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방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방권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기에 자유 진영에 속했던 국가들을 지칭하며, 서유럽, 북아메리카, 동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의 국가들을 포함한다. 냉전 시대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를 중심으로 군사 동맹이 이루어졌으며, 파이브 아이즈,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ANZUS) 등 정보 공유 및 군사 협력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소련 붕괴 이후에는 동유럽 국가들의 NATO 가입이 확대되었으며, 미국은 주요 비NATO 동맹국(MNNA)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중남미, 중동, 아시아 등지에서는 서방권 국가들과의 협력 관계가 변화하고 있으며, 팔레스타인 문제, 러시아와의 관계 등 다양한 현안들이 서방권 국가들의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1947년–1991년 서구권 국가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대에 자유 진영에 속했던 주요 국가 및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서유럽



; 남유럽

; 북유럽

; 북아메리카

; 중앙 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미국의 지원을 받는 군사 정권이 많았으며, 흔히 "미국의 뒷마당"이라고 불렸다.

; 동아시아

; 동남아시아

; 서아시아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2. 1.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1949년 서유럽북아메리카의 13개국이 참가하여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를 창설했다. 이는 군사 동맹으로, 회원국은 공격을 받을 경우 공동으로 참전할 의무를 진다.

1952년에는 그리스튀르키예가 NATO에 가입했다. 특히 튀르키예는 중동미국이 군사 개입할 때 튀르키예 주둔 미군 기지가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유럽 연합(EU) 가입을 목표로 하는 등, 강력한 "서방 국가"이다.

1966년 프랑스가 골주의 하에 NATO의 군사 기구를 탈퇴하고 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부가 파리에서 이전해야 하는 등의 사건도 있었지만, EU 등과 함께 고려하면 기본적으로는 밀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파란색은 서방 진영.
빨간색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참가하는 동구 진영이다.
유고슬라비아 (청록색)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참가하지 않았고, 알바니아1968년에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탈퇴했다.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



서유럽, 중앙유럽에서 동서 군사 기구에 참가하지 않은 국가는 아일랜드, 스위스, 오스트리아, 스웨덴의 중립 선언 등으로 비동맹 정책을 취한 국가들이다. 특히 북유럽 국가들의 정책을 합쳐 노르딕 균형이라고 한다. 하지만 스웨덴은 냉전 종결 후 NATO와의 협력 관계에 있었음이 밝혀졌다. (무장 중립) 실질적으로는 동맹 관계는 없었지만 스웨덴은 서방 쪽에 가까웠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022년에 스웨덴과 핀란드는 NATO 가입을 신청했다.

2. 2. 파이브 아이즈

파이브 아이즈는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5개국 간의 정보 공유 동맹이다.

2. 3.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ANZUS)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ANZUS)은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3국 간의 군사 동맹이다.

2. 4. 반소련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 국가 (1989년까지)

1978년 개혁·개방 이후의 중국, 1978년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이후의 민주 캄푸치아, 1982년부터 존속한 민주 캄푸치아 연립정부, 1964년부터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탈위성화를 추진한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1964년부터), 1948년부터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등이 소련과 대립했던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 국가에 해당한다. 중소 분쟁이 시작된 1961년부터의 중국과, 1978년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발발 이후의 민주 캄푸치아도 포함된다.

2. 5. 자유 연합 협정

미국은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팔라우와 자유 연합 협정을 맺고 있다.

2. 6. 중앙 조약 기구 (1979년까지)

1955년 중동 조약 기구(CENTO)는 중동 지역의 안보를 위해 창설되었으며, 이란, 이라크 왕국(1958년까지), 파키스탄, 터키, 영국 등이 참여했다. 그러나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인해 해체되었다.

2. 7. 미주상호원조조약

미주상호원조조약은 미주 지역 국가들 간의 상호 방위 조약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연합국으로 참전하여 미국군에 기지를 제공하는 등의 활동을 한 남북 아메리카 대륙의 여러 국가는 전후 1948년에 결성 또는 체결된 미주 기구 (12월)와 미주 상호 원조 조약 (4월)에 참여하여 친미 국가가 되었고, 서방에 속하여 미국의 "뒷마당"으로 불렸다.

