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는 유권자가 정당에 투표하고, 정당이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받는 선거 제도이다. 투표 방식에 따라 유권자가 정당 내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방형과, 정당이 후보 순위를 미리 정하는 폐쇄형으로 나뉜다. 의석 배분 방식은 최대 평균법과 최대 잔여법으로 구분되며, 각 방식은 소수 정당이나 대규모 정당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일정 득표율 미달 시 의석 배분을 제한하는 진입 장벽을 설정하며, 선거구 규모 또한 비례성에 영향을 미친다.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는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특히 유럽, 중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채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 - 전략적 투표
    전략적 투표는 유권자가 선거 결과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 선호도를 숨기고 투표하는 행위이며, 다양한 선거 제도에서 나타나고, 여론조사, 언론 보도 등에 영향을 받으며, 투표 방식 개선을 통해 완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 - 초과의석
    초과의석은 혼합형 비례대표제에서 정당이 배정받은 의석수보다 지역구 당선자 수가 많아 발생하는 현상이며, 국가별로 인정, 보정, 불허 등의 방식으로 처리된다.
  • 비례대표제 - 단기 이양식 투표 제도
    단기 이양식 투표 제도는 중대선거구에서 2인 이상을 선출하는 비례대표제 선거 방식으로, 유권자가 선호 순위를 기재하여 투표하고 쿼터를 넘는 표나 낙선자의 표를 차순위 후보에게 이양하여 의석을 배분하며 아일랜드, 호주, 몰타 등에서 활용되는 '영국식 비례대표제'이다.
  • 비례대표제 - 석패율제
    석패율제는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에서 지역구 낙선자에게 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 당선 기회를 주는 제도로, 석패율을 계산하여 비례대표 명부에 등재하며, 일본에서 시행 중이고 대한민국에서도 논의되었으나 우려도 있다.
  • 선거 제도 - 소선거구제
    소선거구제는 한 선거구에서 최다 득표자 1인을 당선시키는 방식으로, 정국 안정 등의 장점이 있으나 사표 발생, 지역주의 심화 등의 단점도 나타나며, 대한민국에서 선거제도 개혁 논의가 진행된다.
  • 선거 제도 - 다수대표제
    다수 대표제는 선거에서 다수 또는 과반수를 얻은 후보나 정당이 모든 의석을 차지하는 선거 제도로, 승자 독식의 원칙을 따르며, 신속한 상황 대처와 행정부-입법부 간 대립 감소에 기여하지만 소수 정당 의견 반영이 어렵고 사표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
기본 정보
유형비례대표제
특징정당이 얻은 의석수는 득표수에 비례함.
명부에 있는 후보자 중에서 선출함.
작동 방식
투표유권자는 일반적으로 정당에 투표함.
일부 국가에서는 정당 내 특정 후보자에게 투표할 수 있음.
의석 배분득표율에 따라 정당에 의석이 배분됨.
최고평균방식 또는 최대잉여방식과 같은 다양한 수학적 방법이 사용됨.
명부 종류개방형 명부는 유권자가 선호하는 후보자를 표시할 수 있음.
폐쇄형 명부는 정당이 명부에 따라 후보자를 선택함.
유권자 선택권개방형 명부에서는 후보자 선택 가능.
폐쇄형 명부에서는 불가능.
정당의 역할명부 작성 및 후보자 선택 (폐쇄형 명부).
유권자의 의사를 반영 (개방형 명부).
장점
공정성다양한 유권자의 선호를 반영함.
소수 정당이 의석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짐.
투표 낭비 감소투표가 사표가 될 가능성이 적음.
포용성다양한 정치적 견해가 의회에 반영될 수 있음.
소외된 유권자에게 유리함.
단점
복잡성일부 유권자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음.
불안정성다수당 형성이 어려울 수 있음.
연립 정부 구성이 필요할 수 있음.
정당 권력 강화폐쇄형 명부에서는 정당 지도부가 지나친 권력을 가질 수 있음.
관련 주제
관련 주제비례대표제
선거 제도
정당
개방형 명부
폐쇄형 명부
최고평균방식
최대잉여방식

2. 투표 방식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는 유권자가 하나의 정당에 투표하는 방식(선택 투표)이 일반적이다. 개방형 명부식 투표 제도에서는 유권자가 정당 명부 내 여러 후보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일부에서는 여러 명부에 걸쳐 다른 후보를 지지하는 후보자 중복 투표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도에서 정당은 후보자 명부를 작성하고, 의석은 각 정당의 득표수에 비례해 배분된다. 이스라엘처럼 유권자가 정당에 직접 투표하는 경우도 있고, 튀르키예나 핀란드처럼 후보자에게 투표하고 그 득표를 정당에 합산하는 경우도 있다.

