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석패율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패율제는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에서 지역구와 비례대표에 동시 출마한 후보가 지역구에서 낙선했을 때, 득표율과 석패율을 기준으로 비례대표 당선 기회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석패율은 낙선자의 득표수를 당선자 득표수로 나누어 계산하며, 지역구 당선자는 비례대표 당선 대상에서 제외된다. 일본에서 1996년 소선거구제 도입과 함께 중의원 선거에 석패율제가 도입되었으며, 지역주의 완화 및 공천 갈등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거대 정당의 유력 정치인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거나 비례대표제의 취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석패율이 높은 후보가 비례대표로 당선되는 경우도 있지만, 낮은 석패율로도 당선되는 사례가 있어 제도의 악용 가능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례대표제 -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는 유권자가 정당에 투표하여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하는 선거 방식으로, 폐쇄형과 개방형 명부식으로 나뉘며, 최고 평균 방식 및 최대 잔여 방식 등 다양한 의석 배분 방식과 선거구 규모, 진입장벽 등이 비례성에 영향을 미친다.
  • 비례대표제 - 단기 이양식 투표 제도
    단기 이양식 투표 제도는 중대선거구에서 2인 이상을 선출하는 비례대표제 선거 방식으로, 유권자가 선호 순위를 기재하여 투표하고 쿼터를 넘는 표나 낙선자의 표를 차순위 후보에게 이양하여 의석을 배분하며 아일랜드, 호주, 몰타 등에서 활용되는 '영국식 비례대표제'이다.
  • 선거 제도 - 소선거구제
    소선거구제는 한 선거구에서 최다 득표자 1인을 당선시키는 방식으로, 정국 안정 등의 장점이 있으나 사표 발생, 지역주의 심화 등의 단점도 나타나며, 대한민국에서 선거제도 개혁 논의가 진행된다.
  • 선거 제도 - 다수대표제
    다수 대표제는 선거에서 다수 또는 과반수를 얻은 후보나 정당이 모든 의석을 차지하는 선거 제도로, 승자 독식의 원칙을 따르며, 신속한 상황 대처와 행정부-입법부 간 대립 감소에 기여하지만 소수 정당 의견 반영이 어렵고 사표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석패율제
개요
명칭석패율 (惜敗率)
다른 이름좁은 패배 비율 (Ratio of margin of defeat)
최고 패자 계산 (Best loser calculation)
두 번째 기회 규칙 (Second-chance rule)
로마자 표기Sekipairitsu
의미"아깝게 패배한 비율"을 의미, 때로는 "패배의 폭 비율", "최고 패자 계산", "두 번째 기회 규칙"으로 번역됨
선거 제도
적용 국가일본
특징소선거구에서 낙선한 후보가 비례대표로 구제될 가능성을 결정하는 지표
계산 방식소선거구에서 얻은 득표수를 1위 당선자의 득표수로 나눈 값
(소선거구 후보의 득표수 / 해당 선거구 1위 당선자의 득표수) * 100
활용비례대표 명부에서 석패율이 높은 후보자 순으로 당선
주의 사항소선거구 후보가 비례대표 명부에 동시에 등록되어야 함
석패율 시스템 자체가 아닌, 소선거구 후보의 비례대표 후보 등록 허용 여부가 중요

2. 방식

에서 석패율제는 지역구와 비례대표에 동시 출마한 후보들이 당에서 정한 순번에 따라 명부에 등재되는 방식이다. 한 비례대표 순번에 둘 이상 후보가 등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순번이 당선권에 속하면 지역구 득표율이 기준을 충족하는 후보들(지역구 당선자 제외) 중 석패율이 가장 높은 후보가 비례대표로 당선된다.[1]

석패율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1]

: (낙선자 득표수 ÷ 당선자 득표수) × 100 (%)

예를 들어 A 후보가 1만 표로 당선되고 B 후보가 9천 표로 낙선했다면, B의 석패율은 90%가 된다.