조약 가입국은 다음과 같다.

친미 정권이 혁명이나 총선거로 무너지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러한 때에는 "도미노 이론"을 주장하는 미국의 정치적 또는 군사적 개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피그스 만 침공, 콘트라 전쟁, 칠레 쿠데타, 그레나다 침공, 파나마 침공 등). 쿠바에서는 쿠바 혁명으로 친미 정권이 무너지고 공산주의 체제가 탄생했으며, 1962년에는 소련이 쿠바에 핵 미사일 기지를 건설하려 하자 미국이 이를 저지하기 위해 카리브해에서 쿠바의 해상 봉쇄를 실시하여 미소의 긴장 상태가 고조된 쿠바 미사일 위기가 발생했다.

21세기에 들어 멕시코 이남의 중남미 여러 국가는 미국의 이러한 패권주의에 반발하여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 국가 공동체를 결성했다.

2. 8.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SEATO)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안보를 위해 창설되었으나, 1977년 해체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캄보디아(1956년까지), 프랑스, 라오스, 뉴질랜드, 파키스탄, 필리핀, 베트남 공화국(1975년까지), 태국, 영국, 미국 등이 참여했다. 1970년에서 1975년 사이에는 크메르 공화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했다.

1959년 SEATO 회원국 지도, 파란색으로 표시

2. 9.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사우디아라비아-이란 대리 분쟁 등 역내 갈등 속에서 서방 국가들과 협력 관계를 맺은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2. 10. 아시아, 동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파트너

일본, 대만(중화민국), 대한민국(한국)은 서방권 국가이다. 중화민국1972년 닉슨 방중을 계기로 미국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한 후(즉, 미·대만 단교 후)에도 "반공의 요새"로서 군사 원조를 받았기 때문에 서방권 국가에 포함된다고 여겨진다. 또한, 필리핀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의 원 회원국이지만, 미국의 식민지였던 경위로 친미적인 외교 정책을 취했다. 또한 남베트남에는 베트남 공화국, 캄보디아에는 크메르 공화국의 친미 정권이 탄생했지만, 모두 현지 주민의 반감을 사 공산화되었다. 베트남은 남베트남 공화국을 거쳐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남북 통일되었고, 캄보디아는 크메르 루주의 반란으로 민주 캄푸치아가 건국되었다.

동아시아에서의 가상 적국은 소련,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이었지만, 각각의 역할과 가상 적국이 전혀 다른 관계였던 관계로 미·일·미·한·미·중·미·필과 같은 양자 조약에 의한 동맹 관계를 기본으로 한 것이 특징이었다.

2. 11. 기타

벨라루스(1991년–1994년 스타니슬라우 슈시케비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키프로스, 에티오피아 제국(1974년 이전), 크메르 공화국(1970년–1975년), 코소보, 러시아(보리스 옐친 1991년–1999년), 남아프리카, 서베를린, 자이르, 아일랜드, 스위스 등이 서방권에 포함된다.

3. 1991년 이후 서구권 국가들

소련이 붕괴한 후, 중·동유럽 국가들은 새로운 안전 보장을 얻기 위해 나토에 접근했다. 1999년체코, 헝가리, 폴란드가, 2004년불가리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가, 2009년알바니아, 크로아티아가, 2017년몬테네그로가, 2020년북마케도니아가 각각 나토에 가입했다.

그 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오랫동안 중립 정책을 내세웠던 핀란드스웨덴이 각각 2023년, 2024년에 나토에 가입했다.

또한 위 나토 가맹국 중, 2004년에 체코, 에스토니아,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가, 2007년에 불가리아, 루마니아가, 2013년에 크로아티아가 EU에 가입했으며, 알바니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터키는 EU의 가입 후보국이다. 이들은 새로운 틀 내에서의 '''서방권 국가'''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EU에 가입했지만 나토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는 오스트리아, 키프로스, 아일랜드, 몰타의 4개국이다.

