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산 아토스의 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산 아토스의 조지(게오르게 므타츠민델리)는 11세기 조지아의 종교 지도자, 번역가, 작가이며, 조지아 정교회의 성인이다. 그는 트리알레티에서 태어나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유학한 후, 조지아로 돌아와 수도사가 되었고, 아토스 산의 이베론 수도원의 원장이 되었다. 그는 조지아 정교회의 자율성을 위해 노력하고, 동서 교회의 분열을 전후하여 중재 노력을 기울였으며, 조지아 교회 개혁에 기여했다. 또한, 그는 많은 종교 서적을 번역하고 저술하여 조지아의 종교 및 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065년 아테네에서 사망했으며, 조지아 정교회는 그를 성인으로 추대하여 매년 7월 10일에 기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65년 사망 - 토르핀 인 리키
토르핀 인 리키는 11세기 오크니 제도와 스코틀랜드 북부에서 강력한 세력을 구축한 노르웨이 백작으로, 자료 간 차이로 인해 정확한 연대기와 행적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스코틀랜드 왕의 손자로서 노르웨이 왕실과의 복잡한 관계, 칼 훈다손과의 갈등, 기독교 수용, 그리고 잉기비오르그의 말콤 3세와의 결혼 등 다양한 사건을 겪었다. - 1065년 사망 - 페르난도 1세 (레온, 카스티야)
페르난도 1세는 카스티야 백작에서 레온 왕국의 왕이 되어 이슬람 세력과의 전쟁, 타이파 왕국으로부터의 조공, 나바라 왕국을 봉신국으로 삼는 등의 업적을 남기고 '스페인 황제'를 칭하며 왕국의 권위를 높인 정의롭고 평화를 사랑한 왕으로 칭송받았다. - 11세기 조지아 사람 - 아토스의 에우티미우스
아토스의 에우티미우스는 조지아 왕족 출신으로 이베론 수도원 설립에 기여하고 조지아어 번역 활동을 통해 조지아 문화 발전에 영향을 미친 조지아 정교회 성인이다. - 11세기 조지아 사람 - 알라니아의 마리아
알라니아의 마리아는 조지아 왕 바그라트 4세의 딸이자 비잔티움 제국의 황후로, 미하일 7세 두카스와 니케포로스 3세 보타니아테스와 결혼했으며,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의 즉위에 영향을 미치고 만년에는 수도원에서 조지아와의 관계를 강화했다. - 1009년 출생 - 소순
소순은 북송 시대의 문장가이자 정치 사상가로, 아들 소식, 소철과 함께 3소로 불리며 육경과 제자백가에 통달했고 전국시대풍의 문체와 유가 인습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사상, 자주적인 국가 운영을 주장한 진보적인 정치 사상이 특징이다. - 1009년 출생 - 유수프 이븐 타슈핀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11세기 알모라비드 왕조의 창시자이자 베르베르족 군주로서, 마그레브와 알-안달루스를 정복하고 이베리아 반도의 무슬림 왕국들을 통합하여 서구 이슬람 세계의 지배자가 되었다.
성산 아토스의 조지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인 |
이름 | 조지 더 하기오라이트 |
다른 이름 | 조지 오브 아토스 기오르기 므타츠민델리 기오르기 아토넬리 조지 더 아이베리안 조지 더 조지안 |
출생 | 1009년 |
출생지 | 트리알레티, 조지아 왕국 |
사망 | 1065년 6월 27일 |
사망지 | 아테네 |
칭호 | 아토스 아버지 |
공경 대상 | 동방 정교회 조지아 정교회 |
축일 | 6월 27일 (OS) (7월 10일 NS) |
수호 성인 | 조지아 아토스 산 |
숭배 | |
시성 | 조지아 정교회 |
2. 생애
게오르게는 1009년 트리알레티에서 조지아의 남부 지방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8][9] 그의 아버지 야곱은 조지아의 바그라트 3세 왕의 외교관으로 이란에 파견되기도 했다.[8][9] 게오르게는 7세 때 타즈리시의 수도원에서 교육을 시작했고, 3년 후 카쿨리의 수도원으로 옮겨가 교육을 받았다.[8][9] 1022년, 게오르게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유학하여 그리스어와 비잔틴 신학을 공부했다.[8][9] 1034년에 조지아로 귀향한 후, 카쿨리에서 수도자가 되었고, 예루살렘으로 성지 순례를 다녀왔다.[8][9]
게오르게는 1034년에 조지아로 돌아와 카쿨리에서 수도사 서임을 받았다.[2][3] 그 후 예루살렘으로 성지 순례를 떠났고, 안티오케이아 근처의 흑산에서 조지 레클루즈의 제자로 은둔 생활을 했다.[2][3] 1040년, 조지는 그리스 아토스 산의 이비론 수도원에 정착했고, 4년 후, 수사 스테파노스의 사망과 함께 조지는 그의 후계자로 성별되었다. 그는 이비론 수도원을 재조직하고 개조하여 조지아 정교 문화의 활기찬 중심지로 만들었다.
