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떠이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떠이 전투는 1883년 프랑스가 베트남 북부 통킹 지역을 식민지화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한 전투이다. 프랑스는 흑기군 격멸을 위해 아메데 쿠르베 제독을 통킹 원정군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선떠이를 공격했다. 유영복이 지휘하는 흑기군, 호앙께비엠의 베트남군, 당형이 지휘하는 청나라군이 선떠이를 방어했다. 프랑스군은 푸사 요새를 점령하고 선떠이 북서쪽 방어진을 공격하여 승리했다. 전투 결과 프랑스군은 83명이 사망하고 320명이 부상당했고, 청나라군과 베트남군은 900명 이상이 사망하고 1,00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특히 흑기군의 피해가 컸고, 유영복은 이후 흑기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아 1884년 박닌 전투에서 청나라군의 패배에 영향을 미쳤다. 선떠이 전투는 프랑스가 통킹 지역에서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청불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3년 중국 - 청불 전쟁
    청불 전쟁은 1880년대 프랑스가 베트남을 식민 지배하려는 과정에서 청나라와 무력 충돌한 사건으로, 프랑스의 승리로 끝나 베트남에 대한 프랑스의 보호국 지위를 인정하고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83년 중국 - 꺼우저이 전투
    꺼우저이 전투는 1883년 프랑스가 인도차이나 반도 진출 과정에서 흑기군에게 기습을 받아 사령관 앙리 리비에르가 전사하는 등 큰 피해를 입은 전투로, 프랑스에게 패배를 안겨주었으나 통킹 보호령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 하노이의 역사 - 푸호아이 전투
    1883년 푸호아이 전투는 프랑스군이 유영복의 흑기군을 공격했으나 악천후, 지휘부의 미숙한 결정, 흑기군의 저항으로 프랑스군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한 통킹 원정의 주요 전투이다.
  • 하노이의 역사 - 2023년 하노이 건물 화재
    2023년 9월 12일 하노이의 9층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는 오토바이 주차장에서 시작되어 56명의 사망자와 37명의 부상자를 발생시켰으며, 오토바이 배터리 합선이 원인으로 밝혀져 건물주가 체포되는 등 인명 및 재산 피해와 함께 초기 대응 미흡에 대한 논란을 야기했다.
선떠이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선떠이 지도, 1883년 12월
1883년 12월의 선떠이 지도
날짜1883년 12월 11일 ~ 1883년 12월 17일
장소베트남 북부
결과프랑스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프랑스 제3공화국
교전국 2흑기군
응우옌 왕조
지휘관
지휘관 1아메데 쿠르베
지휘관 2류융푸
호앙께비엠
탕지옹
병력 규모
병력 19,000명, 포함 6척
병력 2흑기군 3,000명
베트남군 7,000명
청나라군 2,000명
사상자
사상자 1사망 83명, 부상 320명
사상자 2사망 900명, 부상 약 1,000명
관련 정보
관련 전투통킹 원정의 일부

2. 배경

1883년 5월 19일, 프랑스 해군 대위 앙리 리비에르꺼우저이 전투에서 흑기군에게 패배하고 전사하면서, 프랑스 내에서는 통킹 지역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확대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졌다.[2][3] 프랑스 정부는 통킹에 대규모 증원군을 파견했다. 1883년 10월,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통킹 원정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프랑스군은 흑기군을 격멸하기 위한 대규모 공세를 준비했다.

프랑스는 청나라에 흑기군 지원 중단을 요구했지만, 청나라는 이를 거부하고 선떠이, 박닌, 랑선 등지에 주둔군을 증강했다.[2] 쥘 페리 프랑스 총리와 폴 아르망 샬르멜-라쿠르 외무장관은 증기택 청나라 공사와 여러 차례 회담을 가졌으나 외교적 해결을 보지 못했다.[2]

당시 베트남은 응우옌 왕조의 지배 하에 있었다. 이 전투에서 베트남 군은 흑기군에 비해 소극적으로 전투에 임했다.

