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독립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대문독립공원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공원이다. 독립문, 서울 영은문 주초,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서재필 선생 동상, 3.1 독립선언기념탑, 순국선열추념탑, 독립관, 이진아기념도서관 등 독립운동 관련 시설과 기념 시설을 갖추고 있다. 독립문과 영은문 주초는 1979년 성산대로 공사 과정에서 현재 위치로 옮겨졌으며,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은 1988년 개장했다. 이 외에도 서재필 선생 동상, 3.1독립선언기념탑, 순국선열추념탑, 독립관, 이진아기념도서관 등이 위치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에서 접근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공원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 서울특별시의 공원 - 효창공원
효창공원은 조선 시대 문효세자의 묘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시설이 있었고, 현재는 독립운동가들의 묘역을 중심으로 공원, 운동 시설, 기념관 등이 공존하며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특별시에 관한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서울특별시에 관한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알카에다
알카에다는 압둘라 아잠에 의해 1988년 설립되어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끌었던 국제적인 지하디스트 테러 조직으로, 샤리아 법에 기반한 세계적인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9·11 테러를 비롯한 수많은 테러에 연루되어 국제사회의 비판과 제재를 받고 있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서대문독립공원 - [공원]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유형 | 도시 공원 |
위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좌표 | 37.5752858 |
개장일 | 1992년 8월 15일 |
운영 주체 | 서대문구 |
웹사이트 | VisitSeoulNet |
면적 | 10만9194m2 |
역사 | |
조성 | 1992년 8월 15일 독립공원으로 개원 |
이전 명칭 | 서대문형무소 |
역사적 의미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었던 장소 |
위치 및 접근성 | |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251 (현저동 101번지) |
접근 | 서울교통공사 3호선 독립문역 바로 앞 |
시설 | |
주요 시설 | 독립문 서재필 동상 3·1 독립선언기념탑 순국선열추념탑 독립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추가 정보 | |
연간 방문객 수 | 연간 187만명 |
2. 역사
1987년 서울구치소가 의왕시로 이전된 후 건립을 시작하여 1992년 8월 15일 광복절에 개장하였다. 2007년 4월 16일부터 재조성사업을 추진하여 2009년 10월 28일 재개장하였다.[4]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독립문, 영은문 주초 등 여러 사적들과 독립운동가들의 조각상이 있으며, 24시간 개방된다.[3] 서대문은 돈의문의 속칭으로, 문은 더 이상 남아 있지 않지만 이 지역은 여전히 서대문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서대문독립공원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이 있다.
번호 | 시설 |
---|---|
1 | 서대문형무소 (현재는 박물관) |
2 | 독립문 (파리의 개선문 모방) |
3 | 영은문 주초 (영은문 잔해) |
4 | 애국지사 추모비 |
5 | 독립관 (1407년 건물을 재건축) |
6 | 서재필 동상 |
7 | 독립선언문 기념비 |
8 | 독립광장 (공원 남서쪽 입구) |
9 | 방문자 센터 |
2. 1. 조성 배경
1987년 서대문구 현저동에 있던 서울구치소가 의왕시로 이전된 후 건립을 시작하여, 1992년 8월 15일 광복절에 개장하였다. 이후 시민들의 이용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2007년 4월 16일부터 재조성사업을 추진하였으며, 2009년 10월 28일 재개장하였다.[4]2. 2. 명칭의 유래
서대문은 문자 그대로 "서쪽 큰 문"을 의미한다. 이곳은 1915년에 철거된 서울의 옛 8개 성문 중 하나인 돈의문의 속칭이다. 비록 문은 더 이상 남아 있지 않지만, 이 서울 지역은 여전히 서대문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1]3. 주요 시설
서대문독립공원은 여러 주요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서재필 선생 동상''' : 1990년 4월 7일 서재필 선생을 기리는 취지에서[6] 한국신문협회, 한국방송협회, 한국신문편집인협회, 한국기자협회, 대한언론인회 등 언론인들이 건립하였다.[4]
- '''3.1독립선언기념탑''' : 1992년에 세워진 탑으로, 원래 3·1 운동을 기리기 위해 탑골공원에 있다가 철거된 것을 옮겨온 것이다.[7]
- '''순국선열추념탑''' : 1992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가 일제에 항거한 순국선열들을 기리며 축조한 높이 22.3m의 기념탑이다. 윤봉길, 이봉창, 유관순, 안중근 등 여러 독립운동가들의 행적이 새겨져 있다.[8]
- '''독립관''' : 1996년 12월 31일 완공된 건물로, 1890년에 서재필이 독립문 근처에 독립협회 사무실로 지은 건물을 복원한 것이다. 원래 건물은 철거되었다.[9]
- '''이진아기념도서관''' : 2005년 9월에 완공된 공공도서관으로, 불의의 사고로 작고한 이진아 양을 기리기 위해 그녀의 부모가 기부한 재원을 바탕으로 건축되었다.[10]