중남미에서는, 미주 기구(OAS)가 무력화되고 베네수엘라의 우고 차베스 정권을 필두로 남미에서 잇따라 좌파 정권이 탄생하고, 미국식 기회 균등 결과 불평등의 자본주의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등, 대미 감정의 악화가 두드러진다. 이는 과거 미국의 지나친 간섭과 신자유주의 정책 강요에 대한 반발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남미 국가 독자적인 경제권의 구성, 더 나아가 EU형 국가 연합의 구축 등 독자적인 정책이 제시되고 있다.

|thumb|right|400px|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한 국가(간단히 말해 나토 및 ANZUS 국가, 미국과 양자 군사 조약을 맺고 있는 국가와 이스라엘을 제외한 모든 국가)]]

더욱이, 중동·아랍에서는 냉전 시대의 군주제 이슬람 국가의 "반소(反蘇)를 위한 친미(親美)"라는 구조가 붕괴되고, 이들 국가와의 협력 관계가 약화됨에 따라, 불안정화가 심화되고 있다. 또한 서방권 국가는 항상 이스라엘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와 거리를 두는 국가가 많다. 동구권 시대에 이미 승인한 구 동유럽 국가들을 제외하면,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하고 있는 유럽 및 미국 서방권 국가는 몰타(1988년), 아이슬란드(2011년), 스웨덴(2014년), 바티칸 시국 (2015년)뿐이다. 체코는 구 체코슬로바키아 시대에 팔레스타인을 승인했지만, 2012년 국제 연합 총회에서의 "옵서버 국가"로의 격상 결의에 반대하는 등 그 관계는 악화되었으며, 오히려 이스라엘과 친밀한 관계에 있다.

미국 조지 W. 부시 행정부 말기에는, 체코에 미국이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에 대한 조기 경계 레이더 사이트를, 폴란드에 요격 미사일 기지를 건설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실상 러시아를 가상 적국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의 강경한 반발을 받고 있다(미국은, 이란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며, 러시아를 대상으로는 하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러시아는 대체안으로 아제르바이잔의 레이더 사이트 공동 이용을 제안했지만, 미국은 이를 거부했다[8]。더욱이 그 후에도 미국은 정권 교체로 난항을 겪고 있는 폴란드와의 협상 외에도, 리투아니아에도 접촉을 시도하고 있다[9]。하지만, 이어진 오바마 행정부는 2009년 9월 17일, 동유럽 MD 배치 계획을 백지화하는 것을 발표했다[10]。2009년 12월에 실효되는 START-I에 대신하는 미·러 신 핵 군축 조약의 협상 진전 및 대 이란 제재의 보조를 맞추기 위해, 실제로 러시아는 9월 23일의 정상 회담에서 대미 협조 어필이라고 할 수 있는 발언을 했다[11]

또한, 러시아는 중국과의 관계를 심화시키고 있으며, 기존의 독립국가연합 (CIS)에 더해 2002년에 새롭게 상하이 협력 기구 (SCO)를 창설하고 있다. 이후 이란과의 관계도 강화했다.

3. 1.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

냉전 종식 이후 동유럽 국가들의 가입으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회원국이 확대되었다. 1999년 체코, 헝가리, 폴란드가 가입하였고, 2004년에는 불가리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가 합류하였다. 이후 2009년 알바니아크로아티아, 2017년 몬테네그로, 2020년 북마케도니아가 차례로 나토에 가입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오랫동안 중립 정책을 유지하던 핀란드스웨덴이 각각 2023년과 2024년에 나토에 가입했다.

미국 조지 W. 부시 행정부 말기에는 체코에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에 대한 조기 경계 레이더 사이트를, 폴란드에 요격 미사일 기지를 건설하는 계획을 추진했으나, 이는 러시아를 가상 적국으로 삼는다는 비판을 받았다.[8] 러시아는 아제르바이잔 레이더 사이트 공동 이용을 제안했지만, 미국은 거부했다.[8] 이후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2009년 9월 17일, 동유럽 MD 배치 계획을 백지화했다.[10]

3. 2. 주요 비NATO 동맹국 (MNNA)

주요 비NATO 동맹국(MNNA)은 미국과 군사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지만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은 아닌 국가들이다. 1987년에 오스트레일리아, 이집트, 이스라엘, 일본, 대한민국이 최초로 지정되었고, 이후 요르단(1996년), 뉴질랜드(1997년), 아르헨티나(1998년), 바레인(2002년), 필리핀, 태국(2003년), 중화민국(타이완)(사실상, 2003년), 쿠웨이트, 모로코(2004년), 파키스탄(2004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2012년~2021년), 튀니지(2015년), 브라질(2019년), 콜롬비아, 카타르(2022년), 케냐 (2024년) 등이 추가로 지정되었다.