3. 전투의 원인

1883년 5월 19일, 꺼우저이 전투에서 프랑스 해군 선장 앙리 리비에르흑기군에게 패배하고 전사하자, 프랑스 정부는 통킹에 대규모 증원군을 파견했다.[16] 프랑스는 흑기군을 몰아내고 통킹 지역을 식민지화하여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세력을 확장하고자 했다.

프랑스는 청나라가 흑기군을 지원하는 것을 중단시키고자 했다. 쥘 페리 프랑스 총리와 폴 아르망 샬르멜-라쿠르 외무장관은 증기택 청나라 대사와 여러 차례 회담을 가졌지만, 청나라는 선떠이, 박닌, 랑선에서 군대를 철수시키지 않았다.[16]

결국 프랑스는 꽝옌, 흥옌, 닌빈에 주둔지를 세워 삼각주 지배권을 강화하고, 1883년 12월에 아메데 쿠르베 제독에게 선떠이 공격 권한을 부여했다. 프랑스 내각은 흑기군 공격이 청나라와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했지만, 통킹에서 빠르게 승리하면 청나라가 이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판단했다.[17]

4. 주요 인물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통킹 원정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프랑스군을 지휘했다. 흑기군 지휘관은 유영복이었으며, 전투 경험이 많은 정예병 3,000명 가량을 이끌었다. 호앙께비엠 왕자가 이끄는 베트남군은 사기가 낮았고, 당형(唐炯)이 지휘하는 청나라군은 전투에서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18]

프랑스 측에서는 쥘 페리 총리와 폴 아르망 샬르멜-라쿠르 프랑스 외무장관이 증기택 청나라 대사와 여러 차례 회담을 가졌으나 외교적 해결을 보지 못했다.[16]

4. 1. 프랑스군

아메데 쿠르베 제독은 통킹 원정군의 주력을 선떠이로 이끌었다. 프랑스군은 벨린 대령과 비쇼 대령의 지휘 아래 두 개 열로 편성되었으며, 약 9,000명의 병력을 동원했다.[6]

벨린의 열은 3,3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음 부대를 포함했다.

  • 투르코 연대 2개 (대대장 쥬노, 레텔리에)
  • 해병 보병 대대 1개 (대대장 루)
  • 코친차이나 소총병 연대
  • 제1외인부대 대대 1개 (중령 도니에)
  • 통킹 소총병 800명 (대대장 베르토-레빌레인)
  • 해병 포병대 3개[7]


비쇼의 열은 다음 부대를 포함했다.

  • 해병 보병 대대 3개 (대대장 슈발리에, 듈리유, 레가세) - 각 대대에 코친차이나 소총병 연대 배속
  • 퓨질리에-마린 대대 1개 (해군 대위 라게레)
  • 해병 포병대 3개
  • 65mm 해군 포병대[8]

4. 2. 흑기군 및 청나라군

유영복이 지휘하는 흑기군은 약 3,0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전투 경험이 풍부한 정예병이었다. 흑기군은 푸사의 외곽 방어를 맡았다. 호앙께비엠 왕자가 이끄는 베트남군은 약 7,000명이었으나 사기가 낮았고, 성채 수비를 담당했다. 당형(唐炯)이 지휘하는 청나라군은 1,000명으로 선떠이 내부에 배치되었다. 베트남군과 청나라군은 전투에서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18]

군대지휘관병력역할비고
흑기군유영복약 3,000명푸사 외곽 방어전투 경험 풍부한 정예병
베트남군호앙께비엠 왕자약 7,000명성채 수비사기 낮음
청나라군당형(唐炯)약 1,000명선떠이 내부 배치전투에서 큰 역할 없음


5. 양측 군대

아메데 쿠르베 제독과 유영복이 각각 프랑스군과 흑기군을 지휘했다. 프랑스군은 통킹 원정군을 주력으로 하여 선떠이로 진군했고, 흑기군은 베트남군 및 청나라군과 연합하여 이에 맞섰다.

