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29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29호선은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시작하여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이다. 1981년 신설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노선 변경 및 구간 개통을 거쳤다. 주요 경유지로는 전라남도 화순군,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담양군,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정읍시, 부안군, 김제시, 군산시, 충청남도 서천군, 부여군, 청양군, 예산군, 홍성군, 서산시 등이 있다. 이 도로는 고속도로, 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등 다양한 도로와 교차하며,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도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동구의 교통 - 금남로
    금남로는 광주광역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외치며 저항했던 역사적인 공간이자 민주화운동의 상징적인 장소로서, 민주화 이후에는 민주주의 정신을 기리는 교육 및 역사 체험 공간으로 활용되며 광주 시민들의 삶과 함께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 광주 동구의 교통 -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은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을 잇는 국가지원지방도로, 과거 국도 제60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재정 부족으로 변경되어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경상남도, 부산광역시를 경유한다.
  • 부안군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부안군의 교통 -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3호선은 전라남도 강진군에서 시작하여 충청남도 천안시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1971년 목포 ~ 천안선으로 지정된 후 여러 차례 노선 변경과 구간 개통을 거쳤으며,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국도 제29호선 - 부여 나들목
    부여 나들목은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위치한 서천공주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2009년 서천공주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국도 제29호선과 연결된다.
  • 국도 제29호선 - 동군산 나들목
    동군산 나들목은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에 위치한 서해안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9호선과 연결되며, 1998년 개통 이후 일일 평균 통행량이 변화를 겪었다.
국도 제29호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이름국도 제29호선
대체 이름국도 제29호선
부제보성서산선
총 연장330.4 km
지정일1981년 3월 14일
방향남북
기점전라남도보성군
기점 방향
종점충청남도서산시
종점 방향
주요 경유지
경유 지역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주요 연결 도로
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
국도국도 제1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7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광역시도광주광역시도 제5호선
광주광역시도 제6호선
광주광역시도 제12호선
광주광역시도 제36호선
광주광역시도 제38호선
광주광역시도 제39호선

2. 연혁

1981년 3월 14일, 국도 제29호선 장동 ~ 대산선이 신설되었다.[6] 같은 해 4월 16일에는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에서 서산군 대산면 독곳리까지 153.922 km 구간이 국도로 승격되어 개통되었다.[7] 5월 30일에는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신설된 373 km 구간으로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8] 8월 17일에는 장흥군 장흥읍 대산리에서 화순군 화순읍 훈리까지 46.247 km 구간, 화순군 동면 경치리에서 담양군 담양읍 천변리까지 44.528 km 구간,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에서 용면 용치리까지 19.04 km 구간이 국도로 승격되어 개통되었다.[9]

1986년 5월 22일, 노선 지정 변경으로 화순군 동복면 천변리에서 북면 수리까지 8.7 km 구간의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0] 1987년 5월 26일에는 서산군 해미읍 읍내리, 서산군 서산읍 석림리 ~ 읍내리, 서산군 대산면 대산리, 부여군 규암면 외리 구간의 기존 국도 구간이 폐지되었다.[11] 9월 11일에는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520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700m 구간은 폐지되었다.[12]

1990년 10월 30일, 시점이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에서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으로 변경되면서 '보성 ~ 대산선'이 되었다.[13] 1994년 12월 22일에는 부여군 양화면 입포리에서 서천군 마서면 도삼리까지 21.5 km 구간이 개통되었고, 기존 부여군 양화면 입포리 200m 구간과 서천군 한산면 동산리 700m 구간,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1.2 km 구간은 폐지되었다.[14]

1995년 2월 18일, 청양군 청양읍 벽천리에서 학당리까지 2.75 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2.16 km 구간은 폐지되었다.[15] 1996년 7월 1일, 종점이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변경되면서 '보성 ~ 서산선'이 되었다.[16] 7월 3일에는 서산시 예천동에서 지곡면 화천리까지 11.8 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5.82 km 구간은 폐지되었다.[17]