1040년, 조지는 그리스 아토스 산의 이비론 수도원(조지아인의)에 정착했다.[8][9] 1044년, 수사 스테파노스가 사망하자 조지가 그의 뒤를 이어 이베론 수도원의 원장이 되었다.[2][3] 그는 이베론 수도원을 재조직하고 개조하여 조지아 정교회 문화의 활기찬 중심지로 만들었다.
1052년에서 1057년 사이에, 하기오리테의 조지는 이비론 수도원의 관리를 그의 동료 수도사인 올티시의 조지에게 맡기고 안티오키아로 갔다. 그곳에서 그는 그리스 성직자들에게 이단으로 고발당한 동료들을 변호하기 위해 총대주교 앞에 섰다.[2][3] 이 논쟁은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 관할 하에 있었으나 6세기부터 점차 독립한 조지아 정교회의 자율성에 대한 정당성을 둘러싸고 빠르게 전개되었다. 조지아 교회의 자율성을 옹호하며, 조지는 고대 콜키스와 이베리아에 대한 성 안드레의 선교를 언급했는데, 이는 중세 조지아 교회의 전통에 나타나는 내용이다.[4]
11세기 초, 자율 가톨리코스였던 멜키세덱 1세(1012~1030년)는 총대주교라는 칭호를 추가했지만, 안티오키아는 12 사도 중 어느 누구도 조지아를 방문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결국 조지는 안티오키아의 테오도시우스 3세를 설득하여 조지아 교회의 자율적 지위를 확인하도록 했다. 이는 비잔티움 제국이 조지아를 복종시키려는 노력을 포기하고 조지아의 바그라트 4세와 화해한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성산 아토스의 조지는 1054년 동-서 분열을 전후하여 로마 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사이의 중재 노력을 기울였다.[8][9] 그는 비잔티움 황제 콘스탄티누스 10세 앞에서 미카일 케룰라리우스가 서방 교회를 비판하는 것에 대해 비난하고, 로마 교회의 무류성을 주장했다.[8][9] 조지아 성직자들, 특히 이비론 수도원의 입장은 그리스보다 더 관대했다.[2][3] 조지는 비잔티움 세계에서 몇 안되는 성직자 중에 한 명이었다.[8][9]
게오르게는 조지아의 바그라트 4세가 조지아 교회를 이끌어 달라는 거듭되는 부탁을 거절했지만,[10] 1057/8년에 5년 동안 조지아로 돌아와 달라는 왕의 초청을 받아들였다. 그곳에서 그는 정화된 교회 위계 제도에 기여하고 왕실 권력과의 관계를 조정하기 위한 교회 개혁을 시작했다.[10]
게오르게는 그리스로 돌아가던 길에 콘스탄티노플을 방문하여 아토스에서 조지아 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황실 칙령을 얻었으나, 1065년 6월 29일 아테네에서 사망했다.[4] 그의 유해는 아토스 산 이베론 수도원에 안치되었다.[2][3] 이후 게오르게는 조지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매년 7월 10일에 그를 기념한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게오르게는 1009년 트리알레티에서 조지아의 남부 지방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8][9] 그의 아버지 야곱은 조지아의 바그라트 3세 왕의 외교관으로 이란에 파견되기도 했다.[8][9] 게오르게는 7세 때 타즈리시의 수도원에서 교육을 시작했고, 3년 후 카쿨리의 수도원으로 옮겨가 교육을 받았다.[8][9] 1022년, 게오르게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유학하여 그리스어와 비잔틴 신학을 공부했다.[8][9] 1034년에 조지아로 귀향한 후, 카쿨리에서 수도자가 되었고, 예루살렘으로 성지 순례를 다녀왔다.[8][9]2. 2. 수도 생활과 성지 순례