선떠이는 홍강 남쪽 몇 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요새화된 도시였다. 연 모양의 오각형 외벽은 물로 채워진 해자와 대나무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었고, 그 안에는 베트남 장인들이 건설한 사각형 모양의 성채가 있었다. 프랑스군 보고에 따르면, 방벽 뒤에는 최소 수백 문의 대포가 배치되어 있었다고 한다.[4]

프랑스군은 함대와의 연락 유지를 위해 동쪽에서 선떠이로 접근해야 했다. 이들은 선떠이 북쪽으로 행군하여 도시 서쪽의 취약한 지점을 공격할 수도 있었지만, 흑기군은 다이강에서 선떠이로 이어지는 길목에 있는 푸사 마을을 요새화하여 프랑스군의 진격을 저지하려 했다. 흑기군은 유럽 기술자들을 고용하여 푸사를 난공불락의 요새로 만들었으며, 이곳에서 프랑스군의 예상 공격 경로를 포격할 수 있었다. 따라서 프랑스군은 선떠이를 공격하기 전에 먼저 푸사를 점령해야 했다.[5]

구분프랑스군흑기군베트남군청나라군
지휘관아메데 쿠르베 제독유영복호앙께비엠 왕자당형(唐炯)
병력 규모약 9,000명약 3,000명약 7,000명약 1,000명
특징통킹 원정군 주력정예병사기 낮음-
역할선떠이 공격푸사 외곽 및 외보 방어성채 수비선떠이 내부 배치
비고벨린, 비쇼 두 부대로 편성전투에 적극적으로 참여 X전투에서 중요한 역할 X



전투는 주로 프랑스군과 흑기군 사이에 벌어졌으며, 베트남군과 청나라군은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5. 1. 프랑스군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통킹 원정군을 이끌고 선떠이로 향했다. 프랑스군은 벨린 대령과 비쇼 대령이 지휘하는 두 개의 부대로 편성되었으며, 총 병력은 약 9,000명이었다.[6]

벨린 부대는 3,300명의 병력으로, 투르코 연대(대대장 쥬노, 레텔리에), 해병 보병 대대(대대장 루), 코친차이나 소총병 연대, 제1외인부대 대대(중령 도니에), 통킹 소총병 800명(대대장 베르토-레빌레인), 해병 포병대 3개로 구성되었다.[7] 비쇼 부대는 코친차이나 소총병 연대가 배속된 해병 보병 대대 3개(대대장 슈발리에, 듈리유, 레가세), 퓨질리에-마린 대대(해군 대위 라게레), 해병 포병대 3개, 65mm 해군 포병대로 구성되었다.[8]

5. 2. 흑기군 및 청나라군

유영복이 지휘하는 흑기군은 약 3,000명으로 구성되었고, 대부분 정예병이었다. 이들은 푸사의 외곽과 외보를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 호앙께비엠 왕자가 이끄는 베트남군은 약 7,000명이었으나, 사기가 낮고 전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 당형(唐炯)이 지휘하는 청나라군은 약 1,000명으로, 선떠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었다.[18] 베트남군과 청나라군은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 않았으며, 실질적인 전투는 프랑스군과 흑기군 사이에서 벌어졌다.[18]

6. 전투 경과

1883년 12월 11일, 프랑스군 2개 부대가 하노이를 출발했다. 쿠르베는 원정 목표를 비밀에 부쳤고, 많은 병사들은 1882년 가을부터 청나라 광서군 2만여 명이 점령하고 있던 박닌을 공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벨랑의 부대는 하노이에서 다이강까지 육로로 이동했고, 비쇼의 부대는 통킹 함대 소속 포함 6척(''플루비에'', ''트롬브'', ''에클레르'', ''아슈'', ''무스케통'', ''야타간'')과 여러 척의 증기선, 정크선, 예인선으로 홍강을 거슬러 올라갔다.[21]

12월 11일 오후, 비쇼의 부대는 다이강 서쪽 기슭에 상륙하여 벨랑 부대의 진격을 도왔다. 벨랑 부대는 지교(紙橋)를 건너 푸호아이, 끼엔마이, 퐁 마을을 통과하여 5월 19일과 8월 15일의 격전지를 지나 다이강에 도착했다. 12월 13일, 두 부대는 선떠이 전방 5km 지점에서 합류했다. 벨랑 부대는 휴식이 필요했기에, 쿠르베는 선떠이 공격을 다음 날로 연기했다.[21]