2. 1. 석패율제 적용 시 당락 결정 경우의 수

순위후보비고1요시노 마사요시요시노는 후쿠시마현 제3구에서 민주당 현직 겐바 고이치로를 상대로 어려운 지역구 선거를 치렀다. 지역구에서 큰 격차로 패하더라도 재선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명단 1위에 단독 후보로 배치되었다.2아키바 겐야아키바는 선거구에 출마하지 않았다. 명단 2위는 그의 재선을 매우 유력하게 만들었다.3지역구에 동시 출마한 후보 23명이 후보들은 모두 같은 명단 순위에 배치되었으므로, 지역구 선거에서 패할 경우 비례대표 당선 가능성은 석패율에 따라 결정되었다. 즉, 각 지역구에서 얼마나 근소한 차이로 패했는지에 따라 달라졌다.26오미야 노부히로이 세 명의 비례대표 후보들은 자민당이 매우 성공적인 선거를 치러야 당선될 가능성이 있었다. 예를 들어 자민당이 도호쿠 지역 비례대표 의석 14석의 절반을 얻더라도, 오미야 노부히로가 당선되려면 위의 후보들 중 최소 19명이 지역구에서 승리해야 했다.27나가오카 시게요28사토 히사타카



2009년 도호쿠 비례대표 선거 결과, 자민당은 득표율 27.9%를 얻어 4석을 획득했다. 지역구 선거에서는 자민당 후보 5명만 승리했는데, 이들은 모두 같은 비례대표 순위에 배치된 23명이었다. 처음 당선된 비례대표 2명은 요시노 마사요시(겐바 고이치로에게 56858표 대 159826표로 패배)와 아키바 겐야였다. 나머지 2명의 비례대표를 결정하기 위해 석패율이 적용되었다.

3. 예시

(지역구 당선)후보 B2
(지역구 당선)후보 B3
(지역구 당선)3후보 C (지역구 불출마)*4후보 D1
(지역구 낙선, 득표율 40%,
당선자 득표율 48%)
후보 D2
(지역구 당선)후보 D3
(지역구 낙선, 득표율 34%,
당선자 득표율 36%)
5후보 E (지역구 불출마)*6후보 F1
(지역구 당선)후보 F2
(지역구 낙선, 득표율 15%,
당선자 득표율 40%)
후보 F3
(지역구 낙선, 득표율 8%,
당선자 득표율 20%)
7후보 G (지역구 불출마)...



최종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색: 비례대표 당선, 청색: 지역구 당선으로 인한 승계, 홍색: 낙선)

순번후보자후보자후보자비고
1후보 A (지역구 불출마)1/5석
*2후보 B1
(지역구 당선)
후보 B2
(지역구 당선)
후보 B3
(지역구 당선)
승계
3후보 C (지역구 불출마)2/5석
*4후보 D1
(지역구 낙선,
석패율 83.3%)
후보 D2
(지역구 당선)
후보 D3
(지역구 낙선,
석패율 94.4%)
3/5석
5후보 E (지역구 불출마)4/5석
*6후보 F1
(지역구 당선)
후보 F2
(지역구 낙선,
석패율 37.5%)
후보 F3
(지역구 낙선,
득표율 미달)
5/5석
7후보 G (지역구 불출마)낙선
...



2009년 자유민주당(자민당)의 도호쿠 블록 중의원 선거 비례대표 명단 사례는 다음과 같다.

명단
순위
후보비고
1요시노 마사요시후쿠시마현 제3구에서 민주당 겐바 고이치로에게 큰 표차로 패했지만, 명단 1위로 비례대표 당선.
2아키바 겐야지역구 미출마, 명단 2위로 비례대표 당선.
3지역구 동시 출마 후보 23명석패율에 따라 비례대표 당선 여부 결정.
26오미야 노부히로자민당이 도호쿠 지역 비례대표 의석 14석 중 절반을 얻더라도, 앞 순위 후보 19명 이상이 지역구에서 승리해야 당선 가능.
27나가오카 시게요
28사토 히사타카



2009년 도호쿠 비례대표 선거에서 자민당은 27.9%의 득표율로 4석을 획득했다. 지역구에서는 5명만 당선되었고, 비례대표 1번 요시노 마사요시와 2번 아키바 겐야는 자동 당선되었다. 나머지 2석은 석패율에 따라 결정되었다.