게오르게는 1034년에 조지아로 돌아와 카쿨리에서 수도사 서임을 받았다.[2][3] 그 후 예루살렘으로 성지 순례를 떠났고, 안티오케이아 근처의 흑산에서 조지 레클루즈의 제자로 은둔 생활을 했다.[2][3] 1040년, 조지는 그리스 아토스 산의 이비론 수도원에 정착했고, 4년 후, 수사 스테파노스의 사망과 함께 조지는 그의 후계자로 성별되었다. 그는 이비론 수도원을 재조직하고 개조하여 조지아 정교 문화의 활기찬 중심지로 만들었다.1052년에서 1057년 사이, 조지는 이비론 수도원의 책임을 동료 수사에게 맡기고 안티오케이아로 가서 그리스 성직자들에게 이단으로 고발당한 그의 동료들을 변호했다. 이 논쟁은 조지아 정교회의 교회법에 따른 합법성을 놓고 전개되었다.[2][3] 조지는 성 안드레아의 이베리아 선교를 증거로 제시하며 조지아 교회의 자치 독립을 옹호했고, 안티오크의 테오도시우스 3세에게 조지아 교회의 자치 독립 교회 지위를 부여해 달라고 설득했다.[2][3]
1054년 동-서 분열과 대단원보다 앞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 로마 교황의 양극성이 심화되었는데, 조지는 비잔티움 황제 콘스탄티누스 10세가 있는데서 마카일 케룰라리우스가 서방 교회를 비난하는 태도를 한탄하며 슬퍼한 몇 안되는 성직자 중 한 명이였다.[8][9]
조지는 1057/1058년에 조지아로 돌아와 교회 개혁에 착수했다.[4][10]
2. 3. 아토스 산 이베론 수도원 활동
1040년, 조지는 그리스 아토스 산의 이비론 수도원(조지아인의)에 정착했다.[8][9] 1044년, 수사 스테파노스가 사망하자 조지가 그의 뒤를 이어 이베론 수도원의 원장이 되었다.[2][3] 그는 이베론 수도원을 재조직하고 개조하여 조지아 정교회 문화의 활기찬 중심지로 만들었다.1052~1057년 사이에, 조지는 이비론 수도원의 책임자를 그의 동료 수사 올티시의 조지에게 맡기고 떠났고, 그리스의 이단 성직자라고 고발당한 그의 동료들을 총대주교가 지지하기 전에 나타나려고 안티오케이아로 출발했다. 논쟁은 근본적으로 안티오케이아 대주교청의 체계 안에 있는 조지아 정교회의 자주관리권에 대한 교회법에 따른 합법성을 놓고 서둘러 전개됐다. 조지아의 자치 독립 교회를 옹호함에 있어서, 조지는 중세 조지아 성직자 전승의 번역본에 있는 성 안드레아의 고대 콜키스와 이베리아를 향한 선교를 증거로 제시했다. 11세기 초반에, 독립 자치 교회의 가톨리코스 멜치세데크 1세(1012~1030년)가 총대주교의 추가 책명을 맡았지만, 안티오크는 12 사도 중에 아무도 조지아를 여행한 적이 없다며 사도의 그 땅에서의 활동을 인정하기를 꺼려했다. 최종적으로, 조지는 안티오크의 테오도시우스 3세에게 조지아 교회의 자치 독립 교회로의 지위를 부여해 달라고 설득했다. 그 공방이 벌어지던 거의 같은 시간에 비잔티움 당국은 마침내 조지아를 순종시키려 강요하는 노력을 포기했고 조지아의 바그라트 4세와 화해했다.