3. 3. 중동 파트너

바레인, 이집트, 이라크(2004년부터), 이스라엘, 요르단, 쿠웨이트, 모로코,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수단, 튀니지, 아랍에미리트는 냉전 이후 중동 지역에서 서방권 국가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3. 4. 아시아, 동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파트너

일본, 중화민국(대만), 대한민국은 서방권 국가이다. 필리핀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의 원 회원국이지만, 미국의 식민지였던 경위로 친미적인 외교 정책을 취했다.

1972년 닉슨 방중을 계기로 미국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한 후(즉, 미·대만 단교 후)에도 중화민국은 "반공의 요새"로서 군사 원조를 받았기 때문에 서방권 국가에 포함된다고 여겨진다.

동아시아에서의 가상 적국은 소련,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이었지만, 각각의 역할과 가상 적국이 전혀 다른 관계였던 관계로 미·일, 미·한, 미·중, 미·필과 같은 양자 조약에 의한 동맹 관계를 기본으로 한 것이 특징이었다.

남베트남에는 베트남 공화국, 캄보디아에는 크메르 공화국의 친미 정권이 탄생했지만, 모두 현지 주민의 반감을 사 공산화되었다. 베트남은 남베트남 공화국을 거쳐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남북 통일되었고, 캄보디아는 크메르 루주의 반란으로 민주 캄푸치아가 건국되었다.



  • (타이완)















  • (2001–2021)

3. 5. 미주 파트너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연합국으로 참전하여 미국군에 기지를 제공하는 등의 활동을 한 남북 아메리카 대륙의 여러 국가들은, 전후 1948년에 결성 또는 체결된 미주 기구 (12월)와 미주 상호 원조 조약 (4월)에 참여하여 친미 국가가 되었다. 이들은 서방에 속하여 미국의 "뒷마당"으로 불렸다.

하지만, 친미 정권이 혁명이나 총선거로 무너지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러한 때에는 "도미노 이론"을 주장하는 미국의 정치적 또는 군사적 개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피그스 만 침공, 콘트라 전쟁, 칠레 쿠데타, 그레나다 침공, 파나마 침공 등). 쿠바에서는 쿠바 혁명으로 친미 정권이 무너지고 공산주의 체제가 탄생했으며, 1962년에는 소련이 쿠바에 핵 미사일 기지를 건설하려 하자 미국이 이를 저지하기 위해 카리브해에서 쿠바의 해상 봉쇄를 실시하여 미소의 긴장 상태가 고조된 쿠바 미사일 위기가 발생했다.

21세기에 들어 멕시코 이남의 중남미 여러 국가는 미국의 이러한 패권주의에 반발하여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 국가 공동체를 결성했다.

3. 6. 4자 안보 대화 (쿼드)

쿼드는 미국,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4개국 간의 안보 협력체이다.

3. 7. 기타

2018년 아르메니아 혁명 이후의 아르메니아, 오스트리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키프로스, 조지아, 가나, 아일랜드, 코트디부아르, 코소보, 몰타, 몰도바, 스웨덴, 남아프리카 공화국, 라이베리아, 우크라이나 등이 서방권에 포함된다.

4. 동아시아

일본, 중화민국(대만), 대한민국(한국)은 서방권 국가이다. 중화민국은 1972년 닉슨 방중을 계기로 미국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한 후(즉, 미·대만 단교 후)에도 "반공의 요새"로서 군사 원조를 받았기 때문에 서방권 국가에 포함된다고 여겨진다. 필리핀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의 원 회원국이지만, 미국의 식민지였던 경위로 친미적인 외교 정책을 취했다. 남베트남에는 베트남 공화국, 캄보디아에는 크메르 공화국의 친미 정권이 탄생했지만, 모두 현지 주민의 반감을 사 공산화되었다. 베트남은 남베트남 공화국을 거쳐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남북 통일되었고, 캄보디아는 크메르 루주의 반란으로 민주 캄푸치아가 건국되었다.

