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인트로렌스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인트로렌스섬은 베링 해에 위치한 알래스카의 섬으로, 면적은 4,640.1km²이며, 갬벨과 사본가 두 마을에 주로 시베리아 유픽족이 거주한다. 이 섬은 2,000년에서 2,500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1728년 비투스 베링에 의해 유럽인에게 처음 발견되었다. 19세기 중반 기근으로 인구가 감소했으나, 순록 도입과 냉전 시대의 군사 기지 건설 등 다양한 역사를 겪었다. 1971년 알래스카 원주민 청구 해결법 통과 이후 섬의 소유권이 원주민에게 이전되었으며, 현재는 사냥, 어업, 순록 방목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픽족 - 캘런 차이스루크 시프소프
    캘런 차이스루크 시프소프는 미국의 스노보드 선수로, 2007년과 2008년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2010년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으나 예선 탈락 후 은퇴, 2014년 커밍아웃과 함께 러시아의 반LGBT 법에 대한 시위를 지지했으며 2022년에는 성 비위로 미국 스노보드 팀 코치를 고발했다.
  • 이누이트 거주지 - 그린란드
    그린란드는 북아메리카 북동쪽의 북극해와 대서양 사이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큰 섬이자 덴마크 왕국의 자치령으로, 면적의 대부분이 빙상으로 덮여 있고 이누이트족과 덴마크인을 비롯한 다양한 민족이 남서부 해안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 이누이트 거주지 - 누나부트 준주
    누나부트 준주는 캐나다 북부에 위치하며, 고대 에스키모 문화의 거주지였고 1999년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광업, 석유 및 가스,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이누이트 문화가 특징인 극지방의 준주이다.
  • 베링해의 섬 - 알류샨 열도
    알류샨 열도는 알래스카 반도에서 서쪽으로 뻗어 있는 섬들로,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하며 화산 활동과 지진이 활발하고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수산업과 미군 주둔이 경제의 기반을 이루고 알류트족이 원주민으로 거주한다.
  • 베링해의 섬 - 라트마노프섬
    라트마노프섬은 러시아 최동단이자 디오미드 제도의 큰 섬으로, 베링 해협에 위치하며 과거 이누피아크족이 거주했으나 현재는 러시아 기상 관측소와 국경 경비대가 주둔하고 냉전 시대 미국과의 경계 지역이었다.
세인트로렌스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세인트로렌스 섬 확대 지도
세인트로렌스 섬 확대 지도
알래스카 내 위치
알래스카 내 위치
기본 정보
이름세인트로렌스 섬
원주민 이름시부카크 (Sivuqaq)
러시아어 이름오스트로프 스뱌토고 라브렌티야 (Ostrov Svyatogo Lavrentiya)
위치베링해
좌표63°21′44″N 170°16′02″W
군도해당 없음
총 섬 수해당 없음
주요 섬해당 없음
면적4640.1 제곱킬로미터 (1791.56 제곱마일)
길이144.8 킬로미터 (90 마일)
35.4 킬로미터 (22 마일)
최고봉아투크 산
해발고도631 미터 (2070 피트)
국가미국
알래스카
인구 조사 구역놈 인구 조사 구역
최대 도시사분가
최대 도시 인구835명 (2020년)
인구1,475명
인구 기준 연도2020년
인구 밀도0.32 명/제곱킬로미터
민족시베리아 유픽
시간대해당 없음
UTC 오프셋해당 없음
일광 절약 시간제해당 없음
UTC 오프셋 (일광 절약 시간제)해당 없음

2. 지리

세인트로렌스섬을 포함한 지도


미국 인구조사국은 세인트로렌스섬을 노움 인구 조사 구역, 알래스카의 인구 조사 구역 1, 블록 그룹 6으로 정의한다. 2000년 미국 인구 조사 기준, 섬의 면적은 4,640.1km2이며 1,292명이 거주하고 있다.[6][20] 섬의 길이는 약 140km이고 너비는 13-36km이다.[20] 섬에는 나무가 없고, 유일한 목본 식물은 높이가 30cm를 넘지 않는 북극 버드나무이다.[6][20]

