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낭크 수도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낭크 수도원은 1148년 프랑스 프로방스에 설립된 시토회 수도원이다. 로마네스크 양식의 건축물로, 수도원 교회, 회랑, 기숙사, 참사회실, 칼레팩토리 등을 갖추고 있으며, 13~14세기 번성기를 거쳐 종교 전쟁과 프랑스 혁명을 겪으며 쇠퇴했다. 19세기 이후 재건되어 현재는 라벤더 재배와 꿀 생산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수도사들의 공동체로 운영되고 있으며, 방문객들에게 개방되어 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교회당 - 클뤼니 대수도원
클뤼니 대수도원은 910년 아키텐 공작 기욤 1세가 설립한 베네딕토회 수도원으로, 그레고리오 개혁 지지와 강력한 중앙 집권적 조직을 통해 중세 유럽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프랑스 혁명 시기에 파괴되어 일부만 남아있다. - 프랑스의 수도원 - 그랑드 샤르트뢰즈
그랑드 샤르트뢰즈는 프랑스 알프스 산맥에 위치한 카르투시오회 수도원으로, 1084년 성 브루노와 그의 추종자들이 설립하였으며 엄격한 규율과 침묵 속에서 기도와 묵상에 전념하는 장소이자, 샤르트뢰즈 리큐어 생산으로도 유명하며 외부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된다. - 프랑스의 수도원 - 몽생미셸섬
몽생미셸 섬은 프랑스 노르망디 지역에 위치한 바위 섬으로, 조수 간만의 차에 따라 섬이 되기도 하고 육지와 연결되기도 하며, 8세기 초 예배당 건설을 시작으로 수도원이 건립되었고, 197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세낭크 수도원 | |
---|---|
개요 | |
![]() | |
위치 | 프랑스 프로방스 고르드 인근 |
종파 | 시토회 |
건축 양식 | 로마네스크 건축 |
역사 | |
설립 연도 | 1148년 |
설립자 | 시토회 수도사 |
역사적 사건 | 1544년: 발도파 공격으로 수도사 살해 및 파괴 1903년: 수도원 매각 1926년: 재건축 현재: 수도원 공동체 재건 |
건축 및 특징 | |
주요 건축물 | 교회 회랑 수도사 숙소 예배당 |
특징 | 단순하고 엄격한 로마네스크 양식 라벤더 밭으로 유명 |
기타 정보 | |
관련 정보 | 고르드 |
2. 역사
시토 수도원의 규칙에 따라 수도원 교회, 회랑, 기숙사, 참사회실, 필사실로 쓰인 '''칼레팩토리''' 등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의 구조물들이 세워졌다. 식당은 17세기에 추가되었다. 회랑 아케이드 기둥의 주두는 단순한 잎 형태로 만들어졌다.
수도원 교회는 타우 십자 형태이며, 앱스가 외부 벽 너머로 돌출되어 있다. 좁은 계곡 때문에 교회의 성가대 평면도#전례 동쪽 끝은 북쪽을 향한다.
실바칸 수도원, 르 토로네 수도원과 함께 세낭크 수도원은 "프로방스의 세 자매"로 불린다.
2. 1. 초기 설립 (1148년 - 13세기)
1148년, 카바용의 알팡 주교와 바르셀로나 백작이자 프로방스 백작인 라몬 베렝게르 2세의 후원으로, 아르데슈에 있는 마잔 수도원에서 온 시토회 수도사들이 세낭크 수도원을 설립했다.[2] 가난한 수도사들은 임시 오두막집에서 첫 공동체 생활을 시작했다. 1152년까지 공동체는 이미 회원이 많아져 세낭크 수도원은 비비에 교구에 샹봉 수도원을 세울 수 있었다.[2]젊은 공동체는 시미안-라-로통드의 영주들에게서 후원자를 찾았고, 그들의 지원으로 1178년에 봉헌된 수도원 교회를 지을 수 있었다.[2]
2. 2. 번영과 쇠퇴 (14세기 - 18세기)
13세기와 14세기에 세낭크는 절정에 달해 4개의 방앗간, 7개의 수도원 농장을 운영하고 프로방스에 광대한 영지를 소유했다.[2] 이는 수도원이 청빈 서약과 맞지 않는 재산을 축적했음을 보여준다.1509년, 첫 번째 '''코멘담''' 수도원장이 임명되면서 수도 공동체는 쇠퇴하기 시작했고, 세낭크의 수도사 수는 약 12명으로 줄었다.[2] 14세기에 수도원은 쇠퇴하여 신입 수도사 모집이 줄고, 규율이 느슨해졌다.[2]
위그노 전쟁 중인 1544년, 수도사들은 교수형에 처해졌고, 건물은 발도파에 의해 불태워졌다.[2] 평신도 형제들의 숙소가 파괴되었고 수도원이 약탈당했다.