로마 교황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의 점점더 증가하는 양극성은 1054년의 동-서 분열과 대단원보다 선행했고, 조지아 성직자, 특히 이비론 수도원의 입장은 그리스 보다 더 관대했다. 조지는 비잔티움 황제 콘스탄티누스 10세가 있는데서 로마 교회의 성서 무류설을 들어 마카일 케룰라리우스가 서방 교우들을 향해 큰 소리치고 단언하는 태도를 한탄하며 슬퍼한 비잔티움 세계에서 몇 안되는 성직자 중에 한 명이었다.
2. 4.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와의 논쟁과 조지아 교회의 자율성 확보
1052년에서 1057년 사이에, 하기오리테의 조지는 이비론 수도원의 관리를 그의 동료 수도사인 올티시의 조지에게 맡기고 안티오키아로 갔다. 그곳에서 그는 그리스 성직자들에게 이단으로 고발당한 동료들을 변호하기 위해 총대주교 앞에 섰다.[2][3] 이 논쟁은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 관할 하에 있었으나 6세기부터 점차 독립한 조지아 정교회의 자율성에 대한 정당성을 둘러싸고 빠르게 전개되었다. 조지아 교회의 자율성을 옹호하며, 조지는 고대 콜키스와 이베리아에 대한 성 안드레의 선교를 언급했는데, 이는 중세 조지아 교회의 전통에 나타나는 내용이다.[4]11세기 초, 자율 가톨리코스였던 멜키세덱 1세(1012~1030년)는 총대주교라는 칭호를 추가했지만, 안티오키아는 12 사도 중 어느 누구도 조지아를 방문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결국 조지는 안티오키아의 테오도시우스 3세를 설득하여 조지아 교회의 자율적 지위를 확인하도록 했다. 이는 비잔티움 제국이 조지아를 복종시키려는 노력을 포기하고 조지아의 바그라트 4세와 화해한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2. 5. 동서 교회의 분열과 게오르게의 중재 노력
성산 아토스의 조지는 1054년 동-서 분열을 전후하여 로마 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사이의 중재 노력을 기울였다.[8][9] 그는 비잔티움 황제 콘스탄티누스 10세 앞에서 미카일 케룰라리우스가 서방 교회를 비판하는 것에 대해 비난하고, 로마 교회의 무류성을 주장했다.[8][9]조지아 성직자들, 특히 이비론 수도원의 입장은 그리스보다 더 관대했다.[2][3] 조지는 비잔티움 세계에서 몇 안되는 성직자 중에 한 명이었다.[8][9]
2. 6. 조지아 귀환과 교회 개혁
게오르게는 조지아의 바그라트 4세가 조지아 교회를 이끌어 달라는 거듭되는 부탁을 거절했지만,[10] 1057/8년에 5년 동안 조지아로 돌아와 달라는 왕의 초청을 받아들였다. 그곳에서 그는 정화된 교회 위계 제도에 기여하고 왕실 권력과의 관계를 조정하기 위한 교회 개혁을 시작했다.[10]조지는 안티오케이아 관할구 내에서 운영되었지만 6세기부터 점차 독립하게 된 조지아 정교회의 자율성에 대한 정당성을 두고 그리스 성직자들과 논쟁을 벌였다. 그는 조지아의 자율성을 옹호하면서 성 안드레아의 콜키스와 이베리아 선교를 언급했고, 결국 안티오키아의 테오도시우스 3세를 설득하여 조지아 교회의 자율적 지위를 확인하도록 승인받았다.
동서 분열과 1054년의 데누먼을 앞두고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들의 점차 증가하는 양극화 속에서 조지아 교회, 특히 이비론 수도원의 입장은 그리스 측보다 더 관대했다. 조지는 비잔틴 연방에서 미하일 1세 케룰라리오스가 서방 형제들을 향해 취한 태도를 공공연히 비난하고, 1064년 비잔틴 황제 콘스탄티누스 10세 앞에서 로마 교회의 무오류성을 주장한 몇 안 되는 성직자 중 한 명이었다.[2][3]
그리스로 돌아가는 길에 조지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문하여 아토스에서 조지아 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황실 칙령을 얻었다. 그러나 그는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하고 1065년 6월 29일 아테네에서 사망했고, 아토스 수도사들은 그를 이비론 수도원에 안치했다.