섬의 풍부한 바닷새와 해양 포유류는 대부분 아나디르 해류의 영향 때문이다. 아나디르 해류는 베링 해 대륙붕 가장자리 깊은 해역에서 차갑고 영양 염류가 풍부한 물을 가져온다.[6]

1999년에는 섬 남쪽에 지속적인 폴리니야가 있었는데, 이는 북풍과 동풍이 해안에서 이동하는 얼음을 날려 보내면서 형성되었다.[7][21]

갬벨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

세인트로렌스섬, 갬벌의 기후:[21]
1월4월7월10월
일일 최고 기온-11°C-7°C10°C1°C
일일 최저 기온-16°C-12°C5°C-2°C


3. 역사

세인트로렌스섬에서 가장 오래된 거주 증거는 2,000년에서 2,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유물은 오크빅(Okvik, oogfik) 양식과 유사하다. 세인트로렌스섬 동쪽 끝에 위치한 푸누크 제도(Punuk Islands)의 고고학 유적지, 사본가 인근의 쿠쿨릭(Kukulik) 유적지, 그리고 갬벨 위의 언덕 경사면 모두 오크빅 거주 흔적을 보여준다. 오크빅 장식 양식은 동물 형상을 띠며 정교하다. 때로는 조잡한 조각이 있으며, 이는 올드 베링해(Old Bering Sea) 및 푸누크(Punuk) 양식보다 더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2000년에서 700년 전의 올드 베링해 거주에 영향을 받은 오크빅 거주는 더 단순하고 균일한 푸누크 양식으로 특징지어진다. 석기 유물은 뗀석기에서 갈아서 만든 셰일로 바뀌었고, 조각된 상아 작살 머리는 디자인이 더 작고 단순해졌다.

세인트로렌스섬의 선사 시대 및 초기 역사 시대의 정착지는 일시적이었다. 버려지고 재사용되는 기간은 유리한 기후와 함께 자원에 따라 달라졌다. 해리스 선과 인간 골격의 에나멜 형성 부전에서 나타나듯이 기근이 발생했다. 잔잔한 날씨에 본토를 오가며 섬은 사냥 기지로 사용되었다. 유적지는 영구적으로 사용되기보다는 가끔 재사용되었다.

갬벨과 사본가(쿠쿨릭)의 주요 고고학 유적지는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의 오토 가이스트(Otto Geist)와 이바르 스칼란드(Ivar Skarland)에 의해 발굴되었다. 이 발굴에서 수집된 자료는 UAF 캠퍼스에 있는 알래스카 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이 섬은 유픽족에 의해 ''시부콰크''(Sivuqaq)라고 불렸다.[9] 1728년 8월 10일 성 로렌스 축일에 러시아/덴마크 탐험가 비투스 베링이 이 섬을 방문했으며, 방문 날짜를 따서 섬 이름을 명명했다.[9] 이 섬은 유럽 탐험가들이 방문한 것으로 알려진 알래스카 최초의 장소였다.

19세기 중반에 섬의 여러 마을에 약 4,000명의 중앙 알래스카 유픽족과 시베리아 유픽족이 살고 있었다. 그들은 바다코끼리고래를 사냥하고 고기를 잡으면서 생계를 유지했다. 1878-1880년 기근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었고, 많은 사람들이 섬을 떠나면서 섬의 인구가 급감했다.[22] 세입 컷터가 1880년에 섬을 방문하여 700명의 주민 중 500명이 굶어 죽은 것을 발견했다고 추정했다. 당시 보고서에 따르면 상인들이 사람들에게 술을 공급하여 "평소의 식량을 비축하는 것을 소홀히 했다"고 비난했다.[10] 남은 주민은 거의 모두 시베리아 유픽족이었다.