1883년 12월 16일, 선떠이 점령


선떠이 전투는 프랑스군이 흑기군과 벌인 전투 중 가장 치열했다. 12월 14일 오후, 프랑스군은 푸사 요새 동쪽으로 진격하여 흑기군의 우익 공격을 격퇴했다. 프랑스 포병대는 2시간 동안 포격을 가해 푸사 요새의 흑기군 포대를 무력화시켰다. 오후 늦게 루와 슈발리에 대대가 푸사 요새의 흑기군 전초기지를 점령했지만, 추가 공격은 실패했다. 주노의 알제리 저격병 대대 소속 고디네 중대와 루의 해병대 보병 대대 소속 쿠니 중대는 중앙 요새를 공격했으나 큰 피해를 입고 후퇴했다. 12월 14일, 프랑스군은 전사자 68명(장교 3명 포함), 부상자 249명(장교 17명 포함)의 피해를 입었다. 이 피해의 절반가량은 주노의 알제리 저격병 대대에서 발생하여 더 이상 전투를 수행할 수 없었다. 쿠르베는 하루 만에 이전 지휘관들인 리비에르와 부에가 모든 전투에서 잃은 병력보다 더 많은 병력을 잃었다.[22]

유영복은 쿠르베의 패배를 틈타 같은 날 밤 프랑스군을 공격했지만, 흑기군의 공격은 실패로 끝났다. 유영복은 이 반격으로 많은 병력을 잃고 푸사 요새를 포기하고 선떠이 방어선으로 후퇴했다. 12월 15일, 쿠르베는 군대에 휴식을 취하게 하고, 다음 날인 12월 16일 오후 선떠이 북서쪽을 공격했다. 이번 공격은 포병의 철저한 준비를 거쳐 수비대가 약화된 후 감행되었다. 쿠르베는 흑기군의 포격 사정거리 안으로 들어가 지휘하며 병사들의 사기를 고취시켰다. 오후 5시, 도니에르의 프랑스 외인 부대 대대와 라게르의 해병 경보병 대대가 선떠이 서문을 점령하고 시내로 진입했다. 유영복의 수비대는 성채로 후퇴했다가 밤을 틈타 선떠이를 탈출했다. 12월 17일 아침, 프랑스군은 노획한 흑기군 깃발에서 찢어낸 천 조각으로 만든 거대한 삼색기를 선떠이 성채 위에 게양하며 쿠르베가 개선했다.[22]

7. 전투의 결과

1883년 12월 16일, 프랑스군은 선떠이를 점령했지만, 그 과정은 결코 쉽지 않았다. 흑기군은 도시를 지키기 위해 맹렬하게 저항했고, 프랑스군은 상당한 피해를 입어야 했다. 특히 12월 14일의 전투는 프랑스군에게 큰 타격을 주었는데, 주노의 알제리 저격병 대대는 전투력을 상실할 정도였다.[22]

유영복은 프랑스군의 패배를 틈타 반격을 시도했지만, 실패로 돌아가고 오히려 흑기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결국 유영복은 푸사의 요새를 포기하고 선떠이의 방어선으로 후퇴해야 했다. 다음 날, 쿠르베는 포병대의 지원을 받으며 선떠이를 공격했고, 결국 서문을 점령하고 도시로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유영복의 수비대는 성으로 물러났지만, 어둠을 틈타 선떠이를 빠져나갔다. 프랑스군은 흑기군 깃발을 찢어 만든 삼색기를 성 위에 게양하며 승리를 자축했다.[22]

이 전투로 프랑스군은 목표를 달성했지만, 이틀간의 전투로 83명이 사망하고 320명이 부상당하는 큰 대가를 치렀다. 한 프랑스 장교는 "쿠르베 제독은 선떠이를 선원이 하듯이, 배를 타고 점령했다"고 비꼬기도 했다.[25]

선떠이 전투는 흑기군에게도 큰 상처를 남겼다. 프랑스 측 보고에 따르면, 흑기군은 900명이 사망하고 1,000여 명이 부상당하는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이 전투로 흑기군은 전투력을 거의 상실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흑기군의 피해는 청나라베트남 동맹군이 의도적으로 흑기군을 위험에 빠뜨렸다는 의혹을 불러일으켰고, 유영복은 다시는 자신의 부대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기로 결심했다.[24]

