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혜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혜랑은 1936년 경상남도 출생으로, 좌익 운동가였던 부모를 따라 195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월북했다.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작가로 활동하며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을 양육했다. 1996년 제네바에서 망명하여 수기 《소식을 전합니다》와 회고록 《등나무집》을 출간했으며, 아들 이한영은 1997년 대한민국에서 피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 - 이태준
    이태준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로, 섬세한 문체와 서정적인 분위기로 현실을 그린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으며, 특히 1930년대 〈달밤〉, 〈까마귀〉, 〈복덕방〉 등의 작품으로 한국 단편소설의 미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월북 후 숙청되어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 김일성종합대학 동문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김일성종합대학 동문 - 강성산
    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 창녕 성씨 - 성혜림
    성혜림은 일제강점기 조선 출신으로 배우로 활동하다 김정일과의 관계를 통해 북한 사회에서 주목받았으며, 김정남을 낳았으나 김일성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고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 창녕 성씨 - 성완종
    성완종은 경남기업 회장과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이었으나, 공직선거법 위반, 사기 및 횡령 혐의로 기소되어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비리 의혹 수사 중 자살했고, 사망 후 공개된 '성완종 리스트'가 정치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성혜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Seong Hyerang
출생일1935년 12월 20일
직업작가
국적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태어난곳), 영국(망명지)
가족 관계
부모아버지 성유경, 어머니 김원주
형제자매여동생 성혜림, 오빠 성일기
자녀아들 이한영(보물), 딸 리남옥
친척며느리 김종은, 손녀 이예인

2. 생애

성혜랑은 1936년 1월 14일(음력 12월 20일) 경상남도의 지주 집안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모두 좌익 운동을 했던 성유경과 김원주이다. 서울에서 이화여자고등학교를 다니다 1950년 부모를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6]

김일성종합대학 졸업 후 작가로 활동했으며, 망명 후에는 대한민국에서 수기 《소식을 전합니다》(1999)와 회고록 《등나무집》(2000)을 출간했다.[6] 이 책들에는 김용준, 배운성, 이정수 부부 등 월북 예술인들에 대한 일화가 담겨 있다.

남편 이태순과의 사이에 1남 1녀(리일남, 리남옥)를 두었다. 아들 이한영은 1982년 대한민국으로 망명했으나 1997년 피살되었다.[6]

성혜랑의 여동생 성혜림김정일과 비밀리에 관계를 맺었고, 1971년 성혜랑은 김정일에게서 이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다. 이후 성혜랑은 김정남을 양육하게 되었고, 김일성에게 이 사실이 알려지지 않도록 평양과 청산구역 등지에서 생활하며 제네바, 모스크바 등지로 해외여행을 가기도 했다.[1][2]

1982년 아들 이한영이 대한민국으로 망명하고, 10년 후 딸 리남옥도 뒤따랐다.[1] 성혜랑은 1996년 제네바에서 망명하여 현재 유럽의 모처에서 거주 중이다.[1][2]

2. 1. 월북 이전

成蕙琅|성혜랑중국어은 1936년 1월 14일(음력 12월 20일)에 태어났다. 경상남도의 지주 집안 출신으로 부부가 함께 좌익 운동을 했던 성유경(1905년~1982년 4월 13일)과 김원주(1908년 1월 23일(음력 12월 20일)~1994년 11월 3일)의 맏딸이다. 서울에서 이화여자고등학교를 다니다가 부모의 월북에 동행하여 195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6] 그녀의 아버지는 정치적인 이유로 북한으로 이주한 부유한 대한민국의 지주였으며, 어머니는 북한 관영 신문인 ''로동신문''의 편집자였다.[1][2]

2. 2. 월북 이후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혁명전위〉(1974) 등 단편소설 위주의 작품 활동을 했다. 망명한 뒤 대한민국에서 출간한 수기 《소식을 전합니다》(지식나라, 1999), 회고록 《등나무집》(지식나라, 2000)이 있다.[6]

이들 수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작가 생활을 한 성혜랑이 가까이에서 직접 본 월북 예술인들에 대한 일화가 실려 있어, 소식을 알 수 없던 김용준을 비롯하여 배운성과 이정수 부부 등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가 알려지기도 했다.