2. 7. 죽음과 시성
게오르게는 그리스로 돌아가던 길에 콘스탄티노플을 방문하여 아토스에서 조지아 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황실 칙령을 얻었으나, 1065년 6월 29일 아테네에서 사망했다.[4] 그의 유해는 아토스 산 이베론 수도원에 안치되었다.[2][3] 이후 게오르게는 조지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매년 7월 10일에 그를 기념한다.3. 유증
조지아의 종교 전승에서 조지의 유산은 매우 크다. 그는 복음서를 개정 번역하고,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아타나시우스, 다마스쿠스의 요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넥타리우스, 티레의 도르테우스 등의 저서를 보다 직역에 가깝게 번역했다.[11][5] 그의 번역본과 원본은 중세 조지아 찬송가, 전례, 성인전의 표준을 세웠다.[11][5] 그의 작업은 아토스의 에우티미우스의 작업을 계승하고 어느 정도 수정하여, 조지아 수도원주의 해외 중심지에서 번성했던 문학 전통의 정점을 찍었다.[12][6]
조지와 그의 아토스 조지아인 동료들의 활동은 기독교인의 실천과 도덕적 삶의 기본 원칙, 그리고 1103년 국왕 다비드 4세의 주재하에 열린 국가 교회 루이시-우르비니시 공의회에서 이후 장려되고 공식적으로 채택된 왕실과 교회의 관계에 대한 토대를 마련했다.[13][7]
"우리 복된 아버지 요한과 에우티미우스의 생애와 그들의 가치 있는 업적에 대한 설명"(ცხოვრება ნეტარისა მამისა ჩუენისა იოანესი და ეფთჳმესი და უწყებაჲ ღირსისა მის მოქალაქობისა მათისაჲ)는 조지가 아토스 선배들에게 헌정한 가장 중요한 원본이다. 이것은 성인전, 종교 및 정치 선전, 역사적 기록을 결합한다. 1040년 이후에 쓰여진 이 아토스 컬렉션의 약 12,000단어로 구성된 원고는 이베론 수도원 공동체의 역사와 찬사, 조지아 교부 문학에 대한 그들의 기여, 그리고 비잔틴 수도원주의의 방어를 담고 있다. 조지의 작품은 정치적, 신학적 메시지 외에도 정원과 포도원에서 일하는 수도승들을 묘사하는 생생한 리듬감 있는 산문으로 유명하다. 1066년, 그가 죽은 지 1년 후, 조지 자신은 그의 제자 소(小) 게오르기우스(또는 사제-수도승 게오르기우스 [1083년 이후 사망])에 의해 유사한 전기(傳記)의 주제가 되었다.[4]
3. 1. 종교 및 문학적 업적
조지아의 종교 전승에 있어서 조지의 유증에 대한 영향력은 거대했다. 그는 복음서의 갱신에 매진했으며 더 축어적으로, 카이사리아의 바실, 니사의 그레고리, 아타나시우스, 다마스쿠스의 요한, 콘스탄티노플의 넥타리우스, 티레의 도론테우스 그리고 그외의 저서들을 번역했다.[11] 그의 번역서들은 원본만큼 중세 조지아의 성가 해설과 서지, 전례, 성인 열전의 표준을 이룬다.[11][5] 그의 작품은 연속되고, 아토스의 에우티미우스의 저서들을 다소 개정한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고, 조지아의 수도원 제도가 외국의 중심에서 번영하는 문학 전승의 고수준을 상징한다.[12][6]조지의 활동과 그의 동료인 아토스산의 조지아인들은 기독교인들의 행실과 도덕적 인생을 위한 기초뿐만 아니라 왕실과 교회의 후일의 관계 증진을 위한 토대 또한 마련해 놧고 1103년에 다비드 4세의 주체 하에 개최된 국가의 성직자의 루이시-우르브니시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3][7]
"저희들의 축복을 받는 선조 요한과 에우티미우스의 삶 그리고 그들의 훌륭한 업적들의 기록"(ცხოვრება ნეტარისა მამისა ჩუენისა იოანესი და ეფთჳმესი და უწყებაჲ ღირსისა მის მოქალაქობისა მათისაჲ)은 게오르기의 가장 중요한 창작품으로 그의 아토스산의 선인들에게 헌정했다. 그 작품은 종교와 정치적인 선전, 그리고 역사적 기록이 결합되었다. 1040년 이후에 얼마 간의 저술로 아토스 전집에 있는 약 12,000 단어의 그 원고는 이비론 공동체의 역사이며 찬양이고, 조지아 교부 문학에 대한 그들의 기여를 반영하고와 비잔티움 수도원 제도를 방어한다. 정치와 신학적인 전보와는 별도로, 조지의 작품은 생생한 리듬의 산문, 정원과 포도원에서 작업하는 수사들을 묘사하는데 있어서 저명하다. 그가 죽은 후, 1066년에, 조지 자신은 그의 제자 미노르의 조지(또는 사제-수사 조지[후기-1083년 죽음])에 의해 비슷한 일대기의 소재가 되었다.[4]
