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동구 을 (1950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동구 을 (1950년 선거구)은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선거구가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1949년 고양군 뚝도면이 편입되면서 성수동, 송정동, 구의동, 화양동 등이 해당 지역구에 포함되었다. 1963년, 1971년 선거구 조정이 있었으며, 1973년 성동구 갑, 을, 병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임흥순, 김재황, 조병옥, 홍용준, 박준규, 홍영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동구의 정치 - 중구·성동구 을
    중구·성동구 을은 2016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중구와 성동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2016년 지상욱, 2020년과 2024년에는 박성준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 성동구의 정치 - 중구·성동구 갑
    중구·성동구 갑은 20대 총선을 앞두고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더불어민주당과 보수정당 간 격전지였으나 최근 더불어민주당 우세 지역으로, 성동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홍익표 의원에 이어 전현희 의원이 대표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성동구 을 (1950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성동구 을
의회국회
큰 지도서울특별시
연도1950
폐지1973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성동구
고양군 을
광주군 (1963년 일부 편입)
이후 선거구성동구 병 (1971년 분리)
성동구
의원 수1인

2. 역사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성동구 을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1949년 고양군 뚝도면이 성동구에 편입됨에 따라 성수동, 송정동, 구의동, 화양동 등이 고양군 을 선거구에서 성동구 을 지역으로 재편성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갑 선거구에서 광장동, 능동, 군자동, 잠실동 등을, 광주군에서 구천면·언주면·중대면과 대왕면 일부를 편입하여 관할하게 되었다.

제8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갑 선거구에서 황학동 등을 받았으며, 성수동, 암사동, 천호동, 송파동 등은 성동구 병으로 분구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갑, 을, 병 선거구가 성동구 선거구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변천사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1949년, 고양군 뚝도면이 성동구에 편입됨에 따라 성수동, 송정동, 구의동, 화양동 등이 기존 고양군 을 선거구에서 성동구 을 지역으로 재편성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갑 선거구에서 광장동, 능동, 군자동, 잠실동 등 일부 지역을 받았다. 또한 광주군 구천면·언주면·중대면과 대왕면 일부가 성동구에 편입됨에 따라 해당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

1971년 제8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갑 선거구에서 황학동 등의 지역을 받았으며, 성수동, 암사동, 천호동, 송파동 등이 분리되어 성동구 병으로 분구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 갑, 을, 병 선거구가 통합되어 성동구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wikitext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성동구 을 지역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선거별 자세한 결과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성동구 을 선거구에서는 민주국민당 임흥순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임흥순민주국민당14,25041.98%
진영하대한독립촉성국민회9,12426.88%
김형규무소속4,35012.81%
권희창무소속3,45410.17%
김종현무소속1,7625.19%
유재균대한독립촉성국민회9972.93%
총 득표수33,937100%


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김재황 후보가 당선되었다. 자세한 득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재황무소속9,50937.93
유성권자유당7,31629.18
채영철무소속3,42213.65
진영하자유당3,26613.02
박순기무소속7152.85
김기곤대한국민당3351.33
염천배무소속3231.28
김재호무소속1830.72
합계25,069100


4.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성동구 을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조병옥 후보가 75.44%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자유당 김재황 후보(24.55%)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조병옥민주당27,42875.44%
김재황자유당8,92524.55%
합계36,353100%


4.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홍용준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홍용준민주당24,61050.83%
이동원무소속7,94716.41%
이병린자유법조단3,5787.39%
김기희무소속3,3116.83%
채영철무소속2,8635.91%
이준근무소속1,8083.73%
김철한국사회당1,6263.35%
최봉수무소속9692.00%
원명선무소속9021.86%
방수원무소속8021.65%
합계48,416


4. 5.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준규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준규민주공화당22,30232.20
홍용준민정당19,35527.94
최덕남민주당15,47322.34
김재황국민의당7,30110.54
김종순보수당1,9892.87
최봉수자유민주당1,9492.81
이석구추풍회8871.28
합계69,256100


4. 6.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준규 후보가 41.11%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재선에 성공하였다. 신민당 홍용준 후보는 38.57%로 박준규 후보와 접전을 벌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준규민주공화당37,60441.11%
홍용준신민당35,28138.57%
신상초민주당13,43914.69%
어수철자유당2,4952.72%
김종대통일사회당1,3561.48%
최봉수대중당1,2901.41%
김명환통한당00%
합계91,465


4. 7.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홍영기 후보가 57.58%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민병기 후보는 41.62%, 국민당 최봉수 후보는 0.79%를 득표하였다.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성동구 을 투표 결과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홍영기신민당45,84957.58%
민병기민주공화당33,14041.62%
최봉수국민당6360.79%
합계79,625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