순록은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1900년에 섬에 도입되었다. 순록 떼는 1917년까지 약 10,000마리로 증가했지만 그 이후로 감소했다. 순록은 오늘날까지 생계형 고기 공급원으로 사육된다. 1903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섬에 순록 보호 구역을 설정했다.[11] 이는 알래스카 원주민 청구 해결법(ANCSA) 19조에 따라 순록 보호 구역이 순록 자체를 보호하기보다는 원주민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되었음을 증명해야 했기 때문에, 그들의 토지에 대한 지표 및 지하 권리를 획득하기 위한 원주민 토지 청구 과정에서 법적 문제를 야기했다.[12]

1955년 6월 22일, 냉전 기간 동안 미 해군의 P2V 넵튠기가 국제 날짜 변경선을 따라 베링 해협 상공의 공해에서 소련 공군 전투기 두 대의 공격을 받았다.[13] 이 사건은 시베리아 캄차카 반도와 알래스카 사이에서 발생했으며, P2V는 섬 북서쪽 곶, 갬벨 마을 근처에 추락했다.[13] 마을 사람들은 승무원 11명을 구조했으며, 그 중 3명은 소련의 공격으로, 4명은 추락으로 부상을 입었다.[13] 소련 정부는 미국의 외교적 항의에 대해 "사건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피해의 50%를 배상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13] 이는 냉전 사건 연표에서 소련이 사격 사건에 대해 처음으로 제시한 제안이었다.[13] 미국 연방 정부는 소련의 유감 표명과 부분 배상 제안에 만족했지만, 소련의 성명이 입수 가능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고 언급했다.[13]

세인트로렌스 섬의 이전 노스이스트 케이프 공군 기지


섬 반대편에 위치한 노스이스트 케이프 공군 기지는 미국 공군 시설로, 1952년부터 1972년까지 운영된 화이트 앨리스 통신 시스템(WACS) 기지, 항공 통제 및 경보[14](AC&W) 레이더 기지, 미국 공군 보안 서비스 청취소로 구성되어 있었다.[15] 1970년대 기지 폐쇄 후, 많은 사람들이 건강 문제를 겪기 시작했으며, PCB 노출로 인해 암 및 기타 질병 발병률이 높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5] 알래스카 주는 이러한 높은 암 발병률이 유사한 공군 시설에 노출되지 않은 다른 알래스카 및 비 알래스카 북극 원주민의 발병률과 비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16] 2003년에는 1050만 달러 규모의 정화 프로그램을 통해 시설 대부분이 제거되었으며, 현장 감시는 미래에도 계속될 것이다.[17]

1971년 알래스카 원주민 청구 해결법 통과 후, 사봉가와 갬벨 마을은 연방 정부에 토지를 매각하고 더 큰 지역 원주민 기업에 가입하는 것을 선택했고, 세인트로렌스 섬의 완전한 소유권을 약속받았다.[5] 2016년, 미국 토지 관리국은 섬의 영구적인 사유 재산권을 사봉가와 갬벨을 대표하는 두 법인에게 이전했다.[5][4]

2023년 4월, 오스트레일리안 셰퍼드 견종의 개 난누크(Nanuq)가 갬벨에서 구조되어 돌아오면서 전국적인 뉴스를 탔다. 이 개는 얼음으로 뒤덮인 바다를 헤엄쳐 150마일의 거리를 생존한 것으로 보인다.[18]

3. 1. 선사 시대

세인트로렌스섬에서 가장 오래된 거주 증거는 2,000년에서 2,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유물은 오크빅(Okvik, oogfik) 양식과 유사하다. 세인트로렌스섬 동쪽 끝에 위치한 푸누크 제도(Punuk Islands)의 고고학 유적지, 사본가(Savoonga) 인근의 쿠쿨릭(Kukulik) 유적지, 그리고 갬벨(Gambell) 위의 언덕 경사면 모두 오크빅 거주 흔적을 보여준다. 오크빅 장식 양식은 동물 형상을 띠며 정교하다. 때로는 조잡한 조각이 있으며, 이는 올드 베링해(Old Bering Sea) 및 푸누크(Punuk) 양식보다 더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2000년에서 700년 전의 올드 베링해 거주에 영향을 받은 오크빅 거주는 더 단순하고 균일한 푸누크 양식으로 특징지어진다. 석기 유물은 뗀석기에서 갈아서 만든 셰일로 바뀌었고, 조각된 상아 작살 머리는 디자인이 더 작고 단순해졌다.