3. 2. 조지아 교회와 사회에 대한 기여
게오르게와 그의 동료인 아토스산의 조지아인들은 기독교인의 실천과 도덕적 삶의 기본 원칙을 확립하고,[7][13] 왕실과 교회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7][13] 이러한 관계는 1103년 다비드 4세가 주재한 루이시-우르비니시 공의회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7][13] 조지아의 종교 전승에서 조지의 유증은 매우 큰데, 그는 복음서를 개정 번역하고,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아타나시우스, 다마스쿠스의 요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넥타리우스, 티레의 도르테우스 등의 저서를 보다 직역에 가깝게 번역했다.[5] 그의 번역본과 원본은 중세 조지아 찬송가, 전례, 성인전의 표준을 세웠다.[5] 그의 작업은 아토스의 에우티미우스의 작업을 계승하고 어느 정도 수정하여, 조지아 수도원주의 해외 중심지에서 번성했던 문학 전통의 정점을 찍었다.[6] "우리 복된 아버지 요한과 에우티미우스의 생애와 그들의 가치 있는 업적에 대한 설명"은 조지가 아토스 선배들에게 헌정한 가장 중요한 원본으로, 성인전, 종교 및 정치 선전, 역사적 기록을 결합한 것이다. 1040년 이후에 쓰여진 이 원고는 이베론 공동체의 역사와 찬사, 조지아 교부 문학에 대한 그들의 기여, 비잔틴 수도원주의의 방어를 담고 있다.[4]3. 3. 주요 저술
조지아의 종교 전승에 있어서 조지의 유증에 대한 영향력은 거대했다. 그는 복음서의 갱신에 매진했으며 더 축어적으로, 카이사리아의 바실, 니사의 그레고리, 아타나시우스, 타마스쿠스의 요한, 콘스탄티노플의 넥타리우스, 티레의 도론테우스 그리고 그외의 저서들을 번역했다. 그의 번역서들은 원본만큼 중세 조지아의 성가 해설과 서지, 전례, 성인 열전의 표준을 이룬다.[11][5] 그의 작품은 연속되고, 에우티미우스의 저서들을 다소 개정한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고, 조지아의 수도원 제도가 외국의 중심에서 번영하는 문학 전승의 고수준을 상징한다.[12][6]"저희들의 축복을 받는 선조 요한과 에우티미우스의 삶 그리고 그들의 훌륭한 업적들의 기록"(ცხოვრება ნეტარისა მამისა ჩუენისა იოანესი და ეფთჳმესი და უწყებაჲ ღირსისა მის მოქალაქობისა მათისაჲ)은 게오르기의 가장 중요한 창작품으로 그의 아토스산의 선인들에게 헌정했다. 그 작품은 종교와 정치적인 선전, 그리고 역사적 기록이 결합되었다. 1040년 이후에 얼마 간의 저술로 아토스 전집에 있는 약 12,000 단어의 그 원고는 이베론 수도원 공동체의 역사이며 찬양이고, 조지아 교부 문학에 대한 그들의 기여를 반영하고와 비잔티움 수도원 제도를 방어한다. 정치와 신학적인 전보와는 별도로, 조지의 작품은 생생한 리듬의 산문, 정원과 포도원에서 작업하는 수사들을 묘사하는데 있어서 저명하다.[4] 1066년에, 그가 죽은 지 1년 후, 조지 자신은 그의 제자 소(小) 게오르기우스(또는 사제-수도승 게오르기우스 [1083년 이후 사망])에 의해 유사한 전기(傳記)의 주제가 되었다.[4]
4. 평가
게오르게 므타츠민델리는 조지아의 종교, 문화, 정치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된다.[5][6][7] 그는 복음서를 개정 번역하고,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아타나시우스 등 여러 저명한 신학자들의 저서를 직역에 가깝게 번역하여 중세 조지아 찬송가, 전례, 성인전의 표준을 세웠다.[5] 그의 번역 작업은 아토스의 에우티미우스의 작업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것으로, 조지아 수도원주의의 해외 중심지에서 번성했던 문학 전통의 정점을 찍었다고 평가받는다.[6]