정당 명부식에는 구속명부와 비구속명부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이는 후보자 선출 순서가 당내에서 미리 결정되는지(구속명부식), 유권자가 자유롭게 결정하는지(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자유로운_명부)에 따라 구분된다.

의석 배분 방식에는 여러 변형이 있지만(자세한 내용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의 각 당 의석수 결정 방법 참조), 가장 일반적인 세 가지 방식은 다음과 같다.



명부식 비례대표제는 다양한 혼합 방식(예: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등)에 통합되기도 한다.

비수정 생-라구 방식과 최대 잉여 헤어 방식이 가장 비례적이며, 최대 잉여 드룹, 수정 생-라구, 도нт, 최대 잉여 임페리얼 순으로 비례성이 낮아진다. 배분 방식뿐 아니라 지역구의 크기(비례대표 의석 수)와 출마 정당 수도 비례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지역구 크기가 클수록, 출마 정당 수가 적을수록 선거 제도는 더 비례적인 결과를 낳는다.

2. 1. 개방형 명부

개방형 명부식 투표는 유권자가 당의 후보자 선출 순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당 명부식 투표의 한 종류이다. 개방형 명부식 투표는 후보자가 특정 득표수를 얻어야만 미리 정해진 명부 순위를 바꿀 수 있는 '비교적 폐쇄적인' 방식부터, 각 후보자의 득표수에 따라 명부 순서가 완전히 결정되는 '완전히 개방적인' 방식까지 다양하다.[4]

이러한 제도에서는 정당이 선출될 후보자 명부를 작성하고, 의석은 각 정당이 획득한 득표수에 비례하여 배분된다. 이스라엘 등에서는 유권자가 직접 정당에 투표한다. 튀르키예나 핀란드 등에서는 유권자가 후보자에게 투표하고, 그 득표가 정당에 합산된다.

대부분의 정당 명부식 투표 제도에서는 유권자가 하나의 정당만 지지할 수 있지만(선택 투표), 개방형 명부식 투표 제도에서는 유권자가 정당 명부 내에서 두 명 이상의 후보를 지지할 수 있다. 일부 개방형 명부식 투표 제도에서는 유권자가 여러 명부에 걸쳐 서로 다른 후보를 지지할 수 있는데, 이를 후보자 중복 투표라고 한다.

2. 2. 폐쇄형 명부

폐쇄형 명부 비례대표제에서는 각 정당이 선거에서 그 정당에 할당된 의석을 누가 차지할지 미리 결정한다.[1] 따라서 명부 상위에 있는 후보는 항상 국회 의석을 확보하지만, 명부 하위에 있는 후보는 의석을 확보하지 못한다.[1] 유권자는 개별 후보가 아닌 정당에만 투표한다.[1]

이러한 제도에서는 정당이 선출될 후보자 명부를 작성하고, 의석은 각 정당이 획득한 득표수에 비례하여 배분된다.[2] 이스라엘 등에서는 유권자가 직접 정당에 투표한다.[2]

3. 후보자 선정 방식

정당 명부식 투표에서 후보자의 당선 순서는 당 내부나 후보자들이 미리 결정하는 폐쇄 명부식, 유권자 전체가 결정하는 개방 명부식, 지역구에 의해 결정되는 지역 명부식으로 나뉜다.[1] 명부식 비례대표제는 득표율을 의석 배분에 최대한 가깝게 반영하여, 득표수에 비례하여 의석을 할당한다. 이는 적은 득표를 한 정당도 의원을 배출할 수 있게 한다.[4]

비례대표 명부식에서는 인기 있는 후보자가 개인 득표수가 적은 당 동료들을 함께 당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당선된 후보자는 지지 부족으로 의석 획득 최저 득표수(저지 조항)를 넘지 못한 낙선 후보자의 대표 역할도 수행한다. 예를 들어, B 후보가 개 사육세 폐지를 공약했으나 낙선하고, B 후보의 표로 A 후보가 당선되었다면, A 후보가 개 사육세 폐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3. 1. 폐쇄형 명부