세인트로렌스섬의 선사 시대 및 초기 역사 시대의 정착지는 일시적이었다. 버려지고 재사용되는 기간은 유리한 기후와 함께 자원에 따라 달라졌다. 해리스 선과 인간 골격의 에나멜 형성 부전에서 나타나듯이 기근이 발생했다. 잔잔한 날씨에 본토를 오가며 섬은 사냥 기지로 사용되었다. 유적지는 영구적으로 사용되기보다는 가끔 재사용되었다.

갬벨과 사본가(쿠쿨릭)의 주요 고고학 유적지는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의 오토 가이스트(Otto Geist)와 이바르 스칼란드(Ivar Skarland)에 의해 발굴되었다. 이 발굴에서 수집된 자료는 UAF 캠퍼스에 있는 알래스카 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3. 2. 유럽인과의 접촉

이 섬은 유픽족에 의해 ''시부콰크''(Sivuqaq)라고 불렸다.[9] 1728년 8월 10일 성 로렌스 축일에 러시아/덴마크 탐험가 비투스 베링이 이 섬을 방문했으며, 방문 날짜를 따서 섬 이름을 명명했다.[9] 이 섬은 유럽 탐험가들이 방문한 것으로 알려진 알래스카 최초의 장소였다.

19세기 중반에 섬의 여러 마을에 약 4,000명의 중앙 알래스카 유픽족과 시베리아 유픽족이 살고 있었다. 그들은 바다코끼리고래를 사냥하고 고기를 잡으면서 생계를 유지했다. 1878-1880년 기근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었고, 많은 사람들이 섬을 떠나면서 섬의 인구가 급감했다.[22] 세입 컷터가 1880년에 섬을 방문하여 700명의 주민 중 500명이 굶어 죽은 것을 발견했다고 추정했다. 당시 보고서에 따르면 상인들이 사람들에게 술을 공급하여 "평소의 식량을 비축하는 것을 소홀히 했다"고 비난했다.[10] 남은 주민은 거의 모두 시베리아 유픽족이었다.

순록은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1900년에 섬에 도입되었다. 순록 떼는 1917년까지 약 10,000마리로 증가했지만 그 이후로 감소했다. 순록은 오늘날까지 생계형 고기 공급원으로 사육된다. 1903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섬에 순록 보호 구역을 설정했다.[11] 이는 알래스카 원주민 청구 해결법(ANCSA) 19조에 따라 순록 보호 구역이 순록 자체를 보호하기보다는 원주민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되었음을 증명해야 했기 때문에, 그들의 토지에 대한 지표 및 지하 권리를 획득하기 위한 원주민 토지 청구 과정에서 법적 문제를 야기했다.[12]

3. 3. 순록 도입과 현대

세인트로렌스섬은 원주민 유픽에 의해 시부카크(Sivuqaq)라고 불렸다. 1728년 탐험가 비투스 베링이 성 로렌스 순교 기념일인 8월 10일에 섬에 도착하여 세인트로렌스섬으로 명명되었다. 세인트로렌스섬은 베링이 처음으로 알래스카에 도달한 지점으로 알려져 있다.[22]

19세기 중반에는 약 4,000명의 중앙 알래스카 유픽과 시베리아 유픽이 섬에 몇 개의 집락을 형성하여 거주했다. 이들 원주민은 어업, 바다코끼리, 고래 사냥을 생업으로 삼았다.[22]

1878년부터 1880년에 걸쳐 섬을 덮친 기근으로 많은 사람들이 굶주림에 시달렸고, 굶어 죽거나 많은 사람들이 섬을 떠났다. 섬의 인구는 급격히 감소했으며, 살아남은 사람들 중 대부분은 시베리아 유픽이었다.[22]

섬의 발전을 위해 순록이 섬에 도입된 것은 1900년이었다. 그 후 순록은 증가하여 1917년에는 10,000마리로 늘어났다. 그러나 그 이후 순록의 수는 감소하고 있다. 순록은 최소한의 생활에 필요한 고기 공급원으로 사육되고 있다.[22]