4. 장단점

석패율제는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장점'''으로는 정당 내 공천 갈등 완화, 열세 지역 후보자 당선 가능성을 높여 지역주의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단점'''으로는 거대 정당 유력 정치인이 이 제도를 이용해 쉽게 당선될 수 있고, 사회 각계 전문가를 대표로 하여 다양성을 확보한다는 비례대표제의 본래 취지가 약화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4. 1. 장점

정당 내 공천 갈등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고, 정당의 열세 지역에서도 후보자가 당선될 가능성이 있어 지역주의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4. 2. 단점

거대 정당의 유력 정치인들이 이 제도를 이용해 너무 쉽게 당선될 수 있고, 사회 각계의 전문가를 대표로 불러들여 다양성을 확보한다는 비례대표제의 본래 취지가 옅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5. 시행 국가

현재 일본이 유일하게 석패율제를 채택하고 있다. 1996년 중의원 총선거소선거구제로 바꾸면서 도입되었으며,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12]

대한민국에서도 지역주의 완화를 위해 석패율제 도입 논의가 있었으나, 일본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이유로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12]

5. 1. 일본의 석패율제 기록 (일본어 위키 문서 내용)

중의원 총선거를 소선거구제로 바꾸면서 일본에 석패율제가 도입되었다.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2009년 자유민주당 (자민당)의 도호쿠 블록 중의원 선거 비례대표 명단과 관련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12]

명단
순위
후보비고
1요시노 마사요시후쿠시마현 제3구에서 민주당 겐바 고이치로에게 큰 표 차이로 패배, 명단 1위로 재선 보장.
2아키바 겐야선거구에 출마하지 않아 재선 유력.
3지역구 동시 출마 후보 23명석패율에 따라 비례대표 당선 가능성 결정.
26오미야 노부히로자민당이 매우 성공적인 선거를 치러야 당선 가능.
27나가오카 시게요
28사토 히사타카



2009년 도호쿠 비례대표 선거 결과, 자민당은 득표율 27.9%로 4석을 차지했다. 요시노 마사요시와 아키바 겐야가 당선되었고, 나머지 2석은 석패율로 결정되었다. 야마가타현 제1구에서 98.7%의 석패율을 기록한 엔도 도시아키가 3번째 비례대표로 당선되었고, 아키타현 제2구에서 98.5%의 석패율을 기록한 가네다 가쓰토시가 4번째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아키타현 제3구에서 88.9%의 석패율로 낙선한 미노리카와 노부히데는 차점자 자격을 얻었다.

자민당은 소선거구 입후보자에 대해 기본적으로 동일 순위를 원칙으로 하고 있어, 비례 중복 우대 예는 거의 없다. 공명당은 원칙적으로 소선거구 입후보자는 비례 중복을 하지 않는다.

중의원 비례구의 비례 명부에서는 소선거구와 중복 입후보자는 기본적으로 동일 순위로 배정되지만, 중점 선거구, 여성 후보, 선거구 조정 등의 이유로 명부 상위에 등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석패율이 낮은 중복 입후보자가 명부 순위에서 상위 우대를 받아 비례대표로 당선되기도 한다.