폐쇄형 명부 비례대표제에서는 각 정당이 선거에서 그 정당에 할당된 의석을 누가 차지할지 미리 결정한다. 따라서 명부 상위에 있는 후보는 항상 국회 의석을 확보하지만, 하위에 있는 후보는 의석을 확보하지 못한다.[1] 유권자는 개별 후보가 아닌 정당에만 투표한다.[1]

3. 2. 개방형 명부

개방형 명부식 투표는 유권자가 당의 후보자 선출 순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당 명부식 투표의 한 종류이다. 개방형 명부식 투표는 후보자가 특정 득표수를 얻어야만 미리 정해진 명부 순위를 바꿀 수 있는 '비교적 폐쇄적인' 방식부터, 각 후보자의 득표수에 따라 명부 순서가 완전히 결정되는 '완전히 개방적인' 방식까지 다양하다.[4]

4. 의석 배분 방식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는 의석 배분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뉜다. 각 방식은 소수 정당이나 다수 정당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5]

크게 최고 평균법최대 잔여법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 최고 평균법: 최대 평균법(제퍼슨 방식), 생트라귀 방식(웹스터 방식), 헌팅턴-힐 방식, 애덤스 방식 등이 있다.[6]
  • 최대 잔여법: 헤어 방식, 드룹 방식 등이 있다.


어떤 할당 공식을 사용하는지도 중요하지만, 선거구의 규모(선거구의 의석 수) 또한 중요하다. 선거구 규모가 클수록, 즉 전국을 하나의 선거구로 간주할 때 비례성이 가장 높아진다.

일부 국가에서는 전국 단위(정당)와 선거구 단위(후보자) 두 가지 수준으로 작동하기도 한다. 이 경우 지역 선거구 규모는 상관없으며, 의석은 전국 단위로 계산된다.

명부식 비례대표제는 추가 의원 제도나 병립 투표제와 같은 혼합 선거 제도에서 다른 배분 방식과 결합될 수 있다.

다음 표는 100석을 할당할 때 서로 다른 할당 방식에 따른 결과를 보여준다.

100석을 할당할 때 할당 방식에 따른 결과
정당득표수배분 몫최대 잔여최고 평균
헤어드룹 몫D'Hondt (제퍼슨)생트라귀(웹스터)헌팅턴-힐애덤스
A101735.91363637363635
B100035.31353636353534
C38313.52141313141314
D32711.55121211121212
E632.22222223
F421.48111122
'합계''2832''100석''100''100''100''100''100''100'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도нт 방식은 가장 큰 정당(A당)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이상적인 의석수(35.91석)보다 많은 37석을 부여한다. 반면 애덤스 방식은 소수 정당에 유리하다.

4. 1. 최대 평균법

정당 명부식 비례 대표제 내에서 의석 배분에는 여러 가지 변형이 존재하며, 서로 다른 배분 방식은 소규모 정당 또는 대규모 정당에 유리할 수 있다.[5] 최고 평균 방식(또는 제수 방식)에는 최대 평균법(제퍼슨 방식)이 포함되며, 아르메니아, 오스트리아, 브라질, 불가리아, 캄보디아, 크로아티아, 에스토니아, 핀란드, 폴란드, 스페인에서 사용된다. 생트라귀 방식(웹스터 방식)은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노르웨이, 스웨덴에서 사용된다.[6]

다음은 100석을 할당할 때 서로 다른 할당 방식이 어떻게 다른 결과를 산출하는지 보여준다.

정당득표수배분 몫최대 나머지최고 평균
헤어드룹 몫D'Hondt (제퍼슨)생트라귀(웹스터)헌팅턴-힐애덤스
<math>\frac{\text{득표수}}{\text{의석수}}</math><math>\frac{\text{득표수}}{\text{의석수}+1}</math><math>\frac{\text{득표수}}{\text{의석수}+1}</math><math>\frac{\text{득표수}}{\text{의석수}+0.5}</math><math>\frac{\text{득표수}}{\sqrt{\text{의석수}(\text{의석수}+1)}}</math><math>\frac{\text{득표수}}{\text{의석수}}</math>
A101735.91363637363635
B100035.31353636353534
C38313.52141313141314
D32711.55121211121212
E632.22222223
F421.48111122
'합계''2832''100석''100''100''100''100''100''100'



D'Hondt 방식이 몫 규칙을 어기고 "반올림"을 통해 이상적인 35.91석을 37석으로 늘림으로써 최대 당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방식을 주목할 수 있다.