독립문과 서울 영은문 주초,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독립문과 영은문 주초
대한민국의 사적 제32호인 독립문과 대한민국의 사적 제33호인 서울 영은문 주초는 서대문독립공원의 남쪽에 있다. 이들은 1979년 성산대로 공사 과정에서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오랫동안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되었으나, 서대문독립공원의 개장과 함께 일반인들의 접근이 허용되었다.[4] 1897년에 완공된 독립문은 프랑스 파리의 개선문을 본떠 만들었으며, 1895년에 의도적으로 파괴된 영은문의 잔해인 영은문 주초가 그 옆에 있다.3. 2.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은 공원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324호인 구 서대문형무소 건물을 바탕으로 1988년 개장한 역사 박물관이다.[5]3. 3. 독립운동 관련 시설
- 독립문, 서울 영은문 주초 : 공원의 남쪽에 있으며, 각각 대한민국의 사적 제32호, 제33호이다. 1979년 성산대로 공사 과정에서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오랫동안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되었으나, 서대문독립공원 개장과 함께 일반인들의 접근이 허용되었다.[4]
-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 공원의 중심부에 있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324호인 구 서대문형무소 건물을 바탕으로 1988년 개장한 역사 박물관이다.[5]
- 서재필 선생 동상 : 1990년 4월 7일 서재필 선생을 기리기 위해[6] 한국신문협회, 한국방송협회, 한국신문편집인협회, 한국기자협회, 대한언론인회 등 언론인들이 건립하였다.[4]
- 3.1독립선언기념탑 : 1992년에 세워진 동상으로, 원래 3·1 운동을 기리기 위해 탑골공원에 있다가 철거된 동상을 옮겨온 것이다.[7]
- 순국선열추념탑 : 1992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가 일제에 항거한 순국선열들을 기리며 축조한 높이 22.3m의 기념탑이다. 윤봉길, 이봉창, 유관순, 안중근 등 여러 독립운동가들의 행적이 새겨져 있다.[8]
- 독립관 : 1996년 12월 31일 완공된 건물로, 1890년에 서재필이 독립문 근처에 독립협회 사무실로 지은 건물을 복원한 것이다. 원래 건물은 철거되었다.[9]
- 이진아기념도서관 : 2005년 9월에 완공된 공공도서관으로, 불의의 사고로 작고한 이진아 양을 기리기 위해 그녀의 부모가 기부한 재원을 바탕으로 건축되었다.[10]
3. 4. 기타 시설
- 독립문, 서울 영은문 주초: 공원 남쪽에 있으며, 각각 대한민국의 사적 제32호, 제33호이다. 1979년 성산대로 공사 과정에서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오랫동안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되었으나, 서대문독립공원 개장과 함께 일반인들의 접근이 허용되었다.[4]
-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공원 중심부에 있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324호인 구 서대문형무소 건물을 바탕으로 1988년 개장한 역사 박물관이다.[5]
- 서재필선생동상: 1990년 4월 7일 서재필 선생을 기리는 취지에서 한국신문협회, 한국방송협회, 한국신문편집인협회, 한국기자협회, 대한언론인회 등 언론인들이 건립하였다.[4]
- 3.1독립선언기념탑: 1992년에 세워진 탑으로, 원래 3·1 운동을 기리기 위해 탑골공원에 있다가 철거된 것을 옮겨온 것이다.[7]
- 순국선열추념탑: 1992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가 일제에 항거한 순국선열들을 기리며 축조한 높이 22.3m의 기념탑이다. 윤봉길, 이봉창, 유관순, 안중근 등 여러 독립운동가들의 행적이 새겨져 있다.[8]
- 독립관: 1996년 12월 31일 완공된 건물로, 1890년에 서재필이 독립문 근처에 독립협회 사무실로 지은 건물을 복원한 것이다. 원래 건물은 철거되었다.[9]
- 이진아기념도서관: 2005년 9월에 완공된 공공도서관으로, 불의의 사고로 작고한 이진아 양을 기리기 위해 그녀의 부모가 기부한 재원을 바탕으로 건축되었다.[10]
4. 교통
-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4번 출구 또는 5번 출구를 이용하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24시간 주차할 수 있는 36대 면적의 공영주차장이 운영되고 있다.[4]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al Sites: Seodaemun Independence Park
http://www.visitseou[...]
Visit Seoul
[2]
웹사이트
志位委員長が訪韓 西大門刑務所歴史館を訪問 日本共産党党首として初
https://www.jcp.or.j[...]
2006-06-09
[3]
웹인용
Seodaemun Independence Park
https://english.visi[...]
VISIT SEOULNET - Tourist Destinations - Attractions
2022-07-19
[4]
웹인용
독립공원
https://parks.seoul.[...]
서울의 공원 - 공원안내 - 공원소개
2022-07-19
[5]
웹인용
어제와 오늘
https://sphh.sscmc.o[...]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역사관소개
2022-07-19
[6]
웹인용
송재서재필선생상
https://korean.visit[...]
대한민국 구석구석 - 여행지
2022-07-19
[7]
웹인용
3.1독립선언기념탑
https://korean.visit[...]
대한민국 구석구석 - 여행지
2022-07-19
[8]
웹인용
순국선열추념탑
https://korean.visit[...]
대한민국 구석구석 - 여행지
2022-07-19
[9]
웹인용
독립관
https://korean.visit[...]
대한민국 구석구석 - 여행지
2022-07-19
[10]
웹인용
이진아기념도서관 소개
https://tongblog.sdm[...]
서대문구청 블로그
2021-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