1997년 1월, 제1신덕교(김제시 부량면 용성리 ~ 월촌동) 900m 구간이 재개축 개통되었고,[18] 9월 26일에는 서산시 지곡면 화천리에서 대산읍 독곶리까지 21 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19] 12월 10일에는 예산군 광시면 하장대리에서 청양군 비봉면 장대리까지 1.48 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1.6 km 구간은 폐지되었다.[20]

1998년 12월 30일, 정읍시 고부면 입석리에서 장문리까지 1.62 km 구간이 개통되었다.[21] 1999년 1월 8일에는 덕안지구 위험도로(정읍시 고부면 덕안리 ~ 입석리) 680m 구간이 개량 개통되고, 기존 730m 구간은 폐지되었다.[22] 11월 8일에는 서산시 해미면 휴암리에서 수석동까지 11.22 km 구간이 개통되었으며,[23] 12월 10일에는 군포교(부안군 백산면 봉석리 ~ 김제시 부량면 옥정리) 2.8 km 구간이 가설 개통되고 기존 2.54 km 구간은 폐지되었다.[24][25]

2001년 1월 13일, 홍성 ~ 갈산간 도로(홍성군 홍성읍 옥암리 ~ 갈산면 운곡리) 11.58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12.6 km 구간은 폐지되었다.[26] 9월 27일에는 화순군 능주면 정남리에서 화순읍 이십곡리까지 9.58 km 구간,[27] 화순군 이양면 강성리에서 춘양면 용두리까지 1.4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28] 9월 28일에는 부여군 임천면 만사리에서 군사리까지 2.86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29] 2002년 6월 30일에는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에서 능주면 정남리까지 3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30]

2005년 11월 14일, 김제시 백산면 석교리에서 군산시 대야면 지경리까지 14.62 km 구간과 군산시 개정면 옥석리에서 운회리까지 1.9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31][32] 12월 22일에는 군산시 개정면 운회리에서 성산면 성덕리까지 6.47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33] 2007년 4월 30일에는 김제시 서암동에서 군산시 대야면 지경리까지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34]

2008년 12월 31일, 홍성남부우회도로(홍성군 홍성읍 고암리 ~ 구항면 황곡리) 6.5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고, 기존 홍성읍내를 통과하는 홍성군 홍성읍 고암리에서 옥암리까지 4.2 km 구간은 폐지되었다.[35] 2009년 1월 23일에는 보성군 미력면 덕림리에서 노동면 신천리까지 5.5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36] 5월 22일에는 보성군 노동면 신천리에서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까지 4.6 km 구간이 임시 개통되었다.[37] 7월 28일에는 보성군 미력면 덕림리에서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까지 10.14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보성군 미력면 도개리에서 노동면 신천리까지 5.26 km 구간은 폐지되었다.[38] 12월 9일에는 화순군 춘양면 용두리에서 한천면 모산리까지 4.6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39] 12월 31일에는 고북우회도로(서산시 고북면 신송리 ~ 신상리) 4.2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서산시 고북면 양천리에서 기포리까지 2.9 km 구간은 폐지되었다.[40]

2010년 1월 11일, 부안 백산우회도로(부안군 백산면 평교리 ~ 용계리) 2.48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41] 2월 12일에는 화순군 이양면 금능리에서 한천면 모산리까지 8.04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42] 4월 26일에는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 ~ 송정리, 품평리 총 3.5 km 구간이 임시 개통되었으며,[43] 11월 11일에는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에서 품평리까지 8.5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44] 11월 17일에는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에서 홍산리까지 2.76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고, 기존 부여군 은산면 신대리에서 홍산리까지 2.3 km 구간은 폐지되었다.[45]

2012년 12월 1일, 도삼지구 위험도로(서천군 마서면 도삼리) 700m 구간이 개량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46] 2013년 12월 24일에는 정읍 ~ 신태인간 도로 1공구(정읍시 용계동 ~ 영원면 후지리) 9.216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47][48] 12월 31일에는 삼산 ~ 금붕간 도로(정읍시 송산동 ~ 금붕동) 1.85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49]