4. 2. 최대 잔여법

최대 잔여법은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에서 의석을 배분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이 방식은 각 정당의 득표수를 특정 할당량으로 나눈 후, 몫에 해당하는 의석을 먼저 배분하고 남은 득표수(잔여)가 가장 큰 정당 순으로 나머지 의석을 배분한다. 최대 잔여법에는 헤어 할당량 방식과 드룹 할당량 방식 등이 있다.[5]

100석을 할당할 때 할당 방식에 따른 결과
정당득표수배분 몫최대 나머지
헤어드룹 몫
\frac{\text{득표수}}{\text{의석수}}\frac{\text{득표수}}{\text{의석수}+1}
A101735.913636
B100035.313536
C38313.521413
D32711.551212
E632.2222
F421.4811
'합계''2832''100석''100''100'



위 표는 최대 잔여법(헤어, 드룹 몫)을 사용하여 100석을 할당할 때 각 정당별 득표수에 따른 의석 배분 결과를 보여준다. 최대 잔여법은 최고 평균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립적이거나 소규모 정당에 유리한 경향을 보인다.[6]

5. 선거 기준

명부식 비례대표제를 채택하는 많은 국가에서는 진입장벽(threshold)이 설정되어, 진입장벽이 없다면 의석을 확보할 수 있는 득표율을 얻었더라도, 그 "문턱"을 통과할 수 없는 비례명부에는 의석이 배분되지 않는다. 진입장벽을 설정하고 있는 국가의 예로는 브라질(1% 기준), 스페인(3%), 이탈리아(4%), 독일(5%), 러시아(7%) 등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숨은 진입장벽을 초래할 수 있다. 일본의 국정선거에서는 공식적인 진입장벽은 없지만, 효력이 있는 진입장벽에 의해 의석이 배분된다. 일본의 비례대표 선거구는 서로 다른 수의 대표구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숨은 진입장벽'이 있으며, 각 선거구마다 선출되는 비례대표의 수가 다르다. 가장 큰 선거구는 참의원 전국 블록의 48명으로, 숨은 진입장벽은 약 2%이다. 반면 가장 작은 선거구는 중의원 시코쿠 블록의 6명으로, 숨은 진입장벽은 약 14%이다. 규모가 작은 비례대표 선거구에서는 거대 정당이 유리하다.

일부 제도에서는 진입장벽을 돌파하기 위해, 여러 정당이 하나의 '카르텔'에 명부를 통합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동시에 카르텔을 위한 별도의 진입장벽을 설정하고 있는 곳도 있다. 소수정당은 선거 진입장벽을 확실히 돌파하기 위해, 종종 선거 전에 정당 연합을 맺는다.