5. 1. 1. 석패율이 높은 부활 당선자

역대 일본 중의원 선거에서 석패율이 가장 높았던 부활 당선자
순위후보자정당선거 연도선거구비례대표석패율
1사이토 히로아키자유민주당2017년니가타 3구비례 호쿠리쿠신에츠99.94%
2다카토리 슈이치자유민주당2021년니가타 6구99.857%
3이와타 가즈치카자유민주당2021년사가 1구비례 규슈99.856%
4와시오 에이이치로민주당2014년니가타 2구비례 호쿠리쿠신에츠99.855%
5오시마 아츠시민주당2012년사이타마 6구비례 기타칸토99.78%
6구니사다 유토자유민주당2021년니가타 4구비례 호쿠리쿠신에츠99.76%
7와카야마 신지자유민주당2024년아이치 10구비례 도카이99.73%
8하세가와 가이치입헌민주당2024년군마 3구비례 기타칸토99.7%
9스즈키 다카코민주당2014년홋카이도 7구비례 홋카이도99.69%
10니시카와 코야자유민주당2014년도치기 2구비례 기타칸토99.681%


5. 1. 2. 석패율이 낮은 부활 당선자

다음은 역대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석패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비례대표로 부활 당선된 사례이다. 낮은 석패율로도 당선될 수 있다는 것은 석패율 제도 본래의 취지와는 다르게 악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석패율이 낮은 부활 당선자[12]
순위후보자정당선거 연도선거구비례 대표석패율
1키쿠치 토우※사회민주당1996년시즈오카 7구비례 도카이19.72%
2호사카 노부토사회민주당1996년도쿄 22구비례 도쿄19.95%
3요시다 치요일본유신회2021년도쿠시마 1구비례 시코쿠20.17%
4히요시 유타입헌민주당2017년시즈오카 7구비례 도카이20.37%
5사이토 카즈코일본공산당2014년지바 4구비례 미나미칸토20.38%
6시오카와 테츠야일본공산당2005년사이타마 8구비례 키타칸토24.11%
7쿠시부치 마리※레이와 신센구미2021년도쿄 22구비례 도쿄24.34%
8히라가 타카나리일본공산당1996년시즈오카 8구비례 도카이24.83%
9후카다 하지메사회민주당1996년사이타마 6구비례 키타칸토24.89%
10야마모토 키요히로사회민주당2003년아키타 2구비례 토호쿠25.27%
11모리 카에일본유신회2017년교토 3구비례 긴키26.20%
12히모리 후미히로사회민주당2000년사이타마 13구비례 키타칸토26.29%



※는 비례 후보 상위 의원이 결원되어 보궐 당선된 경우이다.

일부 중복 입후보자의 경우, 명부 순위에서 상위 우대를 받아 석패율이 낮음에도 비례대표로 당선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에서는 신진당의 가토 로쿠가쓰 후보가 오카야마 4구에서 당시 총리였던 하시모토 류타로에게 큰 표 차이로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비례대표 3위로 의석을 확보했다. 그의 석패율은 37.12%로 매우 낮았다.

5. 1. 3. 석패율이 가장 높은 낙선자

중의원 총선거에서 석패율이 가장 높았음에도 낙선한 후보는 다음과 같다.

석패율이 가장 높은 낙선자
후보자정당선거구비례대표석패율
41회시미즈 세이이치로자유민주당도쿄 20구비례 도쿄98.24%
42회나이토 나오자유민주당도쿄 3구비례 도쿄98.31%
43회아라마키 류조자유민주당후쿠오카 6구비례 큐슈95.34%
44회가네다 히데유키자유민주당홋카이도 6구비례 홋카이도98.08%
45회아리타 요시후신당 일본도쿄 11구비례 도쿄97.04%
46회가와바타 다쓰오민주당시가 1구비례 긴키90.57%
47회후나하시 도시미자유민주당홋카이도 1구비례 홋카이도90.99%
48회마부치 스미오희망의 당나라 1구비례 긴키97.27%
49회야라 도모히로입헌민주당오키나와 3구비례 큐슈91.76%
50회다카시나 에미코자유민주당시마네 1구비례 주고쿠86.06%



이는 매우 근소한 차이로 낙선한 후보가 구제받지 못하는 상황을 보여주며, 석패율제 자체의 한계를 드러낸다.