2014년 1월 29일, 부여군 규암면 내리에서 은산면 가중리까지 4.74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고, 기존 부여군 규암면 외리에서 은산면 신대리까지 5.47 km 구간은 폐지되었다.[50] 7월 31일에는 홍성군 갈산면 운곡리에서 서산시 고북면 신송리까지 5.13 km 구간과 서산시 고북면 신상리에서 해미면 조산리까지 2.88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홍성군 갈산면 운곡리에서 서산시 고북면 신송리까지 4.8 km 구간은 폐지되었다.[51] 11월 21일에는 화순 ~ 광주간 도로 및 신너릿재터널(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교리 교차로 ~ 광주광역시 동구 내남동 내지 교차로) 5.7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으며,[52][53] 12월 22일에는 문흥 ~ 보촌간 도로(광주광역시 북구 장등동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보촌리) 2.1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54]

2015년 5월 29일, 규암 우회도로(부여군 장암면 원문리 ~ 규암면 내리) 2.59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고, 기존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에서 규암면 외리까지 2.34 km 구간은 폐지되었다.[55] 12월 31일에는 신태인 ~ 김제간 도로(정읍시 신태인읍 화호리 ~ 김제시 연정동) 7.96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고, 기존 정읍시 신태인읍 화호리에서 김제시 서암동까지 8.9 km 구간은 폐지되었다.[56]

2016년 12월 30일, 청양 ~ 홍성간 도로(청양군 청양읍 군량리 ~ 홍성군 홍성읍 고암리) 23.4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청양군 청양읍 벽천리에서 홍성군 홍성읍 구룡리까지 총 12.72 km 구간은 폐지되었으며,[57][58] 서산 ~ 황금산간 도로(서산시 대산읍 독곶리) 1.86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59][60]

2018년 12월 26일, 정읍 부전 ~ 순창 쌍치간 도로(순창군 쌍치면 신성리 ~ 정읍시 부전동) 7.36 km 구간이 개량 개통되고, 기존 순창군 쌍치면 종곡리에서 방산리까지 1.95 km 구간과 정읍시 부전동 총 5.52 km 구간은 폐지되었다.[61] 2019년 12월 31일에는 순창 쌍치지내 도로(순창군 쌍치면 금평리 ~ 신성리) 6.44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순창군 쌍치면 금평리에서 옥산리까지 760m 구간은 폐지되었다.[62]

2020년 6월 26일, 정읍 ~ 신태인간 도로 2공구(정읍시 영원면 후지리 ~ 부안군 백산면 평교리) 7.52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8.9km 구간은 폐지되었다.[63] 2021년 5월 31일, 연정교차로(김제시 명덕동) 연결 교차로 300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64]

2024년 8월 2일, 전라북도 정읍시 구간 노선이 변경되었다.[65]

3.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 동구 (선교동 · 내남동 · 월남동 · 소태동 · 학동 · 서석동 · 동명동 · 지산동 · 산수동) - 북구 (풍향동 · 우산동 · 두암동 · 각화동 · 문흥동 · 장등동 · 망월동)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3. 1. 전라남도

보성군에서는 남해고속도로국도 제18호선이 만나는 보성 나들목(춘정 교차로)에서 시작한다.[66] 미력면노동면을 지나는데, 노동면의 신기 교차로에서는 예재로와 연결된다.[66]

화순군 이양면에서는 괴화 교차로에서 구례동길 및 괴화동길과 연결되고, 구 쌍봉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843호선 (쌍산의로)과 연결되나 상행만 진출입 가능하다.[66] 송정 교차로에서는 학포로와 연결된다.[66] 이양면청풍면 경계에 있는 금능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개기로)과 중복된다.[66] 청풍면의 입교 교차로에서는 차풍로 및 학포로와 연결된다.[66]

춘양면에서는 용두터널을 지나는데,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과 중복된다.[66] 석정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개천로)과 분기하고, 춘양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818호선 (춘양로)과 연결되지만 상행 진출 및 하행 진입은 불가능하다.[66]

한천면에서는 모산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822호선 (학포로)과 연결된다.[66] 능주면에서는 능주 교차로와 만수교에서 학포로와 연결되지만, 만수교에서는 상행 진출 및 하행 진입이 불가능하다.[66] 백암교에서는 학포로 및 백암길과 연결되고, 백암 교차로에서 다시 학포로와 연결된다.[66]