동아시아에서의 가상 적국은 소련, 중국, 북한, 북베트남이었지만, 각각의 역할과 가상 적국이 전혀 다른 관계였던 관계로 미·일·미·한·미·중·미·필과 같은 양자 조약에 의한 동맹 관계를 기본으로 하였다.

5. 냉전 이후의 동향

소련이 붕괴한 후, 중·동유럽 국가들은 새로운 안전 보장을 얻기 위해 나토에 접근했다. 1999년체코, 헝가리, 폴란드가, 2004년불가리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가, 2009년알바니아, 크로아티아가, 2017년몬테네그로가, 2020년북마케도니아가 각각 나토에 가입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오랫동안 중립 정책을 내세웠던 핀란드스웨덴이 각각 2023년, 2024년에 나토에 가입했다.

나토 가맹국 중, 2004년에 체코, 에스토니아,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가, 2007년에 불가리아, 루마니아가, 2013년에 크로아티아가 EU에 가입했으며, 알바니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터키는 EU의 가입 후보국이다. 이들은 새로운 틀 내에서의 '''서방권 국가'''라고 할 수 있다.

중남미에서는, 미주 기구(OAS)가 무력화되고 베네수엘라의 우고 차베스 정권을 필두로 남미에서 잇따라 좌파 정권이 탄생하고, 미국식 기회 균등 결과 불평등의 자본주의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등, 대미 감정의 악화가 두드러진다. 또한, 남미 국가 독자적인 경제권의 구성, 더 나아가 EU형 국가 연합의 구축 등 독자적인 정책이 제시되고 있다.

중동·아랍에서는 냉전 시대의 군주제 이슬람 국가의 "반소(反蘇)를 위한 친미(親美)"라는 구조가 붕괴되고, 이들 국가와의 협력 관계가 약화됨에 따라, 불안정화가 심화되고 있다. 또한 서방권 국가는 항상 이스라엘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와 거리를 두는 국가가 많다. 동구권 시대에 이미 승인한 구 동유럽 국가들을 제외하면,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하고 있는 유럽 및 미국 서방권 국가는 몰타(1988년), 아이슬란드(2011년), 스웨덴(2014년), 바티칸 시국 (2015년)뿐이다.

미국 부시 행정부 말기에는, 체코에 미국이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에 대한 조기 경계 레이더 사이트를, 폴란드에 요격 미사일 기지를 건설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실상 러시아를 가상 적국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의 강경한 반발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어진 오바마 행정부는 2009년 9월 17일, 동유럽 MD 배치 계획을 백지화하는 것을 발표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https://kotobank.jp/[...]
[2] 뉴스 NATO事務総長、中ロの関係強化に警鐘 https://www.afpbb.co[...] AFP BBnews 2023-02-18
[3] 뉴스 佐々江賢一郎・元駐米大使「プーチン氏は勝利しない 中長期的な戦略ビジョンで交渉を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3-02-18
[4] 뉴스 【解説】 なぜ中国はウクライナをめぐる人気取り作戦に出たのか https://www.bbc.com/[...] BBCNews 2023-02-26
[5] 뉴스 西側、狙いはロシア解体 「団結」が勝利の条件―プーチン氏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23-02-27
[6] 뉴스 中ロシア高官が会談、協力と関係深化巡り協議 西側に対抗へ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3-02-24
[7] 뉴스 <社説>ウクライナ侵攻 和平の道筋を探らねば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02-24
[8] 뉴스 MD配備で正式調印、米とチェコ両政府 http://sankei.jp.msn[...]
[9] 웹사이트 米、ミサイル防衛施設受け入れ問題でリトアニアにも接触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露、イラン制裁で米と共同歩調へ…両首脳合意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米露首脳会談:イラン追加制裁、露が米と協調アピール 「中東非核化」けん制も http://mainichi.jp/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