6.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를 사용하는 국가 목록

전 세계적으로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를 채택하여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국가입법 기관명부 유형개방형 명부 변형할당 방식선거 기준선거구정부 체제참고
알바니아의회 (쿠벤디)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전국 4% 또는 선거구 2.5%카운티의원내각제 공화국
알제리인민 국민의회개방형 명부헤어 할당량선거구 5% 득표[9]준대통령제 공화국
앙골라국민의회폐쇄형 명부도옹트 방식5개 선거구 및 전국대통령 집행부가 있는 의원내각제 공화국이중 동시 투표 사용
아르헨티나하원폐쇄형 명부도옹트 방식등록 유권자 3%대통령제 공화국
아르메니아국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정당 5%, 연합 7%의원내각제 공화국안정적 다수 확보 실패 시 결선투표,[10][11] 2/3 이상 의석 차지 시, 최소 1/3 의석 타 정당 배분
폐쇄형 명부
아루바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
오스트리아국회개방형 명부지역 14%헤어 할당량4%연방 주 내 단일 선거구준대통령제 공화국rowspan="3" |
개방형 명부주 10%헤어 할당량연방 주
개방형 명부연방 7%도옹트 방식단일 연방(전국) 선거구
벨기에하원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5%선거구입헌군주국
베냉국민의회폐쇄형 명부최대 나머지 방식10%선거구대통령제 공화국
볼리비아상원폐쇄형 명부도옹트 방식대통령제 공화국이중 동시 투표: 대통령-정당 명부 및 지역 후보 단일 투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대표원개방형 명부생트라구 방식의회 지도자 공화국
브라질하원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최소 9개 연방 단위 2%, 각 단위 1% 이상주 및 연방구대통령제 공화국
불가리아국민의회개방형 명부헤어 할당량4%선거구의원내각제 공화국
카보베르데폐쇄형 명부
칠레개방형 명부
콜롬비아하원폐쇄형 명부대통령제 공화국
상원폐쇄형 명부
코스타리카폐쇄형 명부
크로아티아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5%의원내각제 공화국
키프로스의회개방형 명부헤어 할당량3.6%선거구대통령제 공화국
체코하원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 헤어 할당량5%의원내각제 공화국
덴마크의회개방형 명부생트라구 방식2%광역 선거구, 다선거구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
도미니카 공화국폐쇄형 명부
동티모르개방형 명부
에콰도르국회폐쇄형 명부생트라구 방식
엘살바도르입법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
에스토니아의회개방형 명부수정 도옹트 방식5%다선거구의원내각제 공화국
페로 제도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3.33%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
피지개방형 명부5%
핀란드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다선거구의원내각제 공화국
그린란드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
과테말라폐쇄형 명부
가이아나폐쇄형 명부
온두라스개방형 명부
아이슬란드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선거구의원내각제 공화국
인도네시아하원개방형 명부생트라구 방식4%3~10명 선거구대통령제
이스라엘국회폐쇄형 명부도언트 방식3.25%의원내각제 공화국
코소보의회개방형 명부생트라구 방식단일 선거구의원내각제 공화국
라트비아의회개방형 명부생트라구 방식5%의원내각제 공화국
레바논
리히텐슈타인의회개방형 명부헤어 할당량8%입헌군주국
룩셈부르크하원개방형 명부파나샤주 (선출 의원 수와 동일 투표 수)도옹트 방식법적 기준 없음7~23명, 4개 다선거구의원내각제
마케도니아폐쇄형 명부
몰도바의회폐쇄형 명부도옹트 방식정당 5%, 선거 연합 7%, 무소속 2%[12]없음
(단일 전국 선거구)
단일 의원내각제 공화국
몬테네그로폐쇄형 명부3%
나미비아국회폐쇄형 명부
네덜란드하원개방형 명부25%도옹트 방식법적 기준 없음, 실질 기준 0.67%(1/150)없음
(단일 전국 선거구)
의원내각제
노르웨이의회 (스토르팅)개방형 명부50% 득표생트라구 방식4%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
파라과이폐쇄형 명부
페루폐쇄형 명부5%
폴란드세임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단일 정당 5% 이상, 연합 8% 이상, 소수 민족 0%7~20명, 41개 다선거구의원내각제 공화국
포르투갈공화국 의회폐쇄형 명부도옹트 방식기준 없음준대통령제 공화국
루마니아폐쇄형 명부
산마리노대평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3.5%의원내각제 공화국안정적 다수 확보 위해 필요 시 상위 2개 정당 결선 투표
상투메 프린시페폐쇄형 명부
세르비아폐쇄형 명부3%
시에라리온
신트마르턴의회개방형 명부헤어 할당량단일 선거구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
슬로바키아국민의회개방형 명부헤어 할당량, 도옹트 방식5%의원내각제 공화국
슬로베니아국민의회개방형 명부rowspan="2" |최대 나머지 (드룹 할당량)4%의원내각제 공화국
도옹트 방식4%
남아프리카 공화국의회폐쇄형 명부
스페인하원폐쇄형 명부도옹트 방식3%스페인 주의원내각제
스리랑카의회개방형 명부
(196/225석)
파나샤주
(최대 3표)[13]
도옹트 방식선거구 5%선거구준대통령제rowspan="2" |
폐쇄형 명부
(29/225석)
?기준 없음없음
(단일 전국 선거구)
수리남국회개방형 명부가장 개방적도옹트 방식기준 없음수리남 지구의회 독립 공화국
스웨덴리크스다그개방형 명부정당 득표율 5%[14]생트라구 방식 (균등 의석)전국 4% 또는 선거구 12%스웨덴 주
(일부 주 세분)
의원내각제
스위스국회개방형 명부파나샤주하겐바흐-비쇼프 방식기준 없음스위스 주반직접 민주주의 의회 독립[15][16] 지도자 공화국
튀니지국민 대표 의회폐쇄형 명부최대 나머지 방식기준 없음선거구준대통령제
터키대국민의회폐쇄형 명부도옹트 방식7%. 무소속 후보자 제한 없음터키 주
(일부 주 세분)
대통령제
우루과이하원폐쇄형 명부도옹트 방식기준 없음우루과이 주대통령제이중 동시 투표: 대통령(1차 투표) 및 양원 동일 투표용지 사용
상원없음
(단일 전국 선거구)
웨일스웨일스 의회폐쇄형 명부도옹트 방식기준 없음