화순읍에서는 화순 나들목에서 국도 제22호선 (화순로)과 중복되며, 화순소방서 부근에서 학포로와 연결되는 대리교 구간도 국도 제22호선과 중복된다.[66] 대리2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오성로), 서양로, 칠충로와 연결되며, 이 구간은 국도 제22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중복된다.[66] 교리 나들목에서는 국도 제2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화보로), 서양로, 쌍충로와 연결되는데, 이 역시 국도 제22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중복되며 상행 진출 및 하행 진입은 불가능하다.[66] 신너릿재터널을 지나면 광주광역시로 진입한다.

3. 2.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구간은 동구 선교동, 내남동, 월남동, 소태동, 학동, 서석동, 동명동, 지산동, 산수동과 북구 풍향동, 우산동, 두암동, 각화동, 문흥동, 장등동, 망월동을 지난다.[66]

동구에서는 신너릿재터널을 통해 화순군에서 광주광역시로 진입한다. 내지 교차로에서 국도 제22호선 (남문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만나 중복되며, 지원 교차로에서 제2순환로와 교차한다. 소태역 교차로(소태역시외버스정류소)에서는 지원로, 남문로587번길과 연결되며, 학동삼거리(학동·증심사입구역)에서는 의재로, 남문로701번길과 만난다. 남광주 교차로(남광주역)에서는 국도 제2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대남대로), 제봉로와 교차하며, 조선대입구(조선대학교)에서는 서남로와 연결된다. 지산사거리에서는 동명로, 산수오거리에서는 경양로, 광주광역시도 제5호선(무등로)과 교차한다.

북구에서는 두암지구입구에서 갈마로와 만나고, 풍향삼거리에서는 군왕로와 연결된다. 광주교육대학교를 지나 서방사거리에서 서암대로, 광주광역시도 제6호선(중앙로)과 교차하며, 서방삼거리에서는 서양로와 만난다. 동강대학교, 광주동신중학교, 광주동신고등학교를 지나 말바우사거리에서 광주광역시도 제38호선(서방로)과 교차한다. 문화동시외버스정류장을 지나, 우산119안전센터와 무등도서관사거리(광주광역시도 제39호선(면앙로))를 거쳐 문흥지구입구에서 광주광역시도 제36호선(서하로)과 만난다. 동광주 나들목(문화사거리)에서 호남고속도로각화대로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광주농산물도매시장, 광주화물터미널을 지나 군왕로, 오문로, 도동로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석곡동 행정복지센터를 거쳐 망월교를 통해 담양군으로 이어진다.[66]

3. 3.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시작된 국도 제29호선은 화순군을 지나 광주광역시 동구와 북구를 통과한다. 이후 전라남도 담양군으로 이어져 고서면, 봉산면, 무정면, 담양읍, 용면을 지난다.

광주광역시 구간에서는 국도 제22호선과 중복되며, 동구에서는 광주 2순환로, 조선대학교를 지난다. 북구에서는 광주교육대학교, 동강대학교, 광주농산물도매시장, 광주화물터미널 등을 지난다.

담양군 구간은 고서면의 원강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887호선과 교차하고, 봉산면의 연동 교차로에서 다시 지방도 제887호선과 만난다. 무정면을 지나 담양읍에서는 광주-대구 고속도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5호선과 중복된다. 담양공용버스터미널, 죽녹원 등을 지나 용면의 추성삼거리에서 지방도 제897호선과 교차하고, 용치삼거리에서 지방도 제792호선과 교차한다. 이후 천치재를 넘어 전라북도로 이어진다.