3. 4. 냉전 시대

1955년 6월 22일, 냉전 기간 동안 미 해군의 P2V 넵튠기가 국제 날짜 변경선을 따라 베링 해협 상공의 공해에서 소련 공군 전투기 두 대의 공격을 받았다.[13] 이 사건은 시베리아 캄차카 반도와 알래스카 사이에서 발생했으며, P2V는 섬 북서쪽 곶, 갬벨 마을 근처에 추락했다.[13] 마을 사람들은 승무원 11명을 구조했으며, 그 중 3명은 소련의 공격으로, 4명은 추락으로 부상을 입었다.[13] 소련 정부는 미국의 외교적 항의에 대해 "사건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피해의 50%를 배상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13] 이는 냉전 사건 연표에서 소련이 사격 사건에 대해 처음으로 제시한 제안이었다.[13] 미국 연방 정부는 소련의 유감 표명과 부분 배상 제안에 만족했지만, 소련의 성명이 입수 가능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고 언급했다.[13]

섬 반대편에 위치한 노스이스트 케이프 공군 기지는 미국 공군 시설로, 1952년부터 1972년까지 운영된 화이트 앨리스 통신 시스템(WACS) 기지, 항공 통제 및 경보[14](AC&W) 레이더 기지, 미국 공군 보안 서비스 청취소로 구성되어 있었다.[15] 1970년대 기지 폐쇄 후, 많은 사람들이 건강 문제를 겪기 시작했으며, PCB 노출로 인해 암 및 기타 질병 발병률이 높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5] 알래스카 주는 이러한 높은 암 발병률이 유사한 공군 시설에 노출되지 않은 다른 알래스카 및 비 알래스카 북극 원주민의 발병률과 비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16] 2003년에는 1050만 달러 규모의 정화 프로그램을 통해 시설 대부분이 제거되었으며, 현장 감시는 미래에도 계속될 것이다.[17]

1971년 알래스카 원주민 청구 해결법 통과 후, 사봉가와 갬벨 마을은 연방 정부에 토지를 매각하고 더 큰 지역 원주민 기업에 가입하는 것을 선택했고, 세인트로렌스 섬의 완전한 소유권을 약속받았다.[5] 2016년, 미국 토지 관리국은 섬의 영구적인 사유 재산권을 사봉가와 갬벨을 대표하는 두 법인에게 이전했다.[5][4]

3. 5. 알래스카 원주민 청구 해결법과 현재

1955년 6월 22일, 냉전 기간 동안 미 해군의 P2V 넵튠기가 국제 날짜 변경선을 따라 베링 해협 상공의 공해에서 소련 공군 전투기의 공격을 받았다.[13] 이 사건은 시베리아 캄차카 반도와 알래스카 사이에서 발생했으며, P2V는 섬 북서쪽 곶, 갬벨 마을 근처에 추락했다. 마을 사람들은 승무원들을 구조했고, 이들 중 일부는 소련의 공격과 추락으로 부상을 입었다.[13] 소련 정부는 이례적으로 화해적인 태도를 보이며 "사건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피해의 50%를 배상할 의사를 밝혔다.[13] 미국 연방 정부는 소련의 유감 표명과 부분 배상 제안에 만족했지만, 소련의 성명이 입수 가능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고 밝혔다.[13]

섬 반대편에 위치한 노스이스트 케이프 공군 기지는 1952년부터 1972년까지 운영된 미국 공군 시설로, 레이더 기지, 청취소, 화이트 앨리스 통신 시스템(WACS) 기지로 구성되어 있었다.[14] 기지 주변은 유픽 가족의 전통적인 캠프 사이트였으나, 기지 폐쇄 후 많은 사람들이 건강 문제를 겪었고, PCB 노출로 인한 암 및 기타 질병 발병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5] 2003년에는 1050만 달러 규모의 정화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현장 감시는 계속될 것이다.[17]

