가연성 분자를 포함하고 있어 운동 에너지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기계적 에너지를 얻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부분의 액체 연료는 화석 연료에서 추출되지만, 수소 연료, 에탄올, 제트 연료, 바이오디젤과 같이 다른 종류의 액체 연료도 존재한다.[1] 오리멀전과 같은 유화 연료는 중유 성분을 액체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1]

액체 연료는 운송이 쉽고 취급이 용이하며, 가정에서도 등유와 같이 난방 및 취사용으로 사용된다. 경유석유에서 추출한 지방족 탄화수소의 혼합물이며, 등유는 등유 램프, 요리, 난방 및 소형 엔진용 연료로 사용된다.[1] 액화 석유 가스(LPG)는 프로판과 부탄의 혼합물로, 요리 및 공간 난방에 사용되며, 최근에는 자동차 연료로도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프로판은 전 세계적으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자동차 연료이다.[1]

에너지 밀도가 높은 운송 연료는 대부분 액체 형태이며, 내연 기관에서 깨끗하게 연소되는 특성을 가진다. 액체는 펌핑이 가능하여 취급이 쉽고 노동력이 덜 든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따라 탄화수소와 같은 액체 연료의 사용은 면밀히 검토되고 있다.[1]

난방조리를 위한 열원으로 불이 필요했고, 이를 위해 연료가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모닥불이 사용되었지만, 이후 부뚜막, 스토브 등이 개발되면서 난방과 조리에 연료가 활용되었다. 횃불, 램프, 등롱 등이 만들어지면서 액체 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점차 증가하였다.[1]

증기 기관 개발 이후, 연료는 동력으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내연 기관에서는 기화된 액체 연료 등이 이용되면서 유체 연료의 장점이 뚜렷해졌다. 액체 연료는 고체 연료에 비해 보관 및 연소 장치에 기술이 필요하지만, 기술 발전으로 을 통해 흐르게 할 수 있고, 양 조절이 쉬워 응용 범위가 넓어졌다.[1]

4. 3. 기체 연료

천연 가스는 일반적인 조건에서 가스 형태를 띄는 다양한 연료 중 하나이다. 많은 연료 가스는 탄화수소(예: 메탄 또는 프로판), 수소, 일산화 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스는 잠재적인 열 에너지 또는 빛 에너지의 공급원이며, 발생 지점에서 소비 장소까지 파이프를 통해 쉽게 전송하고 분배할 수 있다. 연료 가스는 액체 연료 및 고체 연료와 대조되지만, 일부 연료 가스는 저장 또는 운송을 위해 가스 액화된다. 가스 형태는 고체 연료 운송의 어려움과 액체 연료의 유출 위험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스 폭발의 위험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대부분의 연료 가스에는 특유의 냄새로 감지할 수 있도록 취기제가 첨가된다. 현재 사용되는 가장 흔한 유형의 연료 가스는 천연 가스이다.

기체 연료의 종류
1차 (천연)2차 (인공)
천연 가스수소, 프로판, 메탄, 석탄 가스, 수성 가스, 고로 가스, 코크스 오븐 가스, CNG



20파운드() 프로판 실린더

5. 핵연료

핵연료는 원자력 에너지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다. 이론적으로 다양한 물질이 핵연료가 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극한의 압박 없이 에너지를 생산하는 물질을 말한다. 핵연료는 핵분열(핵을 쪼개는 것)이나 핵융합(핵을 결합하는 것)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며, 모든 실용적인 연료원 중에서 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다.

두 개의 CANDU(캐나다 중수 우라늄) 연료 묶음. 각각 길이는 약 50cm, 지름은 10cm이다.


핵연료는 연료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연료 물질과 구조재, 중성자 감속재, 중성자 반사 물질 등이 혼합된 물리적 객체(예: 연료봉으로 구성된 다발)를 의미할 수도 있다.

5. 1. 핵분열 연료

핵연료 펠릿은 핵에너지를 방출하는 데 사용된다.


인간이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핵연료는 원자로에서 핵분열 연쇄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무거운 핵분열성 물질이다. 핵연료는 연료 물질, 구조, 중성자 감속재, 중성자 반사 물질과 혼합된 연료 물질로 구성된 물리적 물체(예: 연료봉으로 구성된 연료 묶음)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 중 일부는 중성자와 충돌하면 분해될 때 중성자를 방출한다. 이것은 원자로에서 제어된 속도로, 핵무기에서 매우 빠른 비제어 속도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자가 유지 연쇄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가장 일반적인 핵분열성 핵연료는 우라늄-235(235U) 및 플루토늄-239(239Pu)이다. 핵연료의 채광, 정제, 정화, 사용, 궁극적인 폐기 작업은 핵연료 주기를 구성한다. 모든 유형의 핵연료가 핵분열로부터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플루토늄-238 및 기타 일부 원소는 방사성 붕괴에 의해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 및 기타 유형의 원자력 전지에서 소량의 핵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5. 2. 핵융합 연료

삼중수소(3H)와 같은 일부 가벼운 핵종핵융합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핵융합은 두 개 이상의 핵이 결합하여 더 큰 핵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 방법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연료는 현재 인간에 의해 사용되지는 않지만, 별의 주요 연료원이다. 융합 연료는 핵이 쉽게 결합하는 수소와 같은 가벼운 원소이다. 핵이 전기적 반발력에도 불구하고 결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서로 충돌할 수 있도록 온도를 높여 융합을 시작하려면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 과정을 융합이라고 하며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