이름한글 이름연결 도로위치비고
(이름 없음)(이름 없음)지방도 제60호선/지방도 제60호선한국어
(창평현로)
담양군고서면/고서면한국어
보촌대교보촌대교지방도 제55호선/지방도 제55호선한국어 중복
원강 교차로/원강 교차로한국어원강 교차로지방도 제887호선/지방도 제887호선한국어
(가사문항로)
지방도 제55호선/지방도 제55호선한국어, 887호선 중복
유산 교차로/유산 교차로한국어유산 교차로송강정로
유산교유산교봉산면/봉산면한국어
연동 교차로/연동 교차로한국어연동 교차로지방도 제887호선/지방도 제887호선한국어
(가마골로)
기곡 교차로/기곡 교차로한국어기곡 교차로창평로지방도 제55호선/지방도 제55호선한국어 중복
제월 교차로/제월 교차로한국어제월 교차로영천성도길
제월길
무정면/무정면한국어
제월교제월교
담양읍/담양읍한국어
담양 나들목/담양 나들목한국어
(담양공고 교차로)
담양 나들목
(담양공고 교차로)
광주대구고속도로
백동사거리/백동사거리한국어백동사거리국도 제24호선
(죽향문화로)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5호선
지방도 제15호선/지방도 제15호선한국어
지방도 제887호선/지방도 제887호선한국어
(무정로)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24호선 중복
지방도 제55호선/지방도 제55호선한국어, 887호선 중복
담양읍삼거리/담양읍삼거리한국어담양읍삼거리국도 제24호선
지방도 제55호선/지방도 제55호선한국어
(죽향대로)
동운삼거리/동운삼거리한국어동운삼거리지침6길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5호선 중복
지방도 제15호선/지방도 제15호선한국어, 887호선 중복
담양공용버스터미널/담양공용버스터미널한국어담양공용버스터미널
중파사거리/중파사거리한국어중파사거리국도 제13호선
지방도 제15호선/지방도 제15호선한국어
지방도 제887호선/지방도 제887호선한국어
(추성로)
담양동초등학교/담양동초등학교한국어담양동초등학교
신남정사거리/신남정사거리한국어신남정사거리죽녹원로
추성로
향교교향교교객사3길
연화길
향교길
담양종합체육관/담양종합체육관한국어
전남도립대학교/전남도립대학교한국어
죽녹원/죽녹원한국어
담양종합체육관
전남도립대학교
죽녹원
죽녹원후문 교차로/죽녹원후문 교차로한국어죽녹원후문 교차로죽향문화로
담양에코하이테크농공단지/담양에코하이테크농공단지한국어담양에코하이테크농공단지태봉로
장천교장천교
용면/용면한국어
추성교/추성교한국어추성교
추성삼거리/추성삼거리한국어추성삼거리지방도 제897호선/지방도 제897호선한국어
(추령로)
용면사무소/용면사무소한국어용면사무소
도림리/도림리한국어도림리금성산성길
추월산터널/추월산터널한국어추월산터널약 146m
담양호국민관광단지/담양호국민관광단지한국어
작은부래기재
용치교/용치교한국어
담양호국민관광단지
작은부래기재
용치교
용치삼거리/용치삼거리한국어용치삼거리지방도 제792호선/지방도 제792호선한국어
(가마골로)
지방도 제792호선/지방도 제792호선한국어 중복
천치재/천치재한국어천치재지방도 제792호선/지방도 제792호선한국어 중복
해발 347m
전라북도로 이어짐


3. 4.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에서 쌍치면까지 구간은 지방도 제792호선과 중복되며, 천치재는 해발 347m이다.[66] 쌍치면에서는 국도 제21호선과 중복되는 구간이 있으며, 쌍갈매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과 만난다.[66] 이후 옥산 교차로, 시산 교차로, 둔전 교차로, 중안 교차로, 탕곡 교차로를 거쳐 신성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과 교차한다.[66] 방산 교차로까지 국도 제21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된다.[66] 개운치터널(연장 2,205m)을 지나 정읍시로 진입한다.[66]

정읍시 내장상동에서는 운암교, 백석교를 지나 백석 교차로에서 순정로와 만나고, 부무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칠보산로)과 교차한다.[66] 부전동, 금붕동을 거쳐 송산2 교차로에서 국도 제1호선 (정읍대로)과 교차한다.[66] 이후 시기동을 지나 내장사거리, 정읍고등학교, 달하다리, 초산교사거리, 정주교사거리를 통과한다.[66] 연지동에서는 샘골다리사거리, 죽림교삼거리를 지나 연지교에서 서부산업도로와 만난다.[66] 하모동에서는 정읍 나들목을 통해 고속도로로 진입할 수 있다.[66] 공평동, 용계동을 지나 주천삼거리에서 국도 제22호선 (소성로)과 교차한다.[66]