조지와 그의 아토스 조지아인 동료들의 활동은 기독교인의 실천과 도덕적 삶의 기본 원칙을 확립하고, 1103년 국왕 다비드 4세 주재하에 열린 루이시-우르비니시 공의회에서 장려된 왕실과 교회의 관계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7]
"우리 복된 아버지 요한과 에우티미우스의 생애와 그들의 가치 있는 업적에 대한 설명"(ცხოვრება ნეტარისა მამისა ჩუენისა იოანესი და ეფთჳმესი და უწყებაჲ ღირსისა მის მოქალაქობისა მათისაჲ)은 조지가 아토스 선배들에게 헌정한 중요한 원본으로, 성인전, 종교 및 정치 선전, 역사적 기록을 결합한 것이다. 1040년 이후에 쓰여진 이 원고는 이베론 공동체의 역사와 찬사, 조지아 교부 문학에 대한 그들의 기여, 비잔틴 수도원주의의 방어를 담고 있으며, 정원과 포도원에서 일하는 수도승들을 묘사하는 생생한 리듬감 있는 산문으로 유명하다. 1066년, 그가 죽은 지 1년 후, 조지 자신은 그의 제자 소(小) 게오르기우스(또는 사제-수도승 게오르기우스)에 의해 유사한 전기(傳記)의 주제가 되었다.[4]
5. 추가 문헌
- 기오르기 므타츠민델리/გიორგი მთაწმიდელიka (''Giorgi Mt’ats’mindeli'') in: ქართული ლიტერატურის ისტორია (''History of Georgian Literature'')., 알렉산더 바라미쩨, (1966년 출판). 트빌리시: Sabchota Sakartvelo.
- [http://www.oca.org/FSLivesAllSaints.asp?SID=4&M=6&D=27 Lives of all saints commemorated on June 27: Venerable George of Mt. Athos, Georgian.] Orthodox Church in America.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Athonite Commonwealth: The Spiritual and Cultural Diaspora of Mount Atho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6-07
[2]
논문
Christian Caucasia between Byzantium and Iran: New Light from Old Sources
[3]
서적
Anna Comnena: A Study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Literature of Georgia: A History
Routledge
[5]
웹사이트
Giorgi Atoneli
http://www.georgianb[...]
2007
[6]
서적
The Early Versions of the New Testament: Their Origin, Transmission, and Limit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Georgia
Routledge
[8]
논문
Christian Caucasia between Byzantium and Iran: New Light from Old Sources
[9]
서적
Anna Comnena: A Study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Literature of Georgia: A History
Routledge
[11]
웹사이트
Giorgi Atoneli
http://www.georgianb[...]
2007
[12]
서적
The Early Versions of the New Testament: Their Origin, Transmission, and Limit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Georgia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