남편 이태순과의 슬하에 1남 1녀로 리일남과 이남옥을 두었으나, 대한민국으로 망명하여 이한영으로 이름을 바꾼 아들은 1997년 2월 25일 경기도의 집 앞에서 피살되었다.[6] 이한영씨의 피살은 북한 공작원의 소행으로 추정되고 있다. 다만 주성하 기자는 이한영의 죽음이 러시아 마피아의 소행일지도 모른다며 가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 출생 이후, 5년 뒤 혜랑은 김정남의 양육을 맡게 되었다. 김정일은 아들의 출생 비밀이 드러날까 두려워 학교에 보내려 하지 않았다. 혜랑은 그 집에 들어가 살았고, 아들 이한영과 딸 이남옥도 데려와 김정남이 외롭지 않게 함께 살게 했다. 그들의 삶은 김정일에 의해 세심하게 관리되었으며, 김일성이 김정일의 지속적인 관계를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동 평양이나 청산구역의 거주지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고, 가끔 제네바모스크바로 해외 여행을 가기도 했다.[1][2]

2. 3. 망명과 그 이후

1982년 9월 28일, 성혜랑의 아들 리일남이 대한민국으로 망명했다. 10년 후 딸 리남옥도 뒤따랐다.[1] 1996년 2월 성혜랑 본인은 제네바에서 망명했으며, 약, 일기장, 안톤 체호프의 단편집 한 권만을 소지하고 있었다.[3] 망명 후, 신변의 위협을 느껴 정체불명의 일본인 여성과 함께 유럽 시골에 은신했다. 다음 해 아들 이한영대한민국 경기도 자택 근처에서 신원 미상의 괴한에게 총격을 받아 사망했다.[1][2] 이한영의 피살은 북한 공작원의 소행으로 추정되고 있다. 다만 주성하 기자는 이한영의 죽음이 러시아 마피아의 소행일지도 모른다며 가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성혜랑은 현재 유럽의 공개되지 않은 곳에 거주하고 있다.[1][2]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
아버지성유경1905년1982년 4월 13일
어머니김원주1908년 1월 23일(음력 12월 20일)1994년 11월 3일
오빠성일기1933년2021년 8월 27일
여동생성혜림1937년 3월 6일(음력 1월 24일)2002년 5월 18일
아들리일남[1][2]1960년 4월 2일1997년 2월 25일
이남옥[1][2]1966년 1월 17일
며느리김종은1969년
손녀이예인1990년 2월 21일



성혜랑의 아버지는 정치적인 이유로 북한으로 이주한 부유한 대한민국의 지주였으며, 어머니는 북한 관영 신문인 로동신문의 편집자였다.[1]

4. 저서


  • 등나무집한국어 (지식나라, 2000년) ISBN 89-8375-538-5
  • 北朝鮮はるかなり―金正日官邸で暮らした20年|아득한 북조선 - 김정일 관저에서 보낸 20년일본어 (분게이슌주文藝春秋일본어, 2001년) ISBN 4163571604

참조

[1] 간행물 Secret Lives https://web.archive.[...] 2003-06-23
[2] 뉴스 http://www.dailynk.c[...] 2007-02-26
[3] 뉴스 Out of a hidden palace: A memoir of North Korea https://web.archive.[...] 2007-10-29
[4] 뉴스 김정일 연구 <1부> 인간 김정일―⑤가족과 후계구도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5-01-26
[5] 웹사이트 http://news.joins.co[...]
[6] 간행물 김정일·김정남 愛憎의 父子관계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