17세기 말, 세낭크에는 단 2명의 종교인만 남아있었다.[2]
프랑스 혁명 당시인 1791년, 수도원의 토지는 국유화되었고, 남아 있던 수도사들은 추방되었으며, 세낭크는 개인에게 매각되었다.[2] 이는 종교 탄압의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2. 3. 재건과 현대 (19세기 - 현재)
1854년, 트라피스트 수도회보다 덜 엄격한 규칙을 따르는 무염시태 시토 수도사 공동체를 위해 이곳이 다시 구매되었다. 1903년, 종교적 집회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수도사들은 수도원에서 추방되었고,[2] 칸 근처 생토노라 섬에 있는 수도회의 본부인 레랭 수도원으로 떠났다.1926년까지 세낭크에서 종교 생활은 재개되지 않았고, 레랑스 수도원 부속의 작은 수도원이었다.[2] 1969년, 수도원 유지비를 마련할 수 없었던 5명의 수도사들은 레랑 섬에 있는 모 수도원으로 은퇴하기 위해 세낭크를 떠났다.[3] 레랑 수도원 원장과 문화 센터를 만들 장소를 찾던 폴 베르리에사(자동차 회사, 현재는 르노에 인수) 사이에 산업 후원 협정이 체결되었고, 베르리에사는 30년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 수도원은 세낭크에서의 신앙 모습을 보존하고, 건물을 복구 및 유지하며, 계약 종료 전에 수도사들이 돌아올 수 있도록 위탁했다. 베르리에사가 절반 출자한 사업에서는 수도원이 지어졌던 시대의 재료와 기법이 지켜졌다.[3]
1988년, 레랑 수도원에서 새로운 작은 수도사 공동체가 세낭크로 왔다.[4] 2012년에는 10명이 살았고, 세낭크는 레랑 수도원으로부터 독립했다.
현재, 세낭크 수도원의 수입은 수도원 관람료, 종교 서적 판매점, 라벤더 재배, 꿀과 라벤더 정유 판매, 다른 수도원에서 만들어진 다양한 상품 판매로 이루어진다. 수도사들은 수도원 채소밭에서 재배되는 채소를 주식으로 한다.
세낭크에 거주하는 수도사들은 생계를 위해 라벤더를 재배하고 꿀벌을 기른다.
3. 건축
시미안-라-로통드의 영주들의 후원으로 1178년에 수도원 교회가 봉헌되었다.[1] 시토 수도원의 규칙에 따라 세낭크의 다른 건물들도 지어졌다.[1] 회랑 아케이드에 있는 쌍둥이 기둥의 주두는 시각적인 방해를 줄이기 위해 단순한 잎 모양으로 만들어졌다.[1]
3. 1. 로마네스크 양식


세낭크 수도원의 외관은 매우 간소한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돌로 조립되어 있으며 슬레이트로 덮여 있다.[1] 슈베는 반원형의 앱스로 이루어져 있고, 교회 건물은 생 앙투안 십자형이며, 수도원 외벽을 돌출하는 후진을 가지고 있다.[1] 다소 특이한 형태로, 슈베는 북동쪽을, 메인 파사드는 남서쪽을 향하고 있다.[1] 회랑의 아케이드에서 짝을 이루는 기둥은 가장 간소한 잎사귀 무늬로 장식되어 있다.[1]
3. 2. 주요 건물
thumb현재 남아있는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의 건물로는 수도원 교회, 회랑, 기숙사, 참사회실, 그리고 수도사들이 글을 쓸 수 있도록 난방 시설을 갖춘 유일한 공간인 '''칼레팩토리'''(필사실)가 있다.[1] 식당은 17세기에 추가되었는데, 기존 벽을 최소한으로 재건축한 것이다.[1] 수도원은 희귀한 아름다움과 엄격함을 지닌, 놀랍도록 잘 보존된 건축물이다.[1]
수도원 교회는 앱스가 수도원 외부 벽 너머로 돌출된 타우 십자 형태이다.[1] 좁고 한적한 계곡 때문에 전통적인 배치 공간이 없어, 교회의 성가대 평면도#전례 동쪽 끝은 북쪽을 향한다.[1]
수도원 외관은 매우 간소한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돌로 조립되어 슬레이트로 덮여 있다.[4] 슈베는 반원형의 앱스로 이루어져 있다.[4] 교회 건물은 생 앙투안 십자형이며, 수도원 외벽을 돌출하는 후진을 가지고 있다.[4] 다소 특이하게 슈베는 북동쪽을, 메인 파사드는 남서쪽을 향하고 있다.[4] 회랑 아케이드의 쌍둥이 기둥 주두는 감각적인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단순한 잎사귀 형태로 축소되었다.[1]
4. 현대의 세낭크 수도원
1988년 레랭 수도원의 시토회 수도사들이 다시 세낭크 수도원으로 돌아와[1] 라벤더를 재배하고 꿀벌을 기르며 생활하고 있다.[2] 수도원 앞에는 라벤더 밭이 펼쳐져 있다.
일반인들도 영적 수련을 위해 수도원에 머무를 수 있다.[3] 세낭크 수도원은 실바칸 수도원, 르 토로네 수도원과 함께 "프로방스의 세 자매"("les trois soeurs provençales")라고 불린다.[1]
4. 1. 수도사들의 생활
1988년 레랭 수도원의 수도사들이 다시 세낭크 수도원으로 돌아왔다.[1]세낭크 수도사들은 생계를 위해 라벤더를 재배하고 꿀벌을 기른다. 라벤더 밭은 수도원 앞에서 볼 수 있다.[2]
개인은 영적 수련을 위해 수도원에 머무는 것을 주선할 수 있다.[3]
4. 2. "프로방스의 세 자매"
실바칸 수도원, 르 토로네 수도원과 함께 세낭크 수도원은 "프로방스의 세 자매"("les trois soeurs provençales")라고 불린다.[1]참조
[1]
서적
NHK 夢の美術館 世界の名建築100選
新建築社
[2]
웹사이트
Abbaye Notre-Dame de Sénanque
http://www.edelo.net[...]
[3]
웹사이트
Histoire de l’abbaye de Sénanque
http://www.lyc-jolio[...]
2010-05-17
[4]
웹사이트
Chronologie
http://monumentsh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