6. 1. 아시아

국가의회방식선거구 정원의석 수득표율 제한
이스라엘크네세트도언트 방식 (엄격한 비례대표제)1201202%
이라크대표평의회자유 비례대표제7-68325
인도네시아국민대표원최대 잉여식 (자유 비례대표제)2-12550
카자흐스탄마질리스자유 비례대표제987%
캄보디아국민의회도언트 방식 (엄격한 비례대표제)123
키르기스스탄의회90전국 5%, 7개 주와 비슈케크오시 각 0.5%
스리랑카의회최대 잉여식 (자유 비례대표제)4-20225
튀르키예대국민의회도언트 방식2-2555010%
동티모르국민의회도언트 방식65653%


6. 2. 아프리카

국가입법 기관명부 유형개방형 명부 변형할당 방식선거 기준선거구정부 체제참고
알제리인민 국민의회개방형 명부헤어 할당량각 선거구에서 5% 득표[9]준대통령제 공화국
앙골라국민의회폐쇄형 명부도옹트 방식5개 선거구와 전국대통령 집행부가 있는 의원내각제 공화국대통령과 국민의회를 동시에 선출하는 이중 동시 투표 사용
베냉국민의회폐쇄형 명부최대 나머지 방식10%선거구대통령제 공화국
나미비아국회폐쇄형 명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회폐쇄형 명부
튀니지국민 대표 의회폐쇄형 명부최대 나머지 방식기준 없음선거구준대통령제



국가의회방식선거구 정원의석 수득표율 제한
아프리카
알제리하원3805%
앙골라인민의회도옹트 방식 (엄격한 비례대표제)주별 5, 전국 선거구 130233 (해외 3명 포함)
카보베르데국민의회도옹트 방식2-1572
기니비사우국민의회100
콩고 민주 공화국국민의회최대 잉여식1-17500
상투메 프린시페국민의회55
시에라리온의회최대 잉여식112112 + 최고 지도자 12명12.5%
적도 기니인민대표원100
나미비아국민의회최대 잉여식78 (6명은 임명)
베냉국민의회최대 잉여식83
부르키나파소국민의회최대 잉여식111
부룬디국민의회도옹트 방식1002%
남아프리카 공화국국민의회최대 잉여식 (드롭 방식) (엄격한 비례대표제)200 (전국구), 5-47 (각 주)400
모잠비크의회도옹트 방식2502505%
르완다하원최대 잉여식53 + 주의회 선출 24명 + 임명 3명5%


6. 3. 중남미

국가의회방식선거구 정원의석 수득표율 제한
아르헨티나하원도옹트 방식(엄격한 비례대표제)257 |
우루과이하원도옹트 방식2-4299 |
상원도옹트 방식3030 + 부통령
에콰도르국민회의도옹트 방식2-18100 |
엘살바도르입법의회도옹트 방식3-2084 |
가이아나국민의회최대 잉여식53(+ 지방의회 임명 12명) |
rowspan="2"|하원도옹트 방식2-18162 |
상원도옹트 방식100102(원주민 2석)
코스타리카입법의회도옹트 방식57 |
수리남의회| 51 |
rowspan="2"|하원도옹트 방식(자유 비례대표제)2120 |
상원도옹트 방식(자유 비례대표제)238 |
도미니카 공화국하원도옹트 방식2-36150 |
니카라과의회도옹트 방식92 |
파라과이대의원도옹트 방식80 |
상원도옹트 방식45 |
브라질하원도옹트 방식(자유 비례대표제)8-705131헤어 기준
페루의회최대 잉여식120 |
온두라스국민회의최대 잉여식|