고부면에서는 만수 교차로, 고부터널(연장 370m), 두승교, 입석터널(연장 200m), 입석 교차로를 거쳐 고부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710호선 (영주로)과 만난다.[66] 영원면에서는 성지 교차로, 효문 교차로를 지나 영원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736호선(구파로)과 교차한다.[66] 백양 교차로를 지나 도천교를 건너면 부안군 백산면이다.[66]

부안군 백산면에서는 대죽 교차로, 봉동교, 평교교를 지나 평교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705호선(지운로)과 교차한다.[66] 이후 오곡교, 거룡교를 지나 백산 교차로에서 국도 제30호선 (하원로)과 만나 중복된다.[66]

김제시 부량면에서는 군포교를 건너 옥정 교차로에서 국도 제30호선 (석지로) 및 지방도 제711호선(죽백로)과 교차한다.[66] 화호천교, 대장교, 금신교, 금화교를 지나 벽골제 교차로에서 신흥로와 만난다.[66] 이후 제1포교, 수월 교차로, 아리랑 교차로를 거친다. 교월동에서는 연정 교차로에서 국도 제23호선 (월죽로)과 만나 중복되며, 신곡 교차로에서 국도 제23호선 (아리랑로)과 분기한다.[66]

백산면에서는 신평천교, 석교교를 지나 후석 교차로에서 석교로와 만난다.[66] 만경읍에서는 대동교를 지나 내죽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702호선(능제로)과 교차한다.[66] 청하면에서는 월송교, 거산교, 신금1교, 신금2교를 지나 신금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711호선(만경로)과 교차하고, 갈산교와 청하대교를 지난다.[66]

군산시 대야면에서는 상리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744호선(남군산로)과 만나고, 동군산 나들목(대야 교차로)에서 서해안고속도로국도 제21호선 (새만금북로)과 교차한다.[66] 개정면에서는 옥석육교, 신기교를 지나 개정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새만금북로)과 분기하고, 최호장군 교차로에서 국도 제26호선 (번영로)과 교차한다.[66] 이후 송호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709호선(송호로, 아동남로)과 만나고, 호덕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7호선 (구암로)과 교차한다.[66] 성산면에서는 중흥육교, 군산역 교차로를 지나 하구둑사거리에서 지방도 제709호선(철새로) 및 강변로와 만나고, 금강하구둑을 건너 충청남도로 이어진다.[66]

김제시 연정 교차로에서 신곡 교차로까지는 국도 제23호선과 중복되는 자동차 전용도로(아리랑로) 구간이다.[66] 김제시 신곡 교차로에서 군산시 대야 교차로까지는 자동차 전용도로(금만로) 구간이다.[66] 군산시 대야 교차로에서 개정 교차로까지는 자동차 전용도로(새만금북로) 구간이다.[66]

3. 5. 충청남도

금강하구둑에서 국도 제21호선과 분기하여 서천군 마서면, 화양면, 기산면, 한산면을 지난다.[66] 동서천 나들목에서는 서해안고속도로서천공주고속도로가 교차한다.[66] 이후 부여군 양화면, 임천면, 장암면, 규암면을 거쳐 부여 나들목에서 서천공주고속도로와 다시 교차하고, 은산면을 지난다.[66]

청양군 남양면, 청양읍을 지나 벽천 교차로에서 국도 제36호선과 중복된다.[66] 송방 교차로까지 국도 제36호선과 중복되며, 이후 비봉면을 지난다.[66]

예산군 광시면을 지나 홍성군 장곡면, 홍동면, 홍성읍을 거치며, 고암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과 중복된다.[66] 마온 교차로까지 국도 제21호선과 중복되며, 구항면, 갈산면을 지난다.[66] 홍성 나들목에서는 서해안고속도로국도 제40호선이 교차하며, 상촌 교차로까지 국도 제40호선과 중복된다.[66]

