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라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라벌은 신라의 국호 또는 수도의 옛 이름으로, 현재의 경상북도 경주시를 지칭한다. 박혁거세가 즉위할 때 '서라벌' 또는 '서나벌'이라는 국호를 사용했으며, '사로', '서벌'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신라 지증왕 때 '신라'가 정식 국호로 채택되었다. 서라벌이라는 명칭은 학교, 도로, 문화 시설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한국의 도시 - 졸본
- 고대 한국의 도시 - 평양성 (고구려)
평양성은 고구려가 수도를 옮긴 후 수도 역할을 한 성곽으로, 외성, 중성, 내성, 북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려 시대 서경, 조선 시대 평안도 핵심 성으로 기능했고 현재는 북한에서 문화재로 관리된다. - 신라의 행정 구역 - 한산주
한산주는 삼국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한반도 중부 지역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하고 신주를 설치하면서 한산주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1개 소경, 27개 군, 46개 현으로 구성되었다. - 신라의 행정 구역 - 임관군
임관군은 신라시대 경주 남부와 울산 일대에 걸쳐 있던 군사 요충지로, 신당서에 강력한 방어 체계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삼국사기에 왜구 방어와 지명 변경에 대한 기록이 있고, 현재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일대가 중심지로 추정되며 여러 역사 유적을 포함한다. - 경주시의 역사 - 2017년 포항 지진
2017년 11월 15일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한국 전역과 일본 일부 지역에서 감지되었고, 인명 및 시설 피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열 발전소의 유체 주입이 지진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져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 경주시의 역사 - 임관군
임관군은 신라시대 경주 남부와 울산 일대에 걸쳐 있던 군사 요충지로, 신당서에 강력한 방어 체계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삼국사기에 왜구 방어와 지명 변경에 대한 기록이 있고, 현재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일대가 중심지로 추정되며 여러 역사 유적을 포함한다.
서라벌 | |
---|---|
개요 | |
한자 | 徐羅伐 |
로마자 표기 | Seorabeol |
정보 | |
관련 항목 | 신라 |
비고 | 신라의 옛 수도 |
2. 국호 및 명칭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는 즉위 당시 "'''서라벌'''(; 서라벌, jorabeol)"[1] 또는 "'''서나벌'''(; 서나벌, jorabeol)"[1]이라는 국호를 사용했다.
이 외에도 "'''서야벌'''(서야벌한국어; 서야벌, seoyabeol)", "'''사라'''(사라한국어; 사라, sara)", "'''사로'''(사로한국어; 사로, saro)", "'''서벌'''(서벌한국어; 서벌, seobeol)" 등이 있는데, 이는 모두 '''사로'''의 음역이며 읍, 마을(; 마을, ma-eul) 등에서 유래한 것이다.[1]
"'''신라'''(; 신라, silla)"는 '''서벌''', '''사로''' 등에서 유래했으며, 제22대 지증왕 때 정식 국호로 채택되었다.[1] 신라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의 옛 이름[1] 또는 별칭으로도 사용된다.
2. 1. 어원 및 연구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는 즉위 당시 "'''서라벌'''(; 서라벌, jorabeol)"[1] 또는 "'''서나벌'''(; 서나벌, jorabeol)"[1]이라는 국호를 사용했다.이 외에도 "'''서야벌'''(서야벌한국어; 서야벌, seoyabeol)", "'''사라'''(사라한국어; 사라, sara)", "'''사로'''(사로한국어; 사로, saro)", "'''서벌'''(서벌한국어; 서벌, seobeol)" 등이 있는데, 이는 모두 '''사로'''(사로한국어; 사로, saro)의 음역이며, 읍, 마을(; 마을, ma-eul) 등에서 유래한 것이다.[1]
"'''신라'''(; 신라, silla)"는 '''서벌'''(서벌한국어; 서벌, seobeol)・'''사로'''(사로한국어; 사로, saro) 등에서 유래했으며, 제22대 지증왕 때 정식 국호로 채택되었다.[1] 또한 신라의 수도 명칭으로서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의 옛 이름[1] 혹은 별칭으로도 사용된다.
신채호는 『조선상고사』에서 다음과 같은 설을 펼쳤다.