7. 1. 프랑스군의 피해

프랑스군은 선떠이 전투에서 83명이 사망하고 320명이 부상당하는 큰 피해를 입었다. 12월 14일 하루 동안에만 68명이 사망하고 249명이 부상당했는데, 이는 프랑스군이 이전에 흑기군과 벌인 어떤 전투보다도 많은 사상자였다. 특히 주노(Jouneau)의 알제리 저격병 대대는 큰 피해를 입어 더 이상 전투를 수행할 수 없을 정도였다.[22]

7. 2. 흑기군 및 청나라군의 피해

프랑스가 이후 입수한 보고서에 따르면, 선떠이 전투에서 청나라군과 베트남군의 사상자는 매우 컸다. 900명이 사망하고 1,000여 명이 부상을 입었다. 거의 모든 사상자가 류융푸흑기군이었다.[24] 선떠이 전투는 흑기군에게 끔찍한 희생을 강요했고, 영국인 옵서버 윌리엄 메스니는 이 전투로 흑기군이 사실상 전투력을 상실했다고 평가했다.

선떠이에서 흑기군이 불균형적인 희생을 치른 것은 중요한 결과를 초래했다. 류융푸는 청나라와 베트남 동맹군이 의도적으로 자신을 전투에 몰아넣었다고 판단하여, 다시는 자신의 부대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기로 결심했다.

8. 전투의 영향

선떠이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83명이 사망하고 320명이 부상당하는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전사하거나 중상을 입은 장교에는 알제리 소총병 대대의 고디네(Godinet) 대위, 두세(Doucet)와 쿠니(Cuny) 대위, 해병대 보병의 클라베(Clavet) 중위, 도니에르(Donnier) 외인부대의 멜(Mehl) 대위 등이 있었다. 그 외에도 22명의 장교가 부상을 입었다.[24] 한 프랑스 장교는 "쿠르베 제독은 선원이 탑승하기를 기대하는 대로 선떠이를 차지했다"고 비꼬았다.[25]

프랑스가 이후 입수한 정보에 따르면, 선떠이에서 청나라군과 베트남군의 사상자는 매우 컸다. 900명이 사망하고 1,000여 명이 부상당했으며, 거의 모든 사상자가 유영복의 흑기군이었다. 영국인 옵저버 윌리엄 메스니는 선떠이 전투로 인해 흑기군이 전투력을 완전히 상실했다고 평가했다.

선떠이에서 흑기군이 입은 막대한 피해는 중요한 결과를 초래했다. 유영복은 청나라와 베트남 동맹군이 자신을 의도적으로 전투에 몰아넣었다고 생각하여, 다시는 흑기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기로 결심했다. 선떠이 함락 이후, 유영복은 흑기군을 이끌고 박닌으로 후퇴했지만, 박닌에 있는 청나라군과 협력하려는 시도는 거의 하지 않았다. 1884년 3월 박닌 전투에서 흑기군이 참전하지 않은 것은 청나라 광서군이 패배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Conquête, Histoire militaire
[2] 서적
[3] 서적
[4] 서적 Conquête, Histoire militaire
[5] 서적 Conquête, Histoire militaire
[6] 서적 Histoire militaire
[7] 간행물 Jouneau's Turco battalion and Letellier's Turco battalion and Roux's marine infantry battalion and Donnier's Legion battalion
[8] 간행물 Chevallier's battalion and Dulieu's battalion and Reygasse's battalion
[9] 서적 Histoire militaire
[10] 서적
[11] 서적 Histoire militaire
[12] 서적 Histoire militaire
[13] 서적
[14] 서적 Histoire militaire
[15] 서적 Conquête, Histoire militaire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Conquête, Histoire militaire
[19] 간행물 Jouneau's Turco battalion and Letellier's Turco battalion and Roux's marine infantry battalion and Donnier's Legion battalion
[20] 간행물 Chevallier's battalion and Dulieu's battalion and Reygasse's battalion
[21] 서적 Histoire militaire
[22] 서적
[23] 서적 Histoire militaire
[24] 서적 Histoire militaire
[2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