서산시 고북면, 해미면을 지나 해미 교차로에서 국도 제45호선과 교차하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66] 음암면, 수석동, 석림동, 석남동, 예천동, 읍내동, 인지면, 갈산동, 성연면, 지곡면, 대산읍을 지난다.[66] 예천사거리에서는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77호선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계속 중복된다.[66] 일람 교차로에서 국도 제32호선과 분기하며, 지곡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분기한다.[66] 이후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되며, 명지사거리에서 국도 제38호선과 교차한다.[66] 화곡 교차로까지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되며, 대산읍 독곶리에서 끝난다.[66]

4. 노선


'''IS''': 교차로, '''IC''': 분기점

;고속도로
;국도
;국가지원지방도

4. 1. 전라남도 (보성군 ~ 화순군)

보성 나들목(춘정 교차로)에서 남해고속도로국도 제18호선 (송재로, 화보로)이 분기하며 국도 제29호선이 시작된다.[66] 보성군 미력면을 지나 노동면에 있는 녹차터널(상행 연장 335m, 하행 연장 365m)과 신기 교차로, 예재터널(상행 연장 830m, 하행 연장 740m)을 지난다.

화순군 이양면에 들어서면 분자과선교(상행)와 람덕과선교(하행), 람덕터널(상행, 연장 570m), 괴화 교차로, 구 쌍봉 교차로(지방도 제843호선 분기, 상행만 진출입 가능), 송정졸음쉼터(하행 전용), 송정 교차로(학포로), 이양터널(연장 445m), 이양 교차로(지방도 제839호선, 학포로 분기), 금능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분기)를 지난다.[66] 금능 교차로부터 입교 교차로까지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과 중복된다.

청풍면 입교 교차로(차풍로, 학포로 분기)를 지나 춘양면에 있는 용두터널(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과 중복, 연장 280m), 석정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분기), 춘양 교차로(지방도 제818호선 분기,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를 거쳐 한천면 모산 교차로(지방도 제822호선 분기)를 지난다.[66]

능주면에서는 능주 교차로(학포로), 만수교(학포로,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백암 교차로(학포로)를 지난다. 화순읍에 들어서면 화순 나들목(국도 제22호선 분기)을 지나 대리2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분기)까지 국도 제22호선과 중복된다.[66] 화순소방서 앞을 지나며, 이 구간은 대리교 구간으로 국도 제22호선과 중복된다. 대리2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오성로)과 서양로, 칠충로가 분기하며, 국도 제22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중복된다. 교리 나들목(국도 제2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분기,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에서 국도 제22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중복이 해제되고, 신너릿재터널(상행 연장 760m, 하행 연장 770m)을 지난다.[66]

2014년 이전에는 교리 나들목에서 너릿재터널(상행 615m, 하행 420m)을 경유하는 노선이었다.

4. 2.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담양군)

광주광역시 구간은 신너릿재터널에서 시작하여 동구와 북구를 지난다. 동구에서는 내지 교차로에서 국도 제2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교차하며, 지원 교차로에서는 제2순환로 (광주)와 만난다.[66] 남광주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2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대남대로, 제봉로와 교차한다.[66] 북구에서는 서방사거리에서 서암대로 및 중앙로와 교차하고, 동광주 나들목(문화사거리)에서 호남고속도로각화대로로 진입할 수 있다.[66]

이후 도로는 담양군으로 이어져 고서면, 봉산면, 무정면, 담양읍, 용면을 지난다. 고서면 보촌대교 남단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만나고, 원강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887호선과 교차한다.[66] 봉산면 연동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887호선과 다시 만난다.[66] 담양읍에서는 백동사거리에서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2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지방도 제887호선과 교차하며, 담양읍삼거리에서 국도 제2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교차하고, 중파사거리에서 국도 제1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지방도 제887호선과 교차한다.[66] 용면에서는 추성삼거리에서 지방도 제897호선과 교차하고, 용치삼거리에서 지방도 제792호선과 만난다.[66]