6. 4. 유럽

국가입법 기관명부 유형개방형 명부 변형할당 방식선거 기준선거구정부 체제참고
알바니아의회 (쿠벤디)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전국적으로 4% 또는 선거구에서 2.5%카운티의원내각제 공화국
아르메니아국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5%(정당), 7%(연합)의원내각제 공화국정당 명부 결선 투표는 안정적인 54%의 다수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만 필요.[10][11] 만약 어떤 정당이 3분의 2 이상의 의석을 차지할 경우, 최소 3분의 1의 의석은 다른 정당에 배분.
폐쇄형 명부
아루바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
오스트리아국회개방형 명부더욱 개방적인:
지역 수준에서 14%(후보자 정당에 대한 득표율 중)
헤어 할당량4%연방 주(Länder) 내 단일 선거구준대통령제 공화국rowspan="3" |
개방형 명부더욱 개방적인:헤어 할당량연방 주(Länder)
개방형 명부더욱 개방적인: 연방 수준에서 7%(후보자 정당에 대한 득표율 중)도옹트 방식단일 연방(전국) 선거구
벨기에하원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5%선거구입헌군주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대표원개방형 명부생트라구 방식의회 지도자 공화국
불가리아국민의회개방형 명부헤어 할당량4%선거구의원내각제 공화국
크로아티아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5%의원내각제 공화국
키프로스의회개방형 명부헤어 할당량3.6%선거구대통령제 공화국
체코하원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과 헤어 할당량5%의원내각제 공화국
덴마크의회개방형 명부생트라구 방식2%광역 선거구, 다선거구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
에스토니아의회개방형 명부수정된 도옹트 방식5%다선거구의원내각제 공화국
페로 제도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3.33%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
핀란드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다선거구의원내각제 공화국
그린란드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
아이슬란드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선거구의원내각제 공화국
코소보의회개방형 명부생트라구 방식단일 선거구의원내각제 공화국
라트비아의회개방형 명부생트라구 방식5%의원내각제 공화국
리히텐슈타인의회개방형 명부헤어 할당량8%입헌군주국
룩셈부르크하원개방형 명부파나샤주 (선출된 의원 수와 동일한 투표 수)도옹트 방식법적 기준 없음7명에서 23명에 이르는 4개의 다선거구의원내각제
몰도바의회폐쇄형 명부도옹트 방식5%(정당), 7%(선거 연합), 2%(무소속)[12]없음
(단일 전국 선거구)
단일 의원내각제 공화국
네덜란드하원개방형 명부더욱 개방적인
(기본 정당 명부를 무효화하기 위한 할당량의 25%)
도옹트 방식법적 기준 없음, 하지만 의석에 대한 실질적 기준은 0.67%(1/150)없음
(단일 전국 선거구)
의원내각제
노르웨이의회 (스토르팅)개방형 명부사실상 폐쇄형 명부 (무효화하기 위한 50%의 득표율)생트라구 방식4%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
폴란드세임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단일 정당의 경우 5% 이상, 연합의 경우 8% 이상, 소수 민족의 경우 0% 이상7명에서 20명에 이르는 41개의 다선거구의원내각제 공화국
산마리노대평의회개방형 명부도옹트 방식3.5%의원내각제 공화국안정적인 다수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상위 2개 정당이 다수 보너스를 받기 위해 결선 투표에 참여.
신트마르턴의회개방형 명부헤어 할당량단일 선거구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
슬로바키아국민의회개방형 명부헤어 할당량 및 도옹트 방식5%의원내각제 공화국
슬로베니아국민의회개방형 명부rowspan="2" |최대 나머지 (드룹 할당량)4%의원내각제 공화국
도옹트 방식4%
스웨덴리크스다그개방형 명부더욱 개방적인
(기본 정당 명부를 무효화하기 위한 정당 득표율의 5%)[14]
생트라구 방식 (균등 의석들)전국적으로 4% 또는 주어진 선거구에서 12%스웨덴 주
(일부 주는 더 세분됨)
의원내각제
스위스국회개방형 명부파나샤주하겐바흐-비쇼프 방식기준 없음스위스 주반직접 민주주의 의회 독립[15][16] 지도자 공화국 하에