5. 1. 4. 정당별 석패율 당락 기준

석패율이 높은 부활 당선자[12]
순위후보자정당선거 연도선거구비례 대표석패율
1사이토 히로아키자민당2017년니가타 3구비례 호쿠리쿠신에츠99.94%
2다카토리 슈이치자민당2021년니가타 6구99.857%
3이와타 가즈치카자민당2021년사가 1구비례 규슈99.856%
4와시오 에이이치로민주당2014년니가타 2구비례 호쿠리쿠신에츠99.855%
5오시마 아츠시민주당2012년사이타마 6구비례 기타칸토99.78%
6구니사다 유토자민당2021년니가타 4구비례 호쿠리쿠신에츠99.76%
7와카야마 신지자민당2024년아이치 10구비례 도카이99.73%
8하세가와 가이치입헌민주당2024년군마 3구비례 기타칸토99.7%
9스즈키 다카코민주당2014년홋카이도 7구비례 홋카이도99.69%
10니시카와 코야자민당2014년도치기 2구비례 기타칸토99.681%



석패율이 가장 높은 낙선자[12]
후보자정당선거구비례대표석패율
41회시미즈 세이이치로자민당도쿄 20구비례 도쿄98.24%
42회나이토 나오자민당도쿄 3구98.31%
43회아라마키 류조자민당후쿠오카 6구비례 큐슈95.34%
44회가네다 히데유키자민당홋카이도 6구비례 홋카이도98.08%
45회아리타 요시후신당 일본도쿄 11구비례 도쿄97.04%
46회가와바타 다쓰오민주당시가 1구비례 긴키90.57%
47회후나하시 도시미자민당홋카이도 1구비례 홋카이도90.99%
48회마부치 스미오희망의 당나라 1구비례 긴키97.27%
49회야라 도모히로입헌민주당오키나와 3구비례 큐슈91.76%
50회다카시나 에미코자민당시마네 1구비례 주고쿠86.06%


5. 1. 5. 낮은 석패율로 부활 당선된 사례

惜敗率일본어이 낮은 후보가 부활 당선된 사례는 주로 일본에서 나타나는데, 중의원 총선거에서 소선거구제와 함께 도입된 제도적 특성 때문이다. 특히 자민당의 사례가 두드러진다.

이러한 사례들은 석패율제가 원래 취지와는 달리, 특정 정당이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불공정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유력 정치인의 대항마로 출마한 후보가 낮은 석패율에도 불구하고 당선되는 것은 제도의 허점을 드러낸다.

참조

[1] 문서
[2] 서적
[3] 서적 政治学・行政学の基礎知識 2007
[4] 웹사이트 [衆院選2021]小選挙区で負けても…比例復活と惜敗率、「分かりにくい」と指摘も(読売新聞オンライン) https://news.yahoo.c[...] 2021-10-31
[5] 문서
[6] 웹사이트 「0増5減」比例転出議員は名簿上位で処遇 自民党 https://news.tv-asah[...] 2021-10-31
[7] 웹사이트 福山氏「優遇の保証」なし 自民の衆院選比例四国順位|政治・行政|徳島ニュース|徳島新聞電子版 https://www.topics.o[...] 2021-10-31
[8] 웹사이트 <自民党・新潟2区>公認争いが決着 細田健一氏の公認決定 鷲尾英一郎氏は比例に 県内ニュース {{!}} NST Niigata Smile TV https://www.nsttv.co[...] 2021-10-31
[9] 웹사이트 立憲民主党 北海道ブロック 比例代表候補者 衆議院選挙2024 -衆院選- NHK https://www.nhk.or.j[...] 2024-12-01
[10] 서적 一強多弱」政党制の分析: 得票の動きからみる過去・現在 2016
[11] 뉴스 北関東ブロック - 開票速報 - 第46回総選挙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21-11-12
[12] 뉴스 석패율제 도입..찬반 양론 팽팽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