핵융합을 겪는 별에서 연료는 양성자 또는 중성자의 흡수를 통해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는 원자핵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별에서 연료는 수소에 의해 제공되며, 이는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또는 CNO 순환을 통해 결합하여 헬륨을 형성할 수 있다. 수소 연료가 소모되면 핵융합은 점차 더 무거운 원소로 계속될 수 있지만, 핵 결합 에너지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순 방출 에너지는 더 낮다. 철-56 또는 니켈-56 핵이 생성되면 이러한 핵이 가장 높은 핵 결합 에너지를 가지므로 핵융합으로 더 이상 에너지를 얻을 수 없다.[18] 따라서 56Fe 및 56Ni보다 무거운 핵은 융합될 때 에너지를 방출하는 대신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융합은 중단되고 별은 죽는다. 인간의 시도에서 융합은 가장 많은 순 에너지를 방출하는 이 반응을 위해 헬륨-4를 형성하기 위해 수소(2H(중수소) 또는 3H(삼중수소))로만 수행된다. 전기적 가둠(ITER), 관성 가둠(레이저에 의한 가열) 및 강한 전류에 의한 가열이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6. 로켓 연료

모든 로켓의 추진제는 연료와 산화제로 구성되어 있다. 제트 엔진은 연료만 탑재하며, 산화제는 공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산소를 흡입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로켓 엔진은 공기 흡입구가 없으며, 내부에 산소통을 탑재하고 있다. 그래서 모든 로켓 추진제는 연료와 산화제 둘이 사용된다.

7. 대체 연료

대체 연료는 기존의 화석 연료(주로 석유)를 대체하는 것으로, 생물 자원이나 폐기물에서 제조되는 연료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숯으로 만든 가스로 목탄 버스를 운행하거나 송근유를 내연 기관의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었다. 이후 석유 등 화석 연료 공급이 안정되면서 주목받지 못했지만, 오일 쇼크를 계기로 바이오매스 등 비화석 연료 연구가 진행되었다. 오일 쇼크가 끝나자 다시 주목받지 못했지만, 최근 화석 연료 공급이 불투명해지면서 다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석유와 석탄 가격 급등으로 채산성이 맞지 않았던 비화석 연료의 채산성이 맞게 된 것도 그 배경 중 하나이다. 석탄 액화나 GTL도 대체 연료로 취급된다.[8]

연료는 기원에 따라 식물에서 얻는 식물성 연료, 동물에서 얻는 동물성 연료, 과거의 생물에서 기원하는 화석 연료(석탄, 석유 등)로 나뉜다. 화석 연료는 축적량이 많아 막대한 에너지 이용이 가능했지만, 현재 지구 생태계의 에너지 흐름을 넘어서는 양을 소비함으로써 지구 환경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그래서 식물성 연료나 동물성 연료로의 전환이 검토되고 있다.

최근 자동차 운송에 사용하기 위해 바이오에탄올 및 바이오디젤과 같은 바이오 연료가 개발되었지만, 이 연료가 얼마나 탄소 중립적인지에 대한 광범위한 논쟁이 있다.

7. 1. 한국의 대체 연료 개발 현황

대한민국은 바이오매스 등 비화석 연료 연구 개발에 힘쓰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탄소 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수소 경제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수소 생산, 유통, 활용 등 전 분야에 걸쳐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다.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 개발을 통해 쓰레기 매립량 감소 및 에너지 생산 효과를 동시에 얻고 있다.

8. 인터넷 슬랭으로서의 "연료"

"연료"라는 단어는 2ch.net 등 전자 게시판에서의 축제블로그 등의 사이버 불링을 더욱 가속화하고 격화시키는, 이른바 "불난 집에 부채질"하는 소재를 가리키는 인터넷 슬랭으로도 사용된다.[20]

참조

[1] 서적 Chemistry of Fossil Fuels and Biofue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1-17
[2] 서적 Studies in Early Petroleum History Brill Publishers 1958
[3] 학술지 The Oil Weapons
[4] 서적 A shared legacy: Islamic science East and West University of Barcelona
[5] 백과사전 Fuel
[6] 웹사이트 History of Coal Use http://www.worldcoal[...] World Coal Institute 2006-08-10
[7] 보고서 IPCC AR5 WG1 Summary for Policymakers 2013
[8] 뉴스 Bones hint at first use of fire http://news.bbc.co.u[...] 2007-09-11
[9] 웹사이트 Chemical Potential Energy http://physics.info/[...] The Physics Hypertextbook 2007-09-11
[10] 웹사이트 Canada's Fossil Fuel Dependency http://www.elements.[...] Elements 2007-01-18
[11] 웹사이트 Fossil fuel http://oaspub.epa.go[...] EPA 2007-01-18
[12] 웹사이트 Fossil fuel https://www.scienced[...]
[13] 웹사이트 Fossil fuel http://oaspub.epa.go[...] EPA 2007-01-18
[14] 웹사이트 U.S. EIA International Energy Statistics http://tonto.eia.doe[...] 2010-01-12
[15] 웹사이트 International Energy Annual 2006 http://www.eia.doe.g[...] 2009-02-08
[16]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Energy on greenhouse gases http://www.eia.doe.g[...] 2007-09-09
[17] 뉴스 Fossil fuels could become cheaper and more abundant, says IEA https://www.theguard[...] 2024-10-16
[18] 학술지 The atomic nuclide with the highest mean binding energy
[19] 뉴스 낚시배, 유람선도 석유 사용 금지 東京日日新聞 1941-08-22
[20] 서적 가해자 가족 幻冬舎新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