2014년 이전에는 동구 너릿재터널(상행 615m, 하행 420m)에서 지원 교차로까지 다른 경로로 운행되었다.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5] 문서 2回の経由する。
[6] 법률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7호 http://theme.archive[...] 1981-04-16
[8]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1호 http://theme.archive[...] 1981-05-30
[9] 간행물 광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2호 http://theme.archive[...] 1981-08-17
[10]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222호 http://theme.archive[...] 1986-05-22
[1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5호 http://theme.archive[...] 1987-05-26
[1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31호 http://theme.archive[...] 1987-09-11
[13] 법률 대통령령 제13154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0-10-30
[1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4-243호 http://theme.archive[...] 1994-12-22
[1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5-32호 http://theme.archive[...] 1995-02-18
[16] 법률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6-189호 http://theme.archive[...] 1996-07-03
[1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231호 http://theme.archive[...] 1997-10-08
[1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294호, 제1997-301호 http://theme.archive[...] 1997-09-26
[2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404호 http://theme.archive[...] 1997-12-10
[2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335호 http://theme.archive[...] 1999-01-05
[2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호 http://theme.archive[...] 1999-01-08
[23]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37호 http://theme.archive[...] 1999-11-08
[2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06호 http://theme.archive[...] 1999-12-22
[25]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9호 http://theme.archive[...] 2000-01-24
[2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5호 http://gwanbo.mois.g[...] 2001-01-13
[2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188호 http://gwanbo.mois.g[...] 2001-10-22
[2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36호 http://gwanbo.mois.g[...] 2002-01-02
[2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04호 http://gwanbo.mois.g[...] 2001-09-27
[30]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18호 http://gwanbo.mois.g[...] 2002-07-09
[3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182호 2005-11-14
[3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181호 2005-11-14
[3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15호 http://www.jeonbuk.g[...] 2005-12-13
[3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51호 http://www.jeonbuk.g[...] 2007-04-30
[3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248호 2008-12-31
[3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4호 http://gwanbo.mois.g[...] 2009-01-16
[3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85호 http://gwanbo.mois.g[...] 2009-05-14
[3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131호 http://gwanbo.mois.g[...] 2009-07-29
[3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228호 http://gwanbo.mois.g[...] 2009-12-10
[4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279호 http://www.chungnam.[...] 2009-12-31
[4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고시 제2009-238호 http://gwanbo.mois.g[...] 2009-12-24
[4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9호 http://gwanbo.mois.g[...] 2010-02-01
[4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45호 http://gwanbo.mois.g[...] 2010-04-26
[4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55호 http://gwanbo.mois.g[...] 2010-11-10
[4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75호 http://gwanbo.mois.g[...] 2010-11-24
[4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194호 http://gwanbo.mois.g[...] 2012-12-03
[4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26호 http://gwanbo.mois.g[...] 2013-12-26
[4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27호 http://gwanbo.mois.g[...] 2013-12-26
[4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29호 http://icmo.molit.go[...] 2013-12-31
[5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5호 http://gwanbo.mois.g[...] 2014-01-28
[5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35호 http://gwanbo.mois.g[...] 2014-07-30
[5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59호 http://gwanbo.mois.g[...] 2014-11-20
[53] 문서 실제 터널 개통은 11월 14일
[5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72호 http://gwanbo.mois.g[...] 2014-12-23
[5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61호 http://gwanbo.mois.g[...] 2015-05-21
[5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202호 http://gwanbo.mois.g[...] 2016-01-04
[5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87호 http://gwanbo.mois.g[...] 2016-12-30
[5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88호 http://gwanbo.mois.g[...] 2016-12-30
[5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89호 http://gwanbo.mois.g[...] 2016-12-30
[6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65호 http://gwanbo.mois.g[...] 2017-06-13
[6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33호 http://gwanbo.mois.g[...] 2018-12-24
[6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271호 http://gwanbo.mois.g[...] 2019-12-30
[6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94호 http://gwanbo.mois.g[...] 2020-07-31
[6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144호 https://gwanbo.go.kr[...] 2021-05-31
[6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4-395호 https://www.gwanbo.g[...] 2024-08-02
[66]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