: 서라벌은 진한 육부(신라 육부)의 총칭이 아니라 육부 중 하나인 사량부이다. 신라(신라한국어; 시르라)나 사량(사량한국어; 사량)은 모두 “새라한국어; 세라”라고 읽어야 하며, “세라”는 강물의 이름이므로, “세라” 위에 있다는 뜻에서 “세라”라고 칭한 것이며, 사량(사량한국어; 사량)은 “사훼(사훼한국어; 사페)”(진흥왕 비문에 보임)라고도 기록하고, “사페”는 “새불한국어; 세브르”이므로, 마찬가지로 “세라” 위에 있는 “불한국어; 푸르”(들판)이기 때문에 칭한 이름이다. 『삼국사기』 신라 본기에서 신라가 처음 “서라벌(서라벌한국어; 소라보르)”이라고 하였는데, “소라보르(서라벌한국어)”는 “새라불한국어; 세라푸르”라고 읽어야 하므로, 마찬가지로 “세라”의 “푸르(들판)”이라는 뜻이다. 고허촌은 즉 사량부이므로, 소벌공의 “소벌(소벌한국어; 소보르)”은, 마찬가지로 “사훼한국어; 사페”와 마찬가지로 “세브르”라고도 읽어야 하며, 지명이며, 공은 존칭이므로, 세브르의 자치 회장이기 때문에 “세브르 공”이라고 한 것이다. 다시 말해, 소벌공은 곧 고허촌장이라는 뜻인데, 마치 사람 이름처럼 쓰는 것은 역사가가 잘못 기록한 것이다. 세라 부장 소벌공의 양자인 박혁거세 거서간이 육부의 총왕이 되면서, 국호를 “세라”로 하고, 이두 문자로 “신라”라고 쓴 것이다.
이노우에 히데오는 『삼국사기』 번역 (헤이본샤(동양문고), 1980년 p.31)에서, 『삼국유사』에서는, '''서라벌'''에 대한 주석으로 신라어에 의한 “왕경(미야코)”의 훈이라고 하며, 즉 “서울”의 어원이라는 기록[3][4] (서울특별시에 대한 개요)도 참조)을 소개하면서, '''서나벌'''의 “서”를 “솟한국어”으로 훈독하여 “높다”・“상”의 뜻으로 해석하고, “나”를 “나라”의 고어로 보는 설과, “수풀한국어”로 훈독하여 “성스러운 숲”의 의미로 보는 설, “벌”은 “블한국어”로 훈독하여 “촌락”의 의미로 보는 설을 소개하고 있다.
2. 2. 현대적 의미
신라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의 옛 이름[1] 또는 별칭으로도 사용된다.3. 서라벌의 명칭을 사용하는 것들
- 서라벌대로
- 서라벌문화회관 - 경주시에 있는 문화회관이다.
- 서라벌신문 - 경주시에서 발행되는 주간 신문이다.
- 소라보르 레코드 - 2004년까지 LP 레코드를 제작·판매했던 회사로, 한국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LP 제작 회사였다.
3. 1. 학교
- 서라벌고등학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 서라벌중학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 서라벌예술대학교 - 1953년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예술대학교. 현재는 중앙대학교에 흡수되어 경기도 안성시에 있는 제2캠퍼스 예술대학(학부)으로 존속.
- 서라벌대학교 - 경주시에 있는 전문대학.
- 서라벌여자중학교 - 경주시에 있는 공립 중학교.
- 서라벌초등학교 - 경주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3. 2. 기타
- 서라벌고등학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 서라벌중학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 서라벌예술대학교 - 1953년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예술대학교. 현재는 중앙대학교에 흡수되어 경기도 안성시에 있는 제2캠퍼스 예술대학(학부)으로 존속.
- 서라벌대학교 - 경주시에 있는 전문대학.
- 서라벌여자중학교 - 경주시에 있는 공립 중학교.
- 서라벌초등학교 - 경주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 서라벌대로
- 서라벌문화회관 - 경주시에 있는 문화회관.
- 서라벌신문 - 경주시에서 발행되는 주간 신문.
- 소라보르 레코드 - 2004년까지 LP 레코드를 제작·판매했던 회사. 한국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LP 제작 회사였다.
참조
[1]
서적
증보 새 국사사전 (ENCYCLOPEDIA OF KOREAN HISTORY [증보] 새 국사사전)
敎學社
[2]
문서
中華の言葉ではない周辺国の言葉
[3]
문서
中華の言葉ではない自国の世俗の言葉
[4]
서적
중세한국어문법 —15세기어를 주として—
[[花書院]]
[5]
서적
조선상고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