국가의회방식선거구 정원의석 수득표율 제한
유럽
아이슬란드알싱도언트 방식(단순 비례대표제)9635%
이탈리아하원최대 잉여식1-44617+12(해외 거주자)4%(정당) 10%(정당 연합)
우크라이나베르호브나 라다최대 잉여식4504503%
에스토니아리이기코구1015%
오스트리아국민의회하겐바흐-비쇼프 방식1834%
네덜란드의회도언트 방식150150(0.67%)
키프로스의회최대 잉여식(자유 비례대표제)3-2180(그리스계 56, 튀르키예계 24(현재 결원))+ 종교적 소수 민족 3명(옵서버)
그리스의회300(40석은 제1당에 우선 배분)3%
크로아티아의회도언트 방식12152-160(소수 민족과 해외 거주 크로아티아인을 위해 몇몇 의석이 확보됨)5%
산마리노대평의회도언트 방식60
스위스하원하겐바흐-비쇼프 방식(자유 비례대표제)1-34200
스웨덴리크스다그수정된 샌드래그 방식(자유 명부식)3494%(또는 선거구에서 12%)
스페인하원도언트 방식1-353503%(선거구별)
슬로바키아의회하겐바흐-비쇼프 방식(단순 비례대표제)1505%
슬로베니아국민의회도언트 방식8890(소수 민족 2석은 보르다 계산 방식)4%
세르비아국민의회도언트 방식2502505%(소수 민족은 0.4%)
체코하원도언트 방식5-252005%(정당), 8%(정당 연합)
덴마크포르팅샌드래그 방식1792%
노르웨이스토르팅수정된 샌드래그 방식(자유 명부식)4-17150 + 19개의 조정 의석4%
핀란드에두스쿤타도언트 방식(자유 비례대표제)6-34200
불가리아국민의회도언트 방식(비례대표제)4-142404%
벨기에하원도언트 방식3-221505%
상원도언트 방식15, 2540 + 지방의회 선출 21명 + 현직 선출 10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대의원샌드래그 방식14, 2842
폴란드세임도언트 방식7-194605%(정당 연합은 8%, 소수 민족은 0%)
포르투갈공화국 의회도언트 방식2-48230
북마케도니아의회도언트 방식20120
몰도바의회도언트 방식1011016%
몬테네그로의회도언트 방식(엄격한 비례대표제)5, 76813%
라트비아사이마샌드래그 방식(자유 명부식)14-281005%
리히텐슈타인의회최대 잉여식10, 15258%
룩셈부르크의회도언트 방식60
루마니아하원도언트 방식3295%(정당), 9%(정당 연합)
상원도언트 방식1375%(정당), 9%(정당 연합)
러시아연방평의회최대 잉여식4507%


7. 비민주적 정권에서의 활용

다음은 비민주적인 정권에서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를 활용하는 국가들이다. 이들 국가는 대부분 폐쇄형 명부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최고평균법 등을 통해 의석을 배분한다.

국가입법 기관명부 형식배분 방식선거구 득표율선거구정부 형태비고
부르키나파소국민의회폐쇄형 명부식선거구준대통령제
부룬디국민의회폐쇄형 명부식최고평균방식(D'Hondt method)2%선거구대통령제
캄보디아국민의회폐쇄형 명부식최고평균방식(D'Hondt method)선거구입헌군주제
적도 기니하원폐쇄형 명부식10%선거구대통령제rowspan="2" |
상원폐쇄형 명부식선거구
기니비사우국민의회폐쇄형 명부식준대통령제
모잠비크폐쇄형 명부식
르완다폐쇄형 명부식
토고국민의회폐쇄형 명부식최고평균방식(Highest averages method)없음선거구대통령제


참조

[1] 웹사이트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s https://www.mtholyok[...]
[2] 웹사이트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pen List Electoral Systems in Europe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Foundation for Electoral Systems
[3] 웹사이트 Système électoral du Grand-Duché de Luxembourg(fr) http://www.elections[...]
[4] 논문 Mavericks or Loyalists? Popular Ballot Jumpers and Party Discipline in the Flexible-List PR Context
[5] 웹사이트 Which Electoral Formula Is the Most Proportional? A New Look with New Evidence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The D'Hondt Method Explained http://www.ucl.ac.uk[...]
[7] 웹사이트 Electoral Systems Comparative Data, World Map http://aceproject.or[...] 2017-10-24
[8] 웹사이트 Electoral Systems Comparative Data, Table by Country http://aceproject.or[...] 2017-10-24
[9] 웹사이트 Final Report on Algeria's Legislative Elections http://aceproject.or[...] National Democratic Institute 2015-01-10
[10] 웹사이트 Armenia, Parliamentary Elections, 2 April 2017: Needs Assessment Mission Report https://www.osce.org[...] 2022-05-30
[11] 웹사이트 DocumentView https://www.arlis.am[...]
[12] 법률 CODUL ELECTORAL https://www.legis.md[...] 1997-11-21
[13] 웹사이트 Sri Lanka electors can vote for one party, three preferences in 2020 general elections: polls chief https://economynext.[...] 2020-08-04
[14] 웹사이트 Elections in Sweden: The way its done https://web.archive.[...]
[15] 논문 Semi-Presidential Systems: Dual Executive And Mixed Authority Patterns 2005-12
[16] 논문 Government Systems, Party Politics, and Institutional Engineering in the Round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