1971년 알래스카 원주민 청구 해결법 통과 후, 사봉가와 갬벨 마을은 연방 정부에 토지를 매각하고 더 큰 지역 원주민 기업에 가입하는 대신 세인트로렌스 섬의 완전한 소유권을 약속받았다.[5][4] 2016년, 미국 토지 관리국은 섬의 영구적인 사유 재산권을 사봉가와 갬벨을 대표하는 두 법인에게 이전했다.[5][4]

2023년 4월, 오스트레일리안 셰퍼드 견종의 개 난누크(Nanuq)가 갬벨에서 구조되어 돌아오면서 전국적인 뉴스를 탔다. 이 개는 얼음으로 뒤덮인 바다를 헤엄쳐 150마일의 거리를 생존한 것으로 보인다.[18]

4. 마을

세이붕가와 갬벨은 세인트로렌스섬에 있는 두 개의 마을로, 시베리아 유픽족이 주로 거주하며 사냥, 어업, 순록 방목을 생업으로 삼고 있다. 알래스카 원주민 청구 조정법(ANCSA)에 따라 이들은 섬 대부분의 토지에 대한 권한을 가지며, 화석화된 매머드 상아 등을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다.

세인트로렌스섬 유픽족은 해양 포유류(바다코끼리 상아 및 고래 뼈)를 재료로 한 조각 기술로 유명하다. 북극 요요는 이 섬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인류학자 라르스 크루탁은 이들의 문신 전통을 연구하기도 했다.

갬벨 집락 원경


갬벨

5. 교통

세인트로렌스섬에는 갬벨 공항과 사봉가 공항이 있다. 1970년대까지는 공군 시설이 있었다.

6. 문화

7. 각주

wikitext

참조

[1] 웹사이트 Tools and Implements: St. Lawrence Island and the Bering Strait Region http://anthromuseum.[...] 2006-05-24
[2] 논문 The 40Ar/39Ar chronology and eruption rates of Cenozoic volcanism in the eastern Bering Sea Volcanic Province, Alaska http://cat.inist.fr/[...]
[3] 웹사이트 Wildlife Notebook Series: Shrews http://www.adfg.stat[...]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4] 웹사이트 St. Lawrence Island corporations get clear title to their land http://www.nomenugge[...] 2016-08-05
[5] 웹사이트 Million-acre St. Lawrence Island land title signed over to native population https://www.alaskasn[...] 2023-01-09
[6] 웹사이트 Block Group 6, Census Tract 1, Nome Census Area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7] 웹사이트 St Lawrence Polynya http://polar.ocean.w[...] 2006-06-12
[8] 웹사이트 Archeology of the Tundra and Arctic Alaska http://www.nps.gov/a[...] nps.gov 2010-11-16
[9] 웹사이트 Arctic Studies https://alaska.si.ed[...]
[10] 뉴스 A Starving Population 1880-11-11
[11] 간행물 2018
[12] 간행물 2012
[13] 웹사이트 VP-9 Mishap http://www.vpnavy.co[...] U. S. Navy Patrol Squadrons 2011-01-24
[14] 웹사이트 Aircraft Control And Warning System https://web.archive.[...] About.com 2011-04-07
[15] 웹사이트 PCB's in People of St. Lawrence Island https://web.archive.[...] 2006-06-12
[16] 간행물 PCB Blood Test Results from St. Lawrence Island http://www.epi.hss.s[...] State of Alaska Epidemiology Bulletin 2003-02-06
[17] 웹사이트 St. Lawrence Island http://www.dec.state[...] 2006-06-12
[18] 뉴스 Homeward bound lost dog returns home surviving epic 150 mile journey https://www.nbcnews.[...] NBC News 2023-04-13
[19] 웹사이트 Tools and Implements: St. Lawrence Island and the Bering Strait Region http://anthromuseum.[...] 2006-05-24
[20] 웹사이트 Block Group 6, Census Tract 1, Nome Census Area http://factfinder.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1] 웹사이트 St Lawrence Polynya http://polar.ocean.w[...] 2006-06-12
[22] 논문 The St. Lawrence Island Famine and Epidemic, 1878–80